KR200217026Y1 - 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blind - Google Patents

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026Y1
KR200217026Y1 KR2020000027960U KR20000027960U KR200217026Y1 KR 200217026 Y1 KR200217026 Y1 KR 200217026Y1 KR 2020000027960 U KR2020000027960 U KR 2020000027960U KR 20000027960 U KR20000027960 U KR 20000027960U KR 200217026 Y1 KR200217026 Y1 KR 200217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ode
location
key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96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치영
고성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길핸디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길핸디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길핸디케어
Priority to KR2020000027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02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026Y1/en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향 발생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고유의 코드를 부여함과 더불어 발생되는 음향의 종류별로도 별도의 코드를 부여하여 시각 장애인이 원하는 위치에 대해 원하는 음향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nique cod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ound generator and a separate code for each type of sound generated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selectively control the generation of a desired sound at a desired position. A 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은 발생 가능한 모든 위치 코드 중에서 원하는 위치 코드를 선택하는 위치 코드 선택 기능과 발생 가능한 모든 음종류 코드 중에서 원하는 음종류 코드를 선택하는 음종류 코드 선택 기능을 구비하고, 위치 코드와 음종류 코드를 함께 변조하여 무선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무선 제어기 및 자기 위치 코드와 자기가 발생할 수 있는 음향에 대응되는 음종류 코드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자기 위치 코드가 포함된 무선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자기 위치 코드에 동반하여 수신되는 음종류 코드를 판독하여 수신된 음종류 코드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cation code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 desired location code among all possible location codes and a sound type code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 desired sound type code among all possible sound type codes. A wireless controller that modulates a location code and a sound type code together and outputs it as a wireless control signal, and stores a magnetic location code and a sound type code corresponding to a sound in which magnetism can occur, and then includes a wireless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magnetic location code. And a sound generator that reads the received sound type code accompanying the magnetic location code and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type code when is received.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blind}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blind

본 고안은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 발생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고유의 코드를 부여함과 더불어 발생되는 음향의 종류별로도 별도의 코드를 부여하여 시각 장애인이 원하는 위치에 대해 원하는 음향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particular to give a unique cod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ound generator, and to give a separate code for each type of sound generated by the visually impaired It relates to a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generation of sound.

근래 들어, 우리 나라가 선진 사회로 진입하면서 각종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인 배려 의식이 날로 제고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신호등의 지주나 관공서 등에 관련 안내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기를 설치해 둔 상태에서, 이들 음향 발생기를 시각 장애인이 소지하는 무선 제어기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our country enters the advanced society, social awareness for the disabled has been increasing day by day. As a part of this, in the state where sound generators which generate related guidance sounds are installed in props such as traffic lights, government offices, etc., these sound generators are considered to be controlled by a radio controller possessed by a visually impaired person.

도 1은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무선 제어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의 무선 제어기(10)에는 크게 사거리 신호등을 기준으로 동, 서, 남, 북의 각 방위에 대한 신호등 안내음 발생을 지시하는 네개의 신호등 안내음 발생키(12)와 위치 안내음의 발생을 지시하는 한 개의 위치 안내음 발생키(14)가 구비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ireless controller in a conventional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controller 10 in the conventional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largely instructed to generate a signal guide sound for each direction of east, west, south, and north based on a range of traffic lights. Two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ng keys 12 and one position guide sound generating key 14 for instructing the generation of the position guide sound.

전술한 구성에서, 시각 장애인이 무선 제어기(10)에 구비된 위치 안내음 발생키(14)를 누른 경우에 일정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음향 발생기(미도시)에서 미리 녹음 저장된 고유의 위치 안내 음향, 예를 들어, 역삼동 특허청 서울 사무소 주변인 경우에 '여기는 역삼동 특허청 서울 사무소 앞입니다.', '여기는 역삼동 시티은행 앞입니다.', '여기는 역삼동 주택 은행 앞입니다.' 및 '여기는 역삼동 한미 은행 앞입니다.'라는 위치 안내 음향이 동시에 출력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presses the position guide sound generating key 14 provided in the wireless controller 10, the unique position guide sound pre-recorded and stored in all sound generators (not shown)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area,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oul office of Yeoksam-dong Patent Office, 'This is in front of the Seoul Office of Yeoksam-dong Patent Office', 'This is in front of Yeoksam-dong City Bank', 'This is in front of Yeoksam-dong Housing Bank.' And 'This is in front of the US Bank in Yeoksam-dong' will be output at the same time.

한편, 시각 장애인이 자기가 건너야 할 횡단보도에 이르러서는 신호등 안내 음향을 들어야 하는데, 신호등 안내 음향 발생은 위치 코드가 일치하여야만 동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이 당해 횡단보도에 대한 신호등 안내 음향을 듣기 위해서는 모든 신호등 안내 음향 발생키(12)를 눌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즉, 신호등 안내 음향 발생키(12)를 조작하여 발생되는 신호등 안내 음향의 거리감에 의해 건너고자 하는 횡단보도에 대응되는 신호등 안내 음향 발생키(12)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신호등 안내 음향 발생키(12)를 조작하여 예를 들어, '녹색등이 켜졌습니다. 건너가도 좋습니다.'라는 안내 음향의 발생을 확인한 후에 횡단보도를 건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visually impaired person must listen to a traffic light guidance sound when he / she reaches a crosswalk that must be crossed. In order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listen to a traffic light guidance sound for a crosswalk, a visually impaired person is required to match the location code. It also occurs when all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ng keys 12 need to be pressed. That is,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ng key 12 corresponding to the crosswalk to be crossed is checked by the sense of the distance of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ed by operating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ng key 12, and the thus confirmed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ng key. By operating 12, for example, the 'green light is on. You can cross the road after you see the sound.

이러한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을 코드 형태를 빌어 도표화하면 아래의 표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If the conventional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coded in the form of a code, it may be expressed as shown in Table 1 below.

코 드code 구 분division 1One 점1의 신호등 안내음Traffic light guide point 1 22 점2의 신호등 안내음Traffic light guide at point 2 33 점3의 신호등 안내음Traffic light guide sound of point 3 44 점4의 신호등 안내음Traffic light guide point 4 55 위치 안내 음향Location guide sound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 따르면, 단지 신호등 안내 음향 발생과 관련하여서만 위치별 고유 코드를 고려하고 위치 안내 음향 발생과 관련하여서는 위치 코드를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동시에 출력되는 위치 안내 음향에 의해서는 시각 장애인이 정확한 안내를 받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동시에 발생하는 위치 안내 음향이 시각 정상인에 대해서는 소음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unique code for each position is considered only in relation to the signal guide sound generation, and the position code is not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position guide sound generation. Therefore, not only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receive accurate guidance by the positional guide sound output at the same time, but also the positional guide sound generated at the same time acts as a noise for the normal person.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각 장애인이 제한된 거리에 들어온 경우, 즉 수신된 무선 신호의 레벨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위치 안내 음 향이 발생하도록 음향 발생기를 설계하는데, 이에 따라 시각 장애인이 안내 음향을 듣기 위해서는 음향 발생기의 지근 거리까지 가는 동안 위치 안내음 발생키를 계속해서 몇 번이고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enters a limited distance, that is, when the level of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sound generator is designed to generate the sound guide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In order to hear the guidance sound, it is cumbersome to continuously operate the position guidance sound generating key several times while going to the close distance of the sound generator.

더욱이 신호등 안내음 발생을 위해 무선 제어기에 네개의 키를 구비시키고 있는 바, 시각 장애인이 동, 서, 남, 북을 인지하기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자기가 건너고자 하는 횡단보도의 신호등 안내 음향을 듣기 위해서는 모든 신호등 안내 음향 발생키를 조작하여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 등 키의 수만 많아서 복잡할 뿐 키 운용을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four keys are provided on the wireless controller to generate the traffic light, so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recognize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In order to listen to all the traffic light guidance sound generation key, such as the case of operating only a large number of keys,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operate the key efficiently.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향 발생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고유의 코드를 부여함과 더불어 발생되는 음향의 종류별로도 음종류 코드를 부여하여 통합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원하는 위치에 대해 원하는 음향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assigning a unique cod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ound generator, and by assigning a sound type code for each type of sound generated by the integrated operation to the desired pos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generation of the desired soun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향 발생기의 위치까지 시각 장애인을 유도하는 음을 더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이러한 위치 유도음에도 고유의 음종류 코드를 부여한 상태에서 위치 코드와 함께 운용함으로써 소음 요인의 발생을 줄임과 더불어 시각 장애인을 보다 멀리서부터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sound to induce the visually impaired to the position of the sound generator, and furthermore reduce the occurrence of noise factors by operating together with the location code in the state assigned a unique sound type code to the location guidance soun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guide the visually impaired from afa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무선 제어기에 구비된 것보다 적은 수의 키로도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can perform more various functions with fewer keys than thos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controll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은 발생 가능한 모든 위치 코드 중에서 원하는 위치 코드를 선택하는 위치 코드 선택 기능과 발생 가능한 모든 음종류 코드 중에서 원하는 음종류 코드를 선택하는 음종류 코드 선택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코드와 상기 음종류 코드를 함께 변조하여 무선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무선 제어기 및 자기 위치 코드와 자기가 발생할 수 있는 음향에 대응되는 음종류 코드를 저장하고 있다가 자기 위치 코드가 포함된 상기 무선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위치 코드에 동반하여 수신되는 음종류 코드를 판독하여 수신된 음종류 코드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location code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 desired location code among all possible location codes and a sound type for selecting a desired sound type code among all possible sound type codes It has a code selection function, and stores a radio controller for modulating the position code and the sound type code together and outputs it as a radio control signal, and stores a magnetic location code and a sound type code corresponding to a sound that can be generated. And a sound generator for reading out a sound type code received with the position code and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type code when the radio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 code is received.

도 1은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무선 제어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ireless controller in a conventional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도 2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무선 제어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radio controller in the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무선 제어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블록도,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radio controller in the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음향 발생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블록도,Figure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ound generator in the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각종 건축·구조물이 설치된 사거리를 예시적으로 보인 조감도이다.FIG. 5 is a bird's ey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road where various buildings and structures are installed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무선 제어기,10: radio controller,

12: 신호등 안내음 발생키, 14: 위치 안내음 발생키,12: signal light guide key, 14: position guide sound key,

16: 송신 안테나, 20: 무선 제어기,16: transmit antenna, 20: radio controller,

22: 위치 안내음 발생키, 24: 신호등 안내음 발생키,22: position guide sound generating key, 24: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ng key,

26: 위치 선택키, 31: 제어부,26: position selection key, 31: control unit,

32: 키입력부, 34: 전원부,32: key input section, 34: power supply section,

36: 저전압 감지부, 38: 충격 감지부,36: low voltage detection unit, 38: shock detection unit,

40: 무선 신호 발생부, 42: 송신 안테나,40: wireless signal generator, 42: transmitting antenna,

44: 타이머, 46: 음종류 코드 저장부,44: timer, 46: sound type chord storage,

48: 위치 코드 저장부, 50: 홀딩 상태 저장부,48: location code storage, 50: holding state storage,

52: 선택 위치 저장부, 54: 동작음 발생부,52: selection position storage unit, 54: operation sound generator,

56: 스피커,56: speaker,

60: 음향 발생기, 61: 제어부,60: sound generator, 61: control unit,

62: 수신 안테나, 63: 수신레벨 판정부,62: receiving antenna, 63: reception level determining unit,

64: 무선 신호 수신부, 66: 파형 정형부,64: wireless signal receiver, 66: waveform shaping unit,

67: 동작레벨 설정부, 68: 녹색 신호등 검출부,67: operation level setting unit, 68: green traffic light detection unit,

70: 적색 신호등 검출부, 72: 전원부,70: red traffic light detection unit, 72: power supply unit,

74: 음향 데이터 저장부, 76: 음향 출력부,74: sound data storage unit, 76: sound output unit,

78: 스피커, 80: 위치 코드 저장부,78: speaker, 80: location code storage,

82: 위치 코드설정부, 84: 음종류 코드 저장부,82: location code setting section, 84: sound type code storage section,

91 - 95: 신호등 지주, 91a - 96a: 음향 발생기,91-95: traffic light props, 91a-96a: sound generator,

96: 관공서, 97: 시각 장애인,96: public office, 97: blind,

98, 99: 횡단보도98, 99: pedestrian crossing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bli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무선 제어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기(20)는 미리 고유 코드가 부여된 각각의 음향 발생기(후술)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위치 선택키(26), 선택된 위치에 대한 위치 안내 음성의 발생을 지시하는 위치 안내음 발생키(22) 및 선택된 위치에 대한 신호등 안내음의 발생을 지시하는 신호등 안내음 발생키(24)로 역할 분담된 총 세개의 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키(22),(24),(26)는 크기를 달리하여 시각 장애인이 그 크기만으로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더하여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표식, 예를 들어 점자 등을 양각 또는 음각해 두면 시각 장애인이 키의 기능까지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radio controller in the 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radio controll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sition selection key 26, which is used to select each sound generator (described later) to which a unique code has been previously assigned, at a selected position. And a total of three keys assigned to the position guide sound generating key 22 for instructing the generation of the position guide voice and the signal light guide sound generating key 24 for instructing the generation of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for the selected position. . Each of the keys 22, 24, and 26 may be different in size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recognize only the size thereof. In addition, by embossing or engraving a mark that can be perceived as tactile, for example, Braille,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easily grasp the function of the key.

도 3은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 대한 무선 제어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 대한 무선 제어기(20)는 배터리 등의 독립 전원으로 이루어진 전원부(34), 위치 선택, 위치 안내음 발생 및 신호등 안내음 발생 키신호들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32), 현재 선택된 음향 발생기의 위치 코드를 저장하는 선택 위치 저장부(52), 각 선택 위치에 대한 위치 코드를 저장하는 위치 코드 저장부(48), 위치 안내음이나 신호등 안내음 등 발생 제어가 가능한 음종류 코드를 저장하는 음종류 코드 저장부(46), 선택된 위치 코드 및 음종류 코드를 소정의 주파수로 변조한 후에 안테나(42)를 통하여 무선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무선 신호 발생부(40), 무선 제어기(20)의 각종 동작 상태를 서로 다른 음향으로 출력하는 동작음 발생부(54)와 스피커(56) 및 무선 제어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gure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radio controller for the visually impaired sound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wireless controller 20 for the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34 made of an independent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a position selection, a position guide sound generation, and a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on key. A key input unit 32 for inputting signals, a selection position storage unit 52 for storing a position code of a currently selected sound generator, a position code storage unit 48 for storing a position code for each selection position, and a location guide sound And a sound type code storage unit 46 for storing sound type codes capable of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signals such as traffic lights and guide lights, and modulating the selected position code and sound type codes to predetermined frequencies and outputting them as radio control signals through the antenna 42.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peration sound generator 54 and the speaker 56 and the wireless controller 20 for outputting various operation states of the wireless signal generator 40 and the wireless controller 20 to different sounds. It comprises a control unit 31 for controlling.

전술한 구성에서, 위치 선택키(26)로 선택할 수 있는 위치 코드는 아주 복잡한 형태인 5거리 횡단보도의 경우에 총 5개가 필요하고, 이외에도 횡단보도와 관계없는 관공서 등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합하여 적어도 6개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코드 선택은 위치 선택키 신호의 일회 입력이 들어올 때마다 제어부(31)가 위치 코드 저장부(48)에 미리 정해진 순서로 저장된 위치 코드들 중에서 선택 위치 저장부(52)에 저장된 위치 코드의 다음에 있는 위치 코드를 읽어 들여서 선택 위치 저장부(52)의 내용을 갱신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total of five position codes that can be selected by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are required in the case of a five-way crosswalk which is a very complicated form, and in addition, codes for selecting public offices and the like that are not related to the crosswalk are added together. It is preferable to become at least six or more. In addition, the location code selection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31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storage unit 52 among the position codes stor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in the position code storage unit 48 whenever a one-time input of the position selection key signal is received. This can be done by reading the location code following the code and updating the contents of the selection location storage 52.

한편, 동일 위치의 음향 발생기(20)의 음향 내용을 반복적으로 듣고자 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현재 위치를 홀딩할 필요가 생기는 바, 이렇게 선택된 위치의 홀딩 또는 홀딩 해제 작업은 통상의 키 조작 시간보다 길게 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예를 들어 2 -3초 이상 동안 위치 선택키(26)가 눌려지는 지의 여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무선 제어기(20)에는 위치 선택키(26)의 일회 조작 시마다 세트되어 상기 기준 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른 홀딩 관련 신호, 즉 홀딩 신호 또는 홀딩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44) 및 홀딩 상태를 저장하는 홀딩 상태 저장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위치 선택키(26)가 상기 기준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눌려지는 경우에 제어부(31)는 홀딩 상태 저장부(50)에 저장된 내용에 의거하여 선택 위치 저장부(48)의 내용을 다음 순서의 위치 코드로 변경하거나 또는 그대로 홀딩한 상태에서, 이렇게 저장된 위치 코드에 의거하여 무선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listen to the sound contents of the sound generator 20 in the same position, it is necessary to hold the selected current position. Thus, the hold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selected position is made longer than the normal key operation time. It may be performed by whether or not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for example, 2-3 seconds or more. To this end, in the wireless controll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r 44 is set for each operation of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and outputs a holding related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that is, a holding signal or a holding release signal. And a holding state storage unit 50 for storing the holding state. In this case, when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is pressed for a time shorter than the reference time, the control unit 31 next to the contents of the selection position storage unit 48 based on the contents stored in the holding state storage unit 50. The wireless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stored position codes in the state of changing or holding the position codes in order.

즉, 위치 선택키(26) 조작에 의한 음향 발생기의 위치 코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위치 안내음 발생 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부(31)에서는 음종류 코드 저장부(46)에서 위치 안내 음성용으로 할당되어 저장된 코드를 읽어 들여 상기 위치 코드와 함께 무선 신호 발생부(40)로 출력하게 되는데, 무선 신호 발생부(40)에서는 이렇게 제공된 위치 코드와 음종류 코드를 소정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무선 제어 신호를 발생한 후에 송신 안테나(42)를 통하여 공중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위치 선택키(26) 조작에 의한 음향 발생기의 위치 코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신호등 안내음 발생 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부(31)에서는 음종류 코드 저장부(46)에서 신호등 안내음용으로 할당되어 저장된 코드를 읽어 들여 상기 위치 코드와 함께 무선 신호 발생부(40)로 출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position guide sound generation key signal is input while the position code of the sound generator by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31 uses the sound type code storage unit 46 for the position guide voice. The code stored in the code is read and stored and output to the wireless signal generator 40 together with the location code. The wireless signal generator 40 modulates the provided location code and sound type code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control the wireless control signal. After the generation is output to the air through the transmission antenna 42. Then, when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on key signal is input while the position code of the sound generator by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31 assigns the sound type code storage unit 46 for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The stored code is read and output to the wireless signal generator 40 together with the location code.

한편, 무선 제어기(20)에 의해 음향 발생기에서 미리 정해진 패턴의 위치 유도음, 예를 들어 0.5초 간격으로 발생되는 '딩'음을 10초 동안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위치 유도음은 예를 들어 위치 선택키(26)의 조작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고유의 음종류 코드를 위치 유도음용으로 할당하여 음종류 코드 저장부(46)에 미리 저장시킨 상태에서, 위치 선택 키신호의 일회 입력 시마다 제어부(31)가 현재 선택된 위치 코드 및 상기 음종류 코드를 무선 신호 발생부(40)에 함께 제공함으로써 해당 음향 발생기에서 위치 유도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선택키(26)의 일회 입력시마다 현재 선택된 위치 코드와 대응되는 음향, 예를 들어 1번 음향 발생기의 경우에는 '삐', 2번 음향 발생기의 경우에는 '삐삐' 등의 방식으로 음향 발생기의 번호에 일치하는 회수의 '삐'하는 단속음을 스피커(56)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인 위치 코드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36은 전원부(34)의 저전압 상태를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를 나타내고, 38은 무선 제어기(20)에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이를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를 각각 나타낸다.Meanwhile, the wireless controller 20 may output a predetermined pattern of location guidance sounds, for example, a 'ding' sound generated at an interval of 0.5 seconds, for 10 seconds by the wireless controller 20. For example, it may b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In this case, with the unique sound type code assigned to the position-induced sound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sound type code storage unit 46, the control unit 31 selects the currently selected position code and the sound every time the position selection key signal is input. By providing the kind code together with the wireless signal generator 40, the position induced sound may be generated in the sound generator. Each time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is in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selected position code, for example, 'beep' for the first sound generator and 'beep' for the second sound generator, etc. It is desirable to make it easier to recognize the visually impaired location code by causing the speaker 56 to output a number of beeping intermittent sounds that match the number of generators. In FIG. 3, reference numeral 36 denotes a low volta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low voltage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34, and 38 denotes a shock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hock when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s applied to the wireless controller 20.

도 4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음향 발생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음향 발생기(60)는 교통 신호등이 설치된 주요 지점, 예를 들어 교통 신호등 지주 또는 관공서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종류로는 위치 안내 음향 발생기, 위치 유도 음향 발생기, 신호등 안내 음향 발생기 등이 있을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이 하나의 본체 내에 통합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기(60)는 무선 제어기(20)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제어 신호를 포착하는 수신 안테나(62), 수신 안테나(62)에 의해 포착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64), 무선 신호 수신부(64)에서 복조된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후술하는 제어부(61)에 제공하는 파형 정형부66), 전원부(72), 녹색 신호등의 점등 여부를 검출하는 녹색 신호등 검출부(68), 적색 신호등의 점등 여부를 검출하는 적색 신호등 검출부(70), 신호등 안내음, 위치 안내음 또는 위치 유도음 등의 필요로 하는 각종 음향을 저장하는 음향 데이터 저장부(74), 신호등 안내음, 위치 안내음 또는 위치 유도음 등을 식별하는 고유 코드를 저장하는 음종류 코드 저장부(84), 자기의 위치 코드를 저장하는 위치 코드 저장부(80), 위치 코드 저장부(80)에 저장된 코드 데이터를 설정하는 위치 코드 설정부(82), 음향 발생기(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1), 제어부(61)의 제어에 따라 음향 데이터 저장부(74)로부터 필요로 하는 디지털 음향 데이터를 넘겨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음향 출력부(76) 및 음향 출력부(76)에서 제공된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gure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ound generator in the 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generator 60 may be installed at a main point in which a traffic light is installed, for example, a traffic light prop or a government office. There may be a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or, etc.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y will be described as being integrally installed in one main body. As shown in FIG. 4, the visually impaired sound generator 6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gnal captured by a receiving antenna 62 and a receiving antenna 62 for capturing a radio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radio controller 20. Receiving and demodulating the waveform of the signal demodulated by the radio signal receiving unit 64, the waveform shaping unit 66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61 to be described later, the power supply unit 72, the green signal Acoustic data for storing various sounds required such as a green traffic light detection unit 68 for detecting lighting, a red traffic light detection unit 70 for detecting red lighting, and a traffic light guide sound, a position guide sound, or a location guidance sound. A storage type 74, a sound type code storage unit 84 for storing a unique code for identifying a traffic light guide sound, a location guide sound or a location guidance sound, a location code storage unit 80 for storing a location code of its own; Location code Position code setting unit 82 for setting the code data stored in the unit 80, the control unit 61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ound generator 60, the sound data storage unit 7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1 And a speaker 78 for converting the electrical energy provided from the sound output unit 76 into mechanical energy and generating sound by receiving digital sound data required from the digital signal. .

전술한 구성에서, 위치 유도음의 경우에는 위치 안내음의 경우보다 먼 거리에서도 동작되는 것이 시각 장애인에게 편리한데, 이를 감안하여 무선 제어 신호의 수신레벨을 판정하는 수신레벨 판정부(63)와 위치 안내음과 위치 유도음의 발생 기준이 되는 최소 동작레벨을 설정하는 동작레벨 설정부(67)를 더 구비시키고 거리 상황 등에 따라 동작 레벨을 가변시키게 되면 보다 편리하고 탄력적인 운용이 가능해질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conveni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operate at a longer distance than the position guidance sound in the case of the position guidance sound, and in view of this, the reception level determination unit 63 and the position determining the reception level of the radio control signal are performed. If the operation level setting unit 67 is further provided to set the minimum operation level that is the reference of the generation of the guide sound and the position guidance sound, and the operation leve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situation, etc., more convenient and flexible operation will be possible.

아래의 표 2는 본 고안에 의해 각 거리 구분 등에 의해 부여될 수 있는 위치 코드와 음종류 코드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Table 2 below shows the position code and the sound type code that can be given by each distance, e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구 분division 위치 코드Location code 음종류 코드Sound type chord 1점1 point 2점2 points 3점3 points 4점4 points 5점5 points 6점6 points 위치유도음Position induction 위치안내음Location guide sound 신호등안내음Traffic light 2거리2 distance 1One 22 -- -- -- -- aa bb cc 3거리3 distance 1One 22 33 -- -- -- aa bb cc 4거리4 distance 1One 22 33 44 -- -- aa bb cc 5거리5th Street 1One 22 33 44 55 -- aa bb cc 관공서Offices -- -- -- -- -- 66 aa bb --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관공서에 설치된 음향 발생기의 경우에는 신호등에 부여될 수 있는 코드 번호 이외의 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호등 안내 음향은 불필요함을 알 수가 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2, in the case of the sound generator installed in the government office, it is preferable to give a number other than the code number that can be given to the traffic light,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is unnecessary.

도 5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각종 건축·구조물이 설치된 사거리를 예시적으로 보인 조감도이다. 도 5에서, 참조 번호, 91 - 95는 신호등 지주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91a - 95a는 각각의 신호등 지주(91 - 95)의 적소에 설치된 음향 발생기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96a는 관공서(96)에 설치된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다. 전술한 구성에서, 예를 들어, 음향 발생기(91)의 위치 코드 저장부에는 위치 코드 '1'이, 음향 발생기(92),(93)의 위치 코드 저장부에는 위치 코드 '2'가, 음향 발생기(94),(95)의 위치 코드 저장부에는 위치 코드 '3'이 각각 저장되어 있고, 모든 음향 발생기(91-95)의 음향 데이터 저장부에는 위치 안내 음향, 신호등 안내 음향 및 위치 유도음향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횡단보도(98)를 마주보고 있는 음향 발생기(92),(93)는 한 조가 되어 동작하고, 횡단보도(99)를 마주보고 있는 음향 발생기(94),(95)도 한 조가 되어 동작하는 바, 이와 같이 설계하는 이유는 시각 장애인(97)이 횡단보도를 건널 때 건너는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렇지만, 동일한 위치 코드가 부여된 음향 발생기일지라도 위치 안내 음향의 내용은 서로 다르게 될 것이다.FIG. 5 is a bird's ey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road where various buildings and structures are installed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reference numerals 91-95 denote traffic light props, reference numerals 91a-95a denote acoustic generators installed in place of respective traffic light props 91-95, and reference numeral 96a is installed in public office 96. Represents a sound generator.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position code storage unit of the sound generator 91 has a position code '1', the position code storage units of the sound generators 92 and 93 have a position code '2', The position codes '3' are stored in the position code storage units of the generators 94 and 95, and the position guide sound,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and the position guide sound are stored in the sound data storage units of all the sound generators 91-95. Assume this is stored. As can be seen in this assumption, the sound generators 92, 93 facing the crosswalk 98 operate in pairs, and the sound generators 94, facing the crosswalk 99, ( 95) also works in a pair, the reason for the design is to allow the visually impaired (97) to more accurately recognize the direction crossing when crossing the crosswalk. However, the contents of the position guide sound will be different even if the sound generator is given the same position code.

이 상태에서, 시각 장애인(97)이 도시된 지점에서 횡단보도(98)와 횡단보도(99)를 차례로 건넌 뒤 관공서(96)에서 용무를 보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는데,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시각 장애인(97)이 주체가 됨을 밝혀 둔다. 이 상황에서 시각 장애인(97)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가장 가까이에 있는 음향 발생기를 찾아가서 그 위치에 대한 안내 음향을 듣는 일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시각 장애인(97)은 소지한 무선 제어기(20)의 위치 선택키(26)를 한번 또는 여러 번 조작하여 각 위치 코드에 대응되는 음향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위치 유도음, 즉 '딩'음의 거리감에 의해 가장 가까운 거리, 즉 신호등 지주(91a)에 설치된 음향 발생기(91a)에 해당하는 위치 코드를 확인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제어기(20)에서 출력되는 위치 코드 식별용 '삐'음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blind person 97 crosses the pedestrian crossing 98 and the pedestrian crossing 99 at the point where it is shown, and proceeds with the example of seeing the business in the public office 96, the description is different. Unless it is visually impaired (97) is the subject. In this situation, the first thing that the visually impaired 97 should do is go to the nearest sound generator and listen to the guidance sound for the location. To this end, the visually impaired 97 manipulates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of the wireless controller 20 to be carried out once or several times, so that the position-induced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or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code, that is, the 'ding' sound By the sense of distance, the closest distance, that is, the posi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sound generator 91a installed in the traffic light prop 91a is checked. In this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beep' sound for position code identification output from the wireless controller 20 may be helpful.

이렇게 하여, 가장 가까이에 있는 음향 발생기(91a)의 위치 코드가 '1'번임을 '삐' 하는 단발음을 통하여 확인한 후에 '삐' 단발음이 다시 들릴 때까지 위치 선택키(26)를 조작하고, 다시 2-3초 동안 위치 선택키(26)를 길게 눌러서 현재의 위치를 홀딩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면 무선 제어기(20)의 선택 위치 저장부(52)에 위치 코드 '1'이 저장되게 된다. 다음으로, 음향 발생기(91a)에서 발생되는 위치 유도음의 출력이 끊길 때마다 위치 선택키(26)를 눌러서 위치 유도음을 계속 발생시킴으로써 이러한 위치 유도음의 도움을 받아 음향 발생기(91a)가 설치된 신호등 지주(91)에 도달하게 된다.In this way, after confirming that the position code of the closest sound generator 91a is '1' by the short sound, the manipulator selects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until the short sound of the 'beep' sound is heard again. Press and hold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again for 2-3 seconds to hold the current position. In this case, the position code '1' is stored in the selected position storage unit 52 of the wireless controller 20. Next, whenever the output of the position guidanc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or 91a is cut off, by pressing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to continuously generate the position guidance sound, the sound generator 91a is installed with the help of the position guidance sound. A traffic light prop 91 is reached.

다음으로, 위치 안내음 발생키(22)를 조작하여 당해 음향 발생기(91a)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안내 음성을 듣게 되는데, 위의 가정에서 시각 장애인(97)이 횡단보도(98)를 건너야 하기 때문에 당해 음향 발생기(91a)에서 출력되는 안내 음향에 의해 자신이 건너야할 횡단보도가 아님을 확인하고 다른 음향 발생기를 탐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위치 선택키를 2~3초간 길게 눌러 현재 위치에 대한 홀딩 상태를 해제한 뒤 음향 발생기(91a)를 찾을 때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위치 선택키(26)와 위치 안내음 발생키(22)를 조작하여 최종적으로 음향 발생기(92a)의 위치를 음향으로 안내받음으로써 자신이 건너야할 횡단보도(98)임을 확인하게 된다. 다음, 이 상태(현 위치로 홀딩된 상태임)에서 신호등 안내음 발생키(24)를 조작하여 이 횡단보도(98)에 대한 신호등 상태를 안내받게 되는데, 예를 들어 '녹색등이 켜졌습니다. 건너가도 좋습니다.'라는 안내 음향이 음향 발생기(92a),(93a)에서 출력됨을 확인하고 횡단보도(98)를 건너게 된다.Next, the position guide sound generating key 22 is operated to hear the guide voice for the position where the sound generator 91a is installed, since the visually impaired 97 must cross the crosswalk 98 in the above home. The guid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generator 91a confirms that it is not a crosswalk to be crossed and searches for another sound generator. To do this, press and hold the position selection key for 2 to 3 seconds to release the holding state for the current position and then use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and the position guidance sound generating key 22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sound generator 91a is found. By manipulating and finally receiving a sound guide of the location of the sound generator 92a, it is confirmed that it is a crosswalk 98 to be crossed. Next, in this state (holding to the current position), you will be informed of the traffic light condition for this crosswalk (98) by operating the traffic light guide key (24), for example 'green light on. It is OK to cross. 'The guide sound is output from the sound generator (92a, 93a) and crosses the crosswalk (98).

다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위치 선택키(26)와 위치 안내음 발생키(22)를 조작하여 다른 음향 발생기를 탐색하고 그 위치를 홀딩시킨 상태에서 음향으로 위치를 안내받아 앞에 있는 횡단보도(99)가 자신이 다음으로 건너야할 것임을 확인한 상태에서 신호등 안내음 발생키(24)를 조작하여 녹색등 안내음이 출력될 때 횡단보도(99)를 건너게 된다.Again,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selection key 26 and the position guide sound generating key 22 are operated to search for another sound generator, and while the position is held, the position is guided by sound and the crosswalk in front ( 99) crosses the crosswalk 99 when the green light guide sound is output by manipulating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ng key 24 in the state confirming that he should cross next.

마지막으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지근 거리의 음향 발생기를 찾아 음성으로 위치 안내를 받는 과정을 반복하여 관공서(96)의 위치를 음성으로 안내 받아 용무를 보면 된다.Finally,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o find the sound generator of the closest distance by repeating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location guidance by voice, the position of the public office (96) can be seen by voice to see the business.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홀딩 관련 신호의 발생을 담당하는 전용키를 별도로 구비시킬 수도 있을 것인 바, 이 경우에 도 3에서 타이머는 불필요하게 될 것이다. 또한, 위치 유도음의 종류나 발생 패턴, 위치 코드와 음종류 코드의 개수와 코딩 방식 등을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무선 제어기에 구비된 타이머의 경우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allow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unlike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dicated key for generating a holding related signal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this case, the timer may be unnecessary in FIG. 3. In addition, the type and occurrence pattern of the position induced sound, the number and coding schemes of the position code and the sound type code may be changed as appropriate. In addition, the timer provided in the wireless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mann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에 따르면, 음향 발생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고유의 코드를 부여함과 더불어 발생되는 음향의 종류별로도 음종류 코드를 부여하여 통합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원하는 위치에 대해 원하는 음향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이 있다.According to the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unique code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ound generator, and a sound type code is also provided for each type of generated sound to operate visually. There is a convenience that allows the disabl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generation of the desired sound for the desired location.

또한, 종래의 무선 제어기에 구비된 것보다 적은 수의 키로도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음향 발생기의 위치까지 시각 장애인을 유도하는 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소음 요인의 발생을 줄임과 더불어 시각 장애인을 보다 멀리서부터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more various functions with fewer keys than thos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controller, an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noise factors and generate the visually impaired by generating sound that induces visual impairment to the position of the sound generator. It is effective to guide from far away.

Claims (15)

발생 가능한 모든 위치 코드 중에서 원하는 위치 코드를 선택하는 위치 코드 선택 기능과 발생 가능한 모든 음종류 코드 중에서 원하는 음종류 코드를 선택하는 음종류 코드 선택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코드와 상기 음종류 코드를 함께 변조하여 무선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무선 제어기 및A position code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 desired position code among all possible position codes and a sound type code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 desired sound type code among all possible sound type codes, and the position code and the sound type code together A radio controller for modulating and outputting a radio control signal; 자기 위치 코드와 자기가 발생할 수 있는 음향에 대응되는 음종류 코드를 저장하고 있다가 자기 위치 코드가 포함된 상기 무선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위치 코드에 동반하여 수신되는 음종류 코드를 판독하여 수신된 음종류 코드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A sound type code corresponding to a magnetic position code and a sound that can be generated is stored, and when the wireless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magnetic position code is received, the sound type code received along with the position code is read and received. And a sound generator for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a sound type c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기에서 발생 제어가 가능한 음종류에는 위치 안내 음향과 신호등 안내 음향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sound generation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type of sound controllable by the wireless controller includes a location guide sound and a traffic light guide soun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기는 상기 위치 안내 음향을 선택하는 위치 안내음 발생키, 상기 신호등 안내 음향을 선택하는 신호등 안내음 발생키 및 원하는 위치 코드를 선택하는 위치 선택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3. The wireless controller of claim 2, wherein the wireless controller comprises a position guide sound generating key for selecting the position guide sound, a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ng key for selecting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and a position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desired position code. A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기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ireless controller is 원하는 위치 코드를 선택하는 위치 코드 선택키, 위치 안내 음향을 선택하는 위치 안내음 발생키 및 신호등 안내 음향을 선택하는 신호등 안내음 발생키를 갖는 키입력부;A key input unit having a location code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desired location code, a location guide sound generation key for selecting a location guide sound, and a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on key for selecting a traffic light guide sound; 발생 가능한 모든 위치 코드를 저장하는 위치 코드 저장부;A location code storage for storing all possible location codes; 발생 가능한 모든 음종류 코드를 저장하는 음종류 코드 저장부;A sound type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all possible sound type codes; 현재 선택된 위치 코드를 저장하는 선택 위치 저장부;A selection loc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urrently selected location code; 현재 선택된 위치 코드와 음종류 코드를 변조하여 무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제어 신호 출력부 및A wireless control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wireless control signal by modulating a currently selected location code and a sound type code;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상기 제어부에서의 현재 선택된 위치 코드의 판단은 상기 위치 선택키 신호의 일회 입력이 들어올 때마다 상기 위치 코드 저장부에 미리 정해진 순서로 저장된 위치 코드들 중에서 상기 선택 위치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 코드의 다음에 있는 위치 코드를 읽어 들여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determination of the currently selected position code in the controller is performed after the position code stored in the selection position storage unit among the position codes stor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in the position code storage unit each time a one-time input of the position selection key signal is received. A sound gener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reading a location co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선택키, 상기 위치 안내음 발생키 및 상기 신호등 안내음 발생키의 크기를 모두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sound generation system of claim 4, wherein the location selection key, the location guide sound generating key, and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ng key are all different in size.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선택키, 상기 위치 안내음 발생키 및 상기 신호등 안내음 발생키 표면 또는 주위에 기능 안내용 양각 표식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an embossed mark for function guide is formed on or around the position selection key, the position guidance sound generating key, and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ing key.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기는 현재 선택된 위치 코드의 홀딩 여부를 저장하는 홀딩 상태 저장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4, wherein the wireless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holding state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whether the currently selected location code is hel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기는 상기 위치 선택키의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키입력이 있을 때마다 상기 홀딩 상태 저장부의 저장 내용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8. The system of claim 7, wherein the wireless controller inverts the stored contents of the holding state storage unit whenever there is a key input exceed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of the position selection ke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기는 매회 조작 시마다 홀딩 및 홀딩 해제 키신호를 반복적으로 입력하는 전용의 홀딩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7, wherein the wireless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dedicated holding key for repeatedly inputting a holding and holding release key signal at each oper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기는 상기 위치 선택키의 조작 시마다 현재 선택된 위치 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음향을 출력하는 동작음 출력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sound generation system of claim 4, wherein the wireless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sound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for identifying a currently selected location code every time the location selection key is opera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기가 신호등 안내 음향 발생기인 경우에는The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ound generator is a traffic light guide sound generator.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및 파형 정형하여 상기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된 위치 코드와 음종류 코드를 출력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A wireless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radio control signal, demodulating and shaping a waveform, and outputting a location code and a sound type code included in the wireless control signal; 신호등의 점등 상태를 검출하는 신호등 상태 검출부;A traffic light state detection unit detecting a lighting state of the traffic light; 신호등 안내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향 데이터 저장부;A sound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raffic light guide sound data; 신호등 안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traffic light guide sound; 자기의 위치 코드를 저장하는 위치 코드 저장부;A location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a location code of the self; 상기 위치 코드 저장부의 내용을 설정하는 위치 코드 설정부;A location code setting unit for setting contents of the location code storage unit; 자기가 발생할 수 있는 음종류 코드를 저장하는 음종류 코드 저장부;A sound type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a sound type code that can be generated;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에서 제공된 위치 코드를 상기 위치 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 코드와 비교하여 자기 위치 코드인 지를 판별하고, 자기 위치 코드인 경우에는 상기 음종류 코드에 해당하는 음향을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location code provided by the wireless signal receiver is compared with the location code stored in the location code storage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code is a magnetic location code. And a control unit for reading and outputting the sound output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기가 위치 안내 음향 발생기인 경우에는The sound generator of claim 4, wherein the sound generator is a position guide sound generator.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및 파형 정형하여 상기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된 위치 코드와 음종류 코드를 출력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A wireless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radio control signal, demodulating and shaping a waveform, and outputting a location code and a sound type code included in the wireless control signal; 위치 안내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향 데이터 저장부;A sound data storage for storing location guide sound data; 위치 안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A sound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location guide sound; 자기의 위치 코드를 저장하는 위치 코드 저장부;A location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a location code of the self; 상기 위치 코드 저장부의 내용을 설정하는 위치 코드 설정부;A location code setting unit for setting contents of the location code storage unit; 자기가 발생할 수 있는 음종류 코드를 저장하는 음종류 코드 저장부;A sound type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a sound type code that can be generated;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에서 제공된 위치 코드를 상기 위치 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 코드와 비교하여 자기 위치 코드인 지를 판별하고, 자기 위치 코드인 경우에는 상기 음종류 코드에 해당하는 음향을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음향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location code provided by the wireless signal receiver is compared with the location code stored in the location code storage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code is a magnetic location code. And a control unit for reading and outputting through the sound output means.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기의 발생 가능한 음종류 코드에는 음향 발생기의 위치를 유도하는 위치 유도음 코드가 더 포함되고,The method of claim 11 or 12, wherein the sound type code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wireless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position-induced sound code for inducing the position of the sound generator, 상기 무선 제어기는 상기 신호 선택키의 매회 조작 시마다 상기 위치 코드에 동반하여 상기 음종류 코드를 무선 제어 신호로 출력하며,The radio controller outputs the sound type code as a radio control signal accompanying the position code at every operation of the signal selection key. 상기 음향 제어기는 위치 유도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 유도 음향 저장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sound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position-induced soun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osition-induced sound data.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기는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제어 신호의 수신 레벨을 판정하는 수신 레벨 판정부 및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sound generator comprises: a reception level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 reception level of a radio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adio signal receiver; 상기 위치 유도 음향 또는 상기 위치 안내 음향의 발생을 위한 최소 동작 레벨을 설정하는 동작 레벨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And an operation level setting unit for setting a minimum operation level for generating the position guidance sound or the position guidance sound. 상기 음향 발생기의 제어부는 상기 동작 레벨 설정부의 설정 레벨과 상기 수신 레벨 판정부에서 판정된 수신 레벨에 의거하여 상기 위치 유도 음향 또는 상기 위치 안내 음향의 발생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controller of the sound generator controls whether the position guidance sound or the position guide sound is generated based on a setting level of the operation level setting unit and a reception level determined by the reception level determination unit. Generation system.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유도 음향의 동작 설정 레벨을 상기 위치 안내 음향의 동작 설정 레벨보다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 발생 시스템.The sound generation system of claim 14, wherein the operation setting level of the position guidance sound is set lower than the operation setting level of the position guidance sound.
KR2020000027960U 2000-10-07 2000-10-07 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blind KR2002170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60U KR200217026Y1 (en) 2000-10-07 2000-10-07 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960U KR200217026Y1 (en) 2000-10-07 2000-10-07 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bli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026Y1 true KR200217026Y1 (en) 2001-03-15

Family

ID=7305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960U KR200217026Y1 (en) 2000-10-07 2000-10-07 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bli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02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503A (en) * 2014-12-16 2016-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oice guidance system and method
KR101700046B1 (en) * 2015-12-09 2017-01-25 윤상민 Acoustic signaling devices for visually impaire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503A (en) * 2014-12-16 2016-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oice guidance system and method
KR101982216B1 (en) 2014-12-16 2019-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oice guidance system and method
KR101700046B1 (en) * 2015-12-09 2017-01-25 윤상민 Acoustic signaling devices for visually impair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926C (en) A combined audible and visual signaling device
CN204808583U (en) Supplementary blind person device that goes across road
KR200217026Y1 (en) sound generating system for the blind
JP2005257129A (en) Air conditioner
JPH11306481A (en) Pedestrian radio guidance system
KR20080040958A (en) Voice guide system for the blind man
KR20030069549A (en) intelligent audio guidance system for traffic information
KR19980072020A (en) Voice guide for pedestrian cross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0807097B1 (en) Crosswalk guide system for the visual handicapped
JP2002015394A (en) Communication method, vision auxiliary system, walking auxiliary terminal
KR200364127Y1 (en) Acoustic Signal System in Crosswalk for Blind People
Hine et al. Using technology to overcome the tyranny of space: information provision and wayfinding
JP2002163759A (en) Information-providing system
KR200281797Y1 (en) intelligent audio guidance system for traffic information
KR100356303B1 (en) Automatic signal lamp unit for the blind person
KR100751819B1 (en) The guide system for the blind
JPH0432891A (en) Method and device for guiding visually handicapped person
JP2023105914A (en) Block for guiding visually-impaired person equipped with fm radio broadcast band weak radio wave transmission function
KR20080018333A (en) Pedestrian signal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 system using the same
JP3981694B2 (en) Braille tiles used for the visually impaired guidance facility and the facility
KR200410492Y1 (en) A signal lamp guide apparatus for walker have visualdisturbance
WO2002056230A3 (en) Electronic voting system
JP2008117206A (en) Receiver
JPH0541696Y2 (en)
JPH07334076A (en) Identification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829

Effective date: 2002062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