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854Y1 - A drawer for a keyboard of computer at a desk - Google Patents

A drawer for a keyboard of computer at a de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854Y1
KR200216854Y1 KR2020000027431U KR20000027431U KR200216854Y1 KR 200216854 Y1 KR200216854 Y1 KR 200216854Y1 KR 2020000027431 U KR2020000027431 U KR 2020000027431U KR 20000027431 U KR20000027431 U KR 20000027431U KR 200216854 Y1 KR200216854 Y1 KR 200216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keyboard
desk
hol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43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판중
Original Assignee
김판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판중 filed Critical 김판중
Priority to KR2020000027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85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854Y1/en

Link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에 설치하여 사용 가능한 키보드 서랍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컴퓨터 책상이나 겸용 책상에 설치된 키보드 서랍은 안내레일을 따라 앞으로 인출된 후 그 인출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주지 못하기 때문에 키보드 사용중 키보드 서랍이 자꾸 밀려 들어가는 불편함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drawer that can be installed and used on a desk, and a keyboard drawer installed on a conventional computer desk or a combined desk is drawn out forward along a guide rail and thus cannot be kept out of the keyboar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drawer keeps pushing.

따라서 본 고안은 키보드 수납용 서랍 본체(10)을 상판(100) 저면에 설치함에 있어서, 서랍 본체(10)의 양쪽 측벽(11) 후미에 수직의 안내공(12)과 수평의 걸림공(13)을 'L'자형이 되게 형성한 후 이동레일(20) 내면을 타발하여 돌출시킨 괘정편(21)을 안내공(12)에서 걸림공(13)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우고, 측벽(11)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안내공(12)을 가로질러 걸림공(13)까지 걸쳐지는 스프링간(14)을 설치하여 괘정편(21)의 위치를 제어토록 하며, 서랍 본체(10)의 측벽(11) 앞쪽에는 이동레일(20)과 체결나사(22)로 체결되는 구멍을 장공(15)으로 형성하여 서랍 본체(10)가 장공(15) 길이만큼 이동레일(20)에서 전/후진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인출된 서랍이 책상 상판의 전면 테두리에 걸려 사용중 밀려 들어갈 우려가 없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향상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 installing the keyboard storage drawer body 1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00, the guide hole 12 and the horizontal locking hole 13 in the rear of both side walls 11 of the drawer body 10 After forming to form an 'L' shape, the guide piece 21 protruded by punching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rail 20 so as to be movable from the guide hole 12 to the locking hole 13, and the top of the side wall 11. In the state fixed in the guide hole 12 across the interlocking hole 13 to the spring 14 is installe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ruler piece 21, the side wall 11 of the drawer body 10 ) In front of the movable rail 20 and the fastening screw 22 to form a hole (15) to make the drawer body 10 is moved forward / backward from the moving rail 20 by the length of the long hole (15) as In this invention, the drawer drawer is caught on the front rim of the desk top, so there is no risk of being pushed in during use. .

Description

책상용 키보드 서랍{A drawer for a keyboard of computer at a desk}A drawer for a keyboard of computer at a desk}

본 고안은 책상에 설치하여 사용 가능한 키보드 서랍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키보드 서랍의 인출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하여 사용중 키보드 서랍이 밀려 들어갈 우려가 없는 책상용 키보드 서랍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drawer that can be installed and used on a de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board drawer for desks that does not have a risk of being pushed out of the keyboard drawer during use by keeping the drawn state of the keyboard drawer intact.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 많이 보급된 데스크 탑 컴퓨터는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러한 데스크 탑 컴퓨터를 일반 책상 위에 모두 설치하려면 책상 상판의 면적이 상당히 커야만 한다.In general, desktop computers that are widely used in offices and homes are divided into a computer body, a monitor, a keyboard, and a mouse. To install all of these desktop computers on a general desk, the area of the desk top must be quite large.

그런데, 일반 책상은 상판의 면적이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 외에 키보드까지 올려 놓으면 컴퓨터 작업 이외에 다른 작업하기에는 상당히 비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반 책상은 상판의 높이가 키보드를 올려 놓고 사용하기에는 그 높이가 너무 높아서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할 경우 사용자의 손목과 어깨에 무리가 오게 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However, the general desk has a problem in that the top plate is limited, so that when the computer body and the monitor are placed on the keyboard, the work desk becomes very narrow for other work besides computer work. In particular, the height of the top plate is too high to use the keyboard put on the top of the desk, so when you work for a long time, the user's wrists and shoulders cause a lot of side effects.

따라서, 일반 책상이 아직 사용 가능한데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상판 저면에서 적당한 높이로 키보드 서랍이 슬라이드 출입되는 컴퓨터 전용 책상이나 또는 컴퓨터 겸용 책상을 별도 구입하여 사용하였는바, 이는 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even though a general desk is still available, a conventional computer desk or a computer combined desk in which a keyboard drawer slides out at a suitable height from a bottom of a top plate is separately purchased and used, which wastes money. .

그리고, 상기 컴퓨터 전용 책상이나 겸용 책상은 책상 상판을 넓게 사용하기 위해 키보드 서랍이 상판 저면에서 슬라이드 출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는 앞으로 인출된 후 키보드 서랍의 인출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주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인출된 키보드를 조작하다 보면 키보드 서랍이 밀려서 상판 속으로 자꾸 밀려 들어가므로 수시로 키보드 서랍을 잡아당겨 뽑아야 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당히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only desk or the combined desk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keyboard drawer slides in and out from the bottom of the top plate in order to use the desk top widely, since there is no device that keeps the drawer of the keyboard drawer as it is. When you take out the keyboard, the keyboard drawer is pushed and pushed back into the top, so you have to pull out the keyboard drawer from time to tim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키보드의 인출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사용중 키보드 서랍이 밀려 들어갈 우려가 없는 책상용 키보드 서랍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drawer for a desk in which the drawn state of the keyboard is maintained as it is so that the keyboard drawer is not pushed in during us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키보드용 서랍 본체를 책상 상판 저면에 설치하였다가 인출시킨 후 서랍 본체의 후미를 들어올리면 인출된 서랍 본체의 후미가 상승되어 책상 상판의 전면 테두리에 걸린 후 그 걸린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하고, 키보드를 다 사용한 후에는 서랍 본체의 후미를 하강시켜 책상 상판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책상용 키보드 서랍을 구성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drawer body for the keyboard on the bottom of the desk top, and then lift the tail of the drawer body after lifting the drawer body is lifted up to catch the front edge of the top of the desk and caught the state After the keyboard is used up, it is achieved by configuring the desk keyboard drawer to be lower than the desk top by lowering the rear of the drawer body.

이러한 본 고안은 책상 상판의 저면에서 인출한 서랍 본체의 후미를 상승시켜 책상 상판 전면에 걸리게 하면 서랍 본체의 키보드를 사용하는 도중 서랍 본체가 밀려 들어가지 않으므로 키보드를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다 사용한 후에는 키보드 서랍의 높이를 낮추어 책상의 상판 저면으로 집어 넣을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aises the rear end of the drawer body pulled out from the bottom of the desk top plate so that the drawer body is not pushed in during the use of the keyboard of the drawer body so that the keyboard can be used well. The lower the height of the keyboard drawer can be put into the bottom of the top of the desk can effectively achieve the above object.

도 1 은 본 고안이 실시된 키보드 서랍을 일례로 예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keyboard drawer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의 키보드 서랍을 책상 상판의 저면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keyboard dra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desk top plate

도 3 은 본 고안의 키보드 서랍이 책상 상판의 저면에 진입된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예시한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ially enlarged state of the keyboard drawer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e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도 4 는 본 고안의 키보드 서랍이 책상 상판의 앞으로 인출된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예시한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keyboard dra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in front of the desk top plat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서랍 본체 11 : 측벽10 drawer body 11: side wall

12 : 안내공 13 : 걸림공12: guide hole 13: jam hole

14 : 스프링간 15 : 장공14: spring interval 15: long hole

20 : 이동레일 21 : 괘정편20: moving rail 21: ruled flights

30 : 고정레일 100 : 책상 상판30: fixed rail 100: desk top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구성과 그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its operation that can effectively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as follows.

즉,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서랍 본체를 책상 상판의 저면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중 키보드 수납용 서랍 본체(10)의 양쪽 측벽 외면에 슬라이드 레일을 부착하되 그 이동레일(20)은 서랍 본체(10)의 양 측벽(11)에 부착하고, 고정레일(30)은 책상 상판(100)의 저면에 부착하여 서랍 본체(10)가 책상 상판(100) 저면에서 출입되게 한 점은 종래의 컴퓨터 책상에 설치되는 키보드 서랍과 같다고 할 수 있다.That i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rawe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as shown in the drawer body for keyboard storage (as shown in FIG. 1). 10, the slide rails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both side walls, and the movable rails 20 are attached to both side walls 11 of the drawer body 10, and the fixing rails 30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100. The drawer main body 10 is made to enter and exit from the bottom of the desk top plate 100 can be said to be the same as a keyboard drawer installed in a conventional computer desk.

본 고안의 구성상 특징은 서랍 본체(10)와 이동레일(20)을 체결할 때 이동레일 (20)의 내면 중앙에는 괘정편(21)을 타발하여 형성하고, 서랍 본체(10)의 양쪽 측벽(11) 후미에는 상기 괘정편(21)에 끼워져 이동 가능한 수직방향의 안내공(12)과 수평방향의 걸림공(13)을 'L'자형이 되게 형성한 것에 있다.The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unching the ruler piece 21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rail 20 when the drawer main body 10 and the moving rail 20 are fastened, and both sidewalls of the drawer main body 10. (11) In the rear, the vertical guide hole 12 and the horizontal locking hole 13, which are inserted into the ruler piece 21 and are movable, are formed to have an 'L' shape.

그리고, 상기 안내공(12) 일측에는 일단이 측벽(11)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안내공(12)을 가로질러 걸림공(13)까지 걸쳐지는 스프링간(14)을 설치하여 안내공(12)에서 승강되는 괘정편(21)의 위치를 잡아주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간 (14)의 타단은 괘정편(21)이 승강될 때마다 뒤로 밀려났다가 복귀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1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hole by installing a spring rod 14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top of the side wall 11 and the other end is crossed to the locking hole 13 across the guide hole 12. (12) to hold the position of the upholstered piece 21 to be elev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spring interval 14 is installed to be pushed back and returned every time the upright piece 21 is elevated.

그리고, 이동레일(20)과 체결나사(22)로 체결되는 상기 서랍 본체(10)의 측벽(11) 앞쪽에는 장공(15)을 형성하여 서랍 본체(10)가 장공(15)의 길이만큼 이동레일(20)에서 전/후진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31)은 고정레일(30)을 책상 상판(100)의 저면에 나사못으로 박아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 이다.In addition, a long hole 15 is formed in front of the side wall 11 of the drawer main body 10 fastened by the moving rail 20 and the fastening screw 22 so that the drawer main body 10 moves by the length of the long hole 15.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20 is installed to be forward / backward, the reference numeral 31 in the drawing is a hole for fixing the fixing rail 30 by scre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100).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도 1 에서와 같이 서랍 본체(10)의 양쪽에 이동레일(20)과 고정레일(30)이 설치된 상태에서 서랍 본체(10)를 책상 상판(100)의 저면에 설치하고자 할 때 서랍 양쪽에서 뒤로 길게 돌출되는 상기 고정레일(30)의 구멍(31)을 이용하여 책상 상판(100) 저면에 고정레일(30)을 고정시키기만 하면 서랍 본체(10)가 상판(100) 저면에서 출입되는 것으로서 설치하기가 매우 간편하다.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intended to install the drawer body 1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sk top plate 100 in a state where the movable rail 20 and the fixed rail 3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body 10 as shown in FIG. 1. When fixing the fixing rail 30 to the bottom of the desk top plate 100 by using the hole 31 of the fixing rail 30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drawer back when the drawer body 10 is the top plate 100 It is very easy to install as it comes in from the bottom.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한 후 도 2 와 같이 서랍 본체(10)의 후미가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 즉, 이동레일(20)의 괘정편(21)이 서랍 후미의 안내공(12) 상단에 위치되어 스프링간(14)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할 때에는 서랍 본체(10)의 표면이 책상 상판(100) 및 고정레일(30)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서랍 본체(10)가 책상 상판(100)의 저면으로 진입되거나 앞으로 인출될 수가 있다.Then, after the install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2 the rear end of the drawer body 10 is down, that is, the regular piece 21 of the moving rail 2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guide hole 12 of the rear of the drawer In this state, the surface of the drawer main body 1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desk top plate 100 and the fixed rail 30 when the spring main body 14 is held by the spring rod 14. It can enter or withdraw to the bottom of the bank.

따라서, 키보드를 수납한 서랍 본체(10)가 책상의 상판(100) 저면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키보드를 사용하기 위해 서랍 본체(10)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서랍 본체(10)의 양 측벽(11)에 부착된 이동레일(20)이 상판(100)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레일(30)에서 뽑히면서 앞으로 이동되므로 서랍 본체(10)가 외부로 인출되어 나오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종래의 키보드 서랍과 같다.Therefore, when the drawer body 10 storing the keyboard is push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00 of the desk and pulls the drawer body 10 forward to use the keyboard, both sidewalls 11 of the drawer body 10 Since the moving rail 20 attached to the drawer body 10 is moved forward while being pulled from the fixed rail 30 attached to the top plate 100, the drawer main body 1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sam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서랍 본체(10)를 앞으로 인출시켜 도 3 과 같이 서랍 본체(10)가 책상 상판(100)을 완전히 벗어나면 서랍의 선단을 손으로 잡고 서랍 후미를 가볍게 들어올린다. 그러면 안내공(12) 상측에 끼워져 있는 괘정편(21)이 스프링간(14)을 눌러 줌에 따라 스프링간(14)이 가로 질러 있던 안내공(12)을 벗어나게 되므로 결국 서랍 본체(10)의 후미는 안내공(12)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draws the drawer body 10 forward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3, when the drawer body 10 completely leaves the desk top plate 100, the hand of the drawer is held by the hand and lifts the drawer tail lightly. Then, the guide piece 21 inserted above the guide hole 12 is pushed out of the guide hole 12, which spring rod 14 crosses as the spring rod 14 is pressed, so that the end of the drawer body 10 The tail is raised along the guide hole 12.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서랍 본체(10)의 후미가 상승되어 도 4 와 같이 안내공 (12)에 위치되었던 괘정편(21)이 걸림공(13) 위치에 놓이게 되면 스프링간(14)의 탄발력과 측벽(11) 선단에 형성된 장공(15)에 의해 서랍 본체(10)는 고정레일(30)에서 밀려 장공(15)과 걸림공(13)의 길이만큼 이동되어 들어가게 된다.Then, when the rear end of the drawer body 10 is rais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gular piece 21 positioned in the guide hole 12 as shown in FIG. 4 is placed at the locking hole 13 position, the spring force 14 of the spring rod 14 And by the long hole (15) formed at the tip of the side wall 11, the drawer main body 10 is pushed by the fixed rail 30 is moved by the length of the long hole 15 and the engaging hole (13).

이와 같이 되면 서랍 본체(10)는 양 측벽(11)의 걸림공(13)에 이동레일(20)의 괘정편(21)이 끼워져 걸림에 따라 서랍 본체(10)는 후미가 상승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책상의 상판(100) 테두리에 걸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서랍 본체(10)에 수납된 키보드를 사용하는 도중 서랍 본체(10)가 밀려 들어갈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drawer main body 10 has the rear end of the drawer main body 10 being raised as the latching piece 21 of the moving rail 20 is fitted into the locking hole 13 of both side walls 11. While maintaining the state caught on the edge of the top plate 100 of the desk as i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fear that the drawer body 10 is pushed in during the use of the keyboard stored in the drawer body 10.

또한, 키보드는 후미가 앞보다 들어 올려진 상태이어야만 사용자의 손가락과 팔목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는데, 본 고안은 키보드가 수납된 서랍 본체(10)를 상기와 같이 인출하여 고정시키면 서랍 본체(10)의 후미가 상승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서랍 본체(10)에 수납된 키보드는 자연적으로 후미가 비스듬히 들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조작하는 사람들의 손가락과 팔목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keyboard should not lift the user's fingers and cuffs only when the rear end is lifted from the front, the present invention draws the drawer body 10, the keyboard is stored as described above draw and fix the drawer body 10 Since the rear end is fixed in an elevated state, the keyboard accommodated in the drawer main body 10 naturally maintains the rear end at an angle so as not to strain the fingers and cuffs of those who operate.

그리고, 본 고안의 인출된 키보드를 다 사용한 후에 서랍 본체(10)를 상판 (100) 저면으로 집어 넣고자 할 때는 서랍 본체(10)를 앞으로 약간 잡아당긴다. 그러면 장공(15)에 의해 서랍 본체(10)가 이동레일(20)에서 앞으로 약간 이동됨에 따라 후미의 괘정편(21)은 측벽(11)의 걸림공(13)에서 안내공(12) 하부에 위치되며, 이때 서랍 본체(10)의 후미를 아래로 눌러주면 서랍 본체(10)의 후미는 괘정편(21)에 간섭을 받지 않고 안내공(12)을 따라 하강하여 도 3 과 같은 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drawer body 10 is to be put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00 after using the pulled out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body 10 is pulled slightly forward. Then, as the drawer main body 10 is slightly moved forward from the moving rail 20 by the long hole 15, the ruler piece 21 of the rear e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guide hole 12 at the locking hole 13 of the side wall 11. In this case, when the rear end of the drawer main body 10 is pressed down, the rear end of the drawer main body 10 is lowered along the guide hole 12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the guide piece 21 to be in a state as shown in FIG. 3. .

그러면 서랍 본체(10)의 표면이 책상 상판(100)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상판(100)에 간섭을 받지 않고 그 저면으로 진입되어 들어가 보관되는 것이며, 서랍 본체(10)는 측벽(11)에 설치된 스프링간(14)이 안내공(12) 상측에 위치된 괘정편(21)을 받쳐주고 있으므로 서랍 본체(10)는 후미가 하강된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en, since the surface of the drawer body 1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desk top plate 100, the drawer body 10 enters and is stored in the bottom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by the top plate 100, and the drawer body 10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11. Since the installed spring section 14 supports the guide piece 21 positioned above the guide hole 12, the drawer main body 10 is to maintain a good state in which the tail is lowered.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키보드 서랍을 인출한 후 인출된 서랍 후미를 손쉽게 상승시켜 책상 상판의 전면 테두리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서 키보드 사용중 서랍이 밀려 들어갈 우려가 없어 키보드 사용의 편리함이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raise the rear drawer after pulling out the keyboard drawer so that the drawer is held on the front rim of the desk top, so that the drawer does not get pushed during the use of the keyboard. It is a very useful design.

Claims (1)

키보드 수납용 서랍 본체(10)가 이동레일(20)과 고정레일(30)로 구성된 슬라이드 레일에 의해 책상 상판(100)의 저면에서 출입되게 한 것에 있어서,In the drawer main body 10 for the keyboard storage in and out of the bottom of the desk top plate 100 by a slide rail consisting of a movable rail 20 and a fixed rail 30, 서랍 본체(10)의 양쪽 측벽(11) 후미에 수직방향의 안내공(12)과 수평방향의 걸림공(13)을 'L'자형이 되게 형성한 후 이동레일(20) 내면을 타발하여 돌출시킨 괘정편(21)을 안내공(12)에서 걸림공(13)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우고, 상기 안내공 (12) 일측에는 일단이 측벽(11)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안내공(12)을 가로질러 걸림공(13)까지 걸쳐지는 스프링간(14)을 설치하여 상기 괘정편(21)의 위치를 제어토록 하며, 상기 서랍 본체(10)의 측벽(11) 앞쪽에는 이동레일(20)과 체결나사(22)로 체결되는 구멍을 장공(15)으로 형성하여 서랍 본체(10)가 장공(15)의 길이만큼 이동레일(20)에서 전/후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키보드 서랍.After forming the guide holes 12 and the horizontal locking holes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L' shape at the rear of both sidewalls 11 of the drawer body 10 to punch out the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rail 20 The guide piece 21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 from the guide hole 12 so as to be movable, and one side of the guide hole 12 has one end of the guide hole 12 in a state fixed to the top of the side wall 11. A spring rod 14 extending across the engaging hole 13 is installe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hanging piece 21, and the movable rail 2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ide wall 11 of the drawer body 10. Forming a hole to be fastened by the fastening screw 22 in the long hole 15, the desk keyboard dra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er body 10 is moved forward / backward from the moving rail 20 by the length of the long hole (15).
KR2020000027431U 2000-09-30 2000-09-30 A drawer for a keyboard of computer at a desk KR20021685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431U KR200216854Y1 (en) 2000-09-30 2000-09-30 A drawer for a keyboard of computer at a de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431U KR200216854Y1 (en) 2000-09-30 2000-09-30 A drawer for a keyboard of computer at a de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854Y1 true KR200216854Y1 (en) 2001-03-15

Family

ID=7308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431U KR200216854Y1 (en) 2000-09-30 2000-09-30 A drawer for a keyboard of computer at a de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85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692B1 (en) Cabinet with downward extendable/retractable shelves
JP6050314B2 (en) Drawer guide for drawer
KR101771929B1 (en) Device for safe locking of furniture
KR20180015453A (en) Locking device of multi-drawer cabinet
KR200216854Y1 (en) A drawer for a keyboard of computer at a desk
KR102246019B1 (en) Height control device for furniture
US7232195B2 (en) Drawer stop device
JP4321945B2 (en) Extraction restriction mechanism
US2765208A (en) Automatic stop for slide drawers
JP3155932B2 (en) Locking device for drawers in cabinets
JPH08280460A (en) Furniture with latch mechanism
JP3425650B2 (en) Multi-stage drawer cabinet fall protection device
JP2889556B2 (en) Lifting bracket for wagon top plate
CN2439218Y (en) Device for fixing drawer of cabinet
JPH02283321A (en) Guide rail
JPH0333908Y2 (en)
KR200224002Y1 (en) High and Low both Inclined Control Possible Desk
KR200282602Y1 (en) Slide device of Drawer type basket
CN213710525U (en) Large-scale assembly container room of security performance enhancement mode
CN211154613U (en) General screens accessory of support bottom track
JP3022382U (en) Sleeve box
CN216600315U (en) Hand controller and electric lifting table with same
JPH0421306Y2 (en)
CN210581816U (en) Bed guardrail that can unilateral go up and down
KR100367370B1 (en) Drawing slider for keep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