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307Y1 -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6307Y1 KR200216307Y1 KR2020000026428U KR20000026428U KR200216307Y1 KR 200216307 Y1 KR200216307 Y1 KR 200216307Y1 KR 2020000026428 U KR2020000026428 U KR 2020000026428U KR 20000026428 U KR20000026428 U KR 20000026428U KR 200216307 Y1 KR200216307 Y1 KR 2002163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plate
- plate
- horizontal
- horizontal plate
- staircas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착탈(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는 계단겸용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직판과 수평판을 힌지부로 체결 고정하고 최 상측에 위치하는 수직판의 상단에는 U자가 뒤집어진 형상의 결착구를 형성하여 절첩계단을 구성하며,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측면패널에 결착공을 형성하되 측면패널을 개방시킨 상태 즉, 외측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드러나는 상측면에 결착공을 형성하여 상기 절첩계단의 결착구를 결착공에 끼워 넣어 고정지지 하도록 하고 수평판은 펼쳐서 계단기능으로 사용하며 화물을 적재함에 싣지 않을 때는 진열대의 기능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착탈(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는 계단겸용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수직판과 수평판을 힌지부로 체결 고정하고 최 상측에 위치하는 수직판의 상단에는 U자가 뒤집어진 형상의 결착구를 형성하여 절첩계단을 구성하며,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측면패널에 결착공을 형성하되 측면패널을 개방시킨 상태 즉 외측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드러나는 상측면에 결착공을 형성하여 상기 절첩계단의 결착구를 결착공에 끼워 넣어 고정지지 하도록 하고 수평판은 펼쳐서 계단기능으로 사용하며 화물을 적재함에 싣지 않을 때는 진열대의 기능으로 사용이 가능 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화물을 올려놓을 때에 사다리를 세워 놓고 작업을 실시하거나 2명이 1조가 되어 한 명은 지상에서 들어 올려주면 적재함 위에 있는 사람이 화물을 쌓거나 정리하면서 실시하였다.
이러한 경우 사다리의 발 디딤판의 폭이 좁아 화물을 안고 올라서거나 내려설 때에 발을 헛 딛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화물의 부피가 크거나 무거울 경우에는 한번에 적재함까지 올리지 못하였고 중간정도의 높이까지 올렸다가 재차 올려야하는데 이 역시 사다리의 폭이 좁아서 물건을 잠시 얹혀 놓기에 부적합 하는 등의 불편함과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제품(화물)을 적재함에 보다 용이하게 올려 적재하기 위하여 차량의 후미에 유압장치를 구비하고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승·하강 리프트를 장착하였다.
그러나 승·하강 리프트의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운송전문차량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단순업무를 취급하는 소규모상인의 경우에는 비효율적이었으며, 유압장치의 따른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은 승·하강 리프트의 유지 관리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승·하강 리프트는 차량적재함의 후미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품의 전시판매에 적합하지 못하였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장착을 한 상태에서 차량운행을 하여야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전시판매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소규모 상인의 경우에는 제품(화물)이 적재함에 얹혀진 상태로 전시 판매하거나 인도 등에 제품을 전시하게 되는데 적재함에 제품을 전시 판매할 경우에는 전시공간이 극히 국한되어 극적인 전시효과를 거둘 수 없었으며, 진열을 위한 별도의 진열대를 휴대하거나 인도 등에 제품을 진열하게 되며 인도 등에 상품을 진열할 때에는 부득이 인도를 점유하게되어 행인의 통행에 불편을 가중하게 되고 행인의 신체와의 간섭에 의해 제품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착탈이 가능한 절첩계단을 설치하여 계단의 기능 및 진열대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첩계단의 구성 및 사용방법을 극히 단순화 시켜 별다른 전문지식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절첩계단을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도록 한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수직판의 상단에 결착구를 구비하고 하단에 절첩이 가능한 힌지부를 형성하여 수평판을 지지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절첩계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에 의해 달성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제1실시예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제1실시예를
절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제2실시예의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제2실시예의
절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적재함 A-1: 측면패널 A-2: 결착공
1, 1-1: 절첩계단 2: 수직판 3:수평판
4: 힌지부 5: 결착구 6: 걸림봉
8, 10: 축지지부 9, 11: 통공 12: 축봉
13: 너트 14:핀 15: 보조수직판
16: 보조수평판 17: 받침대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절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1 내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제1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분해사시도,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예시도 및 절첩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2 내지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제2실시예 보인 것으로 절첩계단의 전개상태를 보인 사시도,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예시도 및 절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는 수평판을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절첩계단의 상단에 결착구를 구성하여 화물차량의 적재함(A)에 착탈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주된 특징이다.
화물차의 적재함(A)은 좌우 양측 및 후미에 측면패널(A-1)을 세우거나 절곡시키도록 구성된 통상적인 것이고, 측면패널(A-1)을 외측으로 완전히 절곡시키면 측면패널(A-1)의 저면이 상측으로 향하게 되는 것으로 상측으로 향하는 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결착공(A-2)을 천공하여 추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결착구(5)를 걸칠 수 있도록 하였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는 수직판(2)의 상측에 결착구(5)를 형성하고, 하측에 수평판(3)을 힌지부(4)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며, 측면패널(A-1)이 닿는 배면에는 완충부재(2-2)를 부착시켜 절첩계단(1)을 구성하였다.
상기 결착구(5)는 U자가 뒤집어진 형상모양으로 한쪽 단부는 수직판(2)의 상측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며 타단 단부는 측면패널(A-1)의 저면에 형성한 결착공(A-2)에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봉(6)을 형성하고, 걸림봉(6)의 상측에 단턱(7)을 형성하여 절첩계단이 적재함(A)의 측면패널(A-1)에 장착할 때에 수직판(2)의 상단과 적재함(A)의 바닥면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힌지부(4)는 수직판(2)의 하단에 다수개의 축지지부(8)를 형성하여 축봉(12)이 통과하도록 통공(9)을 형성하고 수직판(2)의 하단양측 배면에는 멈춤쇠(2-1)를 형성하며, 수평판(3)의 상면은 통상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배면 일측에 수직판(2)의 축지지부(8)와 상응하는 축지지부(10)를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며 축지지부(10)에는 축봉(12)이 통과하도록 통공(11)을 형성하고, 축봉(12)은 수직판(2)과 수평판(3)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하며 양단부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판(2)의 축지지부(8)에 형성된 통공(9)과 수평판(3)의 축지지부(10)에 형성된 통공(11)의 중심선을 일직선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봉(12)을 끼워 넣고 축봉(12)의 양단부에 너트(13)를 체결하여 수직판(2)에 수평판(3)을 장착하는 것이며, 수평판(3)은 수평판(3)의 배면 단부가 멈춤쇠(2-1)에 걸려져 즉, 90。이상 회전하지 않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수평판(3)이 수직판(2)과 겹쳐져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물차의 적재함(A)에서 측면패널(A-1)을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완전히 젖히면 측면패널(A-1)의 저면이 상측으로 보이게 되고, 측면패널(A-1)의 저면에 형성된 결착공(A-2)의 드러나게 된다.
절첩계단(1)의 수직판(2)에 형성한 결착구(5)를 상기 결착공(A-2)에 끼워 넣어 걸림봉(6)이 결착공(A-2)에 삽입되어지도록 하여 절첩계단(1)이 측면패널(A-1)에 장착 고정시키는 것이다.
측면패널(A-1)에 장착 고정된 절첩계단(1)에서 수평판(3)을 펼쳐 계단으로 사용하게 되며 특히 수평판(3)은 배면의 단부가 수직판(2)의 멈춤쇠(2-1)에 걸려 수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수직판(2)의 배면에 부착된 완충부재(2-2)가 수평판(3)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계단으로서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진열대로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계단으로 사용한 그 상태로 그대로 똑같이 사용되는 것으로 수평판의 폭을 넓게 제작할 경우 보다 많은 제품을 진열할 수 있는 것이다.
도4내지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제2실시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하 구성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는 적재함(A)과 지면과의 높이 차이가 비교적 적은 곳에 사용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인 반면에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절첩계단(1)에 비하여 적재함(A)과 지면과의 높이 차가 클 경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제2실시예의 절첩계단(1-1)은 수직판(2)의 상단에 결착구(5)를 형성하고 힌지부(4)에 의해 수평판(3)을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절첩계단(1)과 동일한 구성이며, 수평판(3)의 전방에 힌지부(4-1)를 구성하고 힌지부(4-1)에 보조수직판(15)을 장착하며, 보조수직판(15)의 하단에 힌지부(4-2)를 구성하여 보조수평판(16)을 장착하였다.
제2실시예의 절첩계단(1-1)에서 구성되는 힌지부(4)는 제1실시예의 절첩계단(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며, 힌지부(4-1)는 수평판(3)의 전면에 하측으로 돌출시킨 축지지부(3-3)를 형성하고 축지지부(3-3)에 축봉(12)이 통과하도록 하는 통공을 형성하며 보조수직판(15)의 상측에 축지지부(15-2)를 형성하고 축지지부(15-2)에 축봉(12)이 통과하도록 하는 통공을 형성하여 축지지부(3-3)에 형성된 통공의 중심과 축지지부(15-2)의 통공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봉(12)을 끼워 넣고 축봉(12)의 양단에 너트(13)를 체결하여 보조수직판(15)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하였으며, 수평판(3)에 형성된 축지지부(3-3)의 직후방에 체결공(3-2)을 수평판(3)에 직각방향으로 형성하여 핀(14)을 체결공(3-2)에 끼워 넣거나 뽑아 올릴 수 있도록 하여 보조수직판(15)을 수직방향으로 세운 후에 체결공(3-2)에 핀(14)을 끼워 넣어 보조수직판(15)이 후방으로 밀려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고, 수평판(3)의 후방의 저면에는 차후에 설명되는 보조수직판(15)의 멈춤쇠(15-1)를 수납할 수 있도록 요홈(3-1)을 형성하였다.
또한, 힌지부(4-2)는 보조수직판(15)에 보조수평판(16)을 장착하는 수단으로서 보조수직판(15)의 하단부에 보조수직판(15)의 하측에 돌출시킨 축지지부(15-3)를 형성하고 축지지부(15-3)에 축봉(12)이 통과하도록 하는 통공을 형성하며 보조수평판(16)의 뒤쪽상측에 축지지부(16-1)를 형성하고 축지지부(16-1)에 축봉(12)이 통과하도록 하는 통공을 형성하여 축지지부(15-3)에 형성된 통공의 중심과 축지지부(16-1)의 통공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봉(12)을 끼워 넣고 축봉(12)의 양단에 너트(13)를 체결하였고 보조수직판(15)의 하단 양측배면에는 멈춤쇠(15-1)를 돌출 형성하여 보조수평판(16)의 배면 일측이 멈춤쇠(15-1)에 걸려지도록 하여 보조수평판(16)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힌지부(4-2)에는 받침대(17)를 장착하였으며 받침대(17)는 정면형상은 ∪형상으로 형성하고 측면 형상은 L형상으로 형성하여 하단 중앙에 가로부재(17-3)의 양측으로 수평부재(17-1)를 형성하고 수평부재(17-1)의 타단에는 수직부재(17-2)를 세워 형성하였으며 수직부재(17-2)의 상단부에는 L형상으로 절곡시켜 그 단부를 축봉(12)에 끼워 고정시켜 축봉(12)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하였고 가로부재(17-3)의 전방상측에는 돌기(18)를 형성하였다.
상기 수평부재(17-1)의 길이는 수직판(2)과 수평판(3)과 보조수직판(15)과 보조수평판(16)의 두께를 합한 길이와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하였으며 수직부재(17-2)는 보조수평판(16)의 폭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하였고 가로부재(17-3)는 보조수평판(16)의 너비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계단 기능 및 진열대 기능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계단(1-1)을 전개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전개된 상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2)의 상측에 형성된 결착구(5)를 적재함(A)의 측면패널(A-1)의 결착공(A-2)에 끼워 넣어 걸쳐지게 하고 수평판(3)과 보조수직판(15) 및 보조수평판(16)을 펼치고 받침대(17)를 회전시켜 수평부재(17-1) 및 가로부재(17-3)가 지면에 닿도록 하면, 수평판(3)은 수평판(3)의 배면일측이 멈춤쇠(2-1)에 걸려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며 보조수직판(15)은 수평판(3)의 체결공(3-2)에 핀(14)을 끼워 넣어 배면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보조수평판(16)은 보조수평판(16)의 배면일측이 멈춤쇠(15-1)에 걸려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다.
적재함(A)의 높이와 지면의 높이가 절첩계단(1-1)의 수직높이보다 낮을 경우 수직판(2)과 수평판(3)은 자연스럽게 예각을 이루어지는 것으로 높이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보정이 되어 계단 또는 진열대의 기능에 무리가 없는 것이며 받침대(17)가 절첩계단(1-1)을 받치고 있음으로써 보다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절첩하고자 할 때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하는 것으로 수평판(3)에서 핀(14)을 뽑아 내고, 축봉(12)을 회전중심으로 보조수평판(16)을 반 시계방향 회전시켜 보조수직판(15)에 겹치도록 하고, 보조수직판(15)과 보조수평판(1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판(3)에 겹치도록 하며, 수평판(3)과 보조수직판(15)과 보조수평판(16)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직판(2)게 겹쳐지도록 하고 받침대(17)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로부재(17-3)가 수직판(2)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돌기(18)가 수직판(2)의 상측 모서리에 걸리도록 하여 절첩하는 것이다.
또한, 절첩될 때에 보조수직판(15)에 형성된 멈춤쇠(15-1)는 수평판(3)의 요홈(3-1)에 수납되어지며, 절첩된 상태의 절첩계단(1-1)은 적재함(A)의 측면패널(A-1)에서 이탈시켜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첩계단(1)(1-1)은 사용방법이 극히 단순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사용법이 용이하여 사용방법에 있어 별다른 교육을 받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폭을 넓힐 수 있으며 절첩이 가능하여 부피가 작아지므로 별도로 휴대 보관할 수 있고 특히 계단기능과 진열대의 기능을 겸할 수 있어 별도의 진열대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 화물차량의 적재함(A)에 측면패널(A-1)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수직판(2)과 수평판(3)과 보조수직판(15)과 보조수평판(16)을 각각의 힌지부(4)(4-1)(4-2)로 결합시켜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최 상측에 위치하는 수직판(2)의 상측에는 걸이착탈수단을 구비하고 화물차 적재함(A)의 측면패널(A-1)에 수직판(2)을 착탈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최 하측에 위치하는 수평판(16)의 힌지부(4-2)에 받침대(17)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
- 청구항1에 있어서, 힌지부(4)는, 수직판(2)과 수평판(3)에 축지지부(8)(10)를 돌출 형성하고 축지지부(8)(10)에 통공(9)(11)을 형성하여 축지지부(8)(10)의 통공(9)(11)에 축봉(12)을 끼워 축봉(12)의 양단에 너트(13)를 체결하며, 수직판(2)의 하단 양측 배면에 멈춤쇠(2-1)를 형성하여 수평판(3)의 배면 일측이 멈춤쇠(2-1)에 걸리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
- 청구항1에 있어서, 걸이수단은, 뒤집어진 U형상으로 형성하되 일단은 수직판(2)의 상단에 고정하며 타단은 걸림봉(6)을 형성하고 걸림봉(6)의 상측에는 단턱(7)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결착구(5)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판(3)과 보조수직판(15)은 힌지부(4-1)로 체결하여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되 수평판(3)의 전방 일측에 체결공(3-2)을 형성하고, 체결공(3-2)에 핀(14)을 끼워 넣어 핀(14)이 보조수직판(15)의 배면에 닿도록 하여 임의로 보조수직판(15)이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대(17)는, 전면형상을 U형상으로 형성하고 측면형상을 L형상으로 형성하여 가로부재(17-3)의 양단의 후방에 수평부재(17-1)를 형성하며 양단의 상측에 돌기(18)를 형성하고, 수평부재(17-1)의 타단에는 수직부재(17-2)를 형성하며, 수직부재(17-2)의 상단 단부는 L형상으로 절곡시켜 상기 축봉(12)에 장착하여서 구성되는 절첩계단(1-1)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6428U KR200216307Y1 (ko) | 2000-09-20 | 2000-09-20 |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6428U KR200216307Y1 (ko) | 2000-09-20 | 2000-09-20 |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6307Y1 true KR200216307Y1 (ko) | 2001-03-15 |
Family
ID=7326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6428U KR200216307Y1 (ko) | 2000-09-20 | 2000-09-20 |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6307Y1 (ko) |
-
2000
- 2000-09-20 KR KR2020000026428U patent/KR20021630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73169A (en) | Corrugated display stand | |
US3794375A (en) | Detachable vehicle enclosure | |
US8601956B2 (en) | Folding display and work furniture item | |
US7988244B2 (en) | Modular merchandise pod | |
US20080190000A1 (en) | Portable sign frame assembly with changeable signage | |
US4423899A (en) | System for extending the capacity of a pick-up truck and the like | |
US5593201A (en) | Truck tool organizer system | |
US10832601B2 (en) | Frame stand for posters | |
US7533921B2 (en) | Multifunctional extendable tailgate | |
KR100775446B1 (ko) | 절첩가능한 컨테이너형 보관상자. | |
US20050223665A1 (en) | Room divider system for an exhibition booth | |
KR101532164B1 (ko) | 벽걸이 선반 | |
US10821912B1 (en) | Foldable toolbox for a pickup truck bed | |
US20110012490A1 (en) | Storage system and method having a selectively reconfigurable self-storage unit and fold-up storage apparatus for use therewith | |
JP6178956B1 (ja) | 差し枠パネル固定具 | |
KR200216307Y1 (ko) | 화물차량용 계단겸용 진열대 | |
US11142272B1 (en) | Cycle display fixture with cycle retention assembly | |
KR102268567B1 (ko) | 확장형 파렛트 | |
US3759599A (en) | Collapsible storage assembly | |
US20180155078A1 (en) | Display container | |
KR102002432B1 (ko) | 접이식 컨테이너 | |
KR20190043773A (ko) | 접이식 모듈화 부스 | |
US6041739A (en) | Aquarium supporting structure | |
US2267529A (en) | Display device | |
KR200169261Y1 (ko) | 자동진열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1227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