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634Y1 - 야광판이 부착된 배낭용 버클 - Google Patents
야광판이 부착된 배낭용 버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5634Y1 KR200215634Y1 KR2019980015971U KR19980015971U KR200215634Y1 KR 200215634 Y1 KR200215634 Y1 KR 200215634Y1 KR 2019980015971 U KR2019980015971 U KR 2019980015971U KR 19980015971 U KR19980015971 U KR 19980015971U KR 200215634 Y1 KR200215634 Y1 KR 20021563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le
- backpack
- luminous plate
- present
- socke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낭의 개구부를 조이고 그 상면을 덮어주는 덮개를 배낭 본체와 결착시킬 수 있도록 연결끈에 봉착사용하는 버클의 표면에 야광판을 부착하므로써 자동차 전조등에 의해 버클표면이 발광하도록 하여 도로보행시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야광판이 부착된 배낭용 버클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낭의 개구부를 조이고 그 상면을 덮어주는 덮개를 배낭 본체와 결착시킬 수 있도록 연결끈에 봉착사용하는 버클의 표면에 야광판을 부착하므로써 자동차 전조등에 의해 버클표면이 발광하도록 하여 도로보행시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야광판이 부착된 배낭용 버클인 것이다.
학생용 책방이나 레져용으로 소형이나 중형의 배낭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학생용 가방의 대부분은 상기의 소형배낭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소형배낭들은 주로 디자인이나 상표부분에만 집중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 사용계층인 학생들을 위하여 특정한 편의장치나 안전장치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야간자율학습이나 학원교습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귀가 시간이 매우 늦게될 때 학생들이 어두운 도로변이나 골목길을 보행하는 도중 주행중인 차량이 이를 발견하지 못하여 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높아지거나 실제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매우 커다란 위험요소가 노출되어 이 부분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학생들이 심야에 귀가도중 당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성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하여 모든 학생들이 사용하는 책가방 즉, 소형배낭에는 반드시 결착용 버클이 사용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버클의 표면에 야광판을 부탁하여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에 의하여 매우 강하게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전방의 위험요소를 쉽게 간파할 수 있고 학생들은 보다 안전하게 어두운 도로주변이나 골목을 마음놓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사고예방 기능을 가진 배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클소켓 2 : 버클플러그
3 : 끼움구멍 4 : 야광판
5 : 결합핀 6 : 요입부
7 : 반사각 9 : 연결끈
10 : 배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야광판이 부착된 배낭용 버클은, 버클플러그(2)의 탄성편이 버클소켓(1)의 끼움부에 끼워져 사용되는 배낭용 버클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버클소켓(1)의 표면에 요입부(6)를 형성하여 여러개의 끼움구멍(3)을 뚫어주며, 저면에 연속반복적으로 반사각(7)이 형성된 야광판(4)의 결합핀(5)을 상기 끼움구멍(3)에 끼워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낭용 버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낭용 버클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을 배낭에 사용한 사용상태예시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버클소켓(1)과 버클플러그(2) 및 야광판(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야광판(4)은 아크릴 소재로서 정해진 각도를 갖는 사각뿔형상의 반사각(7)을 연속반복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빛이 투과되면 상기 반사각(7)에 의하여 매우 강하게 반사되는 것이다.
상기 버클소켓(1)과 버클플러그(2)는 탄성이 우수한 나일론 재질이며, 각각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를 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켰다.
상기 버클소켓(1)과 버클플러그(2)는 배낭(10)으로 부터 연결된 연결끈(9)을 각각 연결하여 버클플러그(2)의 탄성편을 버클소켓(1)의 끼움부에 끼워서 사용하는 것으로, 이와같은 상태에서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낭(10)에 장착하면, 이를 사용하는 학생들이 어두운 도로변이나 골목을 지나갈 때 주행중인 차량의 전조등 불빛이 배낭에 비춰지게 되면 버클소켓(1) 표면에 부착된 야광판(4)의 반사각(7)에 매우 강하게 반사되어 차량운전자가 전방에 사람이 있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학생들이 어두운 도로주변이나 골목을 마음놓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 있듯이, 본 고안의 야광판이 부착된 배낭용 버클에 의하면, 자동차 전조등의 불빛이 배낭에 비추기만 하면 그 불빛에 의해 야광판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자율학습이나 학원교습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귀가시간이 매우 늦게될 때 학생들이 어두운 도로변이나 골목길을 보행하는 도중 주행중인 차량이 이를 발견하지 못하여 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높아지거나 실제 교통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 버클플러그(2)의 탄성편이 버클소켓(1)의 끼움부에 끼워져 사용되는 통상의 배낭용 버클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버클소켓(1)의 표면에 야광판(4)두께의 요함부를 가지게 하고 그 표면 네모서리에 여러개의 끼움구멍(3)을 뚫은 후 그 끼움구멍(3)에 야광판(4)의 결합핀(5)을 끼워 고정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판이 부착된 배낭용 버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5971U KR200215634Y1 (ko) | 1998-08-25 | 1998-08-25 | 야광판이 부착된 배낭용 버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5971U KR200215634Y1 (ko) | 1998-08-25 | 1998-08-25 | 야광판이 부착된 배낭용 버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5226U KR20000005226U (ko) | 2000-03-25 |
KR200215634Y1 true KR200215634Y1 (ko) | 2001-03-15 |
Family
ID=6952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5971U KR200215634Y1 (ko) | 1998-08-25 | 1998-08-25 | 야광판이 부착된 배낭용 버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5634Y1 (ko) |
-
1998
- 1998-08-25 KR KR2019980015971U patent/KR20021563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5226U (ko) | 2000-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128712A1 (en) | Yellow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ings | |
DE69808184D1 (de) | Projektor mit Flüssigkristall-Lichtventil und mit in den drei Primärfarben lichtemittierenden Dioden | |
BR9800725A (pt) | Conjunto de elo de esteira com retenção de pino positiva | |
FR2707354B1 (fr) | Dispositif de verrouillage à billes avec poignées interchangeables. | |
EP0542395A1 (en) | Walking stick | |
ATE195376T1 (de) | Würfelecken-retroreflektor mit farbpartikeln | |
FR2700271B1 (fr) | Mousqueton pour l'escalade et la spéléologie. | |
KR100781756B1 (ko) | 발광 밴드 | |
US6150950A (en) | Band-type warning device | |
KR200215634Y1 (ko) | 야광판이 부착된 배낭용 버클 | |
FR2759437B1 (fr) | Dispositif de manoeuvre d'embrayage a organe elastique d'autoalignement | |
FR2774758B1 (fr) | Dispositif de controle de l'angle entre un vehicule tracteur et une remorque | |
USD355493S (en) | Slide immunoassay detection system | |
USD418907S (en) | Drain test cap | |
US20070209255A1 (en) | Handheld illuminated warning sign | |
USD355864S (en) | Warning light for use on towed boats | |
FR2711750B1 (fr) | Dispositif de blocage d'un corps dans un alésage. | |
USD490335S1 (en) | One-piece hollowed structural body for reflective pavement marker | |
USD345958S (en) | Flashlight battery recharger system | |
JP3008485U (ja) | ウエストポーチ | |
ATE170580T1 (de) | Strassenverkehrsbake mit einem am bakenkopf angebrachten signalmittel | |
GB2280922A (en) | Reflecting road stud | |
USD393914S (en) | Light for attachment to dog | |
FR2707594B1 (fr) | Groupe propulseur marin avec entrée d'eau dans l'aileron du carter. | |
KR200183145Y1 (ko) | 신발의 조명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70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