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424Y1 - Heart Cam Restraint Device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Google Patents

Heart Cam Restraint Device for Electronic Control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24Y1
KR200214424Y1 KR2019980011064U KR19980011064U KR200214424Y1 KR 200214424 Y1 KR200214424 Y1 KR 200214424Y1 KR 2019980011064 U KR2019980011064 U KR 2019980011064U KR 19980011064 U KR19980011064 U KR 19980011064U KR 200214424 Y1 KR200214424 Y1 KR 200214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cam
control box
pin
restraint device
he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06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01360U (en
Inventor
김기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1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24Y1/en
Publication of KR200000013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36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24Y1/en

Links

Abstract

이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전자제품의 케이스에서 콘트롤박스가 열림 및 닫힘되는 동작을 하는데 있어 콘트롤박스의 열림동작에 필요한 하트캠구속장치를 개선하여 월등하게 좋아지고 안정적인 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한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하트캠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에 콘트롤박스가 구속 및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콘트롤박스에 형성되는 하트캠과 핀통로를 갖는 하트캠부와, 상기 하트캠부에서 걸림 및 해제되고 하우징에 설치되는 스프링편에 의해 눌림되는 걸림핀을 갖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하트캠구속장치에서 상기 하트캠의 초입부에서 걸림핀이 진입되는 핀통로를 더 낮게하여 유도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트캠 초입부는 삼각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삼각부 상단부는 걸림핀이 걸리지 않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 하트캠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삽입되게 유도하는 꺽임턱부 앞쪽에 걸림핀이 상기 꺽임턱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곡면부를 가지며 상기 꺽임턱부 첨단부가 걸림핀이 걸리지 않도록 하향경사부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This design improves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necessary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rol box in the ca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ntrol box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display device. A heart cam restraint device for a control unit for a heart, comprising: a heart cam unit having a pin passage and a heart cam formed in the control box so that the control box is constrained and released from the housing; In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comprising a catching portion having a catching pin pressed by a spring piece, the pin passage through which the catching pin enters the lower portion of the heart cam is lowered to form an induction jaw portion, and the heart cam inserting portion has a triangular portion. The inclined slop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triangular portion is not caught by the locking pin It is formed so as to have, in the front of the bending jaw to guide the locking pi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heart cam has a guide curved portion to guide the leading pin to the bending jaw portion and the tip of the bending jaw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so as not to catch the locking pin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wealth.

Description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하트캠구속장치Heart Cam Restraint Device for Electronic Control Unit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전자제품의 케이스에서 콘트롤박스가 열림 및 닫힘되는 동작을 하는데 있어 콘트롤박스의 열림동작에 필요한 하트캠구속장치를 개선하여 월등하게 좋아지고 안정적인 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한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하트캠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necessary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rol box in the ca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ntrol box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display device. It relates to a heart cam restraint device for a control unit.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전자제품에는 그 기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콘트롤부가 채용되며, 상기 콘트롤부는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로 채용되거나 또는 하나의 콘트롤박스화하여 이것을 수조작에 의해서 케이스 내부로 밀어 넣거나 또는 약간 밀면 다시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도록 밀려 나오도록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In general,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display device employs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its function, and the control unit is employed fixed to the case or a control box is pushed into the case by manual operation. If it is pushed slightly, it may be adopted to be pushed out again to expose the case.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를 구비하고 이것이 케이스 내,외부로 동작되도록 채용되는 콘트롤부와 관련된 것이며, 이러한 타입의 콘트롤부로는 한국 실용신안등록 번호 제 114104 호가 선행기술로 개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unit having a control box, which is adopted to operate inside and outside the case,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14104 has been disclosed in the prior art as a control unit of this type.

그러나 선행기술로 개시된 상기 콘트롤부는, 케이스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열림 및 닫힘운동을 하는 콘트롤박스의 동작장치들이 문제가 있으므로서 기능의 불확실성이 초래되었다.However, the control unit disclosed in the prior art, the housing of the case fixed to the case and the operating device of the control box to open and close the movement from the housing has a problem, resulting in uncertainty of function.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콘트롤박스가 하우징 내부에 들어간 상태를 콘트롤박스의 닫힘동작 또는 닫힘상태라고 정의하고, 상기 콘트롤박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하우징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동작된 상태를 콘트롤부 열림동작 또는 열림상태 라고 정의하기로 한다.B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state that the control box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defined as a closed operation or a closed state of the control box, and the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operated to protrude out of the housing to use the control box is opened or opened. Let's define the state.

따라서, 콘트롤부 닫힘상태에는 콘트롤박스가 하우징 내부에서 정지된 상태를 갖게 되며, 이때 정지토록 하는 것은 푸쉬캐처 구속장치에 의해 정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푸쉬캐처 구속장치는 해제를 위해서는 매우 강력하게 콘트롤박스를 눌러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Therefore, in the closed state of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box has a state of being stopped inside the housing, and at this time, the stop is made to be stopped by the push catcher restraining device. However, the push catcher restraint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has to press the control box very strongly to release it.

결과적으로 보면, 선행기술의 콘트롤부는 콘트롤박스를 구속 및 해제시키는 장치에서 상기한 결점을 가지게 됨으로써 전반적인 동작에 있어 원활성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control unit of the prior art has the above-described drawbacks in the device for restraining and releasing the control box, causing a problem that is not smooth in the overall operation.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의 열림 및 닫힘동작이 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하트캠구속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하트캠구속장치의 작동시 불안전한 구조를 개선하여 걸림 및 미작동 불량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device to b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ntrol box by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to improve the unsafe structure of the operation of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to prevent jamming and malfunctioning in advance I want to do that.

본 고안은 콘트롤부의 열림 및 닫힘상태를 가질수 있도록 동작되는 하트캠구속장치를 갖는다. 상기 하트캠구속장치는 하트캠부에서 걸림핀이 걸리지 않게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rt cam binding device that is operated to have an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control unit.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in is not caught in the heart cam portion.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콘트롤박스가 구속 및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콘트롤박스에 형성되는 하트캠과 핀통로를 갖는 하트캠부와, 상기 하트캠부에서 걸림 및 해제되고 하우징에 설치되는 스프링편에 의해 눌림되는 걸림핀을 갖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하트캠구속장치로서, 상기 하트캠의 초입부가 삼각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삼각부 상단부는 상기 걸림핀이 걸리지 않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 하트캠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삽입되게 유도하는 꺽임턱부 앞쪽에 걸림핀이 상기 꺽임턱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곡면부를 가지며 ; 상기 꺽임턱부 첨단부가 걸림핀이 걸리지 않도록 경사면을 가지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eart cam portion having a pin passage and the heart cam is formed in the control box so that the control box is constrained and released in the housing, and the latch and release from the heart cam portion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 heart cam restraint device composed of a catching portion having a catching pin pressed by a spring piece to be formed, the first inserting portion of the heart cam forming a triangular portio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triangular portion is form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so that the engaging pin is not caught; It has an induction curved portion to guide the engaging pin to the bending jaw portion in front of the bending jaw to guide the engaging pi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heart cam; The tip of the bending jaw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so as not to catch the locking pi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가 채용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체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employ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를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가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보인 일측단면도,3a and 3b is one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cas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의 전체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sepa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박스의 가이드 및 윤활구조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and a lubrication structure of the contr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도 5의 A - A'선 확대 단면도,6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5;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박스와 케이스의 유동여유를 설명하는 요부 일측 단면도,Figure 6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flow margin of the control box and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의 결합구조와 하트캠구속장치의 걸림부를 절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gaging structure of the damper device and the locking portion of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를 상세히 보인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배면도,10 is a rear view of FIG. 9;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박스가 열림동작되는 것을 보인 작용 일측단면도,11a to 11c is one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contr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operation;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하트캠구속장치에 의한 콘트롤박스의 열림 및 닫힘동작을 설명하는 일측 단면도,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ntrol box by the heart cam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하트캠구속장치의 하트캠부를 보인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rt cam portion of the heart cam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고안이 실시된 하트캠구속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작용도,14 is a functional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 및 도 15b는 본 고안에 따른 하트캠구속장치에 의한 콘트롤박스의 열림 및 닫힘동작을 보인 일측 단면도이다.15a and 15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ntrol box by the heart cam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케이스 5 : 인출공2: case 5: withdrawal ball

10 : 콘트롤박스 11 : 기능키10: control box 11: function key

12 : 곡면연접부 13 : 가이드홈12: curved joint 13: guide groove

14 : 윤활홈 15 ; 윤활제14: lubrication groove 15; slush

16 : 랙기어 17 : 평면단부16 rack gear 17 flat end

20 : 하우징 21 : 탄력부재20: housing 21: elastic member

22 : 가압부재 23 : 댐퍼장치22: pressure member 23: damper device

24 : 기어 25 : 크립24: gear 25: creep

26 : 가이드돌기 27 : 지지리브26: guide protrusion 27: support rib

40 : 하트캠구속장치 41 : 하트캠부40: heart cam restraint device 41: heart cam part

42 : 핀통로 43 : 하트캠42: Pin Path 43: Heart Cam

44 : 꺽임단부 45 : 걸림부44: bending end 45: locking part

46 : 걸림핀 47 : 스프링편46: locking pin 47: spring piece

48 : 유도곡면부48: guide surface portion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preferred embodiments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박스(10)가 채용된 디스플레장치(1)를 보여 준다. 상기 콘트롤박스(10)는 제품의 케이스(2)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돌출되어 나오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2)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닫힘동작이라고 하고, 돌출되어 나오는 것을 열림동작이라고 정의한다.1 shows a display device 1 employing a control box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box 10 is inserted into or protruded into the case 2 of the product, and the insertion into the case 2 is called a closing operation, and the protrusion is defined as an opening operation.

상기 콘트롤박스(10)는 열림 및 닫힘동작을 위하여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케이스(2) 내측에 하우징(20)이 설치된다.The control box 10 is provided with a housing 20 inside the case 2 as shown in Figure 2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0)은 케이스(2) 내면 쪽에서 윗부분은 고정보스(3)에 고정나사(4)로 고정되고 ,하단부는 하우징(20)에 형성된 스냅(3')이 케이스(2)에 만들어진 스냅공(2')에 고정된다.3A and 3B, the housing 20 is fixed at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case 2 with the fixing screw 4 at the upper edge 3 and the lower end of the snap 3 'formed at the housing 20. ) Is fixed to the snap hole 2 'made in the case 2.

그리고 하우징(20)에서 열림동작되는 콘트롤박스(10)는 케이스(2)에 형성된 인출공(5)을 통해 열림 및 닫힘동작되도록 구성된다.And the control box 10 which is opened in the housing 20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drawing hole 5 formed in the case (2).

도 4를 참조하면, 콘트롤박스(10)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11)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 box 10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11 that can be operated by hand.

또한, 하우징(20)에 설치되는 탄력부재(21)와 가압부재(22)에 의해 상기 콘트롤박스(10)가 가압되어 열림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곡면연접부(12)를 후미에 돌출되도록 구비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box 10 is pressed by the resilient member 21 and the pressing member 22 installed in the housing 20 so as to protrude to the rear end to the curved joint 12 to be opened. .

콘트롤박스(10) 후미 중간부에는 하우징(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댐퍼장치(23)의 기어(24)와 맞물리는 랙기어(16)를 갖는다.The rear middle portion of the control box 10 has a rack gear 16 that meshes with the gear 24 of the damper device 23 that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housing 20.

콘트롤박스(10) 양측에는 길다란 가이드홈(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3)은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내면(13a)에 다수의 윤활홈(14)이 형성되고, 여기에는 조립전에 윤활제(15)가 발라진다.Long guide grooves 13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ntrol box 10. As shown in FIG. 4, the guide groove 13 has a plurality of lubrication grooves 14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3a, where the lubricant 15 is applied before assembly.

상기 가이드홈(13)에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양측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26)가 끼워지게 조립되며, 이 가이드돌기(26)에 의해서 콘트롤박스(10)가 안내되면서 열림 및 닫힘동작을 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guide guides 26 formed to protrude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20 are fitted into the guide grooves 13, and the control box 10 is guided by the guide protrusions 26. As it opens and closes.

도 6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돌기(26)는 가이드홈(13)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며, 콘트롤박스(10)가 열림 및 닫힘동작을 할 때 상호 미끄럼 마찰이 된다.According to FIG. 6, the guide protrusion 26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3 and becomes sliding friction when the control box 10 is opened and closed.

이때, 윤활홈(14) 내에 있는 윤활제(15)가 그들이 접촉되는 면에 자연스럽게 발라지게 되므로 원활한 동작이 된다. 또한, 윤활홈(14)에 윤활제(15)가 항상 있게 되므로 장기간에 걸처서 별도의 윤활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되고, 그로인해 제품 신뢰성을 더욱 가질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lubricant 15 in the lubrication groove 14 is naturally applied to the surface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smooth operation. In addition, since the lubricant 15 is always in the lubrication groove 14,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separate lubricant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by further having product reliability.

특히, 본 고안은 가이드홈(13) 선측에 평면단부(17)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가이드홈(13)은 원호상의 가이드홈(13)을 형성한다. 그와같이하여야만이 하우징(20)에서 콘트롤박스(10)가 열림동작이 되었을 때 사용자가 쉽게 기능키(11)를 누를수 있게 되는 경사상태로 콘트롤박스(10)가 열리게 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lat end portion 17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uide groove 13. That is, the guide groove 13 forms a circular guide groove 13. Only so, when the control box 10 is opened in the housing 20, the control box 10 is opened in an inclined state such that the user can easily press the function key 11.

그러나 가령 상기 가이드홈(13)이 원호상으로만 되어 있고, 케이스(2)와 콘트롤박스(10)가 유동여유가 적은 상태일 경우 콘트롤박스(10)의 열림동작시 원호운동되는 궤적상태로만 열림 및 닫힘동작되기 때문에 동작되는 콘트롤박스(10)가 케이스(2)에 걸릴수 있다.However, for example, when the guide groove 13 is in the shape of an arc only, and the case 2 and the control box 10 have a small flow margin, the guide groove 13 is opened only in the trajectory state of the arc motion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control box 10. And the control box 10 operated by the closing operation may be caught in the case 2.

그러나 도 6a에 보인 바와 같이 가이드홈(13) 선측 하단부에 평면단부(17)를 형성시킴에 따라 열림 및 닫힘운동시에 이 부분에 가이드돌기(26)가 닿을때는 원호운동을 하던 콘트롤박스(10)가 직선운동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유동여유(k)를 더욱 크게 가질수 있으며, 그로인해 콘트롤박스(10)의 동작에 있어 케이스(2)에 걸림됨이 없이 동작될 수 있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6A, when the guide protrusions 26 are contacted with the guide protrusions 26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s, the control box 10 forms a flat end 17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13. By being in a linear motion state can have a larger flow margin (k), it can be operated without being caught in the case (2) i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box (10).

도 7은 앞서 설명된바 있는 댐퍼장치(23)를 보여 준다. 이 댐퍼장치(23)는 기어(24)를 가지고 있다. 이 기어(24)는 회전이 될 때 그 회전속도가 억제된다. 그것은 댐퍼장치(23) 내부에서 기어(24)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억제 구조는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 도시는 생략한다.7 shows the damper device 23 as described above. This damper device 23 has a gear 24. When the gear 24 is rotated, its rotational speed is suppressed. It is designed to suppress the rotation of the gear 24 inside the damper device 23. Since the rotation suppressing structure is a known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s and drawings are omitted.

상기 댐퍼장치(23)는 하우징(20)에 형성된 크립(25)에 리브(23a)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와같이 하우징(20)에 장착되는 댐퍼장치(23)는 도 3 및 도 8에 따르면 중간부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댐퍼장치(23)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게 된다.The damper device 23 is fixed by fitting the rib 23a to the creep 25 formed in the housing 20. In this way, the damper device 23 mounted on the housing 20 is mounted to the intermediate part according to FIGS. 3 and 8. Therefore, the role of the damper apparatus 23 can be fulfilled faithfully.

즉, 콘트롤박스(10)가 열림 및 닫힘동작을 하게 되면 이때는 랙기어(16)가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랙기어(16)의 이동에 의해서 기어(24)가 회전된다.That is, when the control box 10 is opened and closed, the rack gear 16 is moved, and the gear 24 is rotated by the movement of the rack gear 16.

그러나 기어(24)는 그 회전이 억제되므로 콘트롤박스(10)는 급속히 열림되지 않고 서서히 열림동작되는 이동을 하게 된다. 즉, 콘트롤박스(10)가 열림동작을 할 때 그 속도를 서행되게 제어한다.However, since the rotation of the gear 24 is suppressed, the control box 10 does not open rapidly but moves slowly. That is, when the control box 10 performs the opening operation, the speed is controlled to be slow.

특히, 본 고안은 댐퍼장치(23)가 하트캠구속장치(40)와 최대한 근접된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하트캠구속장치가 해제되는 동작을 함으로써 콘트롤박스(10)가 열리게 되면 그 열림속도를 가까운 곳에서 서행되게 제어하기 때문에 속도제어 효과가 좋아지게 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amper device 23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as close as possible to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40). Therefore, when the control box 10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heart cam restraining device is released, the speed control effect is improved because the opening speed is controlled to be slow in the vicinity.

도 8에 따르면, 댐퍼장치(23)는 중간부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댐퍼장치가 갖게 되는 억제력이 양측 부분에 곧바로 미치게 되므로 종전에 일측에 댐퍼장치가 있는 것보다 더욱 그 역할을 충실히 하게 된다.According to FIG. 8, the damper device 23 is located in the middle. Therefore, the damping device has a damping force immediately extends to both sides, so the role of the damper is more faithful than before.

도 9 및 도 10에 따르면, 가압부재(22)는 양단부(22a)가 지지리브(27)에 끼워져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탄력부재(21)는 상기 가압부재(22) 양측에 설치되고, 그 일단부(21a)는 하우징(20) 자체에, 그리고 타단부(21b)는 가압부재(22)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로인해 탄력부재(21)의 힘은 가압부재(22)에 작용된다.9 and 10, the pressing member 22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22a are fitted to the support ribs 27 and are rotatable.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2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member 22, one end portion 21a of the housing 20 itself, and the other end portion 21b is caught by the pressing member 22. . As a result, th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 is applied to the pressing member 22.

또한, 가압부재(22)는 콘트롤박스(10)의 곡면접연부(12)에 맞닿아서 가압하는 상태를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sing member 22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12 of the control box 10 to have a state to press.

도 11a 내지 도 11c는 상기된 가압부재(22)에 의해 콘트롤박스(10)가 열림동작되는 상태를 보여 준다. 즉, 콘트롤박스(10)는 이후에 설명되는 하트캠구속장치(40)에 의해서 정지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도 11a와 같이 가압부재(22)는 뒤쪽으로 밀려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는 탄력부재(21)의 탄력이 큰 상태이다.11A to 11C show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box 10 is opened by the pressure member 22 described above. That is, the control box 10 is in a state of being stopped by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40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11a the pressing member 22 is maintained in a state that is pushed back, this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21 is large.

또한, 콘트롤박스(10)의 곡면연접부(12)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있는 가압부재(22)는 상기 곡면연접부(12)의 하단부에서 가압하게 되므로 이때부터 열림동작이 되면 가압부재(22)가 곡면연접부(12)를 미는 힘은 큰 상태이며, 이 힘으로 열리게 되는 콘트롤박스(10)는 보통 속도로 열리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sing member 22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urved joint 12 of the control box 10 is pressed at the lower end of the curved joint 12, the pressing member 22 is opened when it is opened. The force pushing the curved joint 12 is in a large state, and the control box 10 opened by this force is opened at a normal speed.

그러나 도 11b와 같이 중간정도 열리는 상태가 도달되면 이때부터는 가압부재(22)의 미는 힘은 중간정도의 힘이 되나 열리는 콘트롤박스(10)의 속도는 빠른속도를 갖게 된다. 그러나 도 11c와 같이 거의 다 열린상태에까지 콘트롤박스(10)가 이르게 되면, 이때는 가압부재(22)의 미는 힘은 많이 약화된다. 그러므로 콘트롤박스가 거의 다 열리는 상태에 이르러서는 그 열림속도가 늦어지게 된다.However, when the open state is reached in the middle as shown in FIG. 11B, the pushing force of the pressure member 22 becomes a medium force from this time, but the speed of the open control box 10 has a high speed. However, when the control box 10 reaches to the almost open state as shown in FIG. 11C, the pushing force of the pressing member 22 is greatly weakened. Therefore, the opening speed is slowed down when the control box is almost opened.

이와같이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10)의 열림속도가 차등화된다. 즉 콘트롤박스(10)가 중간정도 열린 상태에서는 보다 빠른 열림속도를 갖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열림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열림되는 지점에서는 다시 느린상태로 열리게 되기 때문에 충돌음등은 발생되지 않고 안전한 열림이 도모된다.In this way, the opening speed of the control box 10 is differentiated. That is, the control box 10 has a faster opening speed in the middle open state enables a faster opening operation. However, at the last opening point, the door is opened in a slow state again, so that no collision sound occurs and safe opening is achieved.

하트캠구속장치(40)는 그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알려진 기술의 하트캠구속장치(40)를 포함하여 그보다 개선된 구조의 하트캠구속장치를 채용한 것이 그 특징이 된다.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40 is already known for its basic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employing a heart cam restraint device of a more improved structure, including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40 of the known technology.

그러한 하트캠구속장치(40)는 움직이지 않게 되는 부재와 상기 부재를 기준으로하여 동작되는 부재에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치된다.Such a heart cam restraint device 40 is provided with respective components in a member which is not moved and a member which i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member.

즉, 하트캠구속장치(40)는 크게 구분하여 하트캠부(41)와 상기 하트캠부(41)에 걸림되어 구속되게 하거나 또는 다시 해제되도록 하는 걸림부(45)를 갖는다.That is,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40 has a catching part 45 which is largely divided to be caught by the heart cam part 41 and the heart cam part 41 to be restrained or released again.

도 12는 상기한 하트캠부(41)와 걸림부(45)를 갖는 하트캠구속장치(40)가 채용된 것을 보여 준다. 상기한 하트캠구속장치(40)의 작용에 의해서 콘트롤박스(10)는 하우징(20) 내부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가상선 도시와 같이 열림동작되는 상태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FIG. 12 shows that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40 having the heart cam part 41 and the locking part 45 is employed. By the action of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40, the control box 10 can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in the housing 20 or in an open operation as shown in a virtual line.

또한, 하트캠부(41)는 콘트롤박스(10) 저면에 구성되고, 걸림부(45)는 하우징(20)에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eart cam portion 41 is configured on the bottom of the control box 10, the locking portion 45 is configured in the housing 20.

도 13 및 도 14는 콘트롤박스(10) 저면에 형성되는 하트캠부(41)를 나타 낸다.13 and 14 illustrate a heart cam portion 41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rol box 10.

상기 하트캠부(41)는 걸림핀(46)이 지나 다니는 핀통로(42)와, 하트캠(43)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트캠(43) 선측은 "V"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걸림핀(46)이 걸리지 않고 원만하게 핀통로(42)를 찾아 들어갈 수 있게 한다.The heart cam portion 41 is formed to have a pin passage 42 through which the locking pin 46 passes, and a heart cam 43. The side of the heart cam 43 has a "V" shape, which makes it possible to smoothly find and enter the pin passage 42 without catching the catch pin 46.

도 14에 따르면, 걸림핀(46)은 우측으로 들어 간다. 여기서 바닥은 우측핀통로바닥(42a)이 더 깊고, 좌측핀통로바닥(42b)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걸림핀(46)은 일단 우측핀통로로 찾아 들어가게 된다. 이때 하트캠(43)이 "V"자형의 삼각부(43a)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핀(46)이 하트캠(43) 자체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찾아 들어 갈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FIG. 14, the locking pin 46 enters to the right. Here, the bottom has a right pin passage bottom 42a deeper and the left pin passage bottom 42b relatively high. Therefore, the locking pin 46 enters the right pin passage once. At this time, since the heart cam 43 is a triangular portion 43a having a "V" shape, the locking pin 46 can be smoothly entere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heart cam 43 itself.

즉, 본 고안은 상기 하트캠(43)의 초입부에서 걸림핀(46)이 진입되는 핀통로(42)를 더 낮게하여 유도턱부(42c)를 형성하고 상기 하트캠(43) 초입부는 삼각부(43a)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삼각부(43b) 상단부는 걸림핀(46)이 걸리지 않도록 경사지는 경사면(43c)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46)이 하트캠(43)에 형성된 걸림홈(43a)으로 삽입되게 유도하는 유도곡면부(48)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guide jaw portion 42c by lowering the pin passage 42 through which the engaging pin 46 enters the entry portion of the heart cam 43, and the entry portion of the heart cam 43 is a triangular porti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triangular portion 43b is form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43c so as not to be caught by the locking pin 46, and the locking pin 46 is formed on the heart cam 43.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guide surface portion 48 to guide the insertion into (43a).

그러므로 걸림핀(46)은 유도턱부(42c)를 따라 유도되어 진입이 정확하게 되고, 이때 삼각부(43b)의 초입부가 낮은 경사면(43c)을 이루므로 걸림핀(46)이 걸림됨이 없이 진입된다.Therefore, the locking pin 46 is guided along the guide jaw portion 42c, so that the entry is accurate. At this time, the entry portion of the triangular portion 43b forms a low inclined surface 43c, so the locking pin 46 is entered without being caught. .

또한, 진입된 걸림핀(46)은 유도곡면부(48)를 따라 유도되므로 쉽게 걸림홈(43a)에 삽입되도록 유도된다. 이때가 걸림된 상태로서 하우징(20) 내부에서 콘트롤박스(10)가 정지된 상태이다.In addition, the entering locking pin 46 is guided along the guide curved portion 48 so that the locking pin 46 is easi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43a. At this time, the control box 10 is stopped in the housing 20 as a locked state.

상기 유도곡면부(48) 부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걸림핀(46)의 방향을 강제로 바꾸어 줌으로 인하여 콘트롤박스(10)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거리를 최대한 단축시켰으며, 걸림핀(46)이 정확히 걸림홈(43a)에 유도되도록 고안된 것이다.Referring to the induction curved portion 48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distance to stop the control box 10 as much as possible by forcibl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46, The pin 46 is designed to be guided exactly to the locking groove (43a).

상기와 같이 걸림홈(43a)에 걸림핀(46)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콘트롤박스(10)가 하우징(20) 내부에서 정지된 상태이며, 아울러서 콘트롤박스(10)를 열리게 하려면 상기 상태에서 콘트롤박스(10)의 전면부를 안쪽으로 약간 누르면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locking pin 46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43a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box 10 is stopped in the housing 20, and the control box 10 is opened to open the control box 10. Just press the front part of (10) inward slightly.

즉, 콘트롤박스(10) 전면을 약간 눌러서 약간 들어가게 하면 걸림핀(46)은 도 14에서 점선 화살표 도시와 같이 걸림홈(43a)을 이탈하여 나오는 상태가 되고, 그로인해 콘트롤박스(10)는 구속된 것이 해제됨에 따라 열리게 되는 동작이 개시된다.That is, when the front of the control box 10 is slightly pushed in so that the locking pin 46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43a as shown by the dotted arrow in FIG. 14, the control box 10 is restrained. An operation is opened that is opened as soon as it is released.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한 꺽임턱부(44)의 끝부를 경사지게 깍아 버린 상태, 즉, 하향경사부(44a)를 갖도록 한것이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bent portion 44 is inclined to be inclined, that is, having a downward inclined portion (44a).

가령, 상기한 꺽임턱부(44)의 끝단부가 기존과 같이 수직된 상태를 가지게 될 경우 이 부분에서 걸림핀(46)이 걸린후 열림을 위하여 콘트롤박스를 열려고 할 때 걸림핀(46)의 꺽임부(46a)가 수직상태의 끝단부위에 걸려 오동작이 발생되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된다.For example, when the end portion of the bending jaw portion 44 has a vertical state as in the prior art, the folding portion of the locking pin 46 when the locking pin 46 is caught in this portion and the control box is opened for opening. Occasional occurrence of malfunction occurs when 46a is caught at the end of the vertical state.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꺽임턱부(44)의 끝단에 하향경사부(44a)를 갖게 됨으로써 걸림핀(46)이 걸림홈(43a)에서 빠져 나올 때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며, 그로인해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ownward inclined portion 44a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ending jaw 44 so that the locking pin 46 is not caught when it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groove 43a,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도 15a 및 도 15b에서 콘트롤박스(10)의 닫힘상태와 열림상태를 보여 주고 있으며, 이때의 하트캠구속장치(40)의 하트캠부(41)와 걸림부(45)를 나타 내고 있다.15A and 15B,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 state of the control box 10 are shown, and the heart cam part 41 and the engaging part 45 of 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40 are shown.

상기 걸림부(45)는 도 7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걸림핀(46)은 하우징(20) 자체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편(47)에 의해 항시 눌림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걸림핀(46)이 핀통로(42)를 지나는 과정에 그 핀통로(42)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The locking portion 45 i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7, and the locking pin 46 is always pressed by the spring piece 47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ousing 20 itself. Therefore, the locking pin 46 does not leave the pin passage 42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pin passage 42.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하우징에 설치된 걸림핀이 콘트롤박스에 형성된 하트캠 주위에 있는 핀통로를 걸리지 않고 정확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locking pins installed in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move without catching the pin passage around the heart cam formed in the control box.

그러므로 동작의 오류가 발생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콘트롤부 동작에 있어 신뢰성을 갖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그에따라 전자제품 전체의 신뢰성 향상을 크게 도모한다.Therefore, since an error of operation is not generated, it provides an effect of making reliability i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ntire electronic product.

Claims (1)

하우징에서 콘트롤박스가 구속 및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콘트롤박스에 형성되는 하트캠과 핀통로를 갖는 하트캠부와, 상기 하트캠부에서 걸림 및 해제되고 하우징에 설치되는 스프링편에 의해 눌림되는 걸림핀을 갖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하트캠구속장치로서,A heart cam portion having a heart path and a pin passage formed in the control box so that the control box is constrained and released from the housing, and a locking pin that is pushed by the spring piece that is latched and released from the heart cam portion and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s a heart cam restraint device composed of a locking portion, 상기 하트캠의 초입부에서 걸림핀이 진입되는 핀통로를 더 낮게하여 유도턱부를 형성하고;Forming a guide jaw portion by lowering a pin passage through which the engaging pin enters the first entrance of the heart cam; 상기 하트캠 초입부는 삼각부를 형성하도록 하고;The heart cam entrance portion forms a triangular portion; 상기 삼각부 상단부는 걸림핀이 걸리지 않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An upper end portion of the triangular portion is form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so that a locking pin is not caught; 상기 걸림핀이 하트캠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삽입되게 유도하는 유도곡면부를 가지며;The engaging pin has an induction curved portion to guide the insertion into the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heart cam; 상기 꺽임턱부 첨단부가 걸림핀이 걸리지 않도록 하향경사부를 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하트캠구속장치.The heart cam restraint device for a control unit for an electronic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tip portion has a downward slope so as not to catch the locking pin.
KR2019980011064U 1998-06-24 1998-06-24 Heart Cam Restraint Device for Electronic Control Unit KR2002144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064U KR200214424Y1 (en) 1998-06-24 1998-06-24 Heart Cam Restraint Device for Electronic Control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064U KR200214424Y1 (en) 1998-06-24 1998-06-24 Heart Cam Restraint Device for Electronic Control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360U KR20000001360U (en) 2000-01-25
KR200214424Y1 true KR200214424Y1 (en) 2001-03-02

Family

ID=6951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064U KR200214424Y1 (en) 1998-06-24 1998-06-24 Heart Cam Restraint Device for Electronic Control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24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360U (en)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985B1 (en) Latch device
KR200214424Y1 (en) Heart Cam Restraint Device for Electronic Control Unit
KR100291364B1 (en) Control unit operation device for electronic products
KR200208168Y1 (en) Stopping structure of the locking pin for electronic products
KR100291366B1 (en) Opening speed variable structure of control part for electronic products
KR200214423Y1 (en) Opening device of control part for electronic products
KR200214421Y1 (en) Control box jam prevention structure of electronic control part
EP0676521B1 (en) Lock mechanism and latch device
KR200208169Y1 (en) Lubrication structure of the operating part of the control part for electronic products
JPH0464677A (en) Locking device and latching device therewith
JP4231223B2 (en) Sliding door handle
KR920005376Y1 (en) Latch in door
KR100246209B1 (en)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a door
KR940010622B1 (en) Receptacle for car
JPH09195608A (en) Engagement structure
KR970004888Y1 (en) Locking device of door for circuit breaker
KR100420339B1 (en) Interlock apparatus for microwave oven
KR840002881Y1 (en) Cassette hausing of video tape recoder
JP3167375B2 (en) Wind regulator
KR940004280Y1 (en)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s of battery cover
KR0113058Y1 (en)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ldp
KR970003633Y1 (en) An openning-closing apparatus of cassette deck door
KR890004464Y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960003489B1 (en) Door locking device of dat
KR100424566B1 (en)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double swing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