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247Y1 - 남비 받침 - Google Patents

남비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247Y1
KR200214247Y1 KR2020000014893U KR20000014893U KR200214247Y1 KR 200214247 Y1 KR200214247 Y1 KR 200214247Y1 KR 2020000014893 U KR2020000014893 U KR 2020000014893U KR 20000014893 U KR20000014893 U KR 20000014893U KR 200214247 Y1 KR200214247 Y1 KR 200214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slip
drain
height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남용
Original Assignee
오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남용 filed Critical 오남용
Priority to KR2020000014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247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남비 받침에 관한 것으로, 평편한 바닥면(11)의 주연으로부터 일정 높이 수직 연장되고 그 연장된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테두리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남비가 올려지는 경우에 남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남비와 접촉되는 수직연장부에 내열성 고무재의 미끄럼 방지부재(15)가 압설되며 식탁이나 상의 상부면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바닥면(11)의 주연부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단(19)이 압설되어 구성되며, 싱크대의 배수구 개구부분을 밀폐하는 배수구 마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양호한 내열성의 고무재인 링 형상의 밀폐부재(17)를 수직연장부의 상측부인 테두리부(14) 하단부에 압설하고, 배수구에 압착된 경우에 용이한 이탈을 위하여 상기 바닥면(11)의 상부면에 관체부(13a)를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파지부(13)를 제공하되, 상기 삽입되는 파지부(13)의 높이는 상기 테두리부(14)의 높이보다는 적어도 낮게 구성됨으로써, 인접된 장소에서 각기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싱크대 배수구마개와 냄비의 받침을 겸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있으며,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가열된 남비의 받침으로 사용되더라도 내구성이 양호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남비 받침{A PAN STAND}
본 고안은 싱크대의 배구수를 밀봉 개폐할 수 있는 마개로도 사용될 수 있는 남비 받침에 관한 것이다.
남비는 바닥면이 평편한 조리기구로서 일반적인 용도는 국이나 찌개류를 데우거나 끓이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남비는 가열된 상태에서 식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식탁이나 상의 표면이 타거나 누렇게 변색되지 않도록 받침 상부면에 올려진다. 이러한 남비 받침으로는 여러 장의 신문지를 접어서 사용하거나 일정한 두께의 책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요즘에 들어서는 남비 받침으로만 전용되는 다양한 제품이 출하되어 애용되고 있다.
그리고,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주방의 싱크대 문화가 도입되면서 싱크대 배수구를 밀봉 개폐하는 마개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왜냐하면, 싱크대는 식기류나 조리기구류 등을 세척하는 설거지 통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배수구가 완벽하게 밀봉되지 않으면 배수관을 통한 악취가 역류되거나 설거지 물이 필요없이 배수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앞서 설명된 남비 받침이나 배수구 마개는 유사한 형상을 갖으며 주방이나 거실과 같이 인접된 장소에서 사용되고, 또한 사용상에 있어 동시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받침과 마개로 겸용될 수 있는 제품이 출하되면 가정이나 영업장에서 매우 유용할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접된 장소에서 각기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싱크대 배수구마개와 냄비의 받침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한 냄비 받침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남비 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남비 받침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남비 받침 11 : 바닥면
13 : 파지부 14 : 테두리부
15 : 미끄럼 방지부재 17 : 밀폐부재
19 : 미끄럼 방지단 30 : 싱크대
31 : 배수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평편한 바닥면의 주연으로부터 일정 높이 수직 연장되고 그 연장된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남비가 올려지는 경우에 남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남비와 접촉되는 수직연장부에 내열성 고무재의 미끄럼 방지부재가 압설되며 식탁이나 상의 상부면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바닥면의 주연부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단이 압설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비 받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남비 받침이 싱크대 배수구마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탄성력이 양호한 내열성의 고무재인 링 형상의 밀폐부재를 수직연장부의 상측부인 테두리부 하단부에 압설하고, 배수구에 압착된 경우에 용이한 이탈을 위하여 상기 바닥면의 상부면에 관체부를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파지부를 제공한다. 그리고, 삽입되는 파지부의 높이는 테두리부의 높이보다는 적어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남비 받침(10)은 남비(2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측부에 미끄럼 방지부재(15)가 압설되어 있고, 싱크대(30)의 배수구(31)를 밀폐하도록 배수구(31)의 개구부를 전체적으로 밀폐하는 밀폐부재(17)가 하측 주연부에 제공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음식물이 충전된 남비(20)는 가스렌지와 같은 조리수단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남비 받침(10)의 상부면에 올려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남비 받침(10)은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내열성 플라스틱 계열로 압출방법에 의해 제작된다.
남비 받침(10)의 바닥면은 식탁이나 상의 상부면과 밀착되도록 평편하게 되어 있으며, 식탁이나 상과 접촉되는 가장자리 부분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단(19)이 압설되어 있어 미끄러지지 않고 일정위치에 고정된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단(19)은 압축율이 낮으며 전술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충전된 가열상태의 남비(20)가 올려지는 경우에 열전달에 의해 변성되지 않도록 적어도 내열성을 갖는 재질의 합성고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남비 받침(10)의 바닥 중심부는 올려진 남비 (20)의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방향으로 블록(11a)하게 가공되어 중량에 대한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내구성이 강화되어 있다.
그리고, 남비 받침(10)은 바닥면(11)의 주연부가 수직 상방향으로 일정 높이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된 주연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테두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테두리부(14)는 남비(20)가 올려진 채 다른 곳으로 옮길 때 파지되는 부분으로 매우 유용하며, 통상적으로 본 고안의 남비 받침(10)에 올려지는 남비(20)의 크기는 본 고안의 남비 받침(10) 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남비 받침(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남비(20)가 올려진 경우, 식사도중에 남비(20)가 이동되거나 남비 받침(10)으로부터 떨어져서 음식물이 식탁이나 상을 더렵히지 않도록 남비(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재(15)가 남비(20)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부분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부재 (15)는 가열된 남비(20)의 바닥면이 직접 밀착되는 부분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변성을 방지하도록 내열성이 우수하며 탄력성이 양호한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된 미끄럼 방지부재(15)와 미끄럼 방지단(19)은 각기 바닥면 (11)의 수직 연장된 부분에 각기 압설되어 있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남비 받침(10)은 수직 연장된 부분의 상측부에 링형상의 밀폐부재(17)를 압설하여 싱크대(30)의 배구수(31)를 개폐하는 마개로도 사용되도록 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밀폐부재(17)는 본 고안의 남비 받침(10)이 배수구(31)의 마개로 사용되는 경우에 배수구(31)의 개구부분과 전체적으로 밀착되면서 설거지나 기타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물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밀폐부재(17)는 남비 받침(10)이 배수구(31)를 밀폐하는 경우 상측부에 인접되게 제공된 테두리부(14)에 의해 저지되어 배수구(31)의 개구부분과 밀착됨으로써 완벽하게 개구부분을 밀폐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밀폐부재(17)는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탄성력과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고무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남비 받침(10)이 배수구 마개로 사용되는 경우에 압착된 배수구(31)로부터 용이한 이탈을 위하여, 바닥면(11)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관체부(13a)를 형성하고 그에 강제삽입되는 일정한 형상의 파지부(13)가 제공된다. 여기서, 파지부(13)는 관체부(13a)에 삽입시 그의 높이가 남비 받침(10)의 높이(테두리부의 높이)보다 적어도 낮기 때문에 남비(20)를 올려놓는데는 전혀 지장이 없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인접된 장소에서 각기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싱크대 배수구마개와 냄비의 받침을 겸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있으며,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가열된 남비의 받침으로 사용되더라도 내구성이 양호한 특징이 있다.

Claims (2)

  1. 평편한 바닥면(11)의 주연으로부터 일정 높이 수직 연장되고 그 연장된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테두리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남비가 올려지는 경우에 남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남비와 접촉되는 수직연장부에 내열성 고무재의 미끄럼 방지부재(15)가 압설되며 식탁이나 상의 상부면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바닥면(11)의 주연부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단(19)이 압설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비 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14)의 하단부에 탄성력이 양호한 내열성의 고무재인 링 형상의 밀폐부재(17)를 압설하고, 상기 바닥면(11)의 상부면에 관체부(13a)를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파지부(13)를 더 제공하되, 상기 삽입되는 파지부(13)의 높이는 상기 테두리부(14)의 높이보다는 적어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비 받침.
KR2020000014893U 2000-05-26 2000-05-26 남비 받침 KR200214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893U KR200214247Y1 (ko) 2000-05-26 2000-05-26 남비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893U KR200214247Y1 (ko) 2000-05-26 2000-05-26 남비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247Y1 true KR200214247Y1 (ko) 2001-02-15

Family

ID=7308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893U KR200214247Y1 (ko) 2000-05-26 2000-05-26 남비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2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2903B2 (en) Surface contact self-sealing integrated tablewear and dining mat
KR100453536B1 (ko) 음식 서빙 및 팬 시스템
US5974953A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US7267308B1 (en) Kitchen utensil and pot lid holder
US10413118B2 (en) Lid holding and drying device
US20070082164A1 (en) Mat for heated items with cutting indicia
EP3829404A1 (en) Cutting board
KR200214247Y1 (ko) 남비 받침
US1453054A (en) False bottom for cooking utensils
GB2412082A (en) Dishware carrier
JP3161311U (ja) 食材支持具
KR200488061Y1 (ko) 냄비 손잡이 겸용 수저받이
KR200178006Y1 (ko) 미끄럼방지 쟁반
CN220571966U (zh) 一种可堆叠的套装锅具
CN215016471U (zh) 一种可立的锅盖提手
KR20180003524U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핸들과 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KR101993897B1 (ko) 가열된 용기용 깔판
KR200175671Y1 (ko) 음식용구 받침부를 가진 음식용 용기
KR960006530Y1 (ko) 가열된 주방용품 받침대
JP3206908U (ja) トング
KR200301730Y1 (ko) 조립식용기뚜껑선반
WO2020028705A1 (en) Cutting board
AU2015297112B2 (en) Container for kitchen and cooking utensils
KR20110061940A (ko) 냄비받침용 냄비뚜껑
KR200238997Y1 (ko) 다용도 손잡이를 구비한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