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159Y1 - 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 - Google Patents

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159Y1
KR200214159Y1 KR2020000026413U KR20000026413U KR200214159Y1 KR 200214159 Y1 KR200214159 Y1 KR 200214159Y1 KR 2020000026413 U KR2020000026413 U KR 2020000026413U KR 20000026413 U KR20000026413 U KR 20000026413U KR 200214159 Y1 KR200214159 Y1 KR 200214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late
pedestal
hole
garland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4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완식
Original Assignee
김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식 filed Critical 김완식
Priority to KR2020000026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15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159Y1/en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을 당했을 때에 빈소 또는 묘소 앞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해주는 화환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조화, 도안화 또는 생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식판과, 상기 장식판 배면 하단 부근에 소정 간격을 두고 양측에서 마주보고 설치된 끼움구를 갖는 결속부와, 상기 장식판 배면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끼움구에 결합되는 돌기를 갖으며 절첩 가능하게 날개가 양측으로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장식판 배면 상에 향과 초를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부 사이에 설치되는 향초보관함과, 상기 장식판의 중앙에는 향초보관함의 외측 둘레에 끼워지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이 끼워져 받침대가 장식판의 배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가 상기 향초보관함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향초보관함의 상단에 형성되어 향과 초가 인출될 시에 개폐되는 개폐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환장식구는 설치하거나 접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여 편리하고, 그에 따라 설치 및 철거에 시간도 적게 들며, 받침대가 장식판의 배면에 밀착되므로 이동이 용이한 효과를 가져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land ornament that allows you to stand in front of an empty house or mausoleum when you are injured, a decorative plate that allows you to install artificial flowers, patterns or flowers, and faces from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near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on plate. A binding unit having a fitting hole installed to be seen, a angular rotational installa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on plate, a pedestal having a protrusion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and having wings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wings can be folded; A candle holder and installed between the binding portion to hold the, and the center of the decorative plate to form a through-hole fitt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ndle storage box, the through hole is fitted into the fixing projections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decorative plate Is fixed to the one side end of the candle holder and the top of the candle hol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fragrance and candles are drawn out, the garland ornaments are very easy to install or fold the process, and thus less time to install and dismantle, the pedestal of the decorative plate Because it adheres to the back side, the effect is easy to move.

Description

장식용 화환{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

본 고안의 화환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을 당했을 때에 빈소 또는 묘소 앞에 조화, 도안화 또는 생화를 원하는 형태로 장식하여 필요한 위치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해주는 화환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land orna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rland ornament that allows to decorate in harmony with a desired form in harmony with the desired shape in front of the vacancy or mausoleum to stand in the required position.

일반적으로 상을 당했을 경우 화환을 만들어 세워두는 데, 통상적으로 나무 등으로 다리를 만들고 그 상단에 소정의 재료를 이용하여 조화나 생화를 부착해둘 수 있도록 해주는 꽃부착대를 설치하여 화환을 만들었다. 이러한 화환은 만들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하고 난 후 폐기처분 하기도 어렵다. 특히, 다리로는 목재를 사용하는 데, 한번 사용하고 난 후 폐기처분 하는 것은 자원 낭비이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화환 또는 화환 장식상자 등이 고안되어 출원되어 있는 것도 있다.In general, if you are injured, make a wreath to stand, usually made a bridge made of wood, etc. on the top, using a predetermined material to install a flower stand that allows you to attach flowers or flowers to create a wreath. Such wreaths are not only difficult to make, but also difficult to dispose of after use. In particular, wood is used as a bridge, and it is a waste of resources to dispose of it once after use. Some wreaths or wreath decoration boxes have been devised and applied to improve these disadvantages.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화환 장식구의 일 예를 설명한다.In this regar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garland ornament.

도 1은 종래 화환 장식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환 장식구의 세워둔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환 장식구의 접어둔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arland ornament,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a standing state of the garland orna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a folded state of the wreath ornament of FIG.

도 1∼도 3에는 종래의 화환 장식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이 종래의 화환 장식구(10)는 상자(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자(12)는 양초(14)나 기타 필요한 물건을 담아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자(12)의 테두리에는 소정 길이의 장공(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1 to 3 show a conventional garland ornament 10. This conventional garland ornament 10 as shown is provided with a box 12. The box 12 is intended to hold a candle 14 or other necessary items. Long holes 16 of a predetermined length are formed at the edge of the box 12, respectively.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자(12) 위쪽으로 뚜껑(18)이 도시되어 있다. 이 뚜껑(18)은 상자(12)의 상부를 덮어주는 부분으로, 그 하단에는 여러 개의 지지편(19)이 아래쪽으로 돌출 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편(19)은 장공(16)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절곡부(20)를 기준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뚜껑(18)의 위쪽 부분은 대략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여기에 상판(22)이 부착되어 있다. 이 상판(22)에 조화(24)가 소정의 배열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서는 조화(24) 대신에 생화를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뚜껑(18)의 뒷면에는 끼움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18)은 상단 부근에 조화(24)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길이를 가능한 한 크게 하여야 한다.As can be seen in FIG. 1, the lid 18 is shown above the box 12. The lid 18 is a portion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x 12, the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ieces 19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he support piece 19 is a part that is coupled to the long hole 16 so that it can be folded based on the bent portion 20.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8 is approximately circular, to which the top plate 22 is attached. The roughening 24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arrangement state in this upper plate 22. As shown in FIG. In some cases, natural flowers may be attached instead of the flowers 24. The fitting hole 26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d 18. This lid 18 should be as large as possible in order to be able to install a harness 24 or the like near the top.

도 1∼도 3에는 한 쌍의 받침대(28)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받침대(28)는 장공을 통해 상자(12)에 설치되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18)을 지지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1 to 3 show a pair of pedestals 28. The pedestal 28 is installed in the box 12 through a long hole to support the lid 18 as shown in FIG. 2.

즉, 조화(24) 등을 상판(22)에 부착한 상태에서 뚜껑(18)에 접착한 다음 돌출편(19)을 장공(16)에 삽입하여 뚜껑(18)을 소정 각도로 세워두고 또한 받침대(28)의 하단 역시 맞은편의 장공(16)에 삽입하고 그 상단은 끼움공(26)에 끼워두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화(24) 등이 부착된 뚜껑(18)을 소정 각도 경사지게 지지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양초(14)나 향 등은 상자(12)에 보관해 두면 된다.That is, after attaching the roughening 24 or the like to the top plate 22, the lid 18 is attached to the lid 18, and then the protruding piece 19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6 so that the lid 18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lower end of the 28 is also inserted into the opposite long hole 16 and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26, as shown in FIG. I can give it. In this state, the candle 14, the incense, etc. may be stored in the box 12.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공(16)과 끼움공(26)에서 받침대(28)의 끝단을 각각 이탈시킨 다음 도 3d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12) 내부에 횡방향으로 넣어 둔다. 이 상태에서 뚜껑(18)을 뒤쪽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종래의 화환 장식구(10)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접혀지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화환 장식구(10)를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켜 보관하거나 소각 등의 방법으로 폐기 처분하면 된다.If desired to move to the place where the end of the pedestal 28 from the long hole 16 and the fitting hole 26, respectively, and then pl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side the box 12 as shown in Figure 3d. In this state, the lid 18 is rotated backwards.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garland ornament 10 is folded in a state as shown in FIG. In the state shown in FIG. 3, the garland ornament 10 may be moved to a required place and stored or disposed of by incineration or the lik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환 장식구(10)는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각 부속품들을 별도로 각각 조립하려야 하고, 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받침대(28)를 각각 분리하여 상자(12)에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받침대(28)가 약하기 때문에 받침대(28)가 쉽게 휘어지거나 접혀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garland ornament 10 must be separately assembled to install each accessory when it is intended to be installed, and also inconvenient that separates the pedestal 28 and puts it in the box 12 when it is to be stored. There is this. In addition, because the base 28 is wea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se 28 is easily bent or fold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환 장식구의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 되도록 하여 휘어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환 장식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land ornament to prevent the bending or folding by maintaining a stable center of gravity of the garland orna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화환 장식구는 상기 조화, 도안화 또는 생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식판과, 상기 장식판 배면 하단 부근에 소정 간격을 두고 양측에서 마주보고 설치된 끼움구를 갖는 결속부와, 상기 장식판 배면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끼움구에 결합되는 돌기를 갖으며 절첩 가능하게 날개가 양측으로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장식판 배면 상에 향과 초를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부 사이에 설치되는 향초보관함과, 상기 장식판의 중앙에는 향초보관함의 외측 둘레에 끼워지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이 끼워져 받침대가 장식판의 배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가 상기 향초보관함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향초보관함의 상단에 형성되어 향과 초가 인출될 시에 개폐되는 개폐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Garland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inding plate having a decorative plate that allows to install the harmony, pattern or flower arrangement, and the fitting portion provided facing from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near the bottom bottom of the decorative plate And a pedestal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so as to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having a protrusion coupled to the fitting hole, and having wing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ecorative plate so that the wings can be folded, and the bundle to store incense and candl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At the center of the decorative plate and the candle holder to be installed in, forming a through-hole fitt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ndle holder, the fixing hole for the through hole is fitted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decorative plate at one side of the candle holder It is formed at the top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candle storage box to be formed and opened and closed when incense and candles are drawn ou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도 1은 종래 화환 장식구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arland ornament.

도 2는 도 1의 화환 장식구의 세워둔 상태에서의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garland ornament of Figure 1 in an upright position.

도 3은 도 1의 화환 장식구의 접어둔 상태에서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garland ornament of FIG. 1 in a folded state;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화환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corative wre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화환의 배면사시도.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ecorative wre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향초보관함의 개폐구를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erbal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화환을 접은 상태를 보인 배면도.Figure 7 is a rear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decorative garl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호환 장식구 102 : 조화100: compatible ornament 102: harmony

110 : 장식판 120 : 결속부110: decorative plate 120: binding part

122 : 끼움구 130 :받침대122: fitting 130: stand

132 : 통공 134 : 돌기132: through hole 134: protrusion

136 : 날개 140 : 향초보관함136: wing 140: candle holder

142 : 고정돌기 144 : 향142: fixing protrusion 144: incense

146 : 초 150 : 개폐구146: seconds 150: opening and closing

152 : 뚜껑 154 : 가이드돌기152: lid 154: guide protrusion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화환 장식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garland orn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화환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화환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향초보관함의 개폐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화환을 접은 상태를 보인 배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ve garl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ecorative garl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of the herbal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ar view showing the state of folding the decorative wreath.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환 장식구(100)는 조화(102), 도안화 또는 생화를 원하는 형태로 장식하여 필요한 위치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의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 전면에 꽃을 장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식판(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장식판(110)은 조화(102) 등으로 장식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세워지는 것으로, 원하는 모양으로 디자인한 것을 사용하면 되고, 그 아래쪽으로는 기증자의 이름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공란으로 남겨두면 된다.As shown in Figure 4 to Figure 7 garland orna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corate the harmony 102, pattern or flower in the desired shape to be able to stand in the necessary position to express the condolence For this purpose, it is provided with a decorative plate 110 that allows to decorate a flower on the front. The decorative plate 110 is set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state of being decorated with artificial flowers 102, etc., and may be designed to have a desired shape, and if left below, the blank may be displayed so as to display the name of the donor. do.

그리고, 장식판(110) 배면의 하단 부근에는 결속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속부(120)는 받침대(130)를 지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양측에서 마주보고 설치된 끼움구(12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결속부(120)는 골판지 등을 절단하여 그 양측 가장자리를 접어 접착제로 붙인 것을 장식판(110) 배면에 부착하여 끼움구(122)가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And the binding part 120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the back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110. The binding unit 120 is for supporting the pedestal 130, and is provided with fittings 122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hown in the figure. The binding unit 120 is to cut the corrugated cardboard or the like and fold the edges of both sides to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decorative plate 110, the fitting hole 122 is formed.

상기 장식판(100)의 배면에 소정 크기를 갖는 통공(132)을 갖는 받침대(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받침대(130)는 이 고안의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앞에서 설명한 장식판(110)을 튼튼하게 받쳐주기 위한 것이며, 장식판(110) 배면 상단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받침대(13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120)의 끼움구(122)에 결합되어 돌기(134)를 갖는 절첩 가능한 날개(136)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날개(136)는 설치상태에서 장식판(110) 배면에 대략 수직하게 접혀지고, 그 끝단의 돌기(134)는 다시 바깥쪽으로 꺾여져 끼움구(122)에 각각 삽입된다. 즉, 날개(134)는 받침대(110)의 굽힘 강도를 증가시켜 받침대(130)가 쉽게 휘어지거나 접히지 않도록 해준다.The back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100 is provided with a pedestal 130 having a through hole 13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pedestal 130 is a part constituting a larg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tended to firmly support the decorative plate 110 described above, and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110 so as to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edestal 130 has a collapsible wing 136 coupled to the fitting hole 122 of the binding unit 120 and having a protrusion 134 on each side. The wing 136 is folded in a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ack of the decorative plate 110 in the installation state, the projections 134 of the end is bent outwards and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122, respectively. That is, the wing 134 increases the bending strength of the pedestal 110 so that the pedestal 130 is not easily bent or fold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판(110)의 배면 상의 결속부(120) 사이에 향초보관함(1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향초보관함(140)은 설치된 상태에서 장식판(110)과 동일한 경사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이 향초보관함(140) 내부에 향(144)과 초(146)등이 보관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rbal storage box 140 is installed between the binding portion 120 on the back of the decorative plate 110. The herbal storage box 140 is inclined at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decorative plate 110 in the installed state. The incense 144 and candles 146 are stored in the candle storage 140.

그리고, 상기 향초보관함(140)은 그 상부에 향(144)과 초(146)등이 인출 또는 인입될 때 편리하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개폐구(15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구(150)에는 상기 향초보관함(140)의 상부에서 절첩 가능하게 뚜껑(152)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152)의 양측단에는 상기 뚜껑(152)이 개폐될 시에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154)가 형성되며, 상기 향초보관함(140)의 하단에는 고정돌기(142)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agrance storage box 14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150 to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incense 144 and the candle 146 and the like can be conveniently taken out or put in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150 is provided with a lid 152 to be folded at the top of the herbal storage box 140, guides to be guided when the lid 152 is opened and closed at both ends of the lid 152. A protrusion 154 is formed, and a fixing protrusion 14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erbal storage box 140.

상기 향초보관함(140)의 외측 둘레에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통공(132)이 끼워지며, 상기 장식판(11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향초보관함(14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42)에 상기 받침대(130)의 통공(132)이 고정된다.A through hole 132 formed in the pedestal is fitt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ndle box 140, the fixing protrusion 142 formed on one side lower end of the candle box 14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decorative plate 110. The through hole 132 of the pedestal 130 is fixed to.

또한,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130)의 양측 날개를 꺾어서 그 끝단의 돌기(134)를 양측 끼움구(122)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우기만 하면 되고, 또 사용 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돌기(134)를 끼움구(122)에서 빼고 양측 날개(136)를 펼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130)에 형성된 통공(132)을 상기 향초보관함(140)의 외측 둘레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그와 동시에 상기 향초보관함(14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42)에 상기 받침대(130)가 고정되어 상기 장식판(110)의 배면에 밀착되어 이동시 받침대(130)가 상기 장식판(110)의 배면에서 흔들림 없이 고정된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install the garland orna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by turning both sides of the wing 130 of the pedestal 130, the projection 134 of the end just inserted both sides from the inside fitting 122 to the outside And, if you want to store after use, remove the protrusion 134 from the fitting hole 122 and in the state in which both sides of the wing 136 unfolds the through hole 132 formed in the pedestal 130 of the herbal storage box 140 Position the outer periphery, and at the same time, the pedestal 130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142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herbal storage box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110 when the pedestal 130 Is fixed without shaking in the back of the decorative plate 11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판(110) 배면에 설치된 받침대(130)는 장식판(110)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그 상태에서 날개(136)는 양측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받침대(130)에 형성된 통공(132)을 통해 향초보관함이(140) 드러나게 된다.As shown in FIG. 7, the pedestal 130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110 maintains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110, and the wings 136 maintain the unfolded state at both sides. The herbal storage box 140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32 formed in the pedestal 130.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130) 하단 부근을 뒤쪽으로 당기면서 날개(136)를 장식판(110) 배면쪽으로 접어서 세우고, 그 상태에서 양측 날개(136) 끝단의 돌기(134)를 앞에서 설명한 결속부(120)의 양측 끼움구(122)에 끼우면 설치가 완료된다. 즉, 이 출원 고안에 따른 화환 장식구(100)는 그 설치과정이 매우 간단하며 이동이 편리하다.If you want to re-install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7, while pulling the lower portion near the bottom of the pedestal 130 to the rear side of the decorative plate 110, folded up, the projections at the end of both wings 136 in that state When the 134 is inserted into both fitting holes 122 of the binding unit 120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That is, the garland decor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e installation process and convenient to mo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본 고안에 의한 화환장식구는 설치하거나 접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여 편리하고, 그에 따라 설치 및 철거에 시간도 적게 들며, 받침대가 장식판의 배면에 밀착되므로 이동이 용이한 효과를 가져온다.Looking a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garland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e and easy to install or fold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less time to install and dismantle, so the bas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decorative plate to move This brings an easy effect.

Claims (1)

조화, 도안화 또는 생화를 원하는 형태로 장식하여 필요한 위치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화환 장식구에 있어서,Wreath ornaments that display harmony by decorating a flower, flower or flower in the desired shape so that it can be placed in the required position, 상기 조화, 도안화 또는 생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식판;A decorative plate to allow the harmony, pattern or flower arrangement to be installed; 상기 장식판 배면 하단 부근에 소정 간격을 두고 양측에서 마주보고 설치된 끼움구를 갖는 결속부;A binding part having fitting hole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near a lower end of the decorative plate rear surface; 상기 장식판 배면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끼움구에 결합되는 돌기를 갖으며 절첩 가능하게 날개가 양측으로 형성된 받침대;A pedestal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ve plate so as to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having protrusions coupled to the fitting holes, the pedestals being folded at both sides; 상기 장식판 배면 상에 향과 초를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부 사이에 설치되는 향초보관함;Scented container is installed between the binding portion to store the incense and candles on the decorative plate back; 상기 장식판의 중앙에는 향초보관함의 외측 둘레에 끼워지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이 끼워져 받침대가 장식판의 배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가 상기 향초보관함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A fixing part formed at one side end of the herbal storage box to form a through hole fitted i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ndle storage box, and having a through hole inserted therein so that the pedestal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ation plate; And 상기 향초보관함의 상단에 형성되어 향과 초가 인출될 시에 개폐되는 개폐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환장식구.The garland ornaments are formed on the top of the scented candle storage box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closing when incense and candles are drawn.
KR2020000026413U 2000-09-20 2000-09-20 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 KR2002141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413U KR200214159Y1 (en) 2000-09-20 2000-09-20 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413U KR200214159Y1 (en) 2000-09-20 2000-09-20 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159Y1 true KR200214159Y1 (en) 2001-02-15

Family

ID=7305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413U KR200214159Y1 (en) 2000-09-20 2000-09-20 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15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389A (en) * 2002-01-22 2002-03-28 권오진 Assembling segments of wreaths for the funeral institu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389A (en) * 2002-01-22 2002-03-28 권오진 Assembling segments of wreaths for the funeral institu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101C (en) Bouquet presentation device
US4592936A (en) Ornamental article with internal display bracket
US6047833A (en) Display case with retainer for figurine
US6425646B1 (en) Combination display stand and artificial christmas tree
US4438579A (en) Three-dimensional picture with interchangeable scenes
US6546654B1 (en) Display stand
US4968565A (en) Personalized ornament for Christmas tree
KR200214159Y1 (en) 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
KR200170152Y1 (en) 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
KR102231252B1 (en) A Wreath decorated with flower pots
USD462031S1 (en) Three dimensional folding Christmas tree
US6561464B2 (en) Stand for supporting bouquet holder
JP3129424U (en) Recyclable paper flowers
KR200170151Y1 (en) A wreath implement for one's condolence
KR19980019215U (en) Garland
US5695160A (en) Decorative tissue box holder
JPH0425019Y2 (en)
USD415713S (en) Artificial Christmas tree incorporating illuminated optical fiber sprays
JP3051028U (en) Stand with desktop panel
JP3036650U (en) A fan container that also serves as a fan display tool
KR200247485Y1 (en) Packing box for a funeral goods inserting or removing a wreath picture plate
JP2003189998A (en) Funeral floral tribute and towel holder used therein
JPH064781Y2 (en) Base for decoration
JP2589881Y2 (en) Decorative cover for plant sales or ornamental use
KR100622072B1 (en) Ornament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