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083Y1 - 해충잡이기 - Google Patents

해충잡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083Y1
KR200214083Y1 KR2020000022323U KR20000022323U KR200214083Y1 KR 200214083 Y1 KR200214083 Y1 KR 200214083Y1 KR 2020000022323 U KR2020000022323 U KR 2020000022323U KR 20000022323 U KR20000022323 U KR 20000022323U KR 200214083 Y1 KR200214083 Y1 KR 200214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an
pest
main body
pests
insect c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김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환 filed Critical 김수환
Priority to KR2020000022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083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기나 날벌레와 같은 해충을 잡기 위한 해충잡이기에 관한 것으로 해충잡이기 내부에 흡입팬을 구성하고 그 해충잡이기 하측의 집충등을 부착하여 그 집충등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흡입팬에 의해 강제로 해충잡이기 내부로 빨려들어 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충잡이기{DEVICE FOR HARMFUL INSECT CATCHING}
본 고안은 모기나 날벌레등을 잡기위한 해충잡이기에 관한 것으로 해충잡이기 내부에 흡입팬을 구성하고 그 하측에 집충등을 구성한 것이다.
종래에는 해충을 잡기위해서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이 대부분 이였으나 이는 인체에 유해할뿐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 약효가 사라져 다시 살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 고압의 전류가 흐르며 빛이 발산되는 유인등에 해충이 날라들어 타 죽게 한 유인등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는 고압의 전류가 제공되어야 하므로 위험할뿐 아니라 전력소모가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해충잡이기 내부의 흡입팬이 유인등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강제로 빨아들이도록 구성하므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확대 종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체(1)에서 덮개(11)를 연 상태를 보이는 분리사시도로서 덮개(11)와 본체 바닥면(12)에 천공된 통공(13)(14) 외주면에 망체(2)(21)를 데고 이를 환상의 고정테(3)(31)로 고정한 다음 고정테(31) 하측에 집충등(4)을 부착한 지지간(5)를 고정하되 특히 망체(2)는 작은 망목의 망체를 그리고 망체(21)은 큰 망목의 망체로 구성한다.
본체(1) 내부에 지지간(6)를 고정하고 그 지지간(6) 중간에 흡입팬(7)을 결합한다.
미 설명부호 8은 본체(1)를 매달기 위한 끈이며 9, 91, 92, 93는 나사못이고 100은 경첩이며 101는 본체(1) 내부 수장실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종 단면도로서 우선 전원을 공급하면 (도선 불표시) 집충등(4)이 점화되고 그리고 흡입팬(7)이 회전하게되는데 여기서 집충등(4)과 흡입팬(7)에 별도로 각각 전원을 공급하거나 하나의 전원으로 공급하거나 본 고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아니한다.
집충등(4)이 점화되면 모기나 날벌레등이 집충등(4) 주변으로 모이게 되는데 이때 그 해충들이 통공(14) 외주면에 고정된 큰 망목의 망체(21)을 통하여 본체(1) 내부에서 회전하는 흡입팬(7)에 의해 강제로 본체 내부로 빨려들어 가게되면서 일부 해충들은 그 흡입팬(7)에 부딪혀 타멸(打滅)되거나 흡입팬(7)에 부딪히지 않은 해충은 수장실(101) 로 모이게 되며 그 해충들은 가는 망목의 망체(2)에 의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도 2에서 표시한 화살표와 같이 바람(공기)만이 통공(13)를 통해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그후 덮개(11)을 열고 수장실(101) 내에 있는 죽은 해충을 밖으로 버리면 되는 것이며 통공(14)의 큰 망목의 망체(21)는 흡입팬(7)에 의해 손이 다치거나 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한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전원만 공급되면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장시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공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으며 환경 오염의 우려도 없는 것이고 과다한 전력의 소모도 발생하지 않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집충등을 갖는 해충잡이기에 있어서 본체(1)의 덮개(11)와 바닥면(12)에 천공된 통공(13)(14)에 망목의 크기가 서로 다른 망체(2)(21)를 환상의 고정테(3)(31)로 고정하고 하측 고정테(31) 외측에 집충등(4)을 부착한 지지간(5)를 고정하며 본체(1) 내부에 고정한 지지간(6)) 중간에 흡입팬(7)을 결합하여서 된 해충잡이기.
KR2020000022323U 2000-08-04 2000-08-04 해충잡이기 KR200214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23U KR200214083Y1 (ko) 2000-08-04 2000-08-04 해충잡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23U KR200214083Y1 (ko) 2000-08-04 2000-08-04 해충잡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083Y1 true KR200214083Y1 (ko) 2001-02-15

Family

ID=7307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323U KR200214083Y1 (ko) 2000-08-04 2000-08-04 해충잡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0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776B1 (ko) 2010-01-27 2012-06-12 (주) 파루 흡입식 포충기가 설치된 식물 생육 램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776B1 (ko) 2010-01-27 2012-06-12 (주) 파루 흡입식 포충기가 설치된 식물 생육 램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0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US10595522B2 (en) Bladeless fan with mosquito killing function
KR100632277B1 (ko) 포충기
KR200425859Y1 (ko) 해충포획장치
JP2004254523A (ja) 害虫誘引捕獲器
WO2004071188A3 (en) Light emitting insect trap
KR100922329B1 (ko)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US20060107583A1 (en) Insect-catching lamp
KR200394218Y1 (ko) 해충 박멸기
KR20140008193A (ko) 전기 해충 퇴치기
KR100538043B1 (ko) 전자 포충기
JP2000253793A (ja) 蚊・蝿の誘殺器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KR200214083Y1 (ko) 해충잡이기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KR100632278B1 (ko) 포충기
US20040068917A1 (en) Portable insect capturing apparatus
KR200339661Y1 (ko) 곤충 포획기
JP2002281882A (ja) 感電式虫撃退器
KR20100086690A (ko) 가로등용 해충퇴치기 및 그를 채용한 가로등
KR20090014632A (ko) 필터가 구비된 포충기
KR200349368Y1 (ko) 해충용 박멸장치
KR20180002201A (ko) 엘이디를 이용한 살충 소음이 최소화된 휴대용 해충 기피 및 유인 살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