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796Y1 - Unit for preventing wobbling of radiotelephone - Google Patents

Unit for preventing wobbling of radio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796Y1
KR200213796Y1 KR2020000025697U KR20000025697U KR200213796Y1 KR 200213796 Y1 KR200213796 Y1 KR 200213796Y1 KR 2020000025697 U KR2020000025697 U KR 2020000025697U KR 20000025697 U KR20000025697 U KR 20000025697U KR 200213796 Y1 KR200213796 Y1 KR 200213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adjustment ring
terminal
clip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6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5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79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796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 흔들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시된 목걸이 흔들림 방지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목걸이에 착용하여 휴대하기 위한 목걸이에 있어서, 목걸이(a); 상기 목걸이에 연결되어 목걸이 끈을 조절하는 조절 링(b); 단말기의 흔들림을 저지하는 벨트 클립(c); 및 상기 조절 링의 일측면에 구비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서 전방으로 개방된 개구와, 상기 클립 장치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 장치를 상기 조절 링에 구속시키는 로커를 포함하는 착탈 수단(d)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lace shake preventing device, the disclosed necklace shake preventing device in a necklace for carrying a portable terminal to the necklace, the necklace (a); An adjustment ring (b) connected to the necklace to adjust the necklace strap; Belt clip (c) for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terminal; And an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djustment ring, an opening opened forwar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lip device,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o constrain the clip device to the adjustment ring. And a detachable means (d) including a rocker.

Description

단말기에서 목걸이 흔들림 방지 장치{UNIT FOR PREVENTING WOBBLING OF RADIOTELEPHONE}UNIT FOR PREVENTING WOBBLING OF RADIOTELEPHONE}

본 고안은 단말기를 목에 착용할 때 사용하는 목걸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걸을 때나 뛸 때 단말기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lace device for use when the terminal is worn on the ne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terminal when walking or running.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장치를 칭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상으로 바 형, 플립 형, 폴더 형의 단말기가 보편화되었으며, 향후에는 더욱 소형화 및 경량화된 단말기가 주류를 이를 것이다. 이러한 단말기는 소형화 및 경량화됨에 따라 착용방식이 다양한다. 예를 들어, 주머니에 넣고 휴대하거나, 목에 착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여 휴대하는 경우, 목걸이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단말기 휴대용 목걸이 장치는 악세사리 개념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목걸이 장치는 단말기와 착탈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목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휴대하고 싶으면, 목걸이 장치에 단말기를 연결하며,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고 싶으면, 목걸이 장치로부터 단말기를 분리시킨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a counterpart while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The portable terminal has a generalized bar-type, flip-type, and foldable terminals in appearance, and in the future, smaller and lighter terminals will become mainstream. As these terminals become smaller and lighter, there are various wearing methods. For example, it may be carried in a pocket or worn on the neck.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worn around the neck, a necklace device is used. The terminal portable necklace device is used as an accessory concept. The necklace devic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in a detachable manner. The user selectively connects the terminal to the necklace device if he wants to carry it on his neck, and separates the terminal from the necklace device if he wants to carry it in his pocket.

그러나,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여 휴대하는 경우, 걷거나 뛸때 심하게 단말기가 유동되어서 사용자에게 착용의 불편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특히 사용자는 단말기를 목에 착용한 상태로 걷거나 뛸때, 좌우 방향으로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에 종종 발생하게 된다. 심한 경우, 단말기의 흔들림은 목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상처를 주게 된다.However, when a user wears a portable terminal around his neck and carries it, the terminal is severely flowed when walking or running to provide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particular, when the user walks or runs while wearing the terminal on the neck, it often occurs when the user violently shak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severe cases, the shaking of the terminal may cause an impact or injury to the neck.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여 휴대하는 경우, 걷거나 뛸 때 발생하는 단말기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terminal generated when walking or running when wearing a portable terminal to the neck.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를 목걸이에 착용하여 휴대하기 위한 목걸이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cklace for carrying a portable terminal wearing a necklace,

목걸이(a);Necklace (a);

상기 목걸이에 연결되어 목걸이 끈을 조절하는 조절 링(b);An adjustment ring (b) connected to the necklace to adjust the necklace strap;

단말기의 흔들림을 저지하는 벨트 클립(c); 및Belt clip (c) for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terminal; And

상기 조절 링의 일측면에 구비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서 전방으로 개방된 개구와, 상기 클립 장치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 장치를 상기 조절 링에 구속시키는 로커를 포함하는 착탈 수단(d)으로 구성된다.An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djustment ring, an opening opened forwar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lip device,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o constrain the clip device to the adjustment ring. And a detachable means (d) including a lock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흔들림 방지장치가 적용된 목걸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cklace device applied a necklace shak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절 링을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justment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FI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 링에 클립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태는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lip device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흔들림 방지장치(20)가 적용된 목걸이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흔들림 방지장치(20)가 적용된 목걸이 장치는 크게 목걸이 부분(10)과, 목걸이 흔들림 방지 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걸이 부분(10)은 소켓(11)과, 상기 소켓(11)에서 삽입 또는 분리되는 로커(12)와, 상기 소켓(11) 상단으로 연결되어 목에 착용하기 위한 목걸이 끈(14)과, 상기 로커(12)에 연결되어 단말기와 연결되는 걸이 끈(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걸이 흔들림 방지 수단(20)은 목걸이 끈(14)에 설치되어 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링(21)과, 상기 조절 링(21)에서 착탈가능한 클립 장치(22)로 구성된다.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necklace device to which the necklace shake prevent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1, the necklace device to which the necklace shake prevention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largely composed of a necklace portion 10 and a necklace shake preventing means 20. The necklace portion 10 is a socket 11, a rocker 12 is inserted or separated from the socket 11, the necklace strap 14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ocket 11 to wear on the neck, It is composed of a hanger 13 connected to the locker 12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collar shake preventing means 20 is provided in the necklace strap 14 is composed of an adjustment ring 21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ing, and a clip device 22 detachable from the adjustment ring 21.

상기 소켓(11)의 측단에서 돌출된 로커의 텐션부(12a)를 화살표①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로커(12)는 소켓(11)으로부터 화살표②방향으로 분리되어 단말기와 연결된 걸이 끈(13)은 소켓(11)에서 분리된다. 반대로, 상기 로커(12)를 화살표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켓(11)에 삽입하면, 상기 로커(12)는 소켓(11)에 결합되어 단말기와 연결된 걸이 끈(13)은 소켓에 연결된다.When the tension part 12a of the rocker protruding from the side end of the socket 11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①, the rocker 12 is separated from the socket 1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②, and the hook string 13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It is disconnected from the socket 11. On the contrary, when the rocker 12 is inserted into the socket 1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ow ②, the rocker 12 is coupled to the socket 11 and the hanger string 13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cket.

상기 조절 링(21)은 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하여 목걸이 끈(14)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조절 링(21)에 구비된 클립 장치(22)는 단말기가 목에 착용된 경우, 옷깃 등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 링(21)도 옷깃 등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로써 목걸이 끈(14)의 유동이 방지되어 자연적으로 단말기의 유동도 어느 정도 방지된다.The adjustment ring 21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③ to adjust the length of the necklace strap (14). When the terminal device is worn on the neck, the clip device 22 provided in the adjustment ring 21 is fixed to a collar and the lik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ring 21 is also fixed to the collar and the like. The flow is prevented and naturally the flow of the terminal is also prevented to some exten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 링에 착탈되는 클립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클립 장치(22)는 상부 클립(211)과, 하부 클립(212)과, 상기 상하부 클립(211,212)을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 핀(213)과, 상기 상하부 클립(211,212)을 상기 힌지 핀(213)에 구속시키는 E-링(도면에 미도시됨)과, 상기 힌지 핀(213)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클립의 일단(211b,212b)은 서로 멀어지려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고, 타단(211a,212a)은 서로 가까워지려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도면에 미도시됨) 및 상기 상하부 클립(211,212)을 조절 링에서 착탈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단은 로커(216)와, 상기 로커(216)와 상부 클립(211)을 연결시키는 연결체로 구성된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ip device detachable to the adjustment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device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lip 211, a lower clip 212, a hinge pin 213 for mechanic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clips 211 and 212, and the upper and lower clips 211 and 212. E-rings (not shown in the figure) that restrain the hinge pins 213 and one end 211b, 212b of the upper and lower clips provided on the hinge pins 213 provide a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e other ends 211a and 212a consist of a torsion spring (not shown in the drawing) which provides a force in a direction to approach each other and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upper and lower clips 211 and 212 from the adjustment ring. The means consists of a rocker 216 and a connecting body connecting the rocker 216 and the upper clip 211.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절 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 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 링(21)의 몸체(200)는 목걸이 끈이 관통하기 위하여 상단(201a)에 위치하는 두개의 입구(201)와, 하단에 위치하여 두개의 목걸이 끈이 하나로 통과하기 위한 출구(202)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9200)의 측면에는 클립 장치가 착탈되기 위한 수용부(203)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203)는 수용공간(203a)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203a)은 로커의 연결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203b)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203b)는 전방을 향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justment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n adjustment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the body 200 of the adjustment ring 21 has two inlets 201 located at the top 201a to allow the necklace strap to penetrate therethrough, and two necklace straps positioned at the bottom. It consists of an outlet 202 for passing through this one. Side of the body 92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203) for detaching the clip device. The accommodating part 203 includes an accommodating space 203a, and the accommodating space 203a includes an opening 203b for penetrat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rocker. The opening 203b faces forwar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 장치의 로커(216)가 상기 조절 링의 수용부의 수용공간(203a)에 결합되면, 상기 클립 장치(22)와 조절 링(21)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목걸이 흔들림 방지 장치(20)를 이루게 된다. 사용자는 목걸이 장치의 걸이 끈(13)에 단말기를 연결한 다음에, 상기 클립 장치(22)에 일정한 힘을 하여 상부 클립의 톱니부가 서로 멀어지게 하고, 상의 특히 와이셔츠와 같은 헝겊에 위치시킨 후, 가했던 힘을 제거하여 목걸이를 어느 정도 자유스러움을 유지한 채, 와이셔츠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힘은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기인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rocker 216 of the clip device is coupl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203a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adjustment ring, the clip device 22 and the adjustment ring 21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a necklace. The anti-shake device 20 is achieved. The user connects the terminal to the hanger 13 of the necklace device, and then applies a constant force to the clip device 22 so that the teeth of the upper clip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placed on a cloth such as a shirt, especially a shirt. Remove the force applied, and fix the necklace to the shirt while maintaining some freedom. The fixing force is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한편, 사용자가 목걸이 방식으로 휴대폰을 착용하지 않고, 주머니에 착용하고 싶으면, 상기 클립 장치의 로커를 상기 수용 공간에서 분리시킨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주머니에 휴대하거나, 목걸이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휴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ants to wear it in the pocket without wearing the mobile phone by the necklace method, the locker of the clip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in a pocket or worn on a necklace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목걸이 장치는 악세서리 개념으로 사용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조절 구나 클립 장치의 형상이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형하여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necklace device is a trend that is used as an accessory concept,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by modifying the shape, design or color of the control device or cl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목걸이 장치에 클립 장치를 구비하고, 이러한 클립 장치가 목걸이에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짐으로서, 사용자는 걸을 때나 뛸 때 단말기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목에 착용하여 옷깃에 고정시키거나, 목걸이에서 단말기를 분리하여 주머니에 휴대할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ip device in the necklace device, and the clip device is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necklace, so that the user can prevent shaking of the terminal when walking or running. In addition, the user can be selectively worn on the neck to be fixed to the collar, or separated from the necklace terminal to be carried in the pocket.

Claims (1)

휴대용 단말기를 목걸이에 착용하여 휴대하기 위한 목걸이 장치에 있어서,In the necklace device for carrying a portable terminal wearing a necklace, 목걸이(a);Necklace (a); 상기 목걸이에 연결되어 목걸이 끈을 조절하는 조절 링(b);An adjustment ring (b) connected to the necklace to adjust the necklace strap; 단말기의 흔들림을 저지하는 벨트 클립(c); 및Belt clip (c) for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terminal; And 상기 조절 링의 일측면에 구비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서 전방으로 개방된 개구와, 상기 클립 장치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 장치를 상기 조절 링에 구속시키는 로커를 포함하는 착탈 수단(d)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흔들림 방지장치.An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djustment ring, an opening opened forwar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lip device,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o constrain the clip device to the adjustment ring. Necklace shak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movable means including a locker (d).
KR2020000025697U 2000-09-08 2000-09-08 Unit for preventing wobbling of radiotelephone KR2002137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697U KR200213796Y1 (en) 2000-09-08 2000-09-08 Unit for preventing wobbling of radio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697U KR200213796Y1 (en) 2000-09-08 2000-09-08 Unit for preventing wobbling of radio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796Y1 true KR200213796Y1 (en) 2001-02-15

Family

ID=7305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697U KR200213796Y1 (en) 2000-09-08 2000-09-08 Unit for preventing wobbling of radio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79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347B1 (en) * 2007-03-23 2009-04-22 이희승 Scarf Neckl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347B1 (en) * 2007-03-23 2009-04-22 이희승 Scarf Neckl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3367A (en) Holster arrangement for a trans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EP1784094B1 (en) Helmet ear loop
US5706345A (en) Over the head hands free phone holder
KR200213796Y1 (en) Unit for preventing wobbling of radiotelephone
JPH11155625A (en) Hand strap for portable telephone and its mounting construction
US5887776A (en) Portable radio-cassette adapter plate
US20080305840A1 (en) Clip for wireless devices
KR200239543Y1 (en) A cellular phone receiving case
KR100871247B1 (en) Finger-wearable portable device for portable phone
KR200217557Y1 (en) Separable and joinable pocket telephone necklace
KR100724546B1 (en) Portable camera belt
KR200303647Y1 (en) Mobile phone with hanger
KR100542954B1 (en) Attachment band for a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S20040005050A1 (en) Hands free personal phone holder
KR200252682Y1 (en) Handfree earphone
KR200387061Y1 (en) Portable camera belt
KR200210692Y1 (en) Hanger for portable radiotelephone
KR200174877Y1 (en) Necklace device of mobile phone
KR200184592Y1 (en) Cordless telephone having cradle
KR200231960Y1 (en) a band for sticking handphone
KR200233030Y1 (en) Necklace hands free earphone
KR200246353Y1 (en) a rucksack have a baby carrying band
KR200198227Y1 (en) A string for hanging mobile phone
KR10069071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hanger fuction
KR101975701B1 (en) Smartphone fixing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