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772Y1 - Beverage bottle cap having whistle - Google Patents

Beverage bottle cap having whis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772Y1
KR200213772Y1 KR2020000025052U KR20000025052U KR200213772Y1 KR 200213772 Y1 KR200213772 Y1 KR 200213772Y1 KR 2020000025052 U KR2020000025052 U KR 2020000025052U KR 20000025052 U KR20000025052 U KR 20000025052U KR 200213772 Y1 KR200213772 Y1 KR 200213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whistle
beverage container
air injection
in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0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시맥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맥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맥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5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77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772Y1/en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에 관한 본 고안은, 음료용기를 막는 마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에는 공기통로를 통해 상호 연통하는 공기주입공 및 배기공과 상기 공기통로와 연통하는 공간부를 갖는 호각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stopper provided with a whistle, in a stopper for preventing a beverage container,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whistle having an air injection hole and an exhaust ho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n air passage and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air passage; It features.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음료용기의 마개에 호각을 설치하여 음료수를 마시면서 또는 음료수를 마신 후에 마개를 호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특히 운동경기를 관람하는 관중들이 응원용 보조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응원기구를 사거나 대여할 필요없이 음료용기를 응원용기구로 활용하여 비용을 절약하고 월드컵 등의 국제적인 행사는 물론 모든 경기에서 보다 흥겹고 우렁차게 응원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whistle on the stopper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used as a whistle while drinking or drinking a beverage, in particular, the audience watching sports can be used as an aid for cheer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ve money by using a beverage container as a cheering device without buying or renting a separate cheering device, and to cheer more cheerily and cheerfully at all events as well as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World Cup.

Description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Beverage bottle cap having whistle}Beverage bottle cap having whistle

본 고안은 음료용기를 밀폐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의 마개에 호각을 마련하여 각종 운동경기의 응원용 보조기구로 사용할 수 있는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per for sealing a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stopper provided with a whistle tha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device for cheering of various sports by providing a whistle on the stopper of the beverage container.

축구나 야구 등과 같은 각종 운동경기에는 수많은 관중들이 모여 서로의 힘을 합쳐 자신들의 팀을 응원하고 사기를 북돋운다. 보통 응원시에는 북이나 꽹가리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풍선방망이형 응원기구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various sports, such as soccer and baseball, a large crowd gathers to join each other to support their teams and encourage their morale. Usually, drums and earrings are used at the time of cheering, and in recent years, inflatable bat cheering apparatuses used by injecting air are also widely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응원기구는 시각적인 효과에 비하여 우렁찬 응원소리를 만들어 내기는 한계가 있으며 뚜렷한 특성이 없어 별다른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여 응원의 효과가 높지 않았다.However, the conventional cheer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has a limit of producing a loud cheering sound as compared to the visual effect, and does not have a distinct characteristic so that the cheering effect is not high.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음료용기의 마개에 호각을 설치하여 음료수를 마시면서 호각을 불 수 있어, 운동경기를 관람하는 관중들의 응원용보조기구로 사용할 수 있고 응원을 장단에 맞추어 보다 흥겹고 우렁차게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빈 음료용기를 버리지 않게 되어 경기장내의 쓰레기문제를 경감할 수 있는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nstalling a whistle on the stopper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low the whistle while drinking a drink, can be used as a supportive equipment for the audience watching sports, and cheering according to the bea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stopper with a whistle that can be exciting and full, and furthermore, do not discard empty beverage containers and can alleviate the garbage problem in the stadium.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stopper having a whis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stopper provided with a whis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with a whist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4 and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with a whist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를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with a whist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Figure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stopper provided with a whist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stopper equipped with a whist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용기 12,24,28,50:마개10: container 12,24,28,50: stopper

14:배기공 18:공간부14: exhaust hole 18: space part

20:나사산 22:공기주입공20: screw thread 22: air injection

26:걸림턱 32:공기주입공26: caught jaw 32: air injection ball

34,44:승강부재 36:고정부재34, 44: lifting member 36: fixing member

38:공기통로 40:유출구38: Air passage 40: Outlet

42:슬라이딩부재 46:호각42: sliding member 46: whistle

48:밀봉부재48: sealing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료용기를 막는 마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에는 공기통로를 통해 상호 연통하는 공기주입공 및 배기공과 상기 공기통로와 연통하는 공간부를 갖는 호각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pper for preventing a beverage container, wherein the stopper has an air injection hole and an exhaust ho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n air passage and a whistle having a spa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ir passage. .

또한, 상기 공기주입공은 마개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배기공은 마개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hole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and the exhaust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topper.

아울러, 상기 공기주입공 및 배기공은 마개에 대해 반지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마련된 슬라이딩부재의 외측단부 및 일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hole and the exhaust hole is slidable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u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outer end and one side of the sliding member provided with an air passage therein.

또한, 상기 마개는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하며 유출구를 갖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승강하며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승강부재로 구성된 마개로서, 상기 공기주입공은 승강부재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통로를 통해 공기주입공과 연통하는 배기공은 승강부재의 외주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is a stopper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and having an outlet and a lifting member for lifting up and down the opening and closing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the air injection hol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member and the air reservoir The exhau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jection hole through the furna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elevating member.

또한, 상기 마개는, 하단이 용기에 결합하며 상단에는 유출구를 가지되 유출구의 중심부에는 호각이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호각의 외측부로 유출구가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과 밀착한 상태로 고정부재에 대해 승강운동하며 상기 호각의 외주면을 밀착관통시켜 유출구를 개폐하는 승강부재로 구성된 마개로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승강부재를 하강시켜 유출구를 막음과 동시에 호각의 공기주입공이 승강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container and has an outlet on the upper end of the outlet i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istle is formed in the outlet portion to the outer portion of the whistle, the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 stopper composed of a lifting member which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ember and closes and opens the outlet by passing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ist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with a whis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12)는 용기(10)를 밀폐하는 기본기능을 함과 동시에 호각의 기능을 갖도록 일측 외주면에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공기주입공(22)과, 상기 공기주입공(22)과 내부연결되며 마개(12)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공(14)을 가진다. 또한, 내주면에는 나사산(도 2의 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주입공(22) 및 배기공(14)은 마개(12)의 내부에 마련된 공기통로(도 2의 38)를 통해 연결되어 공지의 호각의 기능을 한다.As shown, the beverage container stopper 12 is provided with a whist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ir injection that can blow air to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have the function of whistle as well as the basic function to seal the container 10 The ball 22 and the air injection hole 22 is connected to the inside and has an exhaust hole 14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topper 12. Further, a screw thread (20 in FIG. 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air injection hole 22 and the exhaust hole 14 are connected through an air passage (38 of FIG. 2) provided in the stopper 12 to function as a known whistle.

상기와 같이 공기주입공(22)이 마개(12)의 외주부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음료수를 마시는 사람은 마개(12)의 측면에 입을 대고 바람을 불어 호각소리를 낸다. 이 때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서 마개(12)를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마개(12)만 손으로 잡아 불 수 도 있고, 마개(12)를 용기에 결합한 상태로 용기(10)를 손잡이 삼아 호각을 불 수 도 있다.Since the air injection hole 22 is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topper 12 as described above, the person who drinks the beverage blows the wind on the side of the stopper 12 to make a whistle. At this time, the stopper 12 may be detached from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only the stopper 12 may be gripped by hand, and the container 10 may be handled with the stopper 12 coupled to the container. You can also blow.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마개(12)의 내주면에는 용기(1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개(12)의 일측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주입공(22)과 마개(1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공(14)은 공기통로(38)에 의해 연통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12 is formed with a thread 20 for engaging with the container 10.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ir injection hole 22 formed in on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topper 12 and the exhaust hole 14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12 are communicated by the air passage 38.

상기 마개(12)의 중앙부 저면은 볼록하게 하부로 만곡되며 내부에는 공간부(18)가 마련된다. 상기 공간부(18)는 공기통로(38)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공간부(18)는 공기통로(38)를 통해 내부로 유입한 공기가 공명을 일으키는 공간으로서 통상의 호루라기에서의 공명부와 같은 기능을 한다.The bottom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opper 12 is convexly curved downward, and a space 18 is provided therein. The space 18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an air passage 38. In addition, the space portion 18 functions as a resonance portion in a normal whistle as a space in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air through the air passage 38 causes resonance.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공간부(18)의 크기를 다르게 제작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ize of the space 18 may be manufactured differently.

결국 상기 공기주입공(22)을 통해 공기를 불면 공기의 일부는 배기공(14)을 통해 직접 빠져나가고 나머지는 공간부(18)로 유동한 후 배기공(14)을 통해 빠져나가며 호각소리를 내는 것이다. 상기 호각소리의 발생원리는 통상의 호각에서와 같다.Eventually, when the air is blown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22, part of the air passes directly through the exhaust hole 14, and the rest flows into the space part 18, and then exits through the exhaust hole 14 to make a whistle sound. To pay. The generation principle of the whistle sound is the same as in the normal whistle.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stopper having a whist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에는, 마개(24)에 대해서 슬라이딩부재(42)가 화살표 a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공기주입부(22) 및 배기공(14)이 상기 슬라이딩부재(42)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everage container with a whist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ing member 42 with respect to the stopper 24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he air injection portion 22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xhaust hole 14 is formed in the sliding member 42.

상기 슬라이딩부재(42)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기통로(도 4의 38)가 마련된 부재로서 마개(24)에 대해서 마개(24)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외측개방부에는 공기주입공(도 5의 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배기공(14)이 형성되어 있다.The sliding member 42 is a member having both ends open and having an air passage (38 in FIG. 4) provided therein, which can mov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topper 24 with respect to the stopper 24, and injects air into the outer open part. A ball (22 in Fig. 5) is formed and an exhaust hole 1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음료용기 마개(24)를 이용하여 호각을 불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딩부재(42)를 마개(24)로부터 인출하여 공기주입공(22)에 바람을 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42)를 마개(24)내로 밀어 넣어 원위치시킨다.Therefore, in order to blow the whistle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stopper 24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ing member 42 is withdrawn from the stopper 24 to blow air into the air injection hole 22 when the sliding member ( 42), slide it into the stopper 24, and return it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의 내부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stopper provided with a whist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같이, 마개(24)를 용기(10)의 밀폐용 마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마개(24)의 내주면에는 나사산(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개(24)의 중앙부에는 공간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18)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As shown, the thread 2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24 so that the stopper 24 can be used as a sealing stopper for the container 10. In addition, a space 18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topper 24. The space portion 18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embodiment.

한편, 상기 마개(24)의 일측 외주부에는 슬라이딩부재(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2)는 공기통로(38)가 구비되어 있는 부재로서 공간부를 향한 단부는 공간부(18)내부 영역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42)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배기공(14)은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딩부재(42)를 화살표 b방향으로 완전히 인출했을 때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부재(42)의 내측단부에는 걸림턱(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6)은 마개(24)로부터 슬라이딩부재(42)가 빠지지 않도록 마련한 스토퍼이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member 42 is provided on one sid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topper 24. The sliding member 42 is a member having an air passage 38, and an end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42 is inserted into an inner region of the space 18. In addition, the exhaust hole 1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42 is position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ing member 42 is fully draw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as shown in FIG. To this end, a locking jaw 26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sliding member 42. The locking jaw 26 is a stopper provided so that the sliding member 42 does not come off from the stopper 24.

결국 슬라이딩부재(42)를 마개(24)로부터 인출하게 되면 공간부(18)의 내부영역에 있던 배기공(14)이 외부로 노출되어 호각소리를 낼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sliding member 42 is pulled out from the stopper 24, the exhaust hole 14 in the inner region of the space 18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make a whistle sound.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stopper having a whist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는 근래에 스포츠음료에 많이 사용되는 형식의 마개에 호각을 구비한 마개이다. 즉, 상기 마개(28)는 용기(10)에 직접 결합하고 상단부에는 유출구(도 7의 40)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36)와, 상기 고정부재(36)의 외주면과 접하며 승강하며 상기 유출구(40)를 개폐하는 승강부재(34)를 갖는 공지의 마개로서, 상기 승강부재(34)에 호각이 구비되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everage container stopper provided with a whist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topper having a whistle in the stopper of the type used in sports drinks in recent years. That is, the stopper 28 is directly coupled to the container 10 and the fixing member 36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let (40 in Fig. 7),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36, the elevating outlet As a known stopper having an elevating member 34 for opening and closing 40, the elevating member 34 is provided with a whistle.

상기 승강부재(34)의 상면에는 공기주입공(32)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배기공(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기주입공(32) 및 배기공(14)은 공기통로(도 7의 38)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34)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통로(38)와 연결되는 공간부(도 7의 18)가 마련되어 있다.An air injection hole 32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34, and an exhaust hole 14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air injection hole 32 and the exhaust hole 14 is connected by an air passage (38 in Fig. 7). In addition, a space portion (18 of FIG. 7)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38 is provided inside the elevating member 34.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의 공기주입공(32)을 통해 공기를 불어넣으면 공기는 공기통로(도 7의 38) 및 공간부(도 7의 18)를 거치면서 공지의 원리에 따라 호각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에서는 마개(12,24)의 외측부로부터 바람을 불게 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마개(28)의 상면으로부터 바람을 불 수 있다.When the air is blown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32 of the beverage container stopper having a whist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ir passes through the air passage (38 in Fig. 7) and the space portion (18 in Fig. 7) You can make a whistle according to the principl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wind is blown from the outer portions of the stoppers 12 and 24,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 may be blown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topper 28.

도 7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everage container stopper provided with a whist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같이, 승강부재(34)의 상면 및 일측 외주면에 공기주입공(32) 및 배기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주입공(32) 및 배기공(14)은 공기통로(38)를 통해 내부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38)는 공간부(18)와도 연결되어 통상의 호각의 구조가 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the air injection hole 32 and the exhaust hole 1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34 and the air injection hole 32 and the exhaust hole 14 is an air passage 38 You can see that it is connected internally. In addition, the air passage 38 is also connected to the space portion 18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of the usual whistle is implemented.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공간부(18)의 크기를 다르게 제작하여 호각으로부터 나오는 소리의 음색을 달리할 수 있도 또한 공기주입공(32) 및 배기공(14)의 개수도 복수개로 제작할 수 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pace 18 may be made different in size, and thus the tone of the sound from the whistle may be different, and the number of the air injection holes 32 and the exhaust holes 14 may also be manufactured in plural numbers.

도 8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의 구성을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container with a whist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개(50)는 상기 제 3실시예에서의 마개(28)와 동일한 동작원리를 갖는다. 즉, 용기(도 6의 10)의 상단에 결합하는 고정부재(36)와, 상기 고정부재(36)의 외주면과 밀착하며 승강가능한 승강부재(44)를 포함하며, 승강부재(44)의 승강에 의해 유출구(40)를 개폐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opp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operation principle as the stopper 28 in the third embodiment. That is, it includes a fixed member 36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0 in Figure 6), and the lifting member 44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36, the lifting member 44, the lifting member 44 The outlet 40 is opened and closed by this.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36)의 내부에 호각(46)이 직접 고정되어 있다. 상기 호각(46)은 원통의 형태를 갖는 공지의 호각으로서 고정부재(36)내부에서 수직으로 위치한다. 이 때 상기 호각(46)의 공기주입공(32)은 고정부재(36)의 상부 선단보다 높다. 따라서 승강부재(44)가 하강하여 유출구(40)를 막으면 호각(46)의 외주면은 승강부재(44)구멍의 내주면과 밀착하며 공기주입공(32)이 외부로 노출된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whistle 46 is directly fixed inside the fixing member 36. The whistle 46 is a known whistle in the form of a cylinder and is located vertically inside the fixing member 36. At this time, the air injection hole 32 of the whistle 46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member (36). Therefore, when the elevating member 44 descends to block the outlet 4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istle 4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44, and the air injection hole 32 is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마개를 사용하여 호각을 불고자 하면 먼저 승강부재(44)를 하강시켜야 한다.Therefore, if you want to blow the whistle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stopp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elevating member 44 must first be lowered.

도면부호 48은 밀봉부재로서 공기주입공(32)를 막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승강부재(44)가 하강하여 유출구(40)를 막았다 하더라도 호각(46)의 내부 공기통로(도 9의 38)를 통해 음료수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밀봉부재(48)로 공기통로를 막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48 is a function of closing the air injection hole 32 as a sealing member. Even though the elevating member 44 is lowered to block the outlet 40, the drinking water may flow out through the internal air passage of the whistle 46 (38 of FIG. 9), thereby blocking the air passage with the sealing member 48. will be.

상기 밀봉부재(48)는 음료수를 다 마신 후 호각(46)을 불 때에 떼어낸다. 즉, 음료수를 다 마신 후 승강부재(44)를 하강시키고 마개(50)를 분리하면 호각을 불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48)는 공기주입공(32)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도록 고무나 합성수지류로 제작하며 공기주입공(32)에 압입한다.The sealing member 48 is detached when the whistle 46 is blown after the drink is finished. That is, after drinking the drink, the elevating member 44 is lowered and the stopper 50 is disconnected and the preparation for blowing the whistle is completed. The sealing member 48 is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so as not to fall out of the air injection hole 32 and press-fits into the air injection hole 32.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48)를 대신하여 비닐필름을 호각(46)의 외주에 둘러 배기공(14)을 막아 음료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도 있다. 상기 비닐필름은 호각으로부터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stead of the sealing member 48, the vinyl film may be surroun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histle 46 to block the exhaust hole 14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beverage. The vinyl film should be easy to peel off from the whistle.

도 9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whist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bov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시한 바와같이, 승강부재(44)가 하부로 하강하여 유출구(40)가 밀폐되고 호각(46)의 공기주입공(32)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태로 승강부재(44)를 입에 물고 바람을 불면 공기는 호각을 통과하며 소리가 나게되는 것이다.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elevating member 44 is lowered to the bottom so that the outlet 40 is sealed and the air injection hole 32 of the whistle 46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state, the air is passed through the whistle and the sound is produced by blowing the wind with the lifting member 44 in the mouth.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음료용기의 마개에 호각을 설치하여 음료수를 마시면서 또는 음료수를 마신 후에 마개를 호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특히 운동경기를 관람하는 관중들이 응원용 보조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응원기구를 사거나 대여할 필요없이 음료용기를 응원용기구로 활용하여 비용을 절약하고 월드컵 등의 국제적인 행사는 물론 모든 경기에서 보다 흥겹고 우렁차게 응원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whistle on the stopper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used as a whistle while drinking or drinking a beverage, in particular, the audience watching sports can be used as an aid for cheer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ve money by using a beverage container as a cheering device without buying or renting a separate cheering device, and to cheer more cheerily and cheerfully at all events as well as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World Cup.

Claims (5)

음료용기를 막는 마개에 있어서,In the stopper to block the beverage container, 상기 마개에는 공기통로(38)를 통해 상호 연통하는 공기주입공(22,32) 및 배기공(14)과 상기 공기통로(38)와 연통하는 공간부(18)를 갖는 호각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whistle having air injection holes 22 and 32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n air passage 38 and an exhaust hole 14 and a space portion 18 communicating with the air passage 38. Beverage container stopper with whist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주입공(22)은 마개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배기공(14)은 마개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The air injection hole 22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and the exhaust hole 14 is provided with a whis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of the stopp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주입공(22) 및 배기공(14)은 마개에 대해 반지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내부에 공기통로(38)가 마련된 슬라이딩부재(42)의 단부 및 일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The air injection hole 22 and the exhaust hole 14 is slidable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opper, the whist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end and one side of the sliding member 42 provided with an air passage 38 therein Drinking container stopper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개는 용기(10)의 상단부에 결합하며 유출구(40)를 갖는 고정부재(36) 및 상기 고정부재(36)에 대해 승강하며 상기 유출구(40)를 개폐하는 승강부재(34)로 구성된 마개로서,The stopper is a stopper consisting of a fixing member 36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0 and having an outlet 40 and an elevating member 34 for elevating the fixing member 36 and lifting and closing the outlet 40. as, 상기 공기주입공(32)은 승강부재(34)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통로(38)를 통해 공기주입공(32)과 연통하는 배기공(14)은 승강부재(34)의 외주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The air injection hole 3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34 and the exhaust hole 14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jection hole 32 through the air passage 38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elevating member 34. Beverage container stopper provided with a whist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개(50)는,The stopper 50, 하단이 용기(10)에 결합하며 상단에는 유출구(40)를 가지되 상기 호각(46)이 유출구(40)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고정부재(36)와, 상기 고정부재(36)의 외주면과 밀착한 상태로 고정부재(36)에 대해 승강운동하며 상기 호각(46)의 외주면을 밀착관통시켜 유출구(40)를 개폐하는 승강부재(44)로 구성된 마개(50)로서, 상기 고정부재(36)에 대해 승강부재(44)를 하강시켜 유출구(40)를 막음과 동시에 호각(46)의 공기주입공(32)이 승강부재(4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각이 구비된 음료용기 마개.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container 10 and has an outlet 40 at the upper end, wherein the whistle 46 is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let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xing member 36, As a stopper 50 consisting of a lifting member 4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40 by closely moving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istle 46 and the lifting member 44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fixing member Whist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member 44 is lowered relative to the 36 to block the outlet 40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injection hole 32 of the whistle 46 is projec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member 44 Drinking container stopper provided.
KR2020000025052U 2000-09-04 2000-09-04 Beverage bottle cap having whistle KR20021377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052U KR200213772Y1 (en) 2000-09-04 2000-09-04 Beverage bottle cap having whis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052U KR200213772Y1 (en) 2000-09-04 2000-09-04 Beverage bottle cap having whist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772Y1 true KR200213772Y1 (en) 2001-02-15

Family

ID=7308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052U KR200213772Y1 (en) 2000-09-04 2000-09-04 Beverage bottle cap having whis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77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74Y1 (en) 2011-04-28 2011-10-20 문명제 A portable storage courage which prevents the safety accid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74Y1 (en) 2011-04-28 2011-10-20 문명제 A portable storage courage which prevents the safety accid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64396U (en) Sealing cover of beverage container
KR0122190Y1 (en) Receptacle of carbonic acid drink sort
JPS62182059A (en) Cover for vessel
US4589577A (en) Dispenser closure
CA2428923C (en) Vented closure
KR20120030671A (en) Straw assembly
CN100384698C (en) Closure assembly with valve
KR200213772Y1 (en) Beverage bottle cap having whistle
ES2184423T3 (en) HYBRID CONTAINER FOR DRINKS.
KR101174388B1 (en) Liquid case for having for preventing inflow of air
US20020074366A1 (en) Vented fluid container closure
ATE252496T1 (en) DRINK CONTAINERS
CN110182460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anti-false bottle
CN207580485U (en) Pull the antitheft to-go box of button
CN107697450A (en) Champagne bottle cork
CN205972360U (en) Novel bottle cap
CN2931340Y (en) Anti-counterfeiting and anti-refilling wine bottle cap
CN219940269U (en) Top flip type cup cover with whistle
CN211495177U (en) Novel combined bottle cap structure
KR101986742B1 (en) Air injector for rubber balloon
KR200331138Y1 (en) A drink bottle
KR200301401Y1 (en) An entrance of bottle and a bottle cap for beverage
KR20030031060A (en) Spout structure for beverages to extend upper edge of straw by folding part
JP2002104470A (en) Plug member for beverage container
US844727A (en) Non-refillable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