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983Y1 - 열교환 유니트 - Google Patents

열교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983Y1
KR200212983Y1 KR2020000025308U KR20000025308U KR200212983Y1 KR 200212983 Y1 KR200212983 Y1 KR 200212983Y1 KR 2020000025308 U KR2020000025308 U KR 2020000025308U KR 20000025308 U KR20000025308 U KR 20000025308U KR 200212983 Y1 KR200212983 Y1 KR 200212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exchange unit
aluminum thin
ai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탁
Original Assignee
이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탁 filed Critical 이상탁
Priority to KR2020000025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9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983Y1/ko

Links

Landscapes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교환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 외 공기의 환기에 따른 열교환 유니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열 교환 면적을 최대한 넓히면서 공기 통과공간의 높이를 최대한 작게 하여 열 교환 효율이 우수하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열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회수하여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열교환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열교환 유니트를 구축함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유니트(200)는 마름모꼴 형상의 상부판(300)과 하부판(400) 사이에 다수의 마름모꼴알루미늄 박판(210)이 변 방향으로 공기흐름공간(270)을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이 교차되도록 교번적으로 일정 높이 적층되어 외부 이탈이 없도록 네꼭지점 부분에 각각의 지지프레임(350)이 상기 상부판(300)과 하부판(400)의 사이에 고정나사(450)로 나사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알루미늄 박판(210)은 네꼭지점에 절단홈(220)이 형성되어 변과 변이 대향하여 상향절곡단(230,230)과 하향절곡단(240,240)이 형성되고, 상기 상향절곡단(230,230)과 평행하여 길게 일정간격 이격된 라인형 엠보싱돌기(250)가 돌출 되고 상기 각 절단홈(220)의 중심을 잇는 대각선에서 상기 하향절곡단(240,240)측에 편심되어 반구형 엠보싱돌기(260)가 각각 돌출 구성되어서,
각각의 상기 알루미늄 박판(210)이 상기 라인형 엠보싱돌기(250)가 직교된 상태로 최하단 알루미늄 박판(210)의 상기 대향된 상향절곡단(230,230)이 2번째 적층되는 알루미늄박판(210)의 하향절곡단(240,240)을 감싸 상향절곡으로 결합되고, 다시 상기 2번째 알루미늄박판(210)의 상향절곡단(230,230)에 세 번째 적층되는 알루미늄박판(210)의 하향절곡단(240,240)을 감싸 상향절곡으로 적층되는 순차적인 조립으로 일정의 높이로 적층되면서 상기 라인형 엠보싱돌기(250)와 반구형 엠보싱돌기(260)에 의해 공기흐름공간(270)을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이 교번적으로 교차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니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종래의 역교환 유니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인 열 교환에 의한 폐열회수로 에너지 절감이 극대화 효과가 있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교환 유니트{HEAT EXCHANGE UNIT}
본 고안은 열교환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외 공기의 환기에 따른 열교환 유니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열 교환 면적을 최대한 넓히면서 공기 통과공간의 높이를 최대한 작게 하여 열 교환 효율이 우수하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열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회수하여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열교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문제의 대두됨에 따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각종의 에너지 절약 기능의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절약 장치의 대표적인 것이 상호간의 기온 차를 갖는 공기나물을 교차시키면서 이러한 교차에 의한 폐열을 재활용하는 것이 주지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건물내의 환기를 위해 환기되는 실내공기가 갖고 있는 열(난방열, 냉방열)을 새로이 인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시켜 인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예열하여 올리거나 또는 내림으로서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이나 난방기구의 에너지 소모를 최대한 적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열교환 유니트의 구조는 열 교환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한 구조를 갖지 못하고 있다.
즉, 열 교환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매체의 열 교환 면적이 넓어야 하고, 동시에 짧은 시간에 신속한 열 교환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열 교환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는 장치 크기가 비대해져서 소형화기 어렵고, 열 교환 매체의 공기 통과공간의 높이가 커서 교차되는 공기 상호간 신속한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장치 크기면 이나 열 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열 교환 매체인 열 교환 유니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열 교환 면적을 최대한 넓히면서 공기 통과공간의 높이를 최대한 작게 하여 열 교환 효율이 우수하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열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열교환 유니트를 구축함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유니트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공기의 인입과 인출이 교번적으로 되게 마름모꼴 형상 알루미늄 박판을 다수 적층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열 회수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부재인 알루미늄 박판의 조립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F'부 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G'부 발췌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열 교환 유니트 210 : 알루미늄 박판
220 : 절단홈 230 : 상향절곡단
240 : 하향절곡단 250 : 라인형 엠보싱돌기
260 : 반구형 엠보싱돌기 270 : 공기흐름공간
300 : 상부판 350 : 지지프레임
400 : 하부판 450 : 고정나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 교환유니트(200)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마름모꼴 형상의 상부판(300)과 하부판(400) 사이에 다수의 마름모꼴 알루미늄 박판(201)이 변 방향으로 공기흐름공간(270)을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이 교차되도록 교번적으로 일정 높이 적층되어 외부 이탈이 없도록 네꼭지점 부분에 각각의 지지프레임(350)이 상기 상부판(300)과 하부판(400)의 사이에 고정나사(450)로 나사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알루미늄 박판(210)은 네꼭지점에 절단홈(220)이 형성되어 변과 변이 대향하여 상향절곡단(230,230)과 하향절곡단(240,240)이 형성되고, 상기 상향절곡단(230,230)과 평행하여 길게 일정간격 이격된 라인형 엠보싱돌기(250)가 돌출 되고 상기 각 절단홈(220)의 중심을 잇는 대각선에서 상기 하향절곡단(240,240)측에 편심되어 반구형 엠보싱돌기(260)가 각각 돌출 구성되되, 각각의 상기 알루미늄 박판(210)이 상기 라인형 엠보싱돌기(250)가 직교된 상태로 최하단 알루미늄 박판(210)의 상기 대향된 상향절곡단(230,230)이 2번째 적층되는 알루미늄박판(210)의 하향절곡단(240,240)을 감싸 상향절곡으로 결합되고, 다시 상기 2번째 알루미늄박판(210)의 상향절곡단(230,230)에 세 번째 적층되는 알루미늄박판(210)의 하향절곡단(240,240)을 감싸 상향절곡으로 적층되는 순차적인 조립으로 일정의 높이로 적층되면서 상기 라인형 엠보싱돌기(250)와 반구형 엠보싱돌기(260)에 의해 공기흐름공간(270)을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이 교번적으로 교차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상기 열 교환 유니트(200)는 상기 알루미늄박판(210)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이루어서 상기 공기흐름공간(270)을 통과하는 길이가 길게 되어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고, 또한 상기 라인형 엠보싱돌기(250)와 반구형 엠보싱돌기(260)에 의하여 그 높이가 매우 좁게 형성되어 직교 상으로 인입과 인출되는 공기 상호간의 열 교환이 매우 빨라 효율이 극대화된다.
이러한 본고안의 열교환 유니트(200)은 상호 기온이 다른 공기가 교차로 상기 공기흐름공간(270)을 통하여 인입과 인출이 이루어지면서 상호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져 인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의 폐열을 회수하여 효과적인 열 교환으로 열을 회수하여 에어컨과 같은 냉방기구나 난방기구의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역교환 유니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인 열 교환에 의한 폐열회수로 에너지 절감이 극대화 효과가 있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열교환 유니트를 구축함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유니트(200)는 마름모꼴 형상의 상부판(300)과 하부판(400) 사이에 다수의 마름모꼴 알루미늄 박판(210)이 변 방향으로 공기흐름공간(270)을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이 교차되도록 교번적으로 일정 높이 적층되어 외부 이탈이 없도록 네꼭지점 부분에 각각의 지지프레임(350)이 상기 상부판(300)과 하부판(400)의 사이에 고정나사(450)로 나사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알루미늄 박판(210)은 네꼭지점에 절단홈(220)이 형성되어 변과 변이 대향하여 상향절곡단(230,230)과 하향절곡단(240,240)이 형성되고, 상기 상향절곡단(230,230)과 평행하여 길게 일정간격 이격된 라인형 엠보싱돌기(250)가 돌출 되고 상기 각 절단홈(220)의 중심을 잇는 대각선에서 상기 하향절곡단(240,240)측에 편심되어 반구형 엠보싱돌기(260)가 각각 돌출 구성되어서,
    각각의 상기 알루미늄 박판(210)이 상기 라인형 엠보싱돌기(250)가 직교된 상태로 최하단 알루미늄 박판(210)의 상기 대향된 상향절곡단(230,230)이 2번째 적층되는 알루미늄박판(210)의 하향절곡단(240,240)을 감싸 상향절곡으로 결합되고, 다시 상기 2번째 알루미늄박판(210)의 상향절곡단(230,230)에 세 번째 적층되는 알루미늄박판(210)의 하향절곡단(240,240)을 감싸 상향절곡으로 적층되는 순차적인 조립으로 일정의 높이로 적층되면서 상기 라인형 엠보싱돌기(250)와 반구형 엠보싱돌기(260)에 의해 공기흐름공간(270)을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이 교번적으로 교차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니트.
KR2020000025308U 2000-09-05 2000-09-05 열교환 유니트 KR200212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308U KR200212983Y1 (ko) 2000-09-05 2000-09-05 열교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308U KR200212983Y1 (ko) 2000-09-05 2000-09-05 열교환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983Y1 true KR200212983Y1 (ko) 2001-02-15

Family

ID=7308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308U KR200212983Y1 (ko) 2000-09-05 2000-09-05 열교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9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67B1 (ko) * 2001-05-18 2004-03-24 김경열 열회수장치
KR101193079B1 (ko) * 2012-05-01 2012-10-22 이상래 유체를 활용한 냉각/온열 판넬 제조방법
CN110567299A (zh) * 2019-08-23 2019-12-13 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第六十研究所 原表面回热器换热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67B1 (ko) * 2001-05-18 2004-03-24 김경열 열회수장치
KR101193079B1 (ko) * 2012-05-01 2012-10-22 이상래 유체를 활용한 냉각/온열 판넬 제조방법
CN110567299A (zh) * 2019-08-23 2019-12-13 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第六十研究所 原表面回热器换热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7863B2 (ja) 対向流型熱交換器
JPH09152292A (ja) 熱交換素子
KR200212983Y1 (ko) 열교환 유니트
US10451352B2 (en) Micro-channel heat exchanger
KR200403611Y1 (ko) 한지를 이용한 판형 열교환기
KR20090004796A (ko) 전열교환기 및 전열교환기의 제조방법
KR200247535Y1 (ko) 열회수장치
KR101368309B1 (ko)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KR200255172Y1 (ko) 공기용 직교류 열교환기
JPH0534089A (ja) 熱交換エレメント
KR100424367B1 (ko) 열회수장치
WO2017212872A1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KR200274469Y1 (ko) 공기조화기의 판형열교환기용 열교환판 적층구조
KR20180115853A (ko) 열회수용 플라스틱 열교환기
KR20170124794A (ko) 하이브리드 이코노마이저 열교환기
JPH03129270A (ja) 積層型蒸発器
KR200255179Y1 (ko) 공기용 대향류 열교환기
KR100824333B1 (ko) 열교환 시스템
CN218821814U (zh) 一种带有叠加式结构的换热器
KR200343227Y1 (ko)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CN216347988U (zh) 一种多隔板换热面积可调型板式换热器
CN213984710U (zh) 一种板式换热器的换热板片
KR20090001373A (ko) 전열교환기 및 전열교환기의 제조방법
WO2024053082A1 (ja) 熱交換素子および熱交換換気装置
KR200305350Y1 (ko) 배기열 회수용 플라스틱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