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941Y1 - Memo paper case - Google Patents

Memo paper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941Y1
KR200212941Y1 KR2020000023543U KR20000023543U KR200212941Y1 KR 200212941 Y1 KR200212941 Y1 KR 200212941Y1 KR 2020000023543 U KR2020000023543 U KR 2020000023543U KR 20000023543 U KR20000023543 U KR 20000023543U KR 200212941 Y1 KR200212941 Y1 KR 200212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beads
inner space
case
lau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54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원
Original Assignee
이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원 filed Critical 이영원
Priority to KR2020000023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94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941Y1/en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본 고안은 메모지 꽂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동이 자유로운 구슬이 케이스의 수납부에 일측으로 치우치게 중심점을 갖도록 하여 메모지의 고정을 위한 끼움과 빼냄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o stand, and in particular, the freely moving beads have a center point bias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of the case to facilitat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memo.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종래에 이러한 기능의 메모꽂이는 자중에 의하여 하향되어지도록 로라가 꽂이 몸체의 내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내공간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하여 로라가 내공간의 입구를 막게 됨으로 내공간의 입구로 진입된 메모지는 로라의 하중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메모지를 물고 있게 됨으로 고정토록 하였던 것이나 이러한 고정이 너무 견고하게 됨으로 메모지를 제거할 경우에 쉽게 제거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이러한 메모꽂이는 메모지를 밑에서 꽂도록 됨으로 책상에 놓여진 상태로는 사용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Conventionally, the memo rack of such a function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so that Laura i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inner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space is wider and the lower portion is narrow, Laura blocks the entrance of the inner space to the entrance of the inner space The memo paper entered into was naturally fixed due to the load of Laura, and this was fixed so much that it was too hard to remove it when the memo was removed. Since it is plugged in from the bottom, it can not be used when placed on a desk.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The gist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홀더몸체가 책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구슬이 몸체의 내공간에서 전후좌우로 유동이 가능토록 하면서도 구슬의 무게 중심이 일측의 한점에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In the state where the holder body is placed on the desk, the beads can be mov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body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hil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ead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메모지 꽂이Note pad

Description

메모지 꽂이{Memo paper case}Memo stand {Memo paper case}

본 고안은 각종 타자 원고나 메모지를 보다 간편하게 끼우거나 분리 할 수 있도록 한 메모지 꽂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상 등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면서 구슬에 의한 메모지의 고정과 제거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o rack for easily inserting or detaching various types of manuscript manuscripts or memo papers, and in particular, it is easy to fix and remove memo papers by using beads while being placed on a desk.

일반적으로, 전화번호나 약속 내용 등이 필기되어진 메모지나 타자 원고 등을 책상 위나 실내에 방치하게 되면 분실의 우려가 있으며, 필요한 때에 찾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if a memo or other type of manuscript written on a telephone number or appointment contents is left on a desk or indoors, there is a risk of los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it when necessary.

이를 위해 일면이 개방된 일정 규격 이하의 메모지 만을 수납하는 메모지 보관함을 이용하거나 클립을 이용하거나 또는 핀이나 자석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면이나 칸막이 등 부착 가능한 곳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To this end, it was used by attaching it to an attachable place such as a wall or a partition by using a paper storage box for storing only papers of a certain size or less on one side or using a clip or using a fixture such as a pin or a magnet.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법들은 일반 용지를 이용할 경우 일정한 규격 이하로 절단하여야 하거나, 가벼운 접촉이나 외풍이 있게되면 손쉽게 보관함 내에서 이탈됨으로 분실의 우려가 높았고, 클립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메모지의 규격에 따른 제한은 없으나 신규한 메모지를 끼우려고 하거나 종래의 메모지를 빼내려고 하면 반드시 양손을 사용하여야 간직된 메모지가 흩어지거나 이탈됨을 막을 수 있으며, 핀 또는 자석 등의 고정구는 별도의 판을 필요로 하거나 벽체의 손상을 주게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methods have to be cut to a certain size or less when using plain paper, or if there is light contact or draft, they are easily removed from the storage box, and the risk of loss is high. However, if you try to insert a new memo or take out a conventional memo, you must use both hands to prevent the memo from being scattered or detached, and the fixtures such as pins or magnets require a separate plate or There was a drawback to damage.

이로 인해 근래에는 자중에 의하여 하향되어지도록 로라가 꽂이 몸체의 내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내공간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하여 로라가 내공간의 입구를 막게 됨으로 내공간의 입구로 진입된 메모지는 로라의 하중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메모지를 물고 있게 되어 고정토록 하였던 것이나, 이러한 고정은 메모지의 제거가 하방으로 당기면서 제거하게 됨으로 이때 로라의 하중에 의한 입구의 막힘에 의하여 메모지를 제거할 경우에 쉽게 제거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이러한 메모꽂이는 메모지를 밑에서 꽂도록 됨으로 책상에 놓여진 상태로는 사용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Due to this, in recent years,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is wide and the lower part is narrowly formed in the state in which Laura is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ack body so that it is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The paper is naturally fixed by the load of the roller, so that the paper is fixed. However, the fixing is removed by pulling the paper downward. When the paper is removed by the blockage of the entrance due to the load of the roller, the paper is easily remove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removed, and also has a disadvantage that such a memo stand to be put on the desk because it is to be inserted under the not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홀더몸체가 책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구슬이 몸체의 내공간에서 전후좌우로 유동이 가능토록 하면서도 구슬의 무게 중심이 일측의 어느 한 점에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o that the beads can be moved back, forth, left and right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while the holder body is placed on the desk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eads is at one point on one side. This solves the conventional problem.

도 1은 본 고안의 메모지꽂이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mo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횡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케이스 12 : 받침돌기10 case 12 support base

20 : 구슬 30 : 삽입물20: Bead 30: Inse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메모지 꽂이는, 상부와 좌우측면이 개방된 케이스 내에서 만곡되어진 내공간에 유동되어지는 구슬이 수납되어지는 구성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mo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 bead flowing in an inner space that is curved in an uppe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지 꽂이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메모지 꽂이는 케이스(10)와 구슬(20)로 구성된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memo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emo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ase 10 and a bead 2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는 상기 구슬(20)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간의 상부면와 양측면은 메모지 등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개방된 삽입구가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은 소정의 높이로 입상되며 하부면 내측으로는 개재되는 구슬(20)이 일면으로 치우치게 하고 상기 케이스(10) 내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유동저항이 작아지게하여 그 유동이 손쉽게 하는 선상의 모서리를 갖는 받침돌기(12)가 형성되어 진다.The interior of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beads 20 can flow.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space is formed with an insertion opening that is open so that the memo, etc. can be fitted, the front and rear are granular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bead 20 interposed inside the lower surface is biased to one side and the A support protrusion 12 having a linear edge is formed to reduce the contact area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 so that the flow resistance is reduced and the flow is easy.

상기 구슬(20)은 상기 케이스(10) 상부로 형성된 삽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마련된 공간으로 개재되며, 케이스(10) 하단부에 형성된 받침돌기(12)위로 무게 중심이 벗어난 채 얹혀지고 벗어난 무게 중심에 의해 일면으로 치우쳐 진다.The bead 20 is interposed into a space provided inside through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and is placed on the support protrusion 12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case 10 with the center of gravity off and by the center of gravity removed. It is biased to one side.

이 때 개재되는 구슬(20)이 치우쳐 접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을 각각 종축과 횡축을 중심으로 양단이 내면을 향하도록 만곡시키면 개방된 삽입구로 구슬(10)이 이탈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만곡된 양면 중 일면의 상단이 벌어지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부여하면 구슬(10)의 최초 삽입이 수월하고 끼워진 메모지 등에 열람이 편안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bead 20 is bent to face the side facing the biased and facing the center and the horizontal axis, respectively, with both ends toward the inner surface can prevent the bead (10) is separated by the insertion opening. If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s given so that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curved both sides is opened, the initial insertion of the beads 10 is facilitated, and the reading is easy to insert into a memo pad and the like.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입상된 전면 또는 후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평형된 받침대를 부착하면 메모지 꽂이는 견고히 서 있을 수 있고, 양면 점착제를 부착하여 벽체 등에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the attached front or rear of the case 10 is a certain distance apart and equilibrated pedestal attached to the memo stand can be firmly standing, may be attached to the wall by attaching a double-sided adhesiv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메모지 꽂이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use of the memo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메모지 등의 삽입물(30)을 파지하고 개방된 삽입구로 밀어 넣으면 삽입물(30)의 끝단은 개재된 구슬(20)의 곡면을 따라 기울기를 가지는 일면과 상기 구슬(20) 사이로 끼워지게 되고 끼워지는 삽입물(30)에 의해 상기 구슬(20)은 타면으로 유동된다. 이 때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상기 구슬(20)은 최초의 위치로 복원하려 하고 그 복원력에 의해 끼워진 메모지 등의 삽입물(30)은 고정되어진다.As shown in FIG. 2, when a user grips an insert 30 such as a note paper and pushes it into an open insertion hole, one end of the insert 30 has a slope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interposed beads 20 and the beads 20. The beads 20 are flowed to the other surface by the insert 30 to be inserted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beads 20 try to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 by gravity acting when the user releases the hand, and the insert 30 such as a memo sheet inserted by the restoring force is fixed.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메모지 꽂이의 만곡되어 볼록해진 외면으로 광고 문안이나 홍보용 문구 등을 인쇄하여 메모지 등의 삽입물(30) 보관 기능과 광고 또는 홍보용으로 배포될 수도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dvertising paper or promotional text may be printed on the curved and convex surface of the memo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sert 30 may be distributed as a memo storage function and advertisement or publicity.

본 고안의 메모지 꽂이에 따르면, 구슬에 작용하는 중력에 따른 복원력에 의하여 끼워진 메모지 등의 삽입물을 견고하게 간직함으로 한 손만으로도 손쉽게 끼워 넣거나 빼낼 수 있어 메모지 정리에 따르는 업무 공백을 줄일 수 있고, 사용되는 메모 용지의 규격에 구애됨이 없으므로 전단지 및 이면지를 메모 용지로 활용함으로서 물자 절약 효과도 거둘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mo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 pad inserted by the resilience force due to gravity acting on the bead is firmly retained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or removed with only one hand, thereby reducing the work space cau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memo. Since the memo paper is not bound by the standard, leaflet and backing paper can be used as memo paper to save material.

Claims (3)

메모지 등의 삽입물을 보관하기 위한 메모지 꽂이에 있어서, 구슬 및 상기 구슬이 개재되어 유동되는 공간과 상부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삽입구와 각각이 소정의 높이로 입상된 전면과 후면 및 하부면 내측에 형성된 받침돌기를 포함하는 케이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꽂이.In a memo pad for storing inserts, such as a memo paper, a space in which beads and the beads are interposed, and an insertion hole in which upper and both sides are opened, and formed inside the front, rear, and bottom surfaces each of which is granular at a predetermined height. Memo ra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ase containing a support proj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은 각각 종축과 횡축을 중심으로 양단이 내면을 향하도록 만곡되고, 전면 또는 후면이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꽂이.The memo p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are curved at both ends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axis and the horizontal axis, respectively, and the front or rear surface thereof is inclined at a constant inclina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후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고 평형된 받침대가 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꽂이.The memo pa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edestal which is spaced apart and equilibrated a predetermined distance is attached to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case.
KR2020000023543U 2000-08-19 2000-08-19 Memo paper case KR20021294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543U KR200212941Y1 (en) 2000-08-19 2000-08-19 Memo paper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543U KR200212941Y1 (en) 2000-08-19 2000-08-19 Memo paper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941Y1 true KR200212941Y1 (en) 2001-02-15

Family

ID=7308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543U KR200212941Y1 (en) 2000-08-19 2000-08-19 Memo paper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94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518B1 (en) Holder for sheet material
US6398178B1 (en) Organizational device
US5910351A (en) Multi-purpose hook
US6880747B1 (en) Document case with expanding and fixed sections
US20150154891A1 (en) Whiteboard With A Unique Attaching/Looping Device
EP0988989A2 (en) A sheet stand
US20050017149A1 (en) Paper holder structure
KR200212941Y1 (en) Memo paper case
KR200380413Y1 (en) Document case
KR100693763B1 (en) A poster hold equipment
KR100956117B1 (en) Name card case
KR200319633Y1 (en) Versatile calendar
CN212046694U (en) Drawing board and be configured with drawing board of drawing pen
KR200374630Y1 (en) Leaflet receiver
KR200284182Y1 (en) reading desk deedbox office supplies desorb accrete
KR200240453Y1 (en) paper holder
KR200303936Y1 (en) holder with magnet
KR200355297Y1 (en) Copy holder
WO2011022456A2 (en) Pad hanger
KR100469893B1 (en) holder with magnet
KR200274448Y1 (en) Advertisement custody holder
KR200296339Y1 (en) Attaching type memo keeper
US20050236341A1 (en) Desk type bookshelf
KR200193710Y1 (en) The portable cd holder
KR101635424B1 (en) Board for a desk calend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