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713Y1 - 세미기(洗米機) - Google Patents

세미기(洗米機)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713Y1
KR200212713Y1 KR2020000025498U KR20000025498U KR200212713Y1 KR 200212713 Y1 KR200212713 Y1 KR 200212713Y1 KR 2020000025498 U KR2020000025498 U KR 2020000025498U KR 20000025498 U KR20000025498 U KR 20000025498U KR 200212713 Y1 KR200212713 Y1 KR 200212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shing tank
washing
suction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호
Original Assignee
박준호
김종기
류춘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호, 김종기, 류춘발 filed Critical 박준호
Priority to KR2020000025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713Y1/ko

Links

Landscapes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 업소의 주방에서 취사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세미기에 관한 것으로서, 설정된 정량의 쌀을 자동으로 세척조에 투입하여 세척과 헹굼을 행하고 보다 고르고 빠르게 밥이 지어 지도록 일정시간동안 불림 한 후 밥솥에 투입하여주는 전자동 세미기로서 상기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행하도록 한 세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미기(洗米機){the device to wash rice}
본 고안은 밥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짓기 위하여 쌀을 세척하여주는 세미기 (洗米機)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고안과 같은 목적의 세미기가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들의 공통적인 기능은 쌀뿐만 아니라 통상의 과일도 씻을 수 있는 별도의 세척장치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다루어지는 쌀을 전문으로 세척하기 위한 세미기의 개발이 요구되었으며 근래에 들어 전용의 세미기가 개발되어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종래 세미기는 대용량의 쌀을 세척하는 탁월한 기능에 반하여 대부분 독립된 형태를 이루어 쌀을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쌀통에서 쌀을 인출하여 상기 세미기에 투입시켜 세척을 행하고 세척이 완료된 쌀은 사용자가 다시 도구를 이용하여 밥솥에 옮겨야 되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밥을 지을 때 대량의 쌀을 한번에 짓는 경우가 많은데 그 세척된 쌀의 분량을 원하는 량으로 밥을 짓기에는 매우 불편한 단점으로 인하여 밥이 남거나 또는 모자라게 지어 낭비되는 쌀이 많았으며 또한, 밥짓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밥을 짓기 위한 쌀의 공급시 설정한 정량을 자동으로 세척하여 밥솥에 투입하여주는 장치를 부가한 세미기를 제공하는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표현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쌀을 흡입하는 과정도,
도 4는 세미과정,
도 5는 배수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체 2 ; 솥선반
10a ; 쌀통 10 ; 계량장치
11 ; 계량받이 12 ; 흡입공급관
13 ; 정량투입구 20 ; 세척조
21 ; 급수관 23 ; 급수구
25 ; 교반장치 26 ; 교반모터
27 ; 밸브모터 30 ; 세척장치
31 ; 흡입박스 31a ; 흡입로
32 ; 흡입관 33 ; 흡입펌프
41 ; 필터 42 ; 배수밸브
43 ; 배수구 44 ; 배수솔레노이드
47 ; 배수호스 100 ; 밥솥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척대상의 쌀을 공급하는 수단과 그 공급되는 쌀의 량을 계량하는 수단 및 계량된 쌀을 세척조로 투입하는 수단과 세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표현한 단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측면도로서, 밥솥(100)을 올려놓는 솥선반(2)이 선반레일(3)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쌀통(10a)을 구비함과 아울러 하측에는 계량장치(10)를 설치한 계량받이(11)가 있고 이와 연계되는 흡입공급관(12)을 부설한 기체(1)가 하부에 형성되고 기체(1)의 후방 상측으로 연장된 기둥(1a)에는 세척조(20)를 설치하였다.
상기 세척조(20)의 상부에는 교반모터(26)와 밸브모터(27)로 이루어진 세척장치(30)가 있으며 상기 교반모터(26)는 세척조(2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교반장치(25)를 구동하게 되어 있고 밸브모터(27)는 교반장치(25)를 관통하여 세척조(20)의 하부 말단에 형성된 투입구(20a)를 개폐하는 투입밸브(46)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흡입공급관(12)의 끝단은 상기 세척조(20)의 상부에 천공된 정량투입구(13)와 연결되어 있으며, 근처에는 급수량전자밸브(22)를 중간에 설치한 급수관(21)을 연결하는 급수구(23)가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척조(20)의 상부 측벽에는 흡입로(31a)를 천공 형성하고 연이어 끝단에 흡입박스(31)를 설치하며, 이 흡입박스(31)에는 흡입펌프(33)의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관(32)을 연결하는 흡입구(32A)를 형성하며 하측에는 리턴관(34A)을 설치하여 배수밸브함(40)의 체크밸브(34B)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밸브함(40)은 배면에 설치된 배수솔레노이드(44)에 의하여 작동되는 배수밸브(42)를 설치한 배수로(40a)가 세척조(20)의 하부측벽을 관통하여 연결하였으며 하측에는 배수호스(47)가 연결된 배수구(43)가 있으며 상측에는 상기 리턴호스(34)와 연결된 체크밸브(34b)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의 세미기(1)로서, 미 설명부호 '100'은 밥솥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가장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측에는 세미장치들이 있고 하측에는 쌀을 공급하는 쌀통이 놓여 있으며, 그 들 중간에는 밥을 짓는 밥솥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을 갖도록 하는 목적은 쌀의 원활한 공급과 공급된 쌀을 세척 한 후 밥솥에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건조된 쌀의 이송에 있어서는 그 이송장치의 물리적 에너지의 효율을 감안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이송이 가능한 것에 반하여 세척에 의하여 습한 쌀을 이송하는 경우에는 매우 난해한 문제가 야기됨으로 특수한 장치 예컨대 컨베어 또는 버켓을 이용하여야 되는 장치의 대형화가 이루어진다.
이는 세척수에 의하여 불려지기도 하지만 수분을 함유한 쌀의 무게가 상승하고 서로 응결력이 발생함으로 이송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송이 용이한 건조된 쌀은 하측에 저장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세척조(20)에 공급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세척이 끝난 습한 쌀은 자중에 의하여 세척조(20)로부터 하측에 놓여 있는 밥솥(100)에 투입되도록 하면 습한 쌀의 이송은 간단히 해결되는 것이다.
이하, 전체의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기체(1)는 비교적 견고한 상자 형상이며 하부에는 이동케스터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는 개방된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기체(1)의 상부에는 양측면에 선반레일(3)을 설치하고 이를 따라 왕복되는 솥선반(2)을 부설한다.
상기와 같은 솥선반(2)은 기체(1)의 상부에 올려지는 밥솥(100)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기체(1)의 내부에는 하부가 경사진 깔때기 형상의 쌀통(10a)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쌀통(10a)의 하부 꼭지 부위에는 계량장치(10)를 설치함과 아울러 계량받이(11)를 일체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계량장치(10)는 상부의 쌀통(10a)에 저장된 쌀을 일정한 분량씩 계량받이(11)에 투하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투하된 쌀은 세척조(20)로 이송되게 되는데 이의 작용은 흡입펌프(33)를 구동시키면 흡입관(32)으로 연결된 흡입박스(31)의 흡입로(31a)를 통하여 세척조(2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게 된다.
이때, 세척조(20)의 하부에 부설된 투입밸브(46)와 배수로(40a)의 배수밸브(42)는 닫혀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 세척조(20)로 유입되는 통로는 오직 흡입공급관(12) 만이 유일하다.
따라서 흡입펌프(33)의 구동은 결과 적으로 흡입공급관(12)의 끝단이 위치하는 계량받이(11)에 투하된 쌀을 흡입하여 세척조(20)로 이송시키는 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세척조(20)에 쌀이 이송되면 상기 흡입펌프(33)의 구동은 중지하고 연이어 급수량전자밸브(22)가 구동되어 급수관(21)에 인입 되어 있는 수돗물을 급수구(23)를 통하여 세척조(20)에 공급한다.
이때 급수량전자밸브(22)는 급수되는 수돗물의 급수량을 검출하여 설정된 량만을 공급하고는 바로 단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쌀이 이송되어 있는 상태에서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장치(30)의 교반모터(26)가 구동되어 체인으로 연결된 교반장치(25)를 회전시키면 물에 잠겨있는 쌀을 일정시간동안 교반 함으로서 세척하게 되며 그 세척시간동안 약간 의 불림 작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세미기는 쌀을 세척 후에 세척조를 세척할 필요도 없으나, 특별히 세척조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동조절부에 의하여 급수 벨브를 열어
물을 투입후 교반장치를 가동함에 더욱더 깨끗한 세척을 할 수 있다.
다음, 세척이 완료되면 배수밸브함(40)의 외측 배면에 설치된 배수솔레노이드(44)가 작동되어 내부의 배수밸브(42)를 개방하면 세척된 쌀은 배수로(40a)의 선단에 설치한 필터(41)에 의하여 걸러지고 쌀을 세척한 쌀뜨물만이 배수로(40a)를 통과하여 배수구(43)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호스(47)를 따라 배출되게 되며, 이러한 세척과정은 통상 2~3회를 행하여 쌀에 포함된 유해 물질들을 제거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세척과 배수가 완료되면 마지막 헹굼을 세척조에 가두어두고 소정의 일정시간 동안을 유지시키면 쌀은 보다 많은 수분을 함유하게 되면서 불림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불림 작용은 대량의 쌀로 밥을 지을 때 발생되는 설익힘, 또는 고르게 익혀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불림이 완료되면 밸브모터(27)가 작동되면서 하부의 로드로 연결된 세척조(20)하측의 투입밸브(46)를 열어 줌으로서 세척조(20)내부에 있던 쌀을 밥솥(100)에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밥솥(100)의 뚜껑을 닫은 후 취사를 행하면 밥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지을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세척작용은 여러 개의 밥솥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밥을 지을 때 용이한 것으로서 세척이 계속 진행되는 동안 새로운 밥솥은 솥선반(2)위에 올려놓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세미기는 사람의 손이 거의 가지않고 전자동화되어 자동제어되는 세미기이다.
이 자동제어부는 기체내에 구성되어 상기에 기재된 모든 작동상황을 제어하며 특별히 하기와 같이 작용한다.
즉 우선 본 세미기는 예약기능이 있어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시간에 작동을 시작하여 쌀을 세척하고 밥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물의 양, 쌀의 양, 불림의 시간을 사용자가 바라는 데로 조절이 가능하여 항상 원하는 형태의 밥을 먹을 수 있다.
실예로 질은 밥을 먹고 싶은 자는 쌀과 물의 배합비율에 물을 더 투입하고 불림의 시간을 더욱 길게 하여 소망하는 바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대량의 취사 때 용이한 것으로서 매우 신속함과 더불어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취사를 행하게 되는 장점이 있고, 또한, 계량장치에 의하여 적확한 취사 량을 조정할 수 있음으로 예상되는 식사 량에 알맞게 함으로서 낭비되지 않도록 한 세미기인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세미기는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여 시간의 예약을 통하여 소망하는 시기에 쌀을 씻을 수도 있다.

Claims (1)

  1. 주로 쌀을 세척하는 세미기에 있어서,
    하부에는 박스형상의 기체(1) 위에 슬라이드 되는 솥선반(2)을 설치하여 밥솥(100)을 위치시키고;
    상기 기체(1)의 내부에는 쌀통(10a)을 일체로 형성하여 하부에 계량장치(10)와 계량받이(11)를 부설하였으며;
    상측에 밸브모터(27)와 교반모터(26)로 이루어진 세척장치(30)를 구비하여 내부로 연결된 교반장치(25)를 포함한 세척조(20)와;
    상기 세척조(20)의 상부에는 정량투입구(13)를 형성하여 상기 계량받이(11)와 연계되는 흡입공급관(12)을 연결하였으며;
    급수량이 제어되는 급수관(21)은 급수구(23)를 통하여 세척조(20)에 연결되고;
    상기 세척조(20)의 측면 상부에 흡입관(32)으로 직결된 흡입펌프(33)를 포함하는 흡입박스(31)를 흡입로(31a)로 연결하였으며; 하부에는 필터(41)를 선단에 설치하고 끝단에 배수솔레노이드(44)에 의하여 작동되는 배수밸브(42)가 설치된 배수로(40a)와 연결된 배수밸브함(40)의 하측에 배수호스(47)를 연결한 배수구(43)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기.
KR2020000025498U 2000-09-07 2000-09-07 세미기(洗米機) KR200212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498U KR200212713Y1 (ko) 2000-09-07 2000-09-07 세미기(洗米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498U KR200212713Y1 (ko) 2000-09-07 2000-09-07 세미기(洗米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983A Division KR20020020662A (ko) 2001-10-12 2001-10-12 세미기(洗米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713Y1 true KR200212713Y1 (ko) 2001-02-15

Family

ID=7305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498U KR200212713Y1 (ko) 2000-09-07 2000-09-07 세미기(洗米機)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7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398B2 (en) Dishwasher with separate sump for concentrated fluid supply
CN105662110A (zh) 一种智能全自动电饭锅
JP2012511995A (ja) 食器の予備ゆすぎ
CN108577508A (zh) 一种多功能烹饪柜
US2630813A (en) Spray manifold for washing machines
KR20020020662A (ko) 세미기(洗米機)
CN107836742B (zh) 一种食品自动化生产系统
JP4210646B2 (ja) 食器洗浄液とすすぎ液を受容するための収集手段を備えた食器洗浄機
KR200212713Y1 (ko) 세미기(洗米機)
KR101703318B1 (ko) 쌀 저장 및 세척 기능 일체형 완전자동 밥통
US1997849A (en) Dishwashing apparatus
CN209360610U (zh) 一种适用不同种碗具的智能洗碗机
CN109588959A (zh) 一种具有储米、洗米、蒸煮功能的智能电饭煲
KR200212714Y1 (ko) 세미기(洗米機)의 쌀 정량 추출장치
KR200215648Y1 (ko) 무인 자동취사기
KR20020069320A (ko) 씽크대와 일체로 구비되는 자동 세미기
KR200212715Y1 (ko) 세미기(洗米機)의 세미 투입장치
CN209463626U (zh) 一种节能单向调理台
KR20000011517U (ko) 무인자동 취사기
US8337631B2 (en) Dishwasher with separate sump for concentrated fluid supply
KR100551356B1 (ko) 자동 취사 장치
KR200224311Y1 (ko) 이동식 씽크대
KR920008667B1 (ko) 취사장치
CN219183634U (zh) 一种自动控制水位的托盘冲洗机构
CN216495179U (zh) 一种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