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822Y1 - 지하 매설물 인식봉 - Google Patents

지하 매설물 인식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822Y1
KR200211822Y1 KR2020000023519U KR20000023519U KR200211822Y1 KR 200211822 Y1 KR200211822 Y1 KR 200211822Y1 KR 2020000023519 U KR2020000023519 U KR 2020000023519U KR 20000023519 U KR20000023519 U KR 20000023519U KR 200211822 Y1 KR200211822 Y1 KR 200211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recognition
rod
underground
recogn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무소
신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무소, 신현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23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8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822Y1/ko

Links

Landscapes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매설물의 위치와 종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지하 매설물 인식봉에 관한 것이다. 지하 매설물 인식봉은 길이방향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된 인식봉 본체(12)와 인식봉 본체의 상단에 결합된 표시부(14)로 구성된다. 인식봉 본체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인식봉 단위체를 결합시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표시부에 표시된 표시에 의하여 매설물의 종류를 확인할수 있고 인식봉에 표시된 색채에 의하여 매설물의 매설된 깊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도로 보수 공사 및 매설물 보수공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하 매설물 인식봉{RECOGNITION BAR FOR THE UNDERGROUND MATERIAL}
본 고안은 지하 매설물 인식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상에서 지하에 매설된 매설물의 존재와 종류를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굴착시 매설물이 매설된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지하 매설물 인식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지하에는 광케이블, 가스관, 수도관, 전기선 등이 매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하 매설물들은 지하 2m 이상의 깊이에 매설된다.
도로 보수 공사나 지하 매설물 보수 공사를 위하여는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로 보수할 도로나 지하 매설물이 매설된 부분의 도로를 굴착하고 있으며, 이때 지하 매설물이 파손되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다. 종래에는 도로를 굴착할 때 지하 매설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 매설물과 지표면 사이에 매설물의 종류, 예를 들면 가스관 또는 수도관을 표시하는 표식이 된 인식 테이프를 매설하고 그 위에 흙을 덮어서 포크레인으로 굴착할 때 인식 테이프가 나오면 그 하방에 매설물이 있는 것을 알고 조심하여 매설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굴착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인식 테이프는 지상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종래에는 인식 테이프에 자석 테이프를 부착하여 지상에서 탐지기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지하 매설물 인식 방법은 탐지기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매설물이 매설된 깊이를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의 지하 매설물 인식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표시판이 부착된 인식봉을 표시판이 지상에 노출되도록 지하 매설물이 매설된 위치에 설치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99-0020446호에는 제1 관체의 상단에 인식판이 설치되는 홈을 갖는 헤드를 나사식으로 결합시키고 제1 관체의 하단에 눈금이 형성된 제2 관체를 삽입하여 매설된 깊이에 따라 제2 관체가 제1 관체 내로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시키게 된 지하 매설물 깊이 표시장치가 공개되었다. 전술한 지하 매설물 깊이 표시장치는 깊이 표시가 눈금으로 표시되어 있어서 흙이 묻으면 확인하기 곤란하여 굴착작업 중에는 쉽게 매설된 깊이를 알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지하 매설물의 위치와 매설된 깊이를 굴착 현장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지하 매설물 인식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지하 매설물 인식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쉽게 지하 매설물의 깊이를 알 수 있고 휴대 및 사용하기 간편한 지하 매설물 인식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매설 깊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면서 깊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지하 매설물 인식봉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길이방향으로 구분되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채색된 인식봉 본체의 상단에 표시부를 형성하여서 된 본 고안의 지하 매설물 인식봉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이한 색상을 갖고 있고 상이한 색상을 갖는 인식봉 단위체를 결합시켜 형성한 인식봉 본체와 전술한 인식봉 본체의 상단에 표시부를 결합시켜서 된 본 고안의 지하 매설물 인식 봉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매설물 인식봉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매설물 인식봉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인식봉 12...인식봉 본체
14...표시부 16...나사홈
18...나사봉 20...인식봉 단위체
22...매설물 24...인식 테이프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구분되게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된 인식봉 본체의 상단에 표시부를 결합시켜서 된 지하 매설물 인식봉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또한 서로 다른 상이한 색채를 갖고 있는 3-7개의 인식봉 단위체를 결합시켜서 된 인식봉 본체와 전술한 인식봉 본체의 상단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표시부를 갖는 지하 매설물 인식봉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인식봉 본체는 길이방향으로 구분되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인식봉 본체는 상이한 색상을 갖는 인식봉 단위체들을 서로 결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봉 단위체들은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식봉 단위체들의 색채는 인식봉 단위체의 표면에 페인트를 도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인식봉 단위체들이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인식봉 단위체를 제조할 때 물 불용성 안료를 배합하여 인식봉 단위체들이 그 고유의 색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식봉이 지하에 장기간 매설되는 경우에도 변색이 잘 않되므로 수리하기 위하여 굴착할 때 그 색채를 인식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전술한 인식봉은 밑에서부터 일정한 색채를 갖는 인식봉 단위체들이 순서대로 배치되도록 하면 굴착시 인식봉의 색채만으로도 매설물의 깊이를 알 수 있게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인식봉은 2m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고, 30cm-1m 마다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매설물이 설치된 상방에 인식 테이프와 함께 10-20m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표시부는 지상에 노출되도록 매설하는바, 이 표시부는 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기타 적당한 수단으로 매설물의 종류를 알 수 있도록 형성한다.
가장 바람직한 인식봉은 색상이 다른 20-30cm 길이의 인식봉 단위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인식봉의 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인식봉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인식봉(10)은 인식봉 본체(12)와 인식봉 본체의 상단에 결합된 표시부(14)를 갖고 있다.
인식봉(10)은 인식봉 본체(12)가 다수의 인식봉 단위체(20a),(20b),(20c), (20d),(20e)를 결합하여 형성하였다. 전술한 인식봉 다위체들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색상은 모두 다르게 형성되었다. 인식봉 단위체들의 일측 단부에 나사홈(16)이 형성되고 반대측 단부에 나사봉(18)이 형성되어 있어서 서로 결합시키면 인식봉 본체에 서로 다른 색상들이 길이방향으로 나타나도록 되었다. 표시부(14)는 상단의 인식봉 단위체(20a)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었다. 도면에는 전술한 인식봉 본체(12)가 다수의 인식봉 단위체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형성한 것으로 되었으나, 이 인식봉 본체(12)는 서로 다른 색상이 구분되게 칠하여진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인식봉(10)은 지하 매설물(22), 예를 들면 가스관을 매설한 다음 어느 정도 흙을 덮고 그 위에 인식 테이프(24)를 덮은 후 인식봉(10)을 수직으로 세워서 표시부(14)가 지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흙을 메워서 설치한다. 전술한 인식봉(10)은 도로 보수 공사 또는 매설물 보수 공사를 할 때 표시부에 표시된 내용에 의하여 매설물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굴착 시 인식봉에 표시된 색채에 의하여 매설된 깊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매설물을 파손하지 않고도 쉽게 굴착하여 보수할 수 있게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매설물의 매설 위치 파악이 용이하여 공사계획 및 현장 파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도로 보수공사 또는 매설물 보수공사시 매설물의 위치파악이 용이하고 매설물이 매설된 깊이를 파악하기 용이하여 굴착시 매설물의 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되며 공사계획 및 현황 파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매설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부(14)와 표시부에 결합되어 지하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인식봉 본체(12)를 포함하는 지하 매설물 인식봉에 있어서, 인식봉 본체(12)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색상에 의하여 구분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인식봉.
  2. 제1항에서, 인식봉 본체(12)가 상이한 색상을 갖는 다수의 인식봉 단위체(20a),(20b),(20c),(20d),(20e)들을 나사식으로 결합시켜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물 인식봉.
KR2020000023519U 2000-08-19 2000-08-19 지하 매설물 인식봉 KR200211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519U KR200211822Y1 (ko) 2000-08-19 2000-08-19 지하 매설물 인식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519U KR200211822Y1 (ko) 2000-08-19 2000-08-19 지하 매설물 인식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822Y1 true KR200211822Y1 (ko) 2001-01-15

Family

ID=7308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519U KR200211822Y1 (ko) 2000-08-19 2000-08-19 지하 매설물 인식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8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282B1 (ko) * 2010-05-28 2010-11-23 이인호 기준틀 및 이를 이용하는 지하매설물 qsm 매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282B1 (ko) * 2010-05-28 2010-11-23 이인호 기준틀 및 이를 이용하는 지하매설물 qsm 매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890B1 (en) Underground marking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an object underground
US3523515A (en) Above surface observed marker secured to underground utilities,etc.to indicate their depth and direction
US3568626A (en) Identifying means for buried utilities
CA25733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ng excavation towards a buried target
CN102449681A (zh) 用于标记和探测地下管线的系统和方法
CN105887792A (zh) 一种基于滑动变阻器测土体变形的观测装置及量测方法
US200700443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subterranean objects
KR200211822Y1 (ko) 지하 매설물 인식봉
CN208701697U (zh) 一种狭窄基槽可调节支撑装置
US6732816B2 (en) Method of forming a trenchless flowline
US8981903B2 (en) Device for marking out buried objects
CN107063178B (zh) 一种安装位移传感器的混凝土水准标石及其高程观测与计算方法
KR20180003668U (ko) 지중 매설관 부착형 침하 관측장치
KR101760087B1 (ko) 지중 매설물 표시장치
KR200318753Y1 (ko) 지하관로표시기
KR100807825B1 (ko) 매설위치확인이 용이한 전선관
KR200414007Y1 (ko) 상수도,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매설위치 표시기
CN205776301U (zh) 断尾式基岩测量标志
CN220508053U (zh) 一种隐藏式隧道观测墩
CN215968378U (zh) 一种岩溶溶蚀速率野外实验用溶蚀片夹具
KR19990020446U (ko) 지하매설물 깊이 표시장치
CN210835290U (zh) 一种用于孔中测量的可回收非金属护壁管
CN206379118U (zh) 用于施工现场管线保护的pvc管混凝土标识桩
CN211113568U (zh) 一种光纤光栅位移计标距提升装置
KR102180935B1 (ko) 지열 배관 탐지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