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770Y1 - 가방 - Google Patents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770Y1
KR200211770Y1 KR2020000020327U KR20000020327U KR200211770Y1 KR 200211770 Y1 KR200211770 Y1 KR 200211770Y1 KR 2020000020327 U KR2020000020327 U KR 2020000020327U KR 20000020327 U KR20000020327 U KR 20000020327U KR 200211770 Y1 KR200211770 Y1 KR 200211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auxiliary
opening
attached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범기
Original Assignee
홍범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범기 filed Critical 홍범기
Priority to KR2020000020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7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770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측과 전면측에 물품의 수납을 위한 개폐구(11, 12)가 마련된 가방(10)에 있어서, 상기 가방(10)의 내부 일측 벽면에 상기 전면측 개폐구(12) 방향으로 물품의 수납여부에 따라 절첩 가능하며, 일측이 개방된 소정체적의 보조백(20)이 부착 설치되고, 보조백(20)의 길이방향 양측과 가방(10)의 내측 양벽면에는 상기 보조백의 절첩되는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 가능한 고정구(30)가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가방의 형상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방의 전면측의 개폐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드러나는 보조백에 신발을 수납함과 동시에, 가방의 전면에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여 가방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과 완전하게 구획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보조백의 미사용시에는 가방의 내측 양 벽면과 보조백에 연결 설치된 고정구를 해제시킨 상태에서는 물품을 수납으로 보조백의 자연스런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품의 수납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방{A bag}
본 고안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가방의 내측에 보조백을 적용하되, 수납되는 물품의 체적에 따라 보조백의 사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물품의 수납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보조백에는 신발류 등을 용이하게 보관하면서 신발류는 가방의 전면에 형성된 개폐구에서 편리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여 가방의 내측에 오염원을 주지 않으면서 사용할 수 있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의 종류에 따라 또는 수납체적에 따라 물품을 넣어 휴대할 수 있는 가방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여행, 레저, 교육용 등...)에 의해 그 디자인 및 기능성을 고려하여 제작되며, 이러한 기능성이란 보다 물품을 꺼내어 사용하기 용이하게 물품을 별도로 구획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의 적절한 위치, 가방을 매는 어깨멜빵의 편리함 및 가방의 개폐구 등의 착탈성이 사용자에게 주는 편리함을 제공키 위하여 고안되거나 제품으로 출시된 여러 가방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가방 중 여행용 가방이나 레저 및 스포츠용으로 착용하는 신발을 넣어 휴대할 수 있도록 된 가방은 대부분 그 수납공간을 보면, 소정체적을 갖는 가방내부 및 가방의 저면, 가방의 외부에 별도로 매달 수 있는 보조가방 등을 착탈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대부분으로서, 여행자나 장거리 이동자들은 신발을 별도로 담을 수 있는 가방을 더 들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가방에 신발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 있는바, 이들의 제품 중 우선, 가방의 내측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은 타 물품과의 수납이동시에 이루어지는 가방은 사용자 및 보는 이로 하여금, 비위생적이며, 가방의 저면에 별도로 마련되는 수납공간은 신발을 꺼내거나 집어넣기 위해서 가방의 상부측을 눕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반면에, 가방의 상부측이 지면에 닿게 되어 사방의 상부측이 오염되는 단점이 있으며, 가방의 외부에 덧 매다는 착탈식의 보조가방은 가방의 외관이 갖는 미려함을 해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가방 중 저면에 수납공간이 별도로 마련된 가방이나, 내부에 별도의 수납공간이 고정적으로 마련된 가방은 타 물품(예를 들면, 음식류 또는 속옷류 등으로 신발과 함께 수납하기 어려운 물품류 등..)의 수납이 많고 신발류를 수납하지 않는 경우에 신발을 보관할 수 있었던 공간이 그대로 남아 있으나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위생적인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어 좀처럼 마련된 수납공간에 타물품을 가득 수납하기에 곤란하여 결국 상기한 가방으로서의 수납공간의 활용이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내부에 별도의 포켓 또는 칸막이 등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정도의 가방은 그 수납공간을 변경하기가 국한되어 있어,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방의 내측에 보조백을 적용하되, 수납되는 물품의 체적에 따라 보조백의 사용 및 미사용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백에는 신발류 등을 용이하게 보관하면서 신발류는 가방의 전면에 형성된 개폐구에서 편리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면서 가방의 내측에 오염원을 주지 않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측과 전면측에 물품의 수납을 위한 개폐구가 마련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내부 일측 벽면에 상기 전면측 개폐구 방향으로 물품의 수납여부에 따라 절첩가능하며, 일측이 개방된 소정체적의 보조백이 부착 설치되고, 보조백의 길이방향 양측과 가방의 내측에는 상기보조백의 절첩되는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 가능한 고정구가 부착 설치된 가방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의 전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의 내부에 적용된 보조백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고안에 따른 보조백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보조백이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가방 11, 12:개폐구
20: 보조백 30: 고정구
C: 신발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인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의 전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의 내부에 적용된 보조백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고안에 따른 보조백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보조백이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소정체적을 갖고, 상부측과 전면측에 물품의 수납을 위한 개폐구(11, 12)가 마련된 가방(10)에 있어서, 상기 가방(10)의 내부 수납공간 중 일측 벽면 즉, 전면측 개폐구(12) 방향에 물품의 수납여부에 따라 절첩 가능하며, 일측이 개방된 소정체적의 보조백(20)이 부착 설치되고, 보조백(20)의 길이방향 양측과 가방의 내측에는 상기 보조백의 절첩되는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 가능한 고정구(30)가 부착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조백(20)내에는 상기 개폐구(12)에서 꺼내어 사용하기 쉬운 물품 등을 휴대하거나, 여분의 신발(C)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30)는 가방(10) 내부의 양측 벽면에 연결고리(31)를 일정간격으로 부착하고, 상기 보조백(20)에는 걸림단추(32)를 부착하여 이들의 탈,부착으로 보조백(20)의 절첩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고정구(30)는 가방 내부의 양측 벽면과 보조백의 양측에 스냅을 부착하여 이들의 탈,부착으로 보조백의 절첩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30)는 가방의 내부 양측 및 보조백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끈을 포함하는 결속클립이 연결 설치되어 이들의 결속클립의 탈,착으로 보조백의절첩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벨크로우로서 탈,부착되어 보조백의 절첩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도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보조백(20)의 일측 또는 양 측면에는 가방의 내측 수납공간과 보조백의 내부사이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물질이 코팅처리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보조백의 절첩되는 부위는 플렉시블한 천 재질로 밀착되면서 절첩되거나 물품의 수납에 따라 천의 폭 두께만큼 벌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인 가방의 사용상에 따른 보조백의 활용성과 그 효과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방(10)에 물품을 수납함에 있어 일반적인 물품수납은 가방의 상부측에 형성된 개폐구(11)를 개방시켜 준 상태에서 물품을 넣을 수 있다.
한편, 가방에 물품과 함께 신발류를 수납시키기 위해서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의 상측에 마련된 개폐구(1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부측에서 가방의 전면측 개페구(12) 방향으로 위치된 보조백(20)의 양측과 가방(10)의 내부양측에 연결된 고정구(30)의 해제로 보조백(20) 부분을 가방의 내측으로 당겨 보조백의 체적을 형성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30)의 타입은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가방의 내측 양벽면에 구비된 연결고리(31)부분에 보조백의 양측에 설치된 걸림단추(32)를 끼워 결합하는 형태로 보조백을 가방의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가방(10)의 전면측에 구비된 개폐구(12)를 개방시켜 주면, 그 내측은 상기 보조백(20)의 체적형성에 따라 신발(C)이나 기타 꺼내기 쉽도록 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방의 상측 개폐구(11)측을 통해서는 사용자가 갖추고자 하는 품목을 넣어 신발(C)과 함께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상기 가방의 내부로 수용되는 물품의 양은 신발을 휴대할 수 있는 보조백의 공간을 감안하여 수납될 수 있는 정도로 수납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신발과 함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은 해외여행 중 자신이 착용하던 신발을 여유 분으로 챙길 수 있으며, 특히 운동선수 및 특수화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지방출장, 휴가의 목적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신발은 가방의 전면측에서부터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어 타 물품에 지장을 주지 않는 가운데에서 특히 가방의 내측에 수납한 물품에 오염을 주지 않는 이점도 있다.
이는 상기 보조백의 일측 도는 양측에 방수액이 도포 처리되어 있어, 신발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냄새 및 기타 미세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가방측에 수납된 물품을 위생적으로 보호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보조백과 가방의 내측 양 벽면에 연결 설치되는 고정구는 일 실시예로써, 스냅, 연결끈을 포함하는 결속클립, 탈부착이 용이한 벨크로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백의 절첩 또는 형상유지를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들은 상기 보조백의 미사용시에는 고정구를 각 분리시키고, 보조백을 일측방향 즉, 가방의 전면측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신발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물품수납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가방의 내부 일측에 소정체적을 갖고, 일측으로부터 절첩 가능한 보조백을 부착 설치하므로써, 가방의 형상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방의 전면측의 개폐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드러나는 보조백에 신발을 수납함과 동시에, 가방의 전면에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여 가방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과 완전하게 구획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보조백의 미사용시에는 가방의 내측 양 벽면과 보조백에 연결 설치된 고정구를 해제시킨 상태에서는 물품을 수납으로 보조백의 자연스런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품의 수납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6)

  1. 상부측과 전면측에 물품의 수납을 위한 개폐구(11, 12)가 마련된 가방(10)에 있어서,
    상기 가방(10)의 내부 일측 벽면에 상기 전면측 개폐구(12) 방향으로 물품의 수납여부에 따라 절첩 가능하며, 일측이 개방된 소정체적의 보조백(20)이 부착 설치되고, 보조백(20)의 길이방향 양측과 가방(10)의 내부 양벽면에는 상기 보조백의절첩되는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 가능한 고정구(30)가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30)는 가방(10) 내부의 양측 벽면에 연결고리(31)를 일정간격으로 부착하고, 보조백(20)에는 걸림단추(32)를 부착하여 이들의 탈,부착으로 길이조절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30)는 가방 내부의 양측 벽면과 보조백의 양측에 스냅을 부착하여 이들의 탈,부착으로 길이조절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30)는 연결끈에 결속클립이 연결 설치되어 결속클립의 탈,착으로 길이조절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30)는 벨크로우로서 탈,부착되어 길이조절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6. 제1항에 있어서, 보조백(20)의 일측 또는 양 측면에는 가방(10)의 내부측 수납공간측으로 유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액이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KR2020000020327U 2000-07-14 2000-07-14 가방 KR200211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327U KR200211770Y1 (ko) 2000-07-14 2000-07-14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327U KR200211770Y1 (ko) 2000-07-14 2000-07-14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770Y1 true KR200211770Y1 (ko) 2001-01-15

Family

ID=7308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327U KR200211770Y1 (ko) 2000-07-14 2000-07-14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7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037A (ko) * 2001-12-27 2003-07-04 허균 부착 및 제거가 용이한 칸막이를 갖는 가방
WO2008127582A1 (en) * 2007-04-11 2008-10-23 Michelle Huber A device for carrying shoes
KR100870497B1 (ko) 2007-09-10 2008-11-25 신해규 구분된 수납공간을 갖는 신발 주머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037A (ko) * 2001-12-27 2003-07-04 허균 부착 및 제거가 용이한 칸막이를 갖는 가방
WO2008127582A1 (en) * 2007-04-11 2008-10-23 Michelle Huber A device for carrying shoes
KR100870497B1 (ko) 2007-09-10 2008-11-25 신해규 구분된 수납공간을 갖는 신발 주머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9319A (en) Shape giving system for soft purses
US7171707B2 (en) Portable rollup pack
US5518315A (en) External bag support frame
US7757911B2 (en) Convertible pack
US2764201A (en) Foldable utility kit
US6637485B1 (en) Handbag or the like with covered, transparent wall
CA2635328C (en) Luggage bag with detachable divider
US6913386B2 (en) Bag with adjustable sliding divider
US9516935B2 (en) Shoe bag
WO2009100019A2 (en) Bags with removable liners
JPH05269014A (ja) 複数の隔室を備えた収納物品
US4640392A (en) Accessory bag for containers
US20150144072A1 (en) Modular leash accessory system
US20080023513A1 (en) Penetration resistant backpack for cooking utensils
US11877637B2 (en) Luggage articles and combinations thereof
US20060137949A1 (en) Shoe case
CA2532615A1 (en) Portable toolbox attachable to trees and other vertical objects
KR930701935A (ko) 어깨끈주머니가 달린 수화물가방
US2604917A (en) Handbag
KR200211770Y1 (ko) 가방
US20090014267A1 (en) Hanging Luggage With Removable Inserts
KR200382024Y1 (ko) 통기성의 신발보관 공간을 구비한 가방
US9936779B1 (en) Garment bag with detachable tote
KR101530480B1 (ko) 유아용품용 백팩
GB2348801A (en) Item of Lugg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