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367Y1 - tie wrap - Google Patents

tie w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367Y1
KR200211367Y1 KR2020000017522U KR20000017522U KR200211367Y1 KR 200211367 Y1 KR200211367 Y1 KR 200211367Y1 KR 2020000017522 U KR2020000017522 U KR 2020000017522U KR 20000017522 U KR20000017522 U KR 20000017522U KR 200211367 Y1 KR200211367 Y1 KR 200211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astening
tie wrap
ho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5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김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식 filed Critical 김규식
Priority to KR2020000017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36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367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간의 결속이 가능함과 더불어 한 가닥 또는 다수 가닥의 케이블을 벽체등에 고정시키기에 용이한 타이 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e wrap that is easy to fix the cable between the one or more strands as well as the wall can be connected between the cable.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후방을 관통하는 관통공(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a)의 내측면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머리부(1)와, 상기 머리부(1) 일측에 연결되며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세레이션(3)이 형성되고 타측면 끝단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턱(4)이 돌출형성된 몸체부(2)로 구성된 타이 랩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의 폭 사이즈 보다 큰 폭 또는 직경을 가지는 체결랜드(6)가 상기 몸체부(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체결랜드(6) 상에는 체결부재(8) 체결을 위한 통공(6a)이 구비되는 타이 랩이 제공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1a)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through hole (1a)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1)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1) In the tie wra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rrations (3) is formed on the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body portion (2) protruding formed a plurality of engaging jaw (4) on the other end; At least one fastening land 6 having a width or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art 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2, and the fastening member 8 is disposed on the fastening land 6. A tie wrap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6a for fastening) is provided.

Description

타이 랩{tie wrap}Tie wrap}

본 고안은 타이 랩(tie wrap)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7)간의 결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벽체등에 고정시키기에 용이한 타이 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wrap,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tie wrap that is not only capable of binding between the cables 7 but is also easy to fix the cable to a wall or the like.

일반적으로, 벽체(5) 등에 케이블(7)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플러(11)를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12)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cable 7 is fixed to the wall 5 or the like, it is fixed using the stapler 11 as shown in FIG. 1A or by the band 12 as shown in FIG. 1B.

그러나, 상기한 스테이플러(11)나 밴드(12)는 벽체(5)에 고정시킬 수 있는 케이블(7)의 가닥수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stapler 11 or the band 12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strands of the cable 7 that can be fixed to the wall 5 is limited.

즉, 직경이 작은 가는 케이블(7)의 경우에는 케이블 고정공간 내에 여러가닥을 넣을 수 있긴 하나, 스테이플러(11)의 규격(도면상에 표시된 폭(W)과 높이(H)) 및 밴드(12)의 규격(도면상에 표시된 폭(W) 및 직경(D))에 의해 그 수가 제한된다.That is, in the case of a thin cable 7 having a small diameter, although several strands can be put in the cable fixing space, the size of the stapler 11 (width (W) and height (H)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band 12 The number is limited by the standard (width W and diameter D indicated on the drawing).

뿐만 아니라, 상기한 스테이플러(11)나 밴드(12)는 오직 케이블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데에만 사용가능 할 뿐, 케이블 상호간의 결속 작업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tapler 11 or the band 12 can be used only to fix the cable to the wal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used for the binding work between the cables.

한편, 도 2는 기존의 타이 랩을 나타낸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타이 랩은 세탁기등의 전기용품 내부에 배선되는 다수의 케이블을 결속해주는 기구로서, 머리부(1)와, 몸체부(2)로 구성되며, 케이블(7)에 대한 결속량이 가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shows a conventional tie wrap, generally tie wrap is a mechanism for binding a plurality of cables that are wired inside the electrical appliance, such as a washing machine, and comprises a head (1), the body portion (2) The binding amount with respect to the cable 7 is variable.

이 때, 상기 머리부(1)에는 전후방을 관통하는 관통공(1a)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1a)의 내측면 하부에는 걸림돌기(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2)의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세레이션(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2) 타측면 끝단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턱(4)이 돌출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1)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a)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a locking project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through hole (1a), the body portion (2) A plurality of serrations (3)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locking jaws (4) ar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2).

한편, 이러한 구성의 기존의 타이 랩은 케이블 상호간의 결속은 가능케 하나, 케이블(7)을 벽체(5)등에 고정시키는 역할은 수행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tie wrap of this configuration is possible to bind the cables, but there is a structural limitation that can not play a role of fixing the cable (7) to the wall (5).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간의 결속이 가능함과 더불어 한가닥 또는 다수 가닥의 케이블을 벽체등에 고정시키기에 용이한 타이 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tie wrap that is easy to fix the cable of the one strand or multiple strands and the like, as well a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ble.

도 1a 및 도 1b는 기존의 케이블 고정장치의 설치예를 각각 나타낸 종단면도1A and 1B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conventional cable anchoring device;

도 2는 기존의 타이 랩을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ie wrap

도 3은 본 고안의 타이 랩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ie wrap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평면도4 is a top view of FIG. 3

도 5는 도 3의 타이 랩을 이용한 케이블 고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cable fastening using the tie wrap of FIG.

도 6은 본 고안의 타이 랩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ie wrap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타이 랩을 이용한 케이블 고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cable fastening using the tie wrap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머리부 2:몸체부1: head part 2: body part

3:세레이션 4:걸림턱3: Serration 4: Jam Jaw

5:벽체 6:체결랜드5: Wall 6: fastening land

7:케이블 8:체결부재7: Cable 8: Fastening member

11:스테이플러 12:밴드11: Stapler 12: Ban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후방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일측에 연결되며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세레이션이 형성되고 타측면 끝단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몸체부로 구성된 타이 랩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폭 사이즈 보다 큰 폭 또는 직경을 갖는 체결랜드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체결랜드 상에는 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랩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and the inner side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the head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a plurality of three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In the tie wrap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end portion consisting of a body portion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protruding; Tie wrap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astening land having a width or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through hole is provided on the fastening land.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3은 본 고안의 타이 랩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로서,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ie wrap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Figure 3,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전후방을 관통하는 관통공(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a)의 내측면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머리부(1)와, 상기 머리부(1) 일측에 연결되며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세레이션(3)이 형성되고 타측면 끝단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턱(4)이 돌출형성된 몸체부(2)로 구성된 타이 랩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의 폭 사이즈 보다 큰 폭 또는 직경을 가지는 확장영역인 체결랜드(6)가 상기 머리부(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1a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sides is formed, and a head portion 1 having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through hole 1a,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1. In one side, a plurality of serrations (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other side end in a tie wrap consisting of a body portion (2) protruding formed a plurality of locking jaw (4); A fastening land 6, which is an expansion area having a width or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art 2,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head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 때, 상기 체결랜드(6) 상에는 못이나 나사등의 체결부재(8)가 관통하는 통공(6a)이 구비되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land (6)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6a)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s 8, such as nails and screws, are provid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케이블 상호간의 결속시에는, 기존의 타이 랩과 마찬가지로 케이블(7)이 몸체부(2)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2)를 구부려서 그 끝단부가 머리부(1)의 관통공(1a)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케이블(7)들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관통공(1a)을 관통하여 노출된 몸체부(2)를 잡아당겨 케이블(7)을 결속하게 된다.At the time of binding between the cables, the body 2 is bent in a state in which the cable 7 is positioned in the body 2 region as in the conventional tie wraps, and the end thereof is a through hole of the head 1 ( After insertion through 1a), the cable 7 is bound by pulling the exposed body portion 2 through the through hole 1a to prevent the flow of the cables 7 to be prevented.

그리고, 이와는 달리 케이블(7)을 결속함과 더불어 벽체(5)등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5)에 고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ble 7 is bound and needs to be fixed to the wall 5 or the like, the cable 7 is fixed to the wall 5 as shown in FIG. 5.

즉, 벽체(5)의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상기 체결랜드(6)의 통공(6a)을 통해 체결부재(8)를 체결하여 타이 랩을 우선적으로 벽체(5)에 고정시킨다.That is, the fastening member 8 is fastened to the wall 5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8 through the through hole 6a of the fastening land 6 at the position where the wall 5 is to be fixed.

그 다음에는, 케이블(7)의 결속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케이블(7)이 몸체부(2)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2)를 구부려서 그 끝단부가 머리부(1)의 관통공(1a)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케이블(7)들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관통공(1a)을 관통하여 노출된 몸체부(2)를 잡아당겨 케이블(7)의 결속을 완료하게 된다.Then, as in the case of binding the cable 7, the end of the body portion 2 is bent by bending the body portion 2 with the cable 7 positioned in the body portion 2 region. Insert the through-hole (1a) of the head (1), and then pull the exposed body portion (2) through the through-hole (1a) to prevent the flow of the cables (7) of the cable (7) The unity is complete.

이와 같이, 케이블 상호 간의 결속 및 케이블의 벽체(5)에의 고정시, 본 고안의 타이 랩은 종래의 스테이플러(11)나 밴드(12)와는 달리 결속되어 벽체(5)에 고정되는 케이블(7)의 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cables are tied to each other and the cable is fixed to the wall 5, the tie wr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tapler 11 or the band 12, and the cable 7 fixed to the wall 5 is fixed. The number of can be changed.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타이 랩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이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몸체부(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2)의 폭 사이즈 보다 큰 폭 또는 직경을 가지는 체결랜드(6)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ie wrap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unlike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larger than the width size of the body portion 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 A plurality of fastening lands 6 having a width or diameter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이 때, 상기 체결랜드(6) 상에 체결부재(8) 체결을 위한 통공(6a)이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6a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8 is formed on the fastening land 6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이 랩의 작용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tie wra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케이블 상호 간의 결속 과정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원리로 행해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벽체(5)에의 고정 과정을 위주로 설명한다.Since the binding process between the cables is carried out on the same principl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fixing process to the wall 5 will be mainly described.

여러 가닥의 케이블(7)을 결속함과 더불어 벽체(5)등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우선 벽체(5)의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타이 랩을 위치시키게 된다.If it is necessary to fasten the cable 7 of several strands and fix it to the wall 5 etc., the tie wrap will be first positioned in the position to fix the wall 5.

이 때, 결속해야 할 케이블(7)의 가닥수에 따라 적절한 체결랜드(6)(즉, 전체 케이블(7) 폭의 중간 지점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체결랜드(6))를 선정한 후, 상기 선정된 체결랜드(6)의 통공(6a)을 통해 벽체(5)에 체결부재(8)를 체결하여 타이 랩을 벽체(5)에 고정시킨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rands of the cable (7) to be bound, select the appropriate fastening land (6) (that is, the fastening land (6) located closest to the middle point of the width of the entire cable (7)), and then the selection The tie wrap is fixed to the wall 5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8 to the wall 5 through the through hole 6a of the fastened land 6.

그 다음에는 타이 랩의 몸체부(2) 영역에 결속해야 할 케이블(7)들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기존의 케이블(7) 케이블(7) 결속시와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부(2)를 구부려서 그 끝단부가 머리부(1)의 관통공(1a)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케이블(7)들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관통공(1a)을 관통하여 노출된 몸체부(2)를 잡아당겨, 케이블(7)의 결속을 완료하게 된다.Then, with the cables 7 to be bound in the area of the body portion 2 of the tie wrap, the body portion 2 is bent and the ends thereof are bent as in the case of the cable 7 connection. After the additional head 1 is inserted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1a, the cable 7 is pulled through the through hole 1a to prevent the flow of the cables 7 to be prevented. ) Will be completed.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7)의 가닥수가 많아지더라도 케이블 전체가 차지하는 폭의 가운데 지점에 체결부재(8)가 위치하게 되어 케이블(7)이 벽면에 최대한 밀착되므로 케이블들의 처짐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들의 하중으로 인해 체결부재(8)에 작용하는 모멘트 또한 최소화되어 케이블(7) 및 체결부재(8)가 벽체(5)로부터 탈락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number of strands of the cable 7 increases, the fastening member 8 is positioned at the center point of the width occupied by the entire cable, so that the cable 7 closely adheres to the wall surface. The sagging of the cables is prevented, and thus the moment acting on the fastening member 8 due to the load of the cables is also minimized, which effectively prevents the cable 7 and the fastening member 8 from falling off the wall 5.

특히, 이와 같이 다수의 케이블(7)이 벽체(5)에 밀착되게 할 경우는, 벽체(5)가 약한 재질인 경우라도 체결부재(8)의 벽체(5)로부터의 탈락을 지연시켜 케이블(7)이 벽체(5)에 고정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데 더욱 유리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plurality of cables 7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 5 in this manner, even if the wall 5 is of weak material, the dropping of the fastening member 8 from the wall 5 is delayed. 7) becomes more advantageous for maintaining the state fixed to the wall 5 for a long tim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블간의 결속이 가능함과 더불어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인 다수 가닥의 케이블을 벽체등에 고정시키기에 용이한 타이 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provide a tie wrap that is easy to fix the cable between the one or more strands as well as the wall, as well a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bles.

즉, 본 고안의 타이 랩은 케이블 상호간의 결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수에 구애됨 없이 케이블을 결속된 상태에서 벽체에 고정할 수 있으며, 케이블 결속량을 가변 가능하므로 케이블 정리 작업등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tie wr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possible to bind the cables, but also can be fixed to the wall in the bound state without regard to the number of cables, and the amount of cable binding is variable, so that it is convenient for cable arrangement work, etc. It becomes usable.

Claims (1)

전후방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일측에 연결되며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세레이션이 형성되고 타측면 끝단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몸체부로 구성된 타이 랩에 있어서;A through hole penetrates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a head portion having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rration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thereof, In the tie wrap consisting of a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cking jaw; 상기 몸체부의 폭 사이즈 보다 큰 폭 또는 직경을 가지는 체결랜드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체결랜드 상에는 체결부재 체결을 위한 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랩.Tie wrap,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astening land having a width or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through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on the fastening land.
KR2020000017522U 2000-06-20 2000-06-20 tie wrap KR2002113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522U KR200211367Y1 (en) 2000-06-20 2000-06-20 tie w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522U KR200211367Y1 (en) 2000-06-20 2000-06-20 tie wr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367Y1 true KR200211367Y1 (en) 2001-01-15

Family

ID=7307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522U KR200211367Y1 (en) 2000-06-20 2000-06-20 tie wr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367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08Y1 (en) * 2009-12-07 2012-01-12 김시태 Cable tie
KR20150119745A (en) * 2014-04-16 2015-10-26 임준혁 Cable Ti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08Y1 (en) * 2009-12-07 2012-01-12 김시태 Cable tie
KR20150119745A (en) * 2014-04-16 2015-10-26 임준혁 Cable Tie
KR101599027B1 (en) 2014-04-16 2016-03-08 임준혁 Cable Ti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9907B2 (en) Tie strips
EP0677452B1 (en) Cable tie
AU695333B2 (en) Cable tie having an improved strap locking device
JPH0231570B2 (en)
CA2254861C (en) Improved cable tie having a locking head and a separate strap
KR20090117920A (en) Retained tension multiple ball lock cable tie
EP0020520A1 (en) High strength anchor assembly for fastener.
US5996330A (en) Link for a cable drag chair
KR200211367Y1 (en) tie wrap
JPH0795714A (en) Structure for locking bank clamp to protector
WO1999018005A1 (en) Locking device
CA1041808A (en) Screw grommet
US5831216A (en) Profile strip of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teeth for holding many electrical cables
JP2566920Y2 (en) Band clamp
US20070089354A1 (en) Device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 line and a method for its attachment and detachment
CA2521074A1 (en) Device in a bundle tie
US20040014353A1 (en) Clamping spring device for an elastic clamp
CZ20014005A3 (en) Interrupting device
KR100710584B1 (en) Band cable easy to rapidly combine and separate
KR0140721Y1 (en) Cable tying strip
KR102347139B1 (en) Fixed band with locking structure
KR200344178Y1 (en) wire duct for office furniture
KR20080002335U (en) Band Cable Having Movable Anchor Part
EP0577029A1 (en) Binder for bundling electric wires or the like
KR19990001514U (en) Cable faste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