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861Y1 - 공중화장실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861Y1
KR200210861Y1 KR2020000019965U KR20000019965U KR200210861Y1 KR 200210861 Y1 KR200210861 Y1 KR 200210861Y1 KR 2020000019965 U KR2020000019965 U KR 2020000019965U KR 20000019965 U KR20000019965 U KR 20000019965U KR 200210861 Y1 KR200210861 Y1 KR 200210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torage tank
closing plate
outlet
f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국
Original Assignee
원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국 filed Critical 원용국
Priority to KR2020000019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861Y1/ko

Links

Landscapes

  • Non-Flushing Toilet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이나, 강변 등의 공원과 같이 여가를 즐기기 위해 많은 인파가 모이는 장소 또는 야외의 임시집회 장소와 같은 공중의 장소에 설치되는 공중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소변을 토양 침투 처리조에 의해 모관 침투시켜 처리하고 저장탱크내에 담겨지는 대변은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변 출구(1a)와 소변 출구(1b)가 각각 구비된 변기(1)와, 상기 변기의 대변 출구와 연결관(3)으로 연결된 저장탱크(2)와, 상기 연결관의 입구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판(4)과, 상기 변기의 발판에 개폐판과 로드(5)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변기에 위치함에 따라 개폐판(4)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패달(6)과, 상기 저장탱크(2)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대변을 미생물과 함께 섞어주는 임펠러(7)와, 상기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모터(8)와, 상기 변기의 소변 출구(1b)측에 호스(10)로 연결되고 지하에 매설되는 토양 침투 처리조(9)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공중화장실 {Public toilet}
본 고안은 산이나, 강변 등의 공원과 같이 여가를 즐기기 위해 많은 인파가 모이는 장소 또는 야외의 임시집회 장소와 같은 공중의 장소에 설치되는 공중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화로 소득이 증대됨에 따라 여가를 즐기려는 도시인들이 산, 강 또는 공원 등에 모이게 됨에 따라 이들 장소에 많은 공중화장실을 설치하여야 된다.
이러한 공중화장실 중 수세식 화장실은 오수관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성능이 양호한 정화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공중화장실이 설치된 인근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거식 화장실을 설치할 경우, 산이나, 계곡과 같은 험난한 지대에 수거식 화장실을 이동 설치한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변을 수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고, 또한 수거식 화장실의 설치에 따라 주변에 심한 악취 및 파리, 모기와 같은 해충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므로 수거식 화장실의 설치를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각종 발효화장실이 제안 사용되고 있는데, 그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변을 볼 때 순수한 소변만을 저장하는 소변탱크와, 대변을 볼 때 대, 소변을 동시에 저장하여 발효시키는 발효탱크로 분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효탱크내에는 통기성 매질로써, 톱밥 또는 잘게 썬 낙엽 등이 넣어져 배설물과 혼합되어 발효가 되는데, 이 때는 주기적으로 별도의 관리인이 개폐구를 통해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배설물과 통기성 매질을 골고루 섞어 주어야만 발효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발효 화장실은 관리인이 있다하더라도 타인의 배설물을 대하는 거부감 및 불쾌감 때문에 적정시기에 섞어주지 못하게 되므로 발효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발효탱크내에 배설물이 항상 가득차 있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통기성 매질이 투입된 화장실은 통기성 매질이 투입되지 않은 다른 화장실에 비하여 냄새가 다소 덜 나겠지만, 발효탱크내에 가득차 있는 배설물이 육안으로 보이고, 동절기에는 발효탱크내의 배설물이 그대로 동결되어 마치 반대로 자란 고드름같은 형태로 상부까지 올라오게 되므로 사용자들에게 더욱 불쾌감을 느끼도록 하였으며, 소변탱크에 담겨진 소변을 별도 수거하여 처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발효탱크의 입구가 항상 개방되어 있어 대변시 발생된 소변이 대변과 함께 발효탱크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사용자들의 무관심으로 변기에 소변을 보기 때문에 발효탱크내의 수분함량이 많아져 질퍽거리게 되므로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효가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 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소변을 토양 침투 처리조에 의해 모관 침투시켜 처리하고 저장탱크내에 담겨지는 대변은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변의 사용 완료후에는 저장탱크의 입구를 폐쇄하여 소변시 또는 변기의 수세 처리시 세정수가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적용된 변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단독 화장실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집합 화장실의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변기 1a : 대변 출구
1b : 소변 출구 2 : 저장탱크
4 : 개폐판 6 : 패달
7 : 임펠러 9 : 토양 침투 처리조
11 : 세정노즐 14 : 세정수 펌프
15 : 세정패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대변 출구와 소변 출구가 각각 구비된 변기와, 상기 변기의 대변 출구와 연결관으로 연결된 저장탱크와, 상기 연결관의 입구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판과, 상기 변기의 발판에 개폐판과 로드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변기에 위치함에 따라 개폐판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패달과, 상기 저장탱크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대변을 미생물과 함께 섞어주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변기의 소변 출구측에 호스로 연결되고 지하에 매설되는 토양 침투 처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적용된 변기의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변기(1)에 대변 출구(1a)와 소변 출구(1b)가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기(1)의 하방에 설치되어 대변이 담기는 저장탱크(2)와 대변 출구(1a)사이에는 연결관(3)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의 입구측에는 개폐판(4)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변기(1)의 발판위치, 즉 사용자가 대변을 보기 위해 변기(1)에 위치할 때 양발이 위치하는 지점에는 개폐판과 로드(5)로 연결된 패달(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2)내에 대변을 미생물과 함께 섞어주는 임펠러(7)가 모터(8)의 구동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변기(1)의 소변 출구(1b)측에는 지하에 매설되는 토양 침투 처리조(9)가 호스(10)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토양 침투 처리조는 호기성 미생물이 많이 서식하는 지하에 약 10m 정도 깊이로 매설된다.
이 때, 상기 저장탱크(2)에는 히터(도시는 생략함)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저장탱크(2)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약 30℃) 이하가 되면 히터가 발열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켜 대변을 빠른 시간내에 바이오 소멸 처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화장실을 반복 사용함에 따라 변기(1)를 자동으로 세정할 수 있도록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1)의 내부에 세정노즐(1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정노즐에는 세정호스(1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호스상에는 세정수 탱크(13)내의 세정수를 펌핑하는 세정수 펌프(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변기(1)의 일측에는 사용자에 의한 누름 동작에 따라 세정수 펌프(14)를 구동시키는 세정패달(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정수 탱크(13)로는 시중에 널리 보급된 폴리에틸렌 탱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에 담기는 세정수의 양은 20리터로 약 60회 정도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2b와 같이 수세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도 본 고안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6)은 저장탱크(2)의 내부 및 임펠러(7)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 저장탱크(2)의 측면에 설치된 관리도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변기(1)의 발판상에 위치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로드(5)로 연결된 개폐판(4)이 연결관(3)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저장탱크(2)내에서 바이오 처리중인 대변의 악취가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변을 볼 경우에는 발판상에 위치한 패달(6)을 밟지 않게 되므로 개폐판(4)이 연결관(3)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어 소변은 소변 출구(1b)와 호스(10)를 통해 토양 침투 처리조(9)측으로 배출되어 모관 침투된다.
이와 같이 소변이 모관 침투되면 암모니아 질소의 성분이 주체인 소변은 초산성 질소로 변환되어 악취가 제거된 다음 땅속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므로 인근의 하천 등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한편, 대변을 보기 위해 사용자가 변기(1)의 발판상에 위치하면 상기 발판상에 위치된 패달(6)이 눌려 로드(5)로 연결된 개폐판(4)이 연결관(3)의 입구를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대변을 보면 대변은 대변 출구(1a)와 연결관(3)을 통해 저장탱크(2)에 저장되는데, 이렇게 저장된 대변은 모터(8)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7)에 의해 미생물과 함께 섞이게 되므로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바이오 처리된다.
이와 같이 모터(8)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7)는 한시간에 약 5회 정도 회전하게 되므로 저장탱크(2)의 내부는 항상 호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변기(1)에 앉아 대변시 발생되는 소변 또는 여성이 변기에 앉아 소변을 볼 경우에는 발생된 소변이 소변 출구(1b)와 호스(10)를 통해 토양 침투 처리조(9)측으로 배출되므로 소변이 저장탱크(2)측으로 유입되어 대변이 질퍽거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다음 변기(1)로부터 이탈하면 패달(6)의 누름상태가 해제되므로 개방되어 있던 개폐판(4)이 회동하여 대변 출구(1a)를 폐쇄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정패달(15)을 밟으면 세정수 펌프(14)가 구동하여 세정수 탱크(13)내의 세정수를 펌핑하게 되므로 세정수가 세정노즐(11)을 통해 변기(1)의 내부로 분사되어 변기를 세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정노즐(11)을 통해 분사되어 변기(1)를 세정하고 난 세정수는 개폐판(4)이 대변 출구(1a)를 폐쇄하고 있어 소변 출구(1b)를 통해 토양 침투 처리조(9)측으로 배출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땅속에서 완전히 분해된다.
반복 사용에 따라 세정수 탱크(13)내의 세정수가 소진되고 나면 관리인이 세정수 탱크(13)내에 세정수를 채워 넣으므로써 계속적인 변기의 세정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공중화장실을 야외에 단독으로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공중화장실을 많은 인파가 운집하는 야영장이나, 공원등에 집합하여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별도의 소변기(17)를 설치할 경우에는 소변기와 연결된 호스(18)를 변기에서 발생된 소변 또는 세정수가 배출되는 호스(10)와 연결하여 1개의 토양 침투 처리조(9)를 이용하여 처리 가능하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중화장실은 종래의 공중화장실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대변출구(1a)를 개폐판(4)으로 폐쇄시킨 상태에서 저장탱크(2)내의 대변을 모터(8)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7)에 의해 항상 적정한 온도에서 미생물과 함께 섞어 바이오 소멸 처리하므로 타인의 배설물을 대하는 거부감 및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 대변의 처리에 따른 시간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저장탱크내에 대변이 가득 차는 현상 또한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둘째, 발생된 소변을 토양 침투 처리조(9)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하게 되므로 별도의 소변탱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소변탱크에 담겨진 소변을 별도 수거하여 처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셋째, 변기(1)의 비사용시 대변 출구(1a)가 폐쇄되어 있어 처리중인 대변의 악취가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게 되므로 청결한 상태에서 공중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처리중인 대변에 소변 또는 세정수가 흘러 들어가지 않게 되므로 대변의 바이오 처리시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최대한 촉진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대변의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사용하고 난 변기(1)를 세정수에 의해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으므로 공중화장실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대변 출구와 소변 출구가 각각 구비된 변기와, 상기 변기의 대변 출구와 연결관으로 연결된 저장탱크와, 상기 연결관의 입구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판과, 상기 변기의 발판에 개폐판과 로드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변기에 위치함에 따라 개폐판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패달과, 상기 저장탱크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대변을 미생물과 함께 섞어주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변기의 소변 출구측에 호스로 연결되고 지하에 매설되는 토양 침투 처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에 설치된 세정노즐과, 상기 세정노즐에 연결된 세정호스와, 상기 세정호스상에 설치되어 세정수 탱크내의 세정수를 펌핑하는 세정수 펌프와, 상기 변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누름 동작에 따라 세정수 펌프를 구동시키는 세정패달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에 히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
KR2020000019965U 2000-07-12 2000-07-12 공중화장실 KR200210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965U KR200210861Y1 (ko) 2000-07-12 2000-07-12 공중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965U KR200210861Y1 (ko) 2000-07-12 2000-07-12 공중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861Y1 true KR200210861Y1 (ko) 2001-01-15

Family

ID=7305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965U KR200210861Y1 (ko) 2000-07-12 2000-07-12 공중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8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anceys et al. A guide to the development of on-site sanitation
CA2488827A1 (en) Collection device for depositing refuse for disposal
Van der Ryn The toilet papers: recycling waste and conserving water
KR200210861Y1 (ko) 공중화장실
Cotton et al. On-plot sanitation for low-income urban communities: Guidelines for selection
CN211228769U (zh) 一种抽板式家用厕所装置
Waring Sewerage and Land-drainage
Corfield A Digest of Facts Relating to the Treatment and Utilization of Sewage
Corfield The Treatment and Utilisation of Sewage
CN215440121U (zh) 一种具有防臭功能的三格化粪池
CN211933840U (zh) 一种家用厕所便池装置
CN217379880U (zh) 预制直通式卫生旱厕厕所
KR200175334Y1 (ko) 발효식 공중 화장실
CN211796142U (zh) 机械式室外户用卫生生态厕所
CN212104410U (zh) 一种基于农村旱厕的改型直排虹吸式节水防臭防蚊蝇厕所
CN213742502U (zh) 多坑交替式环保厕所
Waring How to drain a house: practical information for householders
CN210055838U (zh) 一种防冻防臭型坐便器
Gerhard The Disposal of Household Wastes
KR200306097Y1 (ko) 쾌적한 환경 변기
WILSON COTTAGE SANITATION
KR200336577Y1 (ko)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Warren Sewage and sewerage of farm homes
Wilson Sanitary Defects in Villages and Country Districts, and how to Remedy Them
JP2000042579A (ja) 汚水処理再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