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786Y1 - Push Button for Reset - Google Patents

Push Button for Re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786Y1
KR200210786Y1 KR2019980025839U KR19980025839U KR200210786Y1 KR 200210786 Y1 KR200210786 Y1 KR 200210786Y1 KR 2019980025839 U KR2019980025839 U KR 2019980025839U KR 19980025839 U KR19980025839 U KR 19980025839U KR 200210786 Y1 KR200210786 Y1 KR 200210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ase
pressing
cli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8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2777U (en
Inventor
장명섭
Original Assignee
장명섭
주식회사일원엘렉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섭, 주식회사일원엘렉텔 filed Critical 장명섭
Priority to KR2019980025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786Y1/en
Publication of KR20000012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77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786Y1/en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통신기기 및 여러전자분야에 사용되는 누름스위치로 단자를 연결시켜주는 접점부위를 넓혀주어 정확하게 접점시켜 줄 수 있는 리셋용 누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면에 플렛형상의 클립 (42)을 끼워고정시키는 클립고정부 (40) 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스프링 (56) 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끼움홈 (55) 이 형성된 누름부 (32) 와; 상기 누름부 (32) 의 상단이 돌출되게 끼워져 고정되며, 하단부의 내측에는 걸림부 (46) 가 형성된 케이스 (34) 와; 상기 케이스 (34) 의 하단부측에 끼워져 걸림부 (46) 에 고정되며, 클립 (42) 의 대향되는 위치에 누름부 (32) 의 승하강 방향으로, 플렛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자부 (36) 의 단자끝단부 (44) 일부가 몰딩부 (53) 에 고정되어, 단자부 (36) 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베이스 (50) 와; 상기 케이스 (34) 의 하단부 걸림부 (46) 에 베이스 (50) 가 끼워진 하단측에 형성된 시일용 에폭시 몰딩부 (48)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특징이 있다.It is a push switch for reset that can be contacted correctly by widening the contact area connecting the terminal with the push switch us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various electronic field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t-shaped clip (42) is inserted on both sides. A clip fixing part 40 for fixing is formed, and a pressing part 32 having a spring fitting groove 55 in which a spring 56 is fitted and fixed in the center thereof; A case 34 having an upper end of the pressing part 32 protruding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part; The terminal end of the terminal portion 36, which is fitt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case 34 and fixed to the catching portion 46, in the raising and lower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32 in the rising / lowering direction of the clip 42, in a flat shape. A part 50 of which the part 44 is fixed to the molding part 53, the base part 50 being formed so that the terminal part 36 penetrates and is fix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seal epoxy molding portion 48 form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base 50 is fitted to the lower end engaging portion 46 of the case 34.

Description

리셋용 누름스위치Push switch for reset

본 고안의 리셋용 누름스위치 (Push Button Switch for Rese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기기 및 여러전자분야에 사용되는 누름스위치로 단자를 연결시켜주는 접점부위를 넓혀주어 정확하게 접점시켜 줄 수 있는 리셋용 누름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button switch for reset. More specifically, the push switch used in communication devices and various electronic fields can be used to widen the contact point connecting the terminal and to make the contact point accurate. It relates to a push switch for a reset.

일반적으로, 통신기기 및 여러전자분야에 사용되는 리셋용 누름스위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4) 상에 길이방향으로 누름봉 (6)을 갖는 누름부 (2) 가 끼워져 있고, 상기 케이스 (4) 의 하부측에 끼워져 있는 베이스 (16) 에는 원형봉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자부 (14) 의 단자끝단부 (12) 가 케이스 (4) 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In general, a push switch for reset used i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various electronic fields has a push part 2 having a push bar 6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case 4, as shown in FIG. In the base 16 f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se 4, the terminal end 12 of the terminal portion 14 formed in a circular rod shape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case 4.

상기 베이스 (16) 상에는 중앙부분에 일체로 안착홈 (24) 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 (24) 에 시이소고정부 (8) 의 하부측에 형성된 안착돌기 (18) 가 끼워져 결합된다.On the base 16, a mounting groove 24 is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and the mounting protrusion 18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seesaw fixing part 8 is fitted to the mounting groove 24 to be engaged.

상기의 시이소고정부 (8) 는 일측면에 클립 (10) 이 형성되어 있으며, 누름부 (2) 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봉 (6) 에 작동에 의해 시이소운동을 한다.The above-mentioned seesaw fixing section 8 has a clip 10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performs a seesaw movement by acting on the push bar 6 formed on the press section 2.

상기의 누름부 (2) 는 항상 시이소고정부 (8) 와 누름부 (2)를 서로 밀치도록 끼움홈 (20) 과 시이소고정부 (8) 상과의 사이에 스프링 (22) 이 끼워져 있다.The spring portion 22 is fitted between the fitting groove 20 and the shiisogo portion 8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2 always pushes the shiiss fixing portion 8 and the pressing portion 2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이 형성된 푸시버튼스위치의 작동시 누름부 (2) 가 눌려지면, 누름봉 (6) 이 하강하여 누름봉 (6) 의 끝단에 끼워져 있는 시이소고정부 (8)를 누르게 되어 하강시킨다.When the pressing portion 2 is pressed during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switch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rod 6 is lowered to press and lower the seesaw fixing portion 8 which is fitted to the end of the pressing rod 6.

상기 시이소고정부 (8) 가 눌려지면서 동시에 클립 (10) 부분도 하강하게 베이스 (16) 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끝단부 (12) 와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끝단부 (12) 와를 접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누름부 (2)를 놓게 되면 자동적으로 스프링 (22) 에 의해 시이소고정부 (8) 과 누름부 (2)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밀치게 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The terminal section 12 formed on the center of the base 16 and the terminal end 12 formed on the right side are grounded while the clip section 10 is pressed and the clip 10 is also lowered. When the pressing portion 2 is released, the seesaw fixing portion 8 and the pressing portion 2 are push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by the spring 22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리셋용 누름스위치는 클립 (10) 에 의해 접점이 분리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의 클립 (10) 부분에 접지되는 면과 원형봉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자부 (10) 의 단자끝단부 (10)의 면과는 선접촉을 하여 접지되기 때문에 접점력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접점부분에 이물질 등이 끼일 경우에는 접점이 되지 않는 문제점 있다.However, the reset push switch operated as described above has a contact point detached by a clip 10, and a terminal end portion of the terminal portion 10 having a surface and a circular rod shape that is grounded to the clip 10 portion. The contact force is not good because it is grounded by lin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10),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ct is not made when foreign matters are caught in the contact portion.

또한, 상기 누름부 (2), 시이소고정부 (8), 베이스 (16), 스프링 (22) 의 부품의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동중에 누름부 (2)를 강하게 누르게 되면 파손이 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 parts of the pressing part 2, the shiso fixing part 8, the base 16, and the spring 22, and the pressing part 2 is strongly pressed during operation, so that the breakage becomes easy. There is thi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클립에 접점되는 단자끝단부의 면적을 넓혀 접점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중 고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리셋용 누름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terminal end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lip, as well as to facilitate assembly, and to cause breakage during use. It is to provide a push switch for reset that can reduce the

도 1 은 종래의 리셋용 누름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ush switch for reset.

도 2 는 본 고안의 리셋용 누름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switch for a res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 2 의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A of FIG. 2;

도 4 는 본 고안의 누름부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press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누름용 캡 32: 누름부30: press cap 32: press

34: 케이스 36: 플렛형상의 단자부34: Case 36: Flat terminal part

38: 시일용 고무링 40: 클립고정부38: seal rubber ring 40: clip fixing

42: 클립 44: 플렛형상의 단자끝단부42: clip 44: flat terminal end

46: 걸림부 48: 에폭시 몰딩부46: locking portion 48: epoxy molding portion

50: 베이스 52: 슬라이딩부50: base 52: sliding part

53: 몰딩부 54: 맞닿음면53: molding 54: abutment surface

55: 스프링 끼움홈 56: 스프링55: spring fitting groove 56: spring

57: 이송부57: transfer section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셋용 누름스위치는, 양측면에 클립을 끼워고정시키는 클립고정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스프링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끼움홈이 형성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상단이 돌출되게 끼워져 고정되며, 하단부의 내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측에 끼워져 걸림부에 고정되며, 클립의 대향되는 위치에 누름부의 승하강 방향으로, 플렛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자부의 단자끝단부가 몰딩부에 고정되어, 상기 단자부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 걸림부에 베이스 가 끼워진 하단측에 형성된 시일용 에폭시 몰딩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set push switch, the clip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lip on both sides is formed, the pressing portion formed with a spring fitting groove is fixed in the center spring; A case in which an upper end of the pressing part is inserted into and fixed, and a locking part is formed inside the lower part; The base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side of the case and fixed to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terminal end portion of the terminal portion having a flat shape is fixed to the molding portion in a lift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lip, and the terminal portion is penetrated and fixed. Wow; The lower end of the case is configured to be made of a sealing epoxy molding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is f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는 본 고안의 리셋용 누름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누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et push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portion of Figure 2,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press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본 고안은 케이스 (34) 의 상부측 중앙에 승하강운동이 가능하도록 누름부 (32) 가 끼워지며, 상기 케이스 (34) 의 하부측에는 통신기기 및 여러전자분야 사용되는 회로기판등에 끼워 고정시키는 단자부 (36) 가 도 2 와 같이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art 32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case 34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is possible, and the lower side of the case 34 is a terminal part fixed to the circuit board used i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various electronic fields. 36 is formed as shown in FIG.

상기 도 2 와 같이 형성된 리셋용 누름스위치는, 도 3 에 도시된 단면도를 보면, 케이스 (34) 의 상부측에는 누름부 (32) 가 끼워져 있으며, 케이스 (34) 에 끼워진 누름부 (34) 는 상하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누름부 (32) 의 중앙부분에는 스프링 끼움홈 (55) 이 형성되어 있어 항상 누름부 (32)를 상부측으로 탄성지게 밀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56) 이 끼워져 있다.As for the reset push switch formed as shown in FIG. 2, when the cross section shown in FIG. 3 is shown, the press part 32 is fitted in the upper side of the case 34, and the press part 34 fitted to the case 34 is a top and bottom The spring fitting groove 55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press part 32, and the spring 56 which always supports the press part 32 so that it may be pushed to upper part is inserted. .

또한, 누름부 (32) 의 하부 양측면에는 상하로 직선운동시 동시에 이동되게 하여 단자부 (36)를 접점시키는 형성된 클립 (42) 이 끼워지게 클립고정부 (40) 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clip fixing part 40 is formed in the lower both sides of the press part 32 so that the clip 42 which contacts the terminal part 36 so that it may move simultaneously at the time of linear movement up and down may be fitted.

상기의 클립고정부 (40) 에 끼워져 승하강운동을 하는 클립 (42) 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전자통신기기등의 회로기판에 연결된 단자부 (36)를 접점시키도록 단자끝단부 (44) 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clip 42 which is inserted into the clip fixing part 40 and moves up and down, the terminal end portion 44 is formed to contact the terminal portion 36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such as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e.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자끝단부 (44) 는 클립 (42) 의 승하강운동에 의해 접점의 위치가 바뀌도록 누름부 (32) 의 운동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terminal end portions 44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side by sid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32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int is chang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of the clip 42.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자끝단부 (44) 는 누름부 (32) 가 눌려지는 길이만큼 하부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단자끝단부 (44) 의 위치를 바뀌어 접점시키게 된다.Since the terminal end portion 44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moved downward by the length by which the pressing portion 32 is pressed,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end portion 4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의 단자끝단부 (44) 는 작동중에 단자끝단부 (44) 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몰딩부 (53) 로 감쌓서 고정시키고 있으며, 상기의 단자부 (36) 은 베이스 (50) 에 흔들림이 없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The terminal end portion 44 is wrapped and fixed with the molding portion 53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end portion 44 does not change during opera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36 is not shaken on the base 50. It is fixed so as not to move.

상기의 베이스 (50) 는 케이스 (34) 의 하부측에 형성된 걸림부 (46) 에 걸려서 고정되므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 (50) 의 상부측면에, 누름부 (32) 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56) 의 하부측면이 맞닿도록 고정되어 있어 항상 누름부 (32)를 상부측으로 밀친다.The base 50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46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34 and is not easily detached, and is formed on the pressing portion 32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50. The lower side of 56 is fixed to abut, and always pushes the pressing part 32 to the upper side.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누름부 (32)를 누르게 되면, 누름부 (32) 에 고정되어 있는 클립 (42) 은, 플렛형상으로 형성된 단자끝단부 (44)를 미끄러지면서 이송되어 가장 하단측에 형성된 플렛형상의 단자끝단부 (44)를 접점시키고, 클립 (42) 과 동시에, 누름부 (32) 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56) 도 가압되면서 하강된다.Accordingly, when the pressing portion 32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pressed, the clip 42 fixed to the pressing portion 32 is conveyed while sliding the terminal end portion 44 formed in a flat shape and formed at the lowermost side. The flat terminal end portion 4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as the clip 42, the spring 56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essing portion 32 is also lowered while being pressed.

또한, 상기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진 후, 눌려진 누름부 (32)를 놓게 되면, 눌려진 스프링 (56) 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 (32)를 상부측으로 원상복귀시킨다.In addition, if the pressed portion 32 is released after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sed portion 32 is returned to its upper sid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essed spring 56.

상기와 같이 클립 (42) 의 면과 플렛형상의 단자끝단부 (44) 의 면이 종래와 같이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을 하기 때문에 접점력은 더욱 증가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rface of the clip 42 and the surface of the flat terminal end portion 44 make surface contact instead of line contact as in the prior art, the contact force is further increased.

그뿐만 아니라, 상기의 케이스 (34) 의 내부측으로 외부측에서 발생되는 이물질등이 내부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상부측 누름부 (32) 에 고무링 (38)을 끼워 맞닿는 케이스 (34) 와의 시일성을 높이고 있으며, 하부측에 케이스 (34) 의 하부측에 끼워진 베이스 (50) 의 사이로도 이물질등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폭시 몰딩부 (48)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alability with the case 34 which fits the rubber ring 38 to the upper side pressing part 32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etc.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of the said case 34 is not drawn in into an inner side. The epoxy molding part 48 is formed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etc., from entering between the bases 50 fitted in the lower side of the case 34 at the lower side.

상기의 에폭시 몰딩부 (48) 는 시일성을 위한 것이지만 베이스 (50) 의 고정력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Although the epoxy molding part 48 is for sealing property, i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base 50 can also be raised.

또한, 도 5 에 도시된 리셋용 누름스위치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로, 구성은 하단면의 한쪽이 기울어져 경사진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 의 상단이 내측 상부에 끼워지며, 하단측에는 걸림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슬라이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항상 맞닿음되도록 형성된 맞닿음면 및 클립이 끼워진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밀치도록, 일측부에 누름부 승하강운동의 직각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형성된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며, 이송부에 고정된 클립에 대향되도록 플렛형의 단자끝단부를 갖는 단자부가 고정되도록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의 베이스의 하단부측으로 케이스의 내부로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시키도록 형성된 에폭시 몰딩부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reset push switch shown in Figure 5, in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s the pressing portion formed by the inclined sliding portion inclined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is fitted into the inner upper portion The lower end is provided with a case having a locking portion, a contact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liding portion inside the case, and a contact surface and a clip fitted to always contact, and a pressing portion on one side to push the transfer portion. A spring formed to impart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a base fixed to a latching portion of the case and having a terminal portion having a flat terminal end portion to face a clip fixed to a conveying portion, and It consists of an epoxy molding formed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interior of the case toward the lower end of the bas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며, 도 5 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의 도면부호는 본 고안과 동일한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여 설명한다.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present invention.

케이스 (34) 의 상부측 중앙에 끼워져 직선운동을 하는 누름부 (32) 의 하부측에는 한쪽부분이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슬라이딩부 (52)를 형성하고 있다.On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part 32 which is fit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case 34 and performs linear motion, the sliding part 52 is inclined so that one part may incline.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슬라이딩부 (52) 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맞닿음되어 미끄럼운동을 하도록, 맞닿음면 (54)을 갖는 이동부 (57) 가 형성되어 있다.The moving part 57 which has the contact surface 54 is formed in the position which opposes the sliding part 52 formed as mentioned above so that it may contact and slide.

상기의 슬라이딩부 (52)와 맞닿음면 (54) 이 맞닿도록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측의 누름부 (32) 부위가 눌려지면, 슬라이딩부 (52) 가 동시에 하강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52) 에 맞닿아 있는 맞닿음면 (52) 은 서로 미끄러지면서 누름부 (32) 가 눌려지는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이동부 (57)를 밀치면서 이동시킨다.Since the sliding part 52 and the contact surface 5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upper part of the pressing part 32 is pressed, the sliding part 52 is simultaneously lowered, and the sliding part 52 The abutting surfaces 52 abutting against each other slide and move while pushing the moving portion 57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s 32 are pressed.

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이동부 (57) 에는 클립 (42) 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어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베이스 (50) 에 고정되어 있는 플렛형상의 단자부 (36) 의 단자끝단부 (44) 에 미끄러지면서 면접촉을 한다.The clip 42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ving part 57, which is moved as described above, and slides on the terminal end 44 of the flat terminal part 36 fixed to the base 50 while being horizontally moved. Make contact.

상기와 같이 이동된 이동부 (57) 의 일측면에는 이동부 (57)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스프링 (56)이 형성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moving part 57 moved as described above, a spring 56 is formed to return the moving part 57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의 스프링 (56) 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 (57) 는 일측방향으로 밀치게 되어 이동부 (57) 의 타원형의 맞닿음면 (54) 에 맞닿아 있는 슬라이딩부 (52)를 밀치므로 누름부 (32) 는 상승되어 누름부 (32) 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The moving part 57 is pushed in one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6, and the pushing part pushes the sliding part 5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lliptical contact surface 54 of the moving part 57. 32 is raised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32.

상기의 베이스 (50) 는 케이스 (34) 의 걸림부 (46) 에 걸려 고정되어 있으며, 베이스 (50) 의 하부측에는 에폭시 몰딩부 (48) 가 형성된다.The base 50 is caught and fixed to the engaging portion 46 of the case 34, and an epoxy molding portion 48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50.

또한, 본 고안과 마찬가지로 누름부 (32) 의 상부측에는 시일용 고무링 (38) 이 끼워져 있으며, 누름부 (32) 의 상단부에는 누름부 (32) 의 상부측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캡 (30)이 씌워져 있다.In addition, the seal rubber ring 38 is f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32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p 3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32 to widen the area of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32. It is covered.

본 고안 및 다른 변형예에서는 클립 (42) 이 플렛형상의 단자부 (36) 의 단자끝단부 (44)를 미끄러지면서 면접촉을 하여 이동되기 때문에 종래의 시이소작용에 의해 클립이 원형봉에 끼워져 접점시키는 구조에 비해 접점력이 크게 증가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modifications, since the clip 42 is moved in surface contact while sliding the terminal end portion 44 of the flat terminal portion 36, the clip is inserted into a circular rod and contacted by a conventional seesaw operation. Compared with the structure, the contact force is greatly increas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리셋용 누름스위치에 의해, 클립에 접점되는 단자끝단부의 면적을 넓혀 접점력과 정확한 접점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by the reset push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terminal end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lip can not only increase the contact force and accurate contact degre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Claims (3)

양측면에 클립 (42)을 끼워고정시키는 클립고정부 (40) 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스프링 (56) 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끼움홈 (55) 이 형성된 누름부 (32) 와;A pressing part 32 having a clip fixing part 40 for clamping the clips 42 on both sides thereof, and having a spring fitting groove 55 in which a spring 56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누름부 (32) 의 상단이 돌출되게 끼워져 고정되며, 하단부의 내측에는 걸림부 (46) 가 형성된 케이스 (34) 와;A case 34 having an upper end of the pressing part 32 protruding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part; 상기 케이스 (34) 의 하단부측에 끼워져 걸림부 (46) 에 고정되며, 클립 (42) 의 대향되는 위치에 누름부 (32) 의 승하강 방향으로, 플렛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자부 (36) 의 단자끝단부 (44) 일부가 몰딩부 (53) 에 고정되어, 상기 단자부 (36) 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베이스 (50) 와;The terminal end of the terminal portion 36, which is fitt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case 34 and fixed to the catching portion 46, in the raising and lower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32 in the rising / lowering direction of the clip 42, in a flat shape. A base portion 50 fixed to the molding portion 53 so that the terminal portion 36 is penetrated and fixed; 상기 케이스 (34) 의 하단부 걸림부 (46) 에 베이스 (50) 가 끼워진 하단측에 형성된 시일용 에폭시 몰딩부 (48)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용 누름스위치.The push switch for a res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aling epoxy molding portion (48) form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base (50) is fitted to the lower end engaging portion (46) of the case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 (32) 의 상부측에는 누름용 캡 (30) 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 (32) 및 케이스 (34)의 사이에 시일용 고무링 (38) 이 더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용 누름스위치.2. The pressing cap 3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32, and a sealing rubber ring 38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32 and the case 34. Reset push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하단면의 한쪽이 기울어져 경사진 슬라이딩부 (52) 가 형성된 누름부 (32) 와,A pressing part 32 on which one side of the lower end surface is inclined and the inclined sliding part 52 is formed, 상기 누름부 (32) 의 상단이 내측 상부에 끼워지며, 하단측에는 걸림부 (46)를 갖는 케이스 (34) 와,An upper end of the pressing part 32 is fitted to an inner upper part, and a case 34 having a catching part 46 at a lower end thereof; 상기 케이스 (34) 의 내측에 슬라이딩부 (52) 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항상 맞닿음되도록 형성된 맞닿음면 (54) 및 클립 (42) 이 끼워진 이송부 (57) 와,A transfer part 57 formed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sliding part 52 on the inside of the case 34 and fitted with a contact surface 54 and a clip 42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이송부 (54)를 밀치도록, 일측부에 누름부 (32) 승하강운동의 직각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형성된 스프링 (56) 과,A spring 56 formed to impart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essing part 32 lifting and lowering motion of one side portion to push the transfer part 54, 상기 케이스 (34) 의 걸림부 (46) 에 걸려 고정되며, 이송부 (57) 에 고정된 클립 (42) 에 대향되도록 플렛형의 단자끝단부 (44)를 갖는 단자부 (36) 가 고정되도록 형성된 베이스 (50) 와,A base which is fixed to the catching portion 46 of the case 34 and fixed to the terminal portion 36 having the flat terminal end portion 44 so as to face the clip 42 fixed to the conveying portion 57. 50, 상기의 베이스 (50) 의 하단부측으로 케이스 (34) 의 내부로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시키도록 형성된 에폭시 몰딩부 (48)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용 누름스위치.The push switch for a res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epoxy molding portion (48) formed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case (34)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base (50).
KR2019980025839U 1998-12-21 1998-12-21 Push Button for Reset KR20021078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39U KR200210786Y1 (en) 1998-12-21 1998-12-21 Push Button for Re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39U KR200210786Y1 (en) 1998-12-21 1998-12-21 Push Button for Res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77U KR20000012777U (en) 2000-07-15
KR200210786Y1 true KR200210786Y1 (en) 2001-06-01

Family

ID=6950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839U KR200210786Y1 (en) 1998-12-21 1998-12-21 Push Button for Re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786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77U (en)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7708A (en) Electric jack
KR890004818Y1 (en) Switch point upkeep set up
KR950003111Y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US4454391A (en) Low profile DIP switch
US4017700A (en) Modular printed circuit board mountable push-button switch with tactile feedback
US4324958A (en) Tactile switch device
KR20020017945A (en) A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attached thereto
CA2012453A1 (en) Self-resetting push switch
MY104824A (en) Electrical connector
KR930003466A (en) socket
US3493706A (en) Slide switch actuator
KR200210786Y1 (en) Push Button for Reset
GB2288070A (en) Key switch
US4232923A (en) Electrical connector
US3810052A (en) Push button switch
US4332987A (en) DIP Switch
KR930007013A (en) socket
KR900000762Y1 (en) Switching apparatus
US3823292A (en) Push-button switch with conductive coil spring contact
US4121062A (en) Change-over slide switch with grounding spring member
KR100444097B1 (en) Switch
US3952178A (en) Switch construction
KR19990023781A (en) Push switch device
US4342892A (en) Keyswitch
KR900001075Y1 (en) Multi - contact select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