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571Y1 - a displa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 Google Patents

a displa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571Y1
KR200210571Y1 KR2020000022901U KR20000022901U KR200210571Y1 KR 200210571 Y1 KR200210571 Y1 KR 200210571Y1 KR 2020000022901 U KR2020000022901 U KR 2020000022901U KR 20000022901 U KR20000022901 U KR 20000022901U KR 200210571 Y1 KR200210571 Y1 KR 200210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dicator
power generation
generation unit
rotar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9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중덕
Original Assignee
최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덕 filed Critical 최중덕
Priority to KR2020000022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57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571Y1/en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표시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차폭 또는 주행속도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안전운전에 크게 기여하게 되는 차량용 표시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가 전후를 유통되게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지지대(13)에 그 회전축이 고정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21)와; 상기 회전날개(21)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하게 되는 발전부(20)와; 상기 발전부(20)에서 출력되는 전기에 의해 점등되고 상기 회전날개(21)에 다수 또는 하나가 설치되는 표시등(41)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표시 등을 차의 앞쪽 상면 일측이나 양측에 설치하면 차폭을 인지할 수 있는 차폭표시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dicator device, and to provide a vehicle indicator device that greatly contributes to safe driving because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vehicle width or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air is formed to flow back and forth. The main body 10; A rotary blade 21 fixed to the support 13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rotating by wind power; A power generation unit 20 which is gen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blade 21; It is composed of a light indicator 41 is turned on by the electricity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and a plurality or one is installed on the rotary blade 21, the indicator light is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r. It can be used as a vehicle width indicator that can recognize the vehicle width.

Description

차량용 표시등장치{a displaying device for an automobile}Vehicle display device {a displa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용 표시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차폭 또는 주행속도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선출원 97-18428호의 개량이며 안전운전에 크게 기여하게 되는 차량용 표시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dicat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indicator device that is an improvement of the application No. 97-18428 that enables the driver to easily recognize the vehicle width or driving speed and contributes greatly to safe driving. will b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측면등이나 미등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점등을 하면 차의 유무나 차폭을 인지할 수 있다.In general, since the side light or taillights are installed in the car,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hicle width can be recognized.

그러나, 상기 측면등이나 미등들은 운전자 자신이 운전하는 자동차인 경우에는 볼 수 없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가 자신이 탑승한 차의 차폭이 잘 인지되지 않아 특히 야간에 좁은 골목길 등에서는 접촉사고가 빈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ide lights and tail lights are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cannot be seen when the driver is driving a car, the driver is not aware of the width of the car in which he / she is riding.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종래에는 운전자가 자신이 운전하는 차의 차폭을 인지할 수 있도록 차의 앞부분 양측이나 상면 양측에 착설하도록 제작된 차폭등이 있었는데, 이러한 차폭등은 자동차의 전원을 이용토록 된 것이므로 전원공급을 위한 배선을 해야되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번거롭고 복잡하였으며, 또 배선을 위해 차체에 배선공을 뚫어야되므로 차체가 손상되는 등 사용상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고, 이에 따라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re was a vehicle width lamp which is designed to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or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vehicle width of the vehicle. Installation was very cumbersome and complicated because the wiring was required, and there were many problems in use, such as damage to the vehicle body, because a wiring hole had to be drilled in the vehicle body for wiring, and thus it was not widely used.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운전중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자신이 탑승한 차의 차폭을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주는 표시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oint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ndicator device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vehicle width of a car on which one rides while watching the fron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전원의 공급없이 자체적으로 점등되는 표시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icator device that lights itself without supply of external power.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목적들은, 운전자가 주시하기 용이한 위치에 착설하는 차폭표시등을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되는 전기로 점등시켜 주게 되는 표시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장치는 자동차에 착설되며 공기가 유통되게 형성되는 본체와, 이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자동차의 주행시 풍력에 비례하여 회전되는 회전날개와, 이 날개의 회전력에 따라 발전하게 되는 소형발전기를 구비한 발전부와, 이 발전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따라 점등되고 상기 회전날개(21)에 다수 또는 하나가 설치되는 표시등(41)으로 구성되며, 발광소자로 자석의 극수에 따라 원호를 그리며 점등하므로 시각적인 효과가 매우 크다.This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providing an indicator device that lights the vehicle's width indicator, which is installed at a location that is easy for the driver to observe, by electricity generated by using wind power, which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air is A power generation unit having a main body formed to be distributed, a rotary blad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rotating in proportion to wind power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a small generator tha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lade, It consists of indicator lights 41 which are lit according to the electricity and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r one of the rotary blades 21,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lighted by drawing an arc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poles of the magnet, so the visual effect is very larg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dica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1의 발전부(20)의 일부를 절체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of FIG.

도 3은 영구자석 5개를 원주방향으로 부착한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five permanent magnets attach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4는 영구자석 5개를 부착한 때의 표시등장치의 표시 상태도,4 is a display state of the indicator device when five permanent magnets are attached;

도 5의 (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표시등장치도, (b)는 그 표시상태도,Figure 5 (a) i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display state diagram,

도 6은 원판형 영구자석과 코아 형태의 코일을 사용한 실시예,6 is an embodiment using a disc-shaped permanent magnet and a core coil,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표시등장치의 설치도이다.7 is an installation of the indica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본체 11 : 받침대10: body 11: stand

20 : 발전부 21 : 회전날개20: power generation unit 21: rotary wing

23 : 원통 케이스 24 : 코일23: cylindrical case 24: coil

25 : 고정축 26 : 영구자석25: fixed shaft 26: permanent magnet

41 : 표시등 51 : 정류부41: indicator 51: rectifier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표시등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자동차의 주행시 마주오는 차에게 자신의 차의 존재를 알리고,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착설되며 공기가 전후를 유통되게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지지대(13)에 그 회전축이 고정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21)와, 상기 회전날개(21)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하게 되는 발전부(20)와, 상기 발전부(20)에서 출력되는 전기에 의해 점등되고 상기 회전날개(21)에 다수 또는 하나가 설치되는 표시등(41)으로 구성된다.1 is a view showing an indicato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of his car to the oncoming car during the driving of the car, the driver is watching the front and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air Is gen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upport shaft 13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e rotary blade 21 is rotated by wind power and the rotary blade 21 is rotated by wind power It is composed of a power generation unit 20 and the indicator light 41 is turned on by the electricity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and a plurality or one is installed on the rotary blade 21.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받침대(11)가 부설되고, 개방된 전단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주는 차단망(14)(14')들이 결착된다.A pedestal 11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and the blocking nets 14 and 14 'which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re attached to the open front end.

그리고, 상기 받침대(11)는 양면 접착테이프나 그 내부에 장착되는 영구자석(12) 등에 의해 자동차(50)의 앞쪽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착설된다.The pedestal 11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front driver of the vehicle 50 by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or the permanent magnet 12 mounted therein.

회전날개(21)는 발전부(20)에 부착되며 발전부(20)는 지지대(13)에 고정된 고정축(2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날개(21)가 풍력을 받아 회전하면 발전부(20)도 함께 회전하여 전기를 발전하게 된다.The rotary blade 21 is attached to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is supported by a fixed shaft 25 fixed to the support (13). Therefore, when the rotary blade 21 receives the wind to rotate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also rotates to generate electricity.

도 2에 도1의 발전부(20)의 일부를 절체한 사시도가 도시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of FIG.

상기 발전부(20)는 그 표면에 회전날개(21)가 부착되는 원통형 케이스(23)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23)의 내면에 원통형으로 감기는 코일(24)과;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지지대(13)에 고정된 고정축(25)과; 상기 고정축(25)에 부착된 다수의 영구자석(26)으로 구성된다.The power generation unit 20 and the cylindrical case 23 is attached to the rotary blade 21 on its surface; A coil 24 woun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case 23 in a cylindrical shape; A fixed shaft 25 fixed to the support 13 fixed to the main body 10;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26 attached to the fixed shaft (25).

회전날개(21)가 풍력에 의해 회전하면 원통형 케이스(23)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원통형 케이스(23)가 회전하면 그 내면에 부착된 코일(24)도 회전하여 코일(24)이 영구자석(26)에서 발생되는 자속과 쇄교하게 된다. 코일(24)이 영구자석(26)의 자속을 쇄교하게 되면 코일(24)에서는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따라 전류가 발생한다.When the rotary blade 21 is rotated by the wind, the cylindrical case 23 is also rotated together. When the cylindrical case 23 rotates, the coil 24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case 23 also rotates so that the coil 24 bridges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permanent magnet 26. When the coil 24 bridges the magnetic flux of the permanent magnet 26, a current is generated in the coil 24 according to Fleming's right hand rule.

영구자석(26)은 고정축(25)에 원주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번갈아 배치되도록 부착된다. 영구자석 5개를 원주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번갈아 배치되도록 부착한 정면도가 도 3에 도시된다. 5개의 영구자석(26-1, 26-2, ..., 26-5)이 N극과 S극이 번갈아 가며 나타나도록 고정축(25)에 부착된다. 따라서, 코일(24)이 회전하게 되면 1회전당 5개의 N극과 S극과 만나게 되고, 10번 N극과 S극의 극성변화를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날개(21)가 한번 회전할 때, 코일(24)에서 발생되는 유기전압은 그 극성이 +에서 -로 5번 바뀌게 되고, 거기에 부착된 표시등(41)이 발광 다이오드일 경우 극성이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번 켜졌다 꺼진다.The permanent magnet 26 is attached to the fixed shaft 25 so that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3 is a front view in which five permanent magnets are attached such that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ive permanent magnets 26-1, 26-2, ..., 26-5 are attached to the fixed shaft 25 so that the N pole and the S pole appear alternately. Therefore, when the coil 24 rotates, it meets five N-poles and S-poles per revolution, and receives the polarity change of N-poles and S-poles 10 times. Accordingly, when the rotor blade 21 rotates once, the induced voltage generated in the coil 24 is changed five times from + to-, and the polarity when the indicator 41 attached thereto is a light emitting diode. Because of this, it turns on and off five times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코일(24)에서 발생하는 유기전압을 직접 표시등(41)에 인가하면 단속적으로 켜지게 되어 시각적 점등효과를 높이고, 계속적으로 켜지게 하고자 하는 경우 정류기를 부설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induced voltage generated from the coil 24 is directly applied to the indicator light 41, the intermittent light is turned on intermittently, so that the visual lighting effect can be increased and the rectifier can be used continuously.

도 5(a)에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표시등장치를 나타낸다.5 (a) shows an indicat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10)와 발전부(20)의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51)와 캐패시터(52)를 직렬과 병렬로 각각 연결한 정류기(51)를 연결하여 한쪽 극성의 전압이 발생하게 하면 도 5(b)와 같이 회전하는 동안 표시등(41)이 계속적으로 켜져 있게 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s shown in the drawing, by connecting the rectifiers 51 connecting the diodes 51 and the capacitors 52 in series and in parallel, respectively, When the voltage of one polarity is generated, the indicator 41 can be continuously turned on while rotating as shown in FIG. 5 (b).

영구자석을 원통형으로 하면 길이 방향으로 길어지게 되므로, 길이 방향으로 짧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영구자석을 원판 형태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원판형태로 하면, 자속은 원판의 둘레에서보다 면에서 더 많이 발생되기 때문에 코일을 원통 케이스에 끼위지는 형태로 하기 보다 원판 영구자석의 면에서 발생하는 자속과 더 많이 쇄교할 수 있도록 코아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ermanent magnet is made cylindrical, it is length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it is desired to use it sh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ermanent magne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isc. In the disk form, since the magnetic flux is generated more in the plane than in the circumference of the disk, it is in the form of core so that it can be more connected with th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plane of the permanent magnet than in the form of sandwiching the coil in the cylindrical case. It is desirable to.

도 6에 원판형 영구자석과 코아 형태의 코일을 사용한 실시예가 도시된다.6 shows an embodiment using a disc permanent magnet and a core coil.

다수의 부채꼴 형태의 영구자석이 부착되어 원판형 영구자석(61)을 구성한다. 상기 영구자석(61)은 고정축(25)에 끼워져 코아형태의 코일(62, 62)에 근접하는 부분에서 고정된다. 한쌍의 코일(62,62)은 서로 그 단자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고, 그 단자 사이에 발광다이오드(LED1)과 다이오드(D1)를 직렬로 연결하고, 캐패시터(C1)는 병렬로 연결한다. 회전날개(21)가 회전함에 따라 코일(62,62)에 유기전압이 발생하고, 그 전압에 의해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서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정류된다. 정류된 전압은 캐패시터(C1)에서 평활화되고, 발광 다이오드(LED1)에 인가되어 빛을 발하게 된다. 발광 다이오드(LED1)의 빛을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원판 케이스(63)의 윗면에 창을 형성하든가 구멍을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LED1)를 그 구멍에 끼워서 발광다이오드(LED1)에서 발생한 빛이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한다. 도 6(b)에 회전날개(21)의 회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1)의 빛이 원판케이스(63)의 전면에서 원형으로 보이는 상태가 도시된다.A plurality of fan-shaped permanent magnets are attached to form a disk-shaped permanent magnet (61). The permanent magnet 61 is fitted to the fixed shaft 25 is fixed at the portion close to the core coils 62, 62. The pair of coils 62 and 62 have terminal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loop,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and the diode D1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capacitor C1 is connected in parallel. do. As the rotary blade 21 rotates, an induced voltage is generated in the coils 62 and 62, and the voltage flows from the anode of the diode D1 to the cathode and the rectification is performed because the current does not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 rectified voltage is smoothed in the capacitor C1 and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to emit light. In order to see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from the outside, a window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 case 63 or a hole is formed to insert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into the hole so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is viewed from the outside. To be able. In FIG. 6B,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is shown in a circular shape in front of the disc case 63 as the rotary blade 21 rotates.

여기서, 다이오드(D1)와 캐패시터(C1)를 제거하면 코일(62,62)에서 발생되는 전압은 부채꼴 자석이 3개가 부착되어 원판자석을 이루므로 도 6(c)와 같이 3개의 원호로 표시되는 불빛이 된다. 따라서, 정류부를 제거한 경우, 부채꼴 자석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표시되는 원호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iode D1 and the capacitor C1 are removed,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coils 62 and 62 is formed by three circular arcs as shown in FIG. It becomes a light. Therefore, when the rectifier is removed, the number of arcs displayed can be adjust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fan-shaped magnets.

그리고, 상기 정류부에는 정지시에도 적정시간동안 표시등(41)이 점등될 수 있게 하여주는 충전지(BT)가 부설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tify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BT that enables the indicator 41 to light for a suitable time even when stopp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표시등장치는 차폭등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본닛(70)의 윗면에 하나 또는 다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자동차 전면의 깃발을 다는 깃대(74), 자동차 전면의 일측 모서리부분이나 양측 모서리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백미러(71, 71)에 부착할 수 있고, 자동차의 지붕(72) 그리고 전면의 가드레일(73)의 위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위치는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으며 2륜차나 오토바이, 운전자의 헬멧 등에 부착될 수 있어서 야간 주행시에 식별이 용이하여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적용 예는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과 개선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indicato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 use as a vehicle width lamp, and as shown in FIG. 7, one or more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nnet 70 of the vehicle, and the flag on the front of the vehicle. Flagpole 74 having,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corner portion or both side corn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vehicle. In addition, it can b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rearview mirrors 71 and 71, and can also be installed on the roof 72 of the automobile and the guard rail 73 of the front surface. The attachment position is not limited to a vehicle, and can be attached to a two-wheeled vehicle, a motorcycle, a driver's helmet, etc.,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the vehicle at night and notify the driver of another vehicle to improve his safety. Such applications are of course possible for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렇게 설치한 상태에서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를 전후로 통과하게 되므로 풍력에 의해 회전날개(21)가 회전되며, 그 회전력에 의해 발전기(22)가 발전을 하여 전기가 출력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air passes back and forth inside the main body 10, the rotary blade 21 is rotated by wind power, and the generator 22 generates power by the rotational force, and electricity is output.

이렇게 되면, 출력된 전기는 정류부(30)의 콘덴서(C1)와 다이오드(D1)에 의해 평활 정류되어 표시부(40)로 통전되어 발광다이오드(LED1)를 점등시켜주며, 동시에 충전지(BT)에 충전된다.In this case, the output electricity is smoothly rectified by the capacitor C 1 and the diode D 1 of the rectifying unit 30 and energized to the display unit 40 to light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1 , and at the same time, the rechargeable battery BT ) Is charged.

이렇게 되면, 운전자는 표시등(41)에 의해 자신이 탑승한 차의 차폭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며, 또 회전이나 유턴을 위해 일단정지후 서행할 때에는 충전지(BT)에 충전된 전기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점등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vehicle width of the vehicle in which he / she boards by means of the indicator light 41, and when the vehicle slows down after stopping once for a turn or a U-turn, it is charged with electricity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BT. It turns on for a certain time.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표시등장치는, 자동차나 2륜차의 주행시 공기의 저항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전기를 발전하여 표시등 내에 장착되는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주므로, 운전자가 운전중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자신이 탑승한 차의 차폭, 또는 주행속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표시등이 차폭등으로 사용될 때에는 접촉사고 등의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개나 우천시 상대방에게 자신의 차량의 위치를 쉽게 알릴 수 있다.The indicator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d as described above generates electricity by using electric resistance of air when driving a vehicle or a two-wheeled vehicle to light a light emitting diode mounted in the indicator, so that the driver is driving.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vehicle width or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on which the vehicle is boarded while watching the front, and when the indicator is used as the vehicle width, the occurrence of a contact accident or the like is prevented. In addition, it is easy to tell the other party the location of his vehicle in the fog or rain.

또한, 자체적인 발전에 의해 표시등이 점등됨은 물론, 자동차에 간단 용이 하게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또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분리하여 별도 보관하면 되고, 차체에 배선을 위한 배선공들을 뚫을 필요가 없게 되어 차체의 손상도 방지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특히, 2륜차나 오토바이 운전자의 헬멧에 부착하면 헬멧 상측에서 전후로 빛이 나므로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dicator lights up and can be easily attached to a car by its own power generation, it is very convenient to install and use, and when it is not necessary, it can be separated and stored separately. There is no need to penetrate them, which can prevent damage to the body. In particular, when attached to the helmet of a two-wheeled vehicle or motorcycle driver can be prevented from crashing because the light shines back and forth from the top of the helmet.

Claims (4)

공기가 전후를 유통되게 형성되는 본체(10)와;The main body 10 is formed so that the air flows back and forth;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지지대(13)에 그 회전축이 고정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21)와;A rotary blade 21 fixed to the support 13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rotating by wind power; 상기 회전날개(21)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하게 되는 발전부(20)와;A power generation unit 20 which is gen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blade 21; 상기 발전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점등되고 상기 회전날개(21)에 다수 또는 하나가 설치되는 표시등(4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표시등장치.The indicator lamp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ights (41) is provided by the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is installed on the rotary blade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20)에서 출력되는 전기를 정류하여 상기 표시등(41)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표시등장치.The vehicle indicato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ity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is rectified and supplied to the indicator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20)는 그 표면에 회전날개(21)가 부착되는 원통형 케이스(23)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23)의 내면에 원통형으로 감기는 코일(24)과;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지지대(13)에 고정된 고정축(25)과; 상기 고정축(25)에 부착된 다수의 영구자석(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표시등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and the cylindrical case 23 is attached to the rotary blades 21 on its surface; A coil 24 woun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case 23 in a cylindrical shape; A fixed shaft 25 fixed to the support 13 fixed to the main body 10; Indicator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26) attached to the fixed shaft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20)는 그 표면에 회전날개(21)가 부착되는 원판형 케이스(63)와; 상기 원판형 케이스(63)의 내면에 설치되는 코아형 코일(62, 62)과;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지지대(13)에 고정된 고정축(25)과; 상기 고정축(25)에 부착된 다수의 원판형 영구자석(6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표시등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unit 20 and the disk-shaped case 63 is attached to the rotary blade 21 on the surface; Core coils 62 and 62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isc-shaped case 63; A fixed shaft 25 fixed to the support 13 fixed to the main body 10; Indicator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disk-shaped permanent magnets (61) attached to the fixed shaft (25).
KR2020000022901U 2000-08-11 2000-08-11 a displa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KR20021057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901U KR200210571Y1 (en) 2000-08-11 2000-08-11 a displa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901U KR200210571Y1 (en) 2000-08-11 2000-08-11 a displa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571Y1 true KR200210571Y1 (en) 2001-01-15

Family

ID=7308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901U KR200210571Y1 (en) 2000-08-11 2000-08-11 a displa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571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2416A1 (en) * 2002-03-29 2003-10-09 Bae Yun-Ki Luminescent ski
WO2003082417A1 (en) * 2002-03-29 2003-10-09 Bae Yun-Ki Luminescent snow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2416A1 (en) * 2002-03-29 2003-10-09 Bae Yun-Ki Luminescent ski
WO2003082417A1 (en) * 2002-03-29 2003-10-09 Bae Yun-Ki Luminescent snow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844B2 (en) Generator powered bicycle headlamp and electrical circuit
EP0210219B1 (en) Lighting apparatus for wheels of vehicles
US5590946A (en) Generator for bicycle and a light system using the same
US6565243B1 (en) Lighted wheel
US6832847B2 (en) Cycle wheel safety lighting system
KR20040110169A (en) Luminous device for automobile wheel
KR20170010699A (en) Afterimage display apparatus for a bike speed using an aerogenerator
KR200210571Y1 (en) a displaying device for an automobile
KR20130098073A (en) Bicycle with self-emitting device for outputting images using persistence of vision
JP2007230530A (en) Self-luminous bicycle safety pilot lamp and accessary
KR200265935Y1 (en) Apparatus for safety indication with helmet
KR20060061502A (en) Flasher for road
JP2005521493A (en) Luminous ski
KR200309282Y1 (en) Lighting ornament that is attached on vehicles
KR200374198Y1 (en) Luminescent device for wheels
KR200281811Y1 (en) Elastic rod flashing and vehicle flashing device
KR200300675Y1 (en) Automobile bumper Guard omitted
KR100625079B1 (en) The Display Device and which is using the LED and CDS
KR20090001541U (en) Wind force generator for bicycle illuminator
KR200277819Y1 (en) Vehicle blinker and safety sign blinker
KR200284434Y1 (en) Luminous indicating sign using of wind
JP2005521494A (en) Luminous snowboard
KR200315178Y1 (en) a wind power signboard
JP2011068259A (en) Non-contact type generator for bicycle
KR100518917B1 (en) Device of Selves On-Off Signals and Safety Marks, thereof methode of its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