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424Y1 - 출입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424Y1
KR200210424Y1 KR2019990000746U KR19990000746U KR200210424Y1 KR 200210424 Y1 KR200210424 Y1 KR 200210424Y1 KR 2019990000746 U KR2019990000746 U KR 2019990000746U KR 19990000746 U KR19990000746 U KR 19990000746U KR 200210424 Y1 KR200210424 Y1 KR 200210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door
hole
auxiliary ring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983U (ko
Inventor
이상하
Original Assignee
이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하 filed Critical 이상하
Priority to KR2019990000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42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424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잠금장치(14) 배면에 밀착고정되고, 타측에 안내구멍(20)을 가지는 결합부(19)가 돌출형성된 자물통(18)과; 자물통(18)의 결합부(19)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중앙에 결합부(19)의 안내구멍(20)과 동축상으로 다른 안내구멍(23)이 형성되며, 출입문(11)의 외측면의 외부구멍(12)에 지지되는 보조링(21)과; 보조링(21)과 자물통(18)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링(21)을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4)으로 이루어진 출입문용 잠금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자물통(18)이 출입문(11)의 내부 내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문(11) 외측에서 자물통(18) 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멀어서 곁쇠질이 거의 불가능하고, 기타의 공구로 자물통(18)의 외주를 물리고 회전시키기가 어려우며,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자물통(18)이 잠금장치(14)에 밀착고정되어 있어 결합볼트가 끊어지지 않는 한 회전되지 않는등 침입자의 침입을 봉쇄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출입문용 잠금장치{A DOOR LOCK}
본 고안은 출입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곁쇠질이나 자물통 파손을 방지한 출입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용 잠금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문(1)의 결합구멍(2)에 자물통(3)이 구비되고 출입문(1) 내측으로 잠금장치(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잠금장치(4)에는 출입문(1)을 잠그거나 열도록 구비된 가이드봉(5)과 이 가이드봉(5)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핸들(6), 그리고 핸들(6)의 회전을 제어하는 록커(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자물통(3)과 잠금장치(4) 사이에는 네개의 볼트(8)가 체결되어 자물통(3)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출입문용 잠금장치는 열쇠를 자물통(3)의 키구멍에 꽂고 회전시키면 가이드봉(5)이 좌우로 이송되면서 출입문(1)이 잠기거나 해제되며, 핸들(6)을 회전시킬시도 이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한편 실내의 거주자가 핸들(6)을 회전시켜서 출입문(1)을 잠근 후 록커(7)를 누르게 되면 록커(7)가 가이드봉(5)의 이송을 방지시키므로 자물통(3)의 키구멍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므로 곁쇠질을 하여도 출입문(1)이 열리지 않게 되어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출입문용 잠금장치는 실내에서 록커(7)를 작동시켜서 곁쇠질을 방지시킬 수 있으나, 모두 외출하여 실내에 사람이 거하지 않을시에는 록커(7)를 눌를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침입자는 자물통(3)의 키구멍에 후레쉬등을 비추면서 곁쇠질을 하여 잠금장치(4)를 열게 되었고, 최근에는 자물통(3)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곁쇠질보다 더 용이하게 잠금장치(4)를 오픈시켰다.
즉, 자물통(3)은 비교적 긴 길이의 네개의 볼트(8)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어느 정도 지지되나, 자물통(3)을 좌우로 비틀시 큰 힘을 받지 못한다.
따라서 최근에 침입자들은 출입문(1)의 결합구멍(2) 주위를 뜯은 후 기타 공구로 자물통(3) 외주를 물리고 그 자체를 회전시켜서 출입문(1)을 간단히 열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곁쇠질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며 자물통을 뜯어 내거나 자물통 자체를 회전시키지 못하도록 한 출입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출입문용 잠금장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출입문 외측면 결합구멍에 자물통의 외측 둘레가 지지되고, 출입문 내측면에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자물통과 잠금장치가 긴 길이의 볼트로 체결된 출입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잠금장치 배면에 밀착고정되고, 타측에 안내구멍을 가지는 결합부가 돌출형성된 자물통과; 자물통의 결합부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중앙에 결합부의 안내구멍과 동축상으로 다른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출입문의 외측면의 외부구멍에 지지되는 보조링과; 보조링과 자물통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링을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자물통이 출입문의 내부 내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문 외측에서 자물통 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멀어서 곁쇠질이 거의 불가능하고, 기타의 공구로 자물통의 외주를 물리고 회전시키기가 어려우며,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자물통이 잠금장치에 밀착고정되어 있어 결합볼트가 끊어지지 않는 한 회전되지 않는등 침입자의 침입을 봉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출입문용 잠금장치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
도2는 본 고안 출입문용 잠금장치를 보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3은 그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출입문14 ; 잠금장치
15 ; 가이드봉16 ; 핸들
17 ; 핸들18 ; 자물통
19 ; 결합부20,23 ; 안내구멍
21 ; 보조링22 ; 결합돌부
24 ; 스프링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2에서, 본 고안 출입문용 잠금장치는 출입문(11)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내부구멍(13) 및 외부구멍(12)이 각각 형성되되, 내부구멍(13)은 후술할 자물통(18)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외부구멍(12)은 내부구멍(13)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출입문(11) 내측에는 공지의 잠금장치(14)가 설치되는바, 이는 핸들(16)을 회전시 가이드봉(15)이 좌우로 이송되어 출입문(11)을 잠그거나 열도록 되어 있고, 잠금장치(14) 상부에는 록커(17)가 구비되어 있어 가이드봉(15)의 좌우 이송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장치(14) 내측면에는 자물통(18)의 일측이 밀착되어 도시되지 않은 볼트로 체결되어 있다.
이 자물통(18) 타측에는 자물통(18)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결합부(19)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부(19)에는 안내구멍(20)이 형성되어 자물통(18)의 키구멍(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자물통(18)의 결합부(19)에는 원통형 보조링(21)이 결합되어 있고, 이 보조링(21) 일측에는 출입문(11)의 외부구멍(12)에 끼워지도록 결합돌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돌부(22)에 결합부(19)의 안내구멍(20)과 동축으로 다른 안내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링(21)의 내측단부와 자물통(18)의 대응 단부 사이에는 스프링(24)이 구비되어 있어 보조링(21)을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므로 보조링(21)의 결합돌부(22)가 외부구멍(12)에 탄성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출입문용 잠금장치는 도3과 같이 결합되어 사용되는바, 열쇠를 꽂으면 보조링(21)의 안내구멍(23)과 결합부(19)의 안내구멍(20)을 통해 자물통(18)의 키구멍에 결합된다. 즉 출입문(11) 외측과 키구멍까지의 거리가 종래에 비해 길어지게 되므로 곁쇠질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이 곁쇠질이 불가능함을 감지한 침입자는 자물통(18) 자체를 회전시키거나 파손시켜서 출입문(11)을 열려고 하는데, 자물통(18)이 출입문(11)의 내측에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파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기타 공구로 자물통(18)을 파지하려면 출입문(11)의 외부구멍(12) 둘레를 충분히 뜯어내는 비교적 큰 작업이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시간이 지연되고, 소음이 증가되는 등의 어려움이 수반된다.
그리고 외부구멍(12) 주위를 충분히 뜯어내서어서 공구로 자물통(18)을 파지할 수 있다 하더라도 자물통(18) 자체가 잠금장치(14)에 직접 맞닿아 볼트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문(11) 내부에서, 즉 실내에서 잠금장치(14)와 자물통(18)간에 체결된 볼트를 풀지 않는 한 수작업으로 자물통(18)을 분리하거나 회전시키는 작업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 출입문용 잠금장치는 제 짝인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는 종래에 비해 잠금장치(14)를 열기가 매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자물통(18)이 출입문(11)의 내부 내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문(11) 외측에서 자물통(18) 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멀어서 곁쇠질이 거의 불가능하고, 기타의 공구로 자물통(18)의 외주를 물리고 회전시키기가 어려우며,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자물통(18)이 잠금장치(14)에 밀착고정되어 있어 결합볼트가 끊어지지 않는 한 회전되지 않는등 침입자의 침입을 봉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중구조를 가지는 출입문 외측면 결합구멍에 자물통의 외측 둘레가 지지되고, 출입문 내측면에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자물통과 잠금장치가 긴 길이의 볼트로 체결된 출입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잠금장치(14) 배면에 밀착고정되고, 타측에 안내구멍(20)을 가지는 결합부(19)가 돌출형성된 자물통(18)과;
    상기 자물통(18)의 결합부(19)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결합부(19)의 안내구멍(20)과 동축상으로 다른 안내구멍(23)이 형성되며, 출입문(11)의 외측면의 외부구멍(12)에 지지되는 보조링(21)과;
    상기 보조링(21)과 자물통(18)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링(21)을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잠금장치.
KR2019990000746U 1999-01-21 1999-01-21 출입문용 잠금장치 KR200210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746U KR200210424Y1 (ko) 1999-01-21 1999-01-21 출입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746U KR200210424Y1 (ko) 1999-01-21 1999-01-21 출입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983U KR20000015983U (ko) 2000-08-16
KR200210424Y1 true KR200210424Y1 (ko) 2001-01-15

Family

ID=5475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746U KR200210424Y1 (ko) 1999-01-21 1999-01-21 출입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4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983U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0498A (en) Interior deadbolt knob fastening apparatus
US5904232A (en) Clutch assembly enabling a free turn of an outer handle of a door with respect to a latch assembly of a lock
US6041630A (en) Clutch mechanism for a lock
US5906125A (en) Auxiliary lock
KR20020000646A (ko) 도어 록킹 장치
US5901590A (en) Interior door lock assembly with a safety device
US4815774A (en) Universal dead bolt
CA2040618C (en) Combined dead lock and safety chain type door lock
EP0658238B1 (en) Padlocks
KR200210424Y1 (ko) 출입문용 잠금장치
JP3790660B2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KR200226220Y1 (ko) 현관도어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KR100421692B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JP3842521B2 (ja) 冷却貯蔵庫
KR200175232Y1 (ko)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
KR970005083Y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도어록 장치
KR20026009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도어키
WO1995025866A1 (en) Anti-tamper device
KR20010049532A (ko) 개구부 로크 장치
KR0160380B1 (ko) 자동차의 키 실린더
KR200293455Y1 (ko)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JPH0449339Y2 (ko)
KR200140946Y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록 캡
KR200235202Y1 (ko) 창문 고리식 잠금장치
RU2055973C1 (ru) Накладной зам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