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099Y1 - Knee protector - Google Patents

Knee pro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099Y1
KR200210099Y1 KR2019980016678U KR19980016678U KR200210099Y1 KR 200210099 Y1 KR200210099 Y1 KR 200210099Y1 KR 2019980016678 U KR2019980016678 U KR 2019980016678U KR 19980016678 U KR19980016678 U KR 19980016678U KR 200210099 Y1 KR200210099 Y1 KR 200210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sponge pad
protector
main body
prot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6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68633U (en
Inventor
김영섭
Original Assignee
김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섭 filed Critical 김영섭
Priority to KR2019980016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099Y1/en
Publication of KR19980068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63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099Y1/en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릎을 바닥에 접하고 작업을 하는 인부들과 운동선수 그리고 놀이기구를 즐기는 어린이 등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무릎관절이 원활히 굴신될 수 있으며, 무릎 보호대 안쪽으로 땀이 차지 않도록 하고, 무릎 부위를 완전히 밀착 및 감싼 상태를 항상 유지하면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rotector worn to protect the knees of workers, athletes, and children who play with their knees on the floor, and the knee joints can be flexed smoothly. In order to prevent sweating and to protect from shock while keeping the knee area completely in contact and wrapped,

결착밴드를 상,하부에 봉합한 본체의 외피는 망사를 소재로 하고 보호구가 통기공을 갖는 리벳에 의해 부착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함께 테두리가 봉합되어 주머니 형상을 만드는 후면부의 중앙부분에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를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에 끼워 넣어지는 다수의 통기공을 천공한 발포 스폰지 패드가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형태에 따라 곡선형태가 변화하면서 보호하도록 중앙에 양측의 연결살이 남도록 원형으로 절단하며, 양측에 절개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shell of the main body which sutures the binding ban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is made of a mesh material, and the front part is attached to the protective device by a rivet having a vent and the center part of the rear part of which the edge is sealed together with the front part to form a bag shape. Forming an opening for inserting and detaching the foam sponge pad, and the foam sponge pad perforated a plurality of vent holes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shell in the center to protect while changing the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of the knee It is cut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connecting flesh on both side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는 무릎 슬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아 착용감이 양호하며, 무릎관절부위의 피부와 밀착되어 있더라도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고, 무릎 부위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충격 등에 대한 보호 효과가 크다. 또한 팔꿈치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The knee pro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so it is comfortable to wear, and even if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knee joint, it is well ventilated to prevent sweating and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knee. Great protection against back. It can also be worn on the elbows.

Description

무릎 보호대Knee protector

본 고안은 무릎을 바닥에 접하고 작업을 하는 인부들과 운동선수 그리고 놀이기구를 즐기는 어린이 등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착밴드를 부착한 무릎 보호대를 무릎에 착용하여 무릎을 보호하고, 무릎관절이 원활히 굴신될 수 있으며, 착용한 무릎 보호대 안쪽과 무릎부위 사이에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땀이 차지 않도록 한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rotector worn to protect the knees of workers, athletes, and children who play with their knees on the floor. To protect the knees, the knee joint can be flexed smoothly, and between the inside of the knee protectors worn and the knee area is smoothly related to the knee protector to prevent sweating.

일반적으로 무릎을 바닥에 접하고 작업을 하는 인부들과 운동선수 그리고 놀이기구를 즐기는 어린이 등의 무릎은 시멘트 바닥이나 아스팔트 등에 노출이 되어 있어, 작업, 격렬한 동작 또는 롤러 스케이트와 같은 놀이기구를 이용하는 중에 바닥과의 잦은 접촉이나 접촉에 의한 충격으로 상처를 입게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릎 보호대를 착용해야 하는데, 종래에 무릎을 보호하는 방법들로는 원형 편직물 양단에 탄성밴드를 부착하고, 상기 편직물 일면에 무릎보호부가 부착되며, 그 이면에 통풍구를 형성한 무릎 보호대와 발포성 기공을 형성한 유연한 합성수지 부직포로 덮개본체를 형성하고 그 전면에 딱딱한 합성수지제 보호판을 용착한 무릎 보호대, 또는 2매의 가요성 합성수지를 접착시켜 그사이에 공기 팽창부를 형성하고 일단에 공기 압축구와 공기 배출구를 설치한 공기 팽창 밴드를 내마찰성 바깥쪽 천과 부드러운 안쪽 천 사이에 삽입하여 구성된 무릎 보호대 등이 있었으나 이들은 착용이 불편하고, 무릎부위의 굴신이 자연스럽지 못하며, 통풍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접촉에 의한 충격 시에 완충작용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the knees of workers, athletes, and children who play with their knees on the floor are exposed to the cement floor or asphalt. The knee protector should be worn in order to prevent this from being damaged by frequent contact or impact caused by contact. In the conventional methods of protecting the knee, an elastic band is attached to both ends of a circular knitted fabric, and the knee protecto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knitted fabric. The cover body is made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nonwoven fabric formed with a vent hole and a foamed pore on the back side thereof, and a knee protector welded with a hard synthetic resin protective plate on its front surface, or two flexible synthetic resins are bonded together. Meanwhile forming an air inflation and air pressure at one end Some knee protectors were made by inserting an air inflation band with a football and an air outlet between the friction-resistant outer fabric and a soft inner fabric, but these were inconvenient to wear, the knee was not naturally stretched, and the ventilation was not easy. Of cour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uffering action is weak at the time of contact.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5-7432호(1995.9.11)에 게재된 "무릎 보호대"는 무릎 보호부와 정강이보호부 사이에 굴곡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정강이 부위까지의 보호와 경량화를 위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고발포폴리에치렌시트로 형성시키고 그 표면에 나일론 옥스포드지를 일체로 접착시키므로 써 경량화를 도모하고 표면강도를 향상시키며, 상부 무릎보호부와 하부의 정강이 보호부를 일체로 형성시키되 그 사이에 얇은 굴신부를 형성시켜 정강이를 보호하면서도 무릎의 굴신이 용이하도록 하며, 주연부에 박엽부를 형성시켜 이에 테두리부재를 봉착할 수 있게 하고, 박엽부에 봉착하는 테두리부재로서 고무사로 직조된 밴드를 사용하여 무릎 보호대의 주연이 안쪽으로 굴곡 되도록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무릎 보호대는 무릎 부위의 굴신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통풍이 용이하지 못하며, 접촉에 의한 충격 시에 완충작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Knee protector" pu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5-7432 (1995.9.11)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formed between the knee protector and the shin protector integrally formed bends to protect the shin area It is for weight reduction, and its structure is formed of high foamed poly ethylene sheet and integrally bonded with nylon oxford paper on its surface for weight reduction and improved surface strength, and upper knee protection part and lower shin protection part are integrally formed. While forming a thin bent portion between them to protect the shin and to facilitate the flexion of the knee, to form a thin portion in the periphery to seal the rim member, and woven with rubber yarn as a rim member sealed to the thin leaf portion A band was used to form the periphery of the knee brace inwardly. However, the knee protector has a problem in that the flexion of the knee region is not natural, the ventilation is not easy, and the cushioning action is not easy at the time of contact.

또한 종래의 모든 무릎 보호대는 합성수지제 및 금속으로 성형한 보호부를 본체의 전면에 부착하는 수단으로서 본체의 배면에서 전면으로 관통되는 리벳에 의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므로 사용중에 충격이 가해지면 배면에 노출되고 무릎에 접하는 리벳이 무릎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하게 되어 타박상 등의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l the conventional knee protector is a means for attaching the protective part made of synthetic resin and metal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is fixed by rivets penetrating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the front. Rivets in contact with the knee directly impacts the kne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und such as bruises.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릎 보호대를 착용하여 사용할 때에 본체내에 수용된 발포 스폰지 패드가 무릎의 슬관절이 굴신되는 형태와 동일하게 변형되면서 무릎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충격 흡수의 효과와 착용감을 좋게 하며, 착용된 무릎 보호대 안쪽과 무릎부위 사이에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땀이 차지 않도록 한 무릎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knee pad while the foam sponge pad accommodated in the body is de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knee joint of the knee is bent when using the knee protector By contacting to the effect of shock absorption and wearing comfort, the ventilation between the inside of the worn knee protector and the knee area is provided to provide a knee protector to prevent sweat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본체에 스폰지 패드가 삽입되어 있는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that the sponge pad is inserted into the body of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폰지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onge pa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무릎이 펴진 상태에서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5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orn in the knee protector knee exten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무릎이 펴진 상태에서 착용된 상태의 스폰지 패드의 모양을 도시한 측면도,Figure 5b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ponge pad in a state wearing the knee protector knee exten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6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the knee protector knee bent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 착용된 상태의 스폰지 패드의 모양을 도시한 측면도,Figure 6b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ponge pad in a state wearing the knee protector knee b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무릎 보호대 2 : 본체1: knee protector 2: body

3 : 결착밴드 4 : 스폰지 패드3: binding band 4: sponge pad

5 : 전면부 6 : 후면부5: front part 6: rear part

10 : 외피 11 : 보호구10: jacket 11: protective equipment

12 : 리벳 21 : 매직테이프12: rivet 21: magic tape

22 : 고무밴드 23 : 개구부22: rubber band 23: opening

30 : 통기공 31 : 측면 절개홈30: ventilation hole 31: side incision groove

32 : 중앙 절개홈 33 : 연결살32: central incision groove 33: connection

34 : 원형부34: circular p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는 무릎에 접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으로 성형된 발포 스폰지 패드를 감싸도록 외피의 테두리를 봉합하여 본체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 전면 중앙부분에 위치되면서 배면으로부터 관통된 리벳으로 보호구를 부착하고,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 매직테이프 및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결착밴드를 봉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망사를 소재로 하고 보호구가 통기공을 갖는 리벳에 의해 부착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함께 테두리가 봉합되어 주머니 형상을 만드는 후면부의 중앙부분에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를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외피에 끼워 넣어지는 다수의 통기공을 천공한 발포 스폰지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knee pro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utures the outer edge of the outer shell so as to surround the foam sponge pad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contact the knee, and forms a main body. The protective device is attached with a rivet,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in body are sewn with a binding band composed of a magic tape and a rubber band. The edge is sealed together with the front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to form an opening for inserting and separating the foam sponge pa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which forms a bag shape, and foams perforated a plurality of vent holes inserted into the outer shell.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ponge pad.

또한,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가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일 때에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자세 즉 그 변형되는 형태에 따라 곡선형태가 변화하면서 무릎을 보호하도록 중앙 부위를 원형으로 절단하여 원형부를 형성하되 원형의 원형부가 양측의 연결살에 의해 자체에 연결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원형부의 양측 수직 외측면 부위에 "V"자형 절개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amed sponge pad is formed by cutting a central portion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protect the knee while changing the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moving posture of the knee joint, that is, its de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fit when the knee joint of the knee is moved. However, the circular circular portion is connected to itself by the connecting ribs on both si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V" shaped incision grooves are formed on both vertical outer surface portions of the circular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knee pro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1)는 지면 및 물체 등에 접촉으로 인한 충격에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21)를 전면에 부착한 본체(2)와, 본체(2)의 내부에 수용되는 발포 스폰지 패드(4) 그리고 무릎에 착용할 수 있도록 본체(2)에 봉합된 결착밴드(3)로 구성된다.The knee prot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2 having a front face attached with a protector 21 for protecting against impact due to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n object, and a foam sponge pad 4 housed inside the main body 2. And it is composed of a binding band (3) sealed to the body (2) to be worn on the knee.

상기 보호구(21)는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으로 형성하되 지면 및 물체에 부딪칠 때 생기는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을 갖으며, 무릎의 슬관절을 감싸며 굴신 운동이 용이하도록 외형은 타원형상을 이루면서 오목한 버킷 형태로 성형하게 되고, 통기공을 갖는 리벳(22)으로 상기 본체(2)의 전면부(5)에 부착된다.The protector 21 is formed of synthetic resin or metal, but has a strength that can withstand the impact generated when it hits the ground and an object, and the outer shape is an elliptical shape so as to wrap around the knee joint of the knee and to facilitate the bending movement. It is molded and attached to the front part 5 of the main body 2 with a rivet 22 having a vent hole.

본체(2)의 외피(10)는 통풍성이 양호한 직물을 사용하게 되며, 특히 망사를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피(10)는 상기 보호구(21)를 부착하는 한 조각인 전면부(5)와, 발포 스폰지 패드(4)를 수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개구부(23)를 형성하기 위하여 두 조각으로 분리된 후면부(6)로 이루어지면서 테두리를 봉합하면 주머니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개구부(23)는 후면부(6)와 전면부(5)의 테두리를 봉합할 때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수용되는 발포 스폰지 패드(4)가 사용중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측의 망사가 상측의 망사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shell 10 of the main body 2 is made of a fabric having good ventilation, and particularly preferably made of a mesh material. The outer shell 10 is also divided into two pieces to form the front part 5, which is a piece to which the protector 21 is attached, and an opening 23 to receive and separate the foam sponge pad 4. It is made of a back portion (6) and suture the rim to form a pocket shape. The opening 23 is positioned at the center when sealing the rims of the rear part 6 and the front part 5, and the lower mesh is plac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received foam sponge pads 4 do not escape to the outside during us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tate which entered into the mesh inside of.

상기 결착밴드(3)는 무릎 보호대(1)의 착탈이 편리하도록 고무밴드(32)의 일단을 상기 본체(2)의 외피(10) 상,하부 위치에 봉합하며, 고무밴드(32)의 타단은 매직테이프(31)의 고리면의 일단과 함께 봉합되고, 상기 매직테이프(31)의 고리면붙는 기모면은 외피(10)의 전면부(5)에 봉합된다.The binding band 3 is sutured to one end of the rubber band 32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outer shell 10 of the main body 2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of the knee protector 1, the other end of the rubber band 32 Is sealed together with one end of the annular surface of the magic tape 31, and the annular brushed surface of the magic tape 31 is sealed to the front portion 5 of the shell 10.

한편 발포 스폰지 패드(4)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2)의 외피(10) 후면부(6)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23)로 삽입되어지고, 상기 삽입되어진 스폰지 패드(4)의 원형부(44)이 상기 외피(10)의 전면부(5)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구(21)의 뒤편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발포 스폰지 패드(4)는 탄성력이 우수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높은 소재로 성형하게 되고,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형태에 따라 곡선형태로 변화하면서 무릎을 완벽하게 보호하도록 중앙 부위를 원형으로 절단하여 절개홈(42)과 원형부(44)를 형성하되 원형부(44) 양측의 연결살(43)에 의해 자체에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형부(44)의 양측 수직 외측면 부위에 "V"자형 절개홈(41)을 형성하여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형태에 따라 곡선형태로 변화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다수개의 통기공(4)을 천공하여 망사 소재로 되어 있는 본체(2)의 외피(10)를 통해 통풍을 원활히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착용시 땀의 생성을 방지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foamed sponge pad 4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23 formed in the rear portion 6 of the shell 10 of the main body 2, and the circular shape of the inserted sponge pad 4 is provided. The part 44 is arranged to be located behind the guard 21 which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part 5 of the shell 10. In addition, the foam sponge pad 4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high impact absorption effect, and the center portion is circularly cut to completely protect the knee while changing to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To form the incision groove 42 and the circular portion 44, but to be connected to itself by the connecting teeth 43 on both sides of the circular portion (44). In addition, the "V" shaped incision grooves 41 are formed in both vertical outer surface portions of the circular portion 44 to provide a space that can be changed into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moving form of the knee joint. In addi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4) to perforate through the outer shell 10 of the body 2 made of a mesh material to facilitate the ventilation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weat during wear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1)는 도 5a에서와 같이 무릎이 펴진 상태에서 착용하면 외피(10)내에 수용되어 있는 발포 스폰지 패드(4)의 형태가 도 5b와 같이 완만한 곡선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도 6a에서와 같이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는 발포 스폰지 패드(4)가 뒤로 접히면서 상기 스폰지 패드(4)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부(44)가 보호구(21)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원형부(44)의 주위로 형성된 중앙 절개홈(42)이 뒤로 접쳐지는 거리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측면에 형성된 "V"자형 절개홈(41)이 좁아지는 모양으로 되므로 상기 무릎 보호대(1)가 무릎부위에 밀착되어 무릎과 함께 자연스럽게 접혀지게 되어 착용이 편리하다.The knee prot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mooth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5B when the foam sponge pad 4 accommodated in the outer shell 10 is worn when the knee is stretched as shown in FIG. 5A. Is achieved.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knee is bent as shown in FIG. 6A, as the foamed sponge pad 4 is folded back, a circular portion 4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ponge pad 4 is close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rotector 21. The center cut groove 42 formed around the portion 44 provides a space for the distance folded back, the "V" shaped cut groove 41 formed on the side is narrowed since the knee protector (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knee and is naturally folded with the knee, which is convenient to wear.

또한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1)는 무릎을 보호하기 위하여 무릎에 착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팔꿈치에 착용하여 팔꿈치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knee protec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earing on the knee to protect the knee may be used to protect the elbow by wearing on the elbow.

본 고안은 통기공이 형성된 스폰지 패드가 외피를 망사 소재로 구성된 본체에 삽입되므로 무릎 보호대가 무릎의 피부와 밀착되어 있더라도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며, 중앙 절개홈과 측면 절개홈이 형성된 스폰지 패드가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형태에 따라 자연스럽게 무릎의 슬관절 부위에 밀착되어 원활하게 변형이 되므로 무릎 슬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아 착용이 편리하며, 스폰지 패드가 무릎 부위와 완전히 밀착 및 감싸고 있으므로 충격 등에 대한 보호 효과가 더욱 큰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ntilated sponge pad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made of a mesh material of the outer shell so that even if the knee protect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knee is ventilated smoothly to prevent sweating, the central incision groove and side incision groove formed The sponge pad is naturally attached to the knee joint of the knee and smoothly de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Therefore, the sponge pa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and is convenient to wear. The protection effect is even greater.

Claims (2)

무릎에 접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으로 성형된 발포 스폰지 패드(4)를 감싸도록 외피(10)의 테두리를 봉합하여 본체(2)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2) 전면 중앙부분에 위치되면서 배면으로부터 관통된 리벳(22)으로 보호구(21)를 부착하고, 상기 본체(2)의 상,하부에 매직테이프(31) 및 고무밴드(32)로 이루어진 결착밴드(3)를 봉합한 것에 있어서,The edge of the outer shell 10 is sealed to surround the foamed sponge pad 4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knee to form a main body 2, which is position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main body 2 and penetrates from the rear surface. In the protective rivet 21 is attached to the rivet 22, and the binding band 3 composed of the magic tape 31 and the rubber band 32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2, 상기 외피(10)는 망사를 소재로 하고 보호구(21)가 통기공을 갖는 리벳(22)에 의해 부착되는 전면부(5)와 상기 전면부(5)와 함께 테두리가 봉합되어 주머니 형상을 만드는 후면부(6)의 중앙부분에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4)를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개구부(23)를 형성하며,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4)에 다수의 통기공(40)을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The outer shell 10 is made of a mesh material, and the protective part 21 is attached to the front part 5 and the front part 5 which are attached by a rivet 22 having a ventilation hole to form a bag shape. The opening 23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portion 6 to insert and separate the foam sponge pad 4,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40 are punched in the foam sponge pad 4. Knee protec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4)는 중앙 부위를 원형으로 절단하여 절개홈(42)과 원형부(44)을 형성하되 원형의 원형부(44)이 양측의 연결살(43)에 의해 자체에 연결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원형부(44)의 양측 수직 외측면 부위에 "V"자형 절개홈(41)을 형성하여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형태에 따라 곡선형태로 변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The foam sponge pad 4 is formed by cutting the center portion in a circular shape to form a cutout groove 42 and a circular portion 44, but the circular circular portion 44 is connected to itself by the connecting teeth 43 on both sides. And a "V" shaped incision groove (41) formed at both vertical outer surface portions of the circular portion (44) to change in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moving shape of the knee joint of the knee.
KR2019980016678U 1998-09-03 1998-09-03 Knee protector KR20021009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678U KR200210099Y1 (en) 1998-09-03 1998-09-03 Knee pro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678U KR200210099Y1 (en) 1998-09-03 1998-09-03 Knee prot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633U KR19980068633U (en) 1998-12-05
KR200210099Y1 true KR200210099Y1 (en) 2001-03-02

Family

ID=6950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678U KR200210099Y1 (en) 1998-09-03 1998-09-03 Knee pro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09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58B1 (en) * 2007-03-20 2008-08-06 김승자 A knee protecto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484081Y1 (en) * 2016-06-09 2017-07-28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Knee protector for industrial site
KR20190101849A (en) 2018-02-23 2019-09-02 김용욱 Impact preventing protector for artic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633U (en)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9265A (en) Protective athletic equipment
US4014044A (en) Protective device
US4692946A (en) Baseball catcher's leg guard
US5732412A (en) Knee pad attachment
US4370754A (en) Variable pressure pad
US5946734A (en) Head protector apparatus
EP2629637B1 (en) Shin guard sleeve
US7117540B2 (en) Padded sports glove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breathability
US5794274A (en) Chin protector for helmets
US5685021A (en) Protective headgear for wrestler
US5361410A (en) Padding device for protecting the human body against impact
US3327316A (en) Wrestler's headgear
JP3135924B2 (en) Trousers with hip protector
EP1175840A2 (en) A shock absorbing device
KR100970759B1 (en) Joint protection
CA2281310A1 (en) Adjustable elbow pad
US6289522B1 (en) Wrestling headgear
CA2316729A1 (en) Protective athletic pads for joint surfaces
US8621666B2 (en) Garment protective assembly
US4893355A (en) Knee protector
US6557186B1 (en) Lightweight protective ear guard
US6418565B1 (en) Wrestling ear guard
US6564395B2 (en) Wrestler headgear
KR200210099Y1 (en) Knee protector
KR20070054382A (en) Shock-absorbing member for articulated joint protector and articulated joint protecto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