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939Y1 - 화장용 브러쉬 - Google Patents

화장용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939Y1
KR200209939Y1 KR2020000021238U KR20000021238U KR200209939Y1 KR 200209939 Y1 KR200209939 Y1 KR 200209939Y1 KR 2020000021238 U KR2020000021238 U KR 2020000021238U KR 20000021238 U KR20000021238 U KR 20000021238U KR 200209939 Y1 KR200209939 Y1 KR 200209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rush
inner cylinder
cosmetic
lower i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광
Original Assignee
변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영광 filed Critical 변영광
Priority to KR2020000021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9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939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분을 수용할 수 있는 원통과, 원통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공기를 주입시켜 원통의 화장분을 브러쉬로 분사시키는 가압펌프와, 원통의 내면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원통의 내면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브러쉬가 결합되며 원통과 화장분이 분사되는 브러쉬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한 쌍의 내통과, 브러쉬를 덮어씌울 수 있게 내통의 외부를 감싸고 슬라이딩되는 미끄럼통 및 원통의 하단부에 결합되면서 브러쉬를 덮어씌어 보호하는 보호캡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을 때 원통의 화장분이 브러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화장용 브러쉬{Cosmetic brush}
본 고안은 블러셔나 파우더 등과 같은 화장분을 이용하여 화장을 할 때 사용되는 화장용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 노출되어 쉽게 마모되거나 오염되는 브러쉬를 보호하고 화장분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화장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중에 화장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한 화장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브러쉬는 자체에 화장분을 내장시킨 상태에서 브러쉬로 블러셔나 파우더 등과 같은 화장분을 공급시킴으로써 브러쉬와 화장분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도구이다.
일례로 종래의 화장용 브러쉬는 일측에 브러쉬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화장분을 수용하는 내통 및 화장분을 브러쉬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통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펌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펌프를 이용하여 내통에 공기를 주입시켜 화장분이 브러쉬로 분사되도록 한 후 브러쉬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용 브러쉬는 아무런 보호수단 없이 브러쉬가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브러쉬가 쉽게 마모되거나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출원인은 1999. 07. 29 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5353호에서 화장분을 브러쉬 내에 수용할 수 있도록 브러쉬의 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브러쉬의 전방에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별도의 보호캡을 구비함으로써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을 때 외부 노출로 인한 마모나 오염을 방지하고 있으나, 브러쉬 내의 화장분이 외부로 배출되어 재차 사용시 피부에 화장분이 과도하게 묻거나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호캡으로 브러쉬를 보호하다가 사용시 보호캡을 벗겨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브러쉬의 마모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용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브러쉬내에 충진된 화장분이 가압펌프에 의한 가압시에만 외부로 배출되어 재차 사용시 화장분의 과도한 배출이나 미사용시 불필요한 화장분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용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a,3b는 고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의 하부내통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의 미끄럼통 및 하부내통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호캡 12 : 지지턱
14 : 미끄럼통 16,32 : 걸림돌기
18 : 브러쉬 20 : 환형턱
22 : 하부내통 24 : 안내홈
26,52 : 패킹 28 : 패킹홈
30 : 안내돌기 34 : 고정턱
36 : 밑판 38,64 : 배출공
40 : 상부내통 42 : 원통
44 : 튜브 46 : 원관
48 : 챔버 50 : 스프링
54 : 나사산 56 : 후단캡
58 : 푸쉬버튼 60 : 가압펌프
62 : 격판 66 : 필터
68 : 체크밸브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는 화장분을 수용할 수 있는 원통과, 상기 원통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공기를 주입시켜 원통의 화장분을 브러쉬로 분사시키는 가압펌프와, 상기 원통의 내면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원통의 내면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브러쉬가 결합되며 상기 원통과 화장분이 분사되는 상기 브러쉬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한 쌍의 내통과, 상기 브러쉬를 덮어씌울 수 있게 상기 내통의 외부를 감싸고 슬라이딩되는 미끄럼통 및 상기 원통의 하단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브러쉬를 덮어씌어 보호하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화장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상기 원통의 내면에 상단부가 결합된 상부내통과 상기 상부내통에 회전 자재토록 결합된 하부내통으로 구성되어 개폐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내통의 밑판과 상기 하부내통의 격판에는 상기 브러쉬로 배출되는 화장분을 단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화장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통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내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내통의 안내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내통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안내홈이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화장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하부내통의 정방향 혹은 역방향 회전으로 상기 상부내통의 밑판과 상기 하부내통의 격판에 각각 형성된 배출공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원호형의 안내홈과 이에 결합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화장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통의 밑판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의 외곽을 감싸기 위한 패킹이 내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화장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하부내통의 하단부에는 다각의 환형턱이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통과 상기 하부내통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미끄럼통의 내면은 상기 환형턱의 다각면에 맞닿는 다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다각의 환형턱의 외경이 상기 하부내통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통의 내면 상단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화장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통 외주면의 상단에는 상기 미끄럼통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환형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는 브러쉬(18)와, 이 브러쉬(18)가 일측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그 타단에 상부내통(40)이 회동자재토록 결합된 하부내통(22)과, 이 하부내통(22) 및 상부내통(40)의 외부를 감싸고 슬라이딩되는 미끄럼통(14)과, 상기 하부내통(22)과 상부내통(40) 그리고 미끄럼통(14)을 덮어씌우고 화장분이 충진되어 있는 원통(42)과, 상기 원통(42)의 개방된 타단에 결합되는 가압펌프(60)와, 브러쉬(18)를 덮는 보호캡(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의 브러쉬(18)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는 부드러운 섬모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상기 하부내통(2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위의 하부내통(22)과 상부내통(40)으로 이루어진 내통은 원통(42)의 내면(고정턱)에 결합되는 고정턱(34)이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내통(40)과, 상부내통(40)에 회전 자재토록 결합된 하부내통(22)으로 구성되어 개폐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부내통(40)의 밑판(36)과 하부내통(22)의 격판(62)에는 브러쉬(18)로 배출되는 화장분을 단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공(38)(6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화장분을 단속하는 밸브 역할을 하는 내통(22)(40)에는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하부내통(22)의 정방향 혹은 역방향 회전으로 상부내통(40)의 밑판(36)과 하부내통(22)의 격판(62)에 형성된 배출공(38)(64)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원호형의 안내홈(24)과 이에 결합되는 안내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하부내통(22)의 회전으로 밑면(36)의 배출공(38)과 격판(62)의 배출공(64)이 완전히 어긋나 가압펌프(60)를 조작되거나 브러쉬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화장분이 브러쉬(18)로 배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브러쉬를 사용할 때에는 하부내통(22)의 회전으로 밑면(36)의 배출공(38)과 격판(62)의 배출공(64)이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가압펌프(60) 조작시마다 화장분이 브러쉬 (18)로 배출된다. 위의 상부내통(40)의 내부에는 화장분이 적정량씩 공급될 수 있게 배출공(38)을 가로막는 필터(66)가 내설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66)로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발포체나 스폰지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부내통(40) 밑판(36)의 패킹홈(28)에 배출공(38)의 외곽을 감싸면서 패킹(26)이 내설되어 있어, 가압펌프(60) 조작시 공기압이 하부내통(22)의 배출공(64)으로 전달됨은 물론이고 화장분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배출공(64)을 통해 브러쉬(18)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내통(4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30)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게 하부내통(22)의 내주면에 상부내통(40)의 안내돌기(30)와 결합되는 안내홈(24)에 형성되어 있어, 이는 위에서와 같이 밑면(36)의 배출공(38)과 격판(62)의 배출공(64)의 완전한 개폐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부내통(2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내통(22)의 하단부에 다각의 환형턱(20)이 형성되어 있고, 미끄럼통(14)의 내면이 환형턱(20)의 다각면에 맞닿으면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다각으로 형성되어 있어, 미끄럼통(14)은 미끄럼 운동시 직선으로 오르내릴 뿐만 아니라 미끄럼통(14)의 회전으로 하부내통(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다각 환형턱(20)의 외경이 하부내통(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미끄럼통(14)의 내면 상단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끄럼통(14)이 하부내통(22)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으며, 미끄럼통(14)의 하단부에 원통(4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지지턱(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끄럼통(14)이 원통(42)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내통(40)의 외주면 상단에 미끄럼통(14)의 걸림돌기(16)와 걸리는 환형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어, 미끄럼통(14)을 원통(42)내로 올린 후 브러쉬 사용중에 외부로부터 힘에 가해지지 않으면 미끄럼통(14)의 자중에 의해 미끄럼통(14)이 아래로 내려오지 않는다.
원통(42)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나사산(54)을 갖는 가압펌프(66)는 원통(42)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나사산(54)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긴 원관(46)이 마련된 챔버(48)와, 이 챔버(48)의 외주면 일측을 덮는 후단캡(56)과, 이 후단캡(56)의 단부에 일부가 삽입결합되고 그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튜브(44)로 공기압을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푸쉬버튼(58)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챔버(48)의 원관(46) 단부에는 푸쉬버튼(58)의 가압에 따른 공기압으로 화장분을 필터(66)로 불어주기 위해 필터(66) 전방까지 길게 연장된 원관형상의 튜브(44)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튜브(44)의 내부에는 푸쉬버튼(58)이 눌렸다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화장분이 튜브(44)를 통해 푸쉬버튼(58)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68)가 구비되어 있다. 즉, 튜브(44)의 내부에 볼이 설치되고, 이 볼이 탄력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볼 전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챔버(48)의 원관(46) 선단부에는 볼이 밀착되어 원관(46)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일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챔버(48)와 푸쉬버튼(58)의 사이에는 이 푸쉬버튼(58)이 가압된 후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게 하는 스프링(50)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푸쉬버튼(58)과 후단캡(56)의 사이를 밀폐시켜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푸쉬버튼(58) 형상의 패킹러버가 이 푸쉬버튼(58)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가 후단캡(56)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챔버(58)와 후단캡(56) 사이에는 공기압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링형상의 패킹(52)에 설치되어 있다.
위의 원통(42)의 단부에는 브러쉬(18) 즉, 미끄럼통(14)에 의해 감싸여진 브러쉬(18)를 덮어씌우기 위한 보호캡(10)이 분리결합되는데, 이때 보호캡(10)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원통(42) 단부와 보호캡(10)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화장용 브러쉬는 원통(42)의 내부로 화장분을 투입시키고 나서 원통(42)의 개방된 일단부를 가압펌프(60)의 후단캡(56)과 결합시켜 밀폐되도록 한 후 원통(42)의 내부로 미끄럼통(14) 및 내통(22)(40)을 내장시켜 화장용 브러쉬의 조립을 완성시킨다.
이러한 화장용 브러쉬는 브러쉬(18)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캡(10)이 씌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장을 하기 위해 보호캡(10)을 벗기면 미끄럼통(14)에 의해 감싸여진 브러쉬(18)가 노출된다. 이어서, 미끄럼통(14)을 위로 밀어 올리면 브러쉬(18)가 노출되면서 사방으로 부풀어 오른다.
물론, 도 3a,b 및 도 4a,b에서와 같이,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밑면(36)의 배출공(38)과 격판(62)의 배출공(64)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미끄럼통(14)의 회전으로 브러쉬 사용시에는 밑면(36)의 배출공(38)과 격판(62)의 배출공(64)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펌프(66)의 푸쉬버튼(58)을 누르면 밀폐된 내부공기가 가압되고, 이 가압된 공기가 챔버(48)의 원관(46)을 통해 튜브(44)로 진행되면서 체크밸브(68)를 열어 원통(42)의 화장분을 필터(66) 쪽으로 불어낸다.
한편, 푸쉬버튼(58)은 스프링(50)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 가압되었던 체크밸브(68)가 제자리로 돌아와 챔버(48)의 원관(46) 선단부에 설치된 시일부재에 밀착됨으로써 화장분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푸쉬버튼(58)을 여러차례 반복해서 가압하여 필터(66)를 통해 적정량의 화장분이 브러쉬(18)로 공급되도록 한 후 사용자가 화장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화장이 끝난 후 브러쉬(18)에 보호캡(10)을 씌울 경우에는 미끄럼통(14)의 선단부를 잡아당겨 부풀어 있는 브러쉬(18)를 모아주면서 완전히 덮어씌운 다음 반대방향에서 보호캡(10)을 미끄럼통(14)의 선단부로 씌워 밀면 보호캡(10)이 미끄럼통(14)과 함께 브러쉬(18)를 덮어씌우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보호캡(10)을 씌우기 전에 미끄럼통(14)을 아래로 내린 후 회전시켜 밑면(36)의 배출공(38)과 격판(62)의 배출공(64)이 완전히 닫히도록 함으로써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을 때 원통(42)의 화장분이 브러쉬로 불필요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는 미끄럼통과 보호캡을 구비시킴으로써 브러쉬의 미사용시 이 브러쉬를 덮어씌워 마모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화장용 브러쉬는 화장분이 충진된 원통과 가압펌프가 나사결합되어 분리 결합이 용이하므로 화장분을 손쉽게 재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통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을 때 화장분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어, 과도한 화장분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분이 불필요하게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예를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화장분을 수용할 수 있는 원통;
    상기 원통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공기를 주입시켜 원통의 화장분을 브러쉬로 분사시키는 가압펌프;
    상기 원통의 내면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원통의 내면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브러쉬가 결합되며 상기 원통과 화장분이 분사되는 상기 브러쉬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한 쌍의 내통;
    상기 브러쉬를 덮어씌울 수 있게 상기 내통의 외부를 감싸고 슬라이딩되는 미끄럼통; 및
    상기 원통의 하단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브러쉬를 덮어씌어 보호하는 보호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상기 원통의 내면에 상단부가 결합된 상부내통과 상기 상부내통에 회전 자재토록 결합된 하부내통으로 구성되어 개폐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내통의 밑판과 상기 하부내통의 격판에는 상기 브러쉬로 배출되는 화장분을 단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브러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통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내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내통의 안내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내통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안내홈이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브러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내통의 정방향 혹은 역방향 회전으로 상기 상부내통의 밑판과 상기 하부내통의 격판에 각각 형성된 배출공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원호형의 안내홈과 이에 결합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브러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통의 밑판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의 외곽을 감싸기 위한 패킹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브러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내통의 하단부에는 다각의 환형턱이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통과 상기 하부내통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미끄럼통의 내면은 상기 환형턱의 다각면에 맞닿는 다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브러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의 환형턱의 외경이 상기 하부내통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통의 내면 상단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브러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통 외주면의 상단에는 상기 미끄럼통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환형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브러쉬.
KR2020000021238U 2000-07-25 2000-07-25 화장용 브러쉬 KR200209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238U KR200209939Y1 (ko) 2000-07-25 2000-07-25 화장용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238U KR200209939Y1 (ko) 2000-07-25 2000-07-25 화장용 브러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939Y1 true KR200209939Y1 (ko) 2001-01-15

Family

ID=7305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238U KR200209939Y1 (ko) 2000-07-25 2000-07-25 화장용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9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880B1 (ko) 2007-06-14 2008-04-21 변영광 화장용브러시
KR101957853B1 (ko) 2018-02-20 2019-03-13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승강 및 회전가능한 터치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282323B1 (ko) * 2020-03-30 2021-07-27 (주)성진코스메틱스 화장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880B1 (ko) 2007-06-14 2008-04-21 변영광 화장용브러시
KR101957853B1 (ko) 2018-02-20 2019-03-13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승강 및 회전가능한 터치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19164060A1 (ko) * 2018-02-20 2019-08-29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승강 및 회전가능한 터치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282323B1 (ko) * 2020-03-30 2021-07-27 (주)성진코스메틱스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4628Y1 (ko) 화장용 브러쉬
KR200165482Y1 (ko) 화장용 브러쉬
KR200385091Y1 (ko) 내용물출구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0440813B1 (ko) 화장품용기겸도포용구
RU2414836C2 (ru) Аппликатор и устройство аппликатора с упаковкой для нанесения состава
KR101594319B1 (ko) 듀얼 타입의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0840555B1 (ko) 진공 차단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KR20020010771A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JPH084883Y2 (ja) 液体塗布具
US8602671B2 (en) Cosmetics container with a puff rotatably mounted on a container body
KR200209939Y1 (ko) 화장용 브러쉬
KR200479043Y1 (ko)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KR100772614B1 (ko) 마스카라 용기
KR20180001540U (ko) 화장품 용기
KR200488067Y1 (ko) 화장품 용기
KR200490737Y1 (ko) 삼차 실링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237171B1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회전 개폐형 튜브용기
KR101684846B1 (ko) 밸브구조를 포함한 회전식 온 오프 화장품용기
US7690854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product, in particular a cosmetic product
KR102130249B1 (ko) 퍼프 일체형 쿠션 파운데이션 케이스
KR200281528Y1 (ko) 페이스파우더 용기
KR200365023Y1 (ko) 마스카라 용기
KR200316057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