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656Y1 - 여닫이문 잠금구 - Google Patents
여닫이문 잠금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9656Y1 KR200209656Y1 KR2019980004788U KR19980004788U KR200209656Y1 KR 200209656 Y1 KR200209656 Y1 KR 200209656Y1 KR 2019980004788 U KR2019980004788 U KR 2019980004788U KR 19980004788 U KR19980004788 U KR 19980004788U KR 200209656 Y1 KR200209656 Y1 KR 2002096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piece
- inclined surface
- piece
- opening
- cas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 등의 여닫이문 잠금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걸림편, 걸림레버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문을 여닫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걸림레버 등을 조작하여야 했는데 이에 반해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는 일측면에 형성된 제 1개구와 타측면에 형성된 제 2개구를 갖는 케이싱, 제 1개구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을 갖는 제 1이동편, 제 2개구로 돌출될 수 경사면을 갖는 제 2 이동편, 제 1 이동편과 케이싱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 제 1 이동편과 제 2 이동편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 제 1 이동편과 제 2 이동편을 정해진 범위내에서 횡방향으로 상호 유동 가능케 연결하는 연결수단, 어느 일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경사면을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을 갖는 제 1고정편 및 어느 타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경사면을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과 제 1 또는 제 2 이동편의 끝단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을 갖는 제 2고정편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걸림레버 등을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도 여닫이문을 순차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해주고 일측의 문이 느슨한 상태라 하더라도 틈새 없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효과를 제공하며 여닫이문을 갖는 가구에 사용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적어도 한 쌍의 여닫이문을 갖는 사무용 가구나 혹은 가정용 가구 등에 설치되는 여닫이문 잠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닫이문이 순차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여닫이문 잠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 등의 가구에는 물품의 수납 및 이탈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어도 한 쌍으로된 여닫이문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여닫이문이 설치된 가구에는 여닫이문이 너무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걸림편과 걸림편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한 걸림레버로 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음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가 설치된 여닫이문을 갖는 가구에서는 그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혹은 해제 시에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걸림레버 등을 일일이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불편이 따르고 있다. 또한 장기 사용할 때 잠금력이 쉽게 약화되는 결점으로 인해 문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는 등의 문제들도 따르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걸림레버 등을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도 여닫이문을 순차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해주고 일측의 문이 느슨한 상태라 하더라도 틈새 없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여닫이문 잠금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평단면도,
도 3은 제 1이동편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제 2이동편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0 : 가구 92, 93 : 여닫이문
94 : 수용공간 96 : 천장
100 : 여닫이문 잠금구 105 : 나사
110 : 케이싱 112 : 나사결합구
114 : 안내부 116 : 제 1개구
118 : 제 2개구 120 : 제 1이동편
122, 142, 162, 172 : 경사면 124 : 안내홈
126 : 핀구멍 128 : 핀
130 : 제 1탄성부재 132 : 제 2탄성부재
140 : 제 2이동편 144 : 장공
146 : 삽입부 150 : 연결수단
160 : 제 1고정편 170 : 제 2고정편
174 : 걸림턱
본 고안의 목적은 물품 수용실과, 물품 수용실의 개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한 쌍의 여닫이문을 갖는 가구에 설치되어 여닫이문을 순차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여닫이문 잠금구에 있어서, 물품 수용실의 천장에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부와 일측면에 형성된 제 1개구와 타측면에 형성된 제 2개구를 갖는 케이싱, 안내부를 따라 횡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제 1개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이동편, 제 2개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횡이동 가능케 설치된 제 2이동편, 제 1이동편과 케이싱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을 정해진 범위내에서 횡방향으로 상호 유동 가능케 연결하는 연결수단, 어느 일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경사면을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을 갖는 제 1고정편 및 어느 타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경사면을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과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끝단에 걸릴 수 있는 단턱을 갖는 제 2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연결수단은 제 1이동편 또는 제 2이동편의 어느 일측 끝단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된 소정 깊이의 안내홈과 안내홈을 가로지르는 핀구멍, 제 1이동편 또는 제 2이동편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고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를 받는 삽입부와 삽입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핀의 삽입을 허용하고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의 유동 범위를 한정하는 장공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평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100)는 내부에 필요한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케이싱(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싱(110)은 적어도 한 쌍의 여닫이문(92, 93)과 물품수용공간(94)을 갖는 소정 가구(90)의 내부 천장(96)에 나사(105) 등을 통해 고정되는 부분으로 나사결합구(112)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내부 전반부에는 횡방향으로 안내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114)의 양측면으로는 제 1개구(116)와 제 2개구(118)가 대략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부(114)에는 안내부(114)를 따라 소정 거리 횡이동 가능케 제 1이동편(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이동편(120)의 일측 끝단에는 제 1개구(116)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편 끝단에는 소정 깊이의 안내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124)에 수직한 방향으로 핀구멍(126)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핀(128)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제 1이동편(120)과 안내부(114) 사이 즉, 케이싱(110)과의 사이에는 제 1이동편(120)을 케이싱(110)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탄성부재(1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100)는 제 2이동편(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이동편(140)은 제 2개구(118)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을 일측 끝단에 구비하고 있으며 그 반대편 끝단에는 삽입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부(146)는 안내홈(124)에 삽입되어 소정 거리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것으로, 여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128)의 관통을 허용하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2이동편(140)은 횡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안내홈(124), 삽입부(146), 핀구멍(126), 핀(128), 장공(144)은 상호간의 유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일종의 연결수단(150)으로 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 2이동편(140)에 안내홈과 핀구멍을 형성하고, 제 1이동편(120)에 삽입부와 장공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연결하여도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장공이 형성된 링크 등을 이용해 서로 연결하여도 된다. 즉, 일정범위 내에서 정해진 범위내에서 서로 유동될 수 있도록 연결하면 되므로 연결수단(150)은 여타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이동편(120)과 제 2이동편(140) 사이에는 제 2탄성부재(1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탄성부재(132)는 제 1이동편(120)과 제 2이동편(140) 상호간을 탄력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여닫이문(92)에는 대략 ㄱ자 형태의 제 1고정편(1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고정편(160)의 전면 끝단에는 경사면(1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162)은 제 1이동편(120)의 경사면(122)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경우에 따라 제 1이동편(120)을 케이싱(110)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타측의 여닫이문(93)에는 대략 ㄱ자 형태의 제 2고정편(170)이 고정되어 있다. 이 제 2고정편(170)은 제 2이동편(140)의 경사면(142)을 케이싱(110)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172)과 제 2이동편(140)의 끝단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174)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 1고정편(160)과 제 2고정편(170)은 경우에 따라 그 위치를 바꾸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렇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삽입부(146)의 길이, 장공(144)의 길이 등을 일부 변경하여 상호간의 유동가능 범위를 적절하게 맞추어야 한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왼쪽의 문(93)을 닫은 상태에서 오른쪽 문(92)을 닫으면 제 1고정편(160)의 경사면(162)이 제 1이동편(120)의 경사면(122)은 안쪽으로 밀어준다. 이에 따라 제 1이동편(120)은 제 1개구(116)를 통해 케이싱(110)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제 1이동편(120)은 안내부(114)를 따라 횡이동 하면서 제 2이동편(140)을 반대편 쪽으로 밀어준다. 그러면 제 2이동편(140)의 경사면(142)은 제 2개구(118)를 통해 케이싱(110) 바깥쪽으로 돌출 되고, 이는 제 2고정편(170)의 걸림턱(174)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왼쪽 문(93)의 힌지부 등이 느슨하게 되는 등의 원인으로 왼쪽 문(93)이 열리려고 하는 힘을 받더라도 걸림턱(174)이 제 2이동편(140)에 걸리게되기 때문에 왼쪽문(93)을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왼쪽 문(93)이 열려있음으로 인한 두 문(92, 93)사이의 틈새는 생기지 않게 된다.
여닫이문(92, 93)을 열고자 하는 경우 오른쪽 문(92)을 앞쪽으로 잡아당기면 제 1탄성부재(130)와 제 2탄성부재(132)에 의해 제 1이동편(120)이 오른쪽으로 횡이동하여 그 경사면(122)이 제 1개구(116) 바깥쪽으로 돌출 된다. 일정거리 이상 움직이면 제 1이동편(120)의 핀구멍(126)을 통해 장공(144)에 삽입되어 있던 핀(128)이 장공(144)의 끝단에 걸리게 되고, 그 때부터 제 2이동편(140) 역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고정편(140)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왼쪽 문(93)을 열 수 있게 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오른쪽 문(92)을 열지 않고는 왼쪽 여닫이문(93)을 열 수 없다는 점을 생각할 수 있으나 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따른다.
도 3은 제 1이동편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제 2이동편의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이동편(120)의 일측 끝단에는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편 끝단쪽에는 소정 깊이의 안내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124)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핀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이동편(140)에도 경사면(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맞은편에 삽입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부(146)는 안내홈(124)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여기에는 좌우로 길게 장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제 2탄성부재(132)는 안내홈(124)속에서 제 1이동편(120)과 제 2이동편(140) 사이를 탄력지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걸림레버 등을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도 여닫이문을 순차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해주고 일측의 문이 느슨한 상태라 하더라도 틈새 없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뿐만 아니라, 부품수도 적게 들어가며 그 구조가 비교적 단순해 만들기 쉽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2)
- 물품 수용실과, 상기 물품 수용실의 개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한 쌍의 여닫이 문을 갖는 가구에 설치되어 상기 여닫이문을 순차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여닫이문 잠금구에 있어서,상기 물품 수용실의 천장에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부와 일측면에 형성된 제 1개구와 타측면에 형성된 제 2개구를 갖는 케이싱;상기 안내부를 따라 횡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제 1개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이동편;상기 제 2개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횡이동 가능케 설치된 제 2이동편;상기 제 1이동편과 상기 케이싱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상기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상기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을 정해진 범위내에서 횡방향으로 상호 유동 가능케 연결하는 연결수단;상기 어느 일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경사면을 상기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을 갖는 제 1고정편; 및상기 어느 타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경사면을 상기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과 상기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끝단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을 갖는 제 2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1이동편 또는 제 2이동편의 어느 일측 끝단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된 소정 깊이의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을 가로지르는 핀구멍, 상기 제 1이동편 또는 제 2이동편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를 받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핀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의 유동 범위를 한정하는 장공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4788U KR200209656Y1 (ko) | 1998-03-30 | 1998-03-30 | 여닫이문 잠금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4788U KR200209656Y1 (ko) | 1998-03-30 | 1998-03-30 | 여닫이문 잠금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8667U KR19990038667U (ko) | 1999-10-25 |
KR200209656Y1 true KR200209656Y1 (ko) | 2001-03-02 |
Family
ID=6951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4788U KR200209656Y1 (ko) | 1998-03-30 | 1998-03-30 | 여닫이문 잠금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9656Y1 (ko) |
-
1998
- 1998-03-30 KR KR2019980004788U patent/KR20020965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8667U (ko) | 1999-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203580A (en) | Door catch | |
CA2055518A1 (en) | Double-pivot door hinge for appliance doors | |
CA2232078A1 (en) | Disk playback device | |
US4580753A (en) | Support bracket for a venetian blind headrail | |
KR200209656Y1 (ko) | 여닫이문 잠금구 | |
KR200184327Y1 (ko) | 여닫이문 잠금구 | |
US5355556A (en) | Enclosure having reversible door and hinge therefor | |
KR101539772B1 (ko) |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 |
CN212037238U (zh) | 烹饪电器 | |
US3057650A (en) | Magnetic catch | |
CN108634836B (zh) | 阻挡器、插接器、插接组件、预制件、插接结构和淋浴房 | |
KR101722709B1 (ko) | 건축용 안전 창문구조 | |
KR940003704Y1 (ko) | 장식장 개폐기 | |
KR200387413Y1 (ko) | 자성 자물쇠의 구조 | |
KR200218009Y1 (ko) |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 |
KR200241043Y1 (ko) | 대문 빗장 | |
US3630556A (en) | Handle-controlled door-latching arrangement for a cabinet | |
KR200325013Y1 (ko) | 시스템 창호의 로킹장치 | |
KR101810979B1 (ko) | 여닫이문 잠금장치 | |
KR19980019522U (ko) | 래크(rack)의 도어 잠금장치 | |
KR870003426Y1 (ko) | 경보기용 스위치가 부설된 개폐장치 | |
KR200388245Y1 (ko) |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 |
KR890007252Y1 (ko) | 도어 자물쇠의 보조록크 장치 | |
KR910003961Y1 (ko) | 전자 제품 제어반의 주기능 버튼 커어버 개폐 장치 | |
KR200160791Y1 (ko) | 전송장비 캐비넷의 도어 걸림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