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656Y1 - 여닫이문 잠금구 - Google Patents

여닫이문 잠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656Y1
KR200209656Y1 KR2019980004788U KR19980004788U KR200209656Y1 KR 200209656 Y1 KR200209656 Y1 KR 200209656Y1 KR 2019980004788 U KR2019980004788 U KR 2019980004788U KR 19980004788 U KR19980004788 U KR 19980004788U KR 200209656 Y1 KR200209656 Y1 KR 200209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ece
inclined surface
piece
open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667U (ko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2019980004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65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6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656Y1/ko

Links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 등의 여닫이문 잠금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걸림편, 걸림레버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문을 여닫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걸림레버 등을 조작하여야 했는데 이에 반해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는 일측면에 형성된 제 1개구와 타측면에 형성된 제 2개구를 갖는 케이싱, 제 1개구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을 갖는 제 1이동편, 제 2개구로 돌출될 수 경사면을 갖는 제 2 이동편, 제 1 이동편과 케이싱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 제 1 이동편과 제 2 이동편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 제 1 이동편과 제 2 이동편을 정해진 범위내에서 횡방향으로 상호 유동 가능케 연결하는 연결수단, 어느 일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경사면을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을 갖는 제 1고정편 및 어느 타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경사면을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과 제 1 또는 제 2 이동편의 끝단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을 갖는 제 2고정편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걸림레버 등을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도 여닫이문을 순차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해주고 일측의 문이 느슨한 상태라 하더라도 틈새 없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효과를 제공하며 여닫이문을 갖는 가구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여닫이문 잠금구
본 고안은 적어도 한 쌍의 여닫이문을 갖는 사무용 가구나 혹은 가정용 가구 등에 설치되는 여닫이문 잠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닫이문이 순차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여닫이문 잠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 등의 가구에는 물품의 수납 및 이탈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어도 한 쌍으로된 여닫이문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여닫이문이 설치된 가구에는 여닫이문이 너무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걸림편과 걸림편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한 걸림레버로 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음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가 설치된 여닫이문을 갖는 가구에서는 그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혹은 해제 시에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걸림레버 등을 일일이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불편이 따르고 있다. 또한 장기 사용할 때 잠금력이 쉽게 약화되는 결점으로 인해 문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는 등의 문제들도 따르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걸림레버 등을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도 여닫이문을 순차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해주고 일측의 문이 느슨한 상태라 하더라도 틈새 없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여닫이문 잠금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평단면도,
도 3은 제 1이동편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제 2이동편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0 : 가구 92, 93 : 여닫이문
94 : 수용공간 96 : 천장
100 : 여닫이문 잠금구 105 : 나사
110 : 케이싱 112 : 나사결합구
114 : 안내부 116 : 제 1개구
118 : 제 2개구 120 : 제 1이동편
122, 142, 162, 172 : 경사면 124 : 안내홈
126 : 핀구멍 128 : 핀
130 : 제 1탄성부재 132 : 제 2탄성부재
140 : 제 2이동편 144 : 장공
146 : 삽입부 150 : 연결수단
160 : 제 1고정편 170 : 제 2고정편
174 : 걸림턱
본 고안의 목적은 물품 수용실과, 물품 수용실의 개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한 쌍의 여닫이문을 갖는 가구에 설치되어 여닫이문을 순차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여닫이문 잠금구에 있어서, 물품 수용실의 천장에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부와 일측면에 형성된 제 1개구와 타측면에 형성된 제 2개구를 갖는 케이싱, 안내부를 따라 횡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제 1개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이동편, 제 2개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횡이동 가능케 설치된 제 2이동편, 제 1이동편과 케이싱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을 정해진 범위내에서 횡방향으로 상호 유동 가능케 연결하는 연결수단, 어느 일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경사면을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을 갖는 제 1고정편 및 어느 타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경사면을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과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끝단에 걸릴 수 있는 단턱을 갖는 제 2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연결수단은 제 1이동편 또는 제 2이동편의 어느 일측 끝단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된 소정 깊이의 안내홈과 안내홈을 가로지르는 핀구멍, 제 1이동편 또는 제 2이동편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고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를 받는 삽입부와 삽입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핀의 삽입을 허용하고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의 유동 범위를 한정하는 장공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평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100)는 내부에 필요한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케이싱(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싱(110)은 적어도 한 쌍의 여닫이문(92, 93)과 물품수용공간(94)을 갖는 소정 가구(90)의 내부 천장(96)에 나사(105) 등을 통해 고정되는 부분으로 나사결합구(112)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내부 전반부에는 횡방향으로 안내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114)의 양측면으로는 제 1개구(116)와 제 2개구(118)가 대략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부(114)에는 안내부(114)를 따라 소정 거리 횡이동 가능케 제 1이동편(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이동편(120)의 일측 끝단에는 제 1개구(116)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편 끝단에는 소정 깊이의 안내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124)에 수직한 방향으로 핀구멍(126)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핀(128)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제 1이동편(120)과 안내부(114) 사이 즉, 케이싱(110)과의 사이에는 제 1이동편(120)을 케이싱(110)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탄성부재(1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구(100)는 제 2이동편(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이동편(140)은 제 2개구(118)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을 일측 끝단에 구비하고 있으며 그 반대편 끝단에는 삽입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부(146)는 안내홈(124)에 삽입되어 소정 거리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것으로, 여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128)의 관통을 허용하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2이동편(140)은 횡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안내홈(124), 삽입부(146), 핀구멍(126), 핀(128), 장공(144)은 상호간의 유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일종의 연결수단(150)으로 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 2이동편(140)에 안내홈과 핀구멍을 형성하고, 제 1이동편(120)에 삽입부와 장공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연결하여도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장공이 형성된 링크 등을 이용해 서로 연결하여도 된다. 즉, 일정범위 내에서 정해진 범위내에서 서로 유동될 수 있도록 연결하면 되므로 연결수단(150)은 여타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이동편(120)과 제 2이동편(140) 사이에는 제 2탄성부재(1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탄성부재(132)는 제 1이동편(120)과 제 2이동편(140) 상호간을 탄력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여닫이문(92)에는 대략 ㄱ자 형태의 제 1고정편(1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고정편(160)의 전면 끝단에는 경사면(1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162)은 제 1이동편(120)의 경사면(122)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경우에 따라 제 1이동편(120)을 케이싱(110)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타측의 여닫이문(93)에는 대략 ㄱ자 형태의 제 2고정편(170)이 고정되어 있다. 이 제 2고정편(170)은 제 2이동편(140)의 경사면(142)을 케이싱(110)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172)과 제 2이동편(140)의 끝단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174)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 1고정편(160)과 제 2고정편(170)은 경우에 따라 그 위치를 바꾸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렇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삽입부(146)의 길이, 장공(144)의 길이 등을 일부 변경하여 상호간의 유동가능 범위를 적절하게 맞추어야 한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왼쪽의 문(93)을 닫은 상태에서 오른쪽 문(92)을 닫으면 제 1고정편(160)의 경사면(162)이 제 1이동편(120)의 경사면(122)은 안쪽으로 밀어준다. 이에 따라 제 1이동편(120)은 제 1개구(116)를 통해 케이싱(110)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제 1이동편(120)은 안내부(114)를 따라 횡이동 하면서 제 2이동편(140)을 반대편 쪽으로 밀어준다. 그러면 제 2이동편(140)의 경사면(142)은 제 2개구(118)를 통해 케이싱(110) 바깥쪽으로 돌출 되고, 이는 제 2고정편(170)의 걸림턱(174)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왼쪽 문(93)의 힌지부 등이 느슨하게 되는 등의 원인으로 왼쪽 문(93)이 열리려고 하는 힘을 받더라도 걸림턱(174)이 제 2이동편(140)에 걸리게되기 때문에 왼쪽문(93)을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왼쪽 문(93)이 열려있음으로 인한 두 문(92, 93)사이의 틈새는 생기지 않게 된다.
여닫이문(92, 93)을 열고자 하는 경우 오른쪽 문(92)을 앞쪽으로 잡아당기면 제 1탄성부재(130)와 제 2탄성부재(132)에 의해 제 1이동편(120)이 오른쪽으로 횡이동하여 그 경사면(122)이 제 1개구(116) 바깥쪽으로 돌출 된다. 일정거리 이상 움직이면 제 1이동편(120)의 핀구멍(126)을 통해 장공(144)에 삽입되어 있던 핀(128)이 장공(144)의 끝단에 걸리게 되고, 그 때부터 제 2이동편(140) 역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고정편(140)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왼쪽 문(93)을 열 수 있게 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오른쪽 문(92)을 열지 않고는 왼쪽 여닫이문(93)을 열 수 없다는 점을 생각할 수 있으나 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따른다.
도 3은 제 1이동편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제 2이동편의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이동편(120)의 일측 끝단에는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편 끝단쪽에는 소정 깊이의 안내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124)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핀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이동편(140)에도 경사면(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맞은편에 삽입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부(146)는 안내홈(124)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여기에는 좌우로 길게 장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제 2탄성부재(132)는 안내홈(124)속에서 제 1이동편(120)과 제 2이동편(140) 사이를 탄력지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잠금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걸림레버 등을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도 여닫이문을 순차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해주고 일측의 문이 느슨한 상태라 하더라도 틈새 없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뿐만 아니라, 부품수도 적게 들어가며 그 구조가 비교적 단순해 만들기 쉽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2)

  1. 물품 수용실과, 상기 물품 수용실의 개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한 쌍의 여닫이 문을 갖는 가구에 설치되어 상기 여닫이문을 순차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여닫이문 잠금구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용실의 천장에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부와 일측면에 형성된 제 1개구와 타측면에 형성된 제 2개구를 갖는 케이싱;
    상기 안내부를 따라 횡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제 1개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이동편;
    상기 제 2개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횡이동 가능케 설치된 제 2이동편;
    상기 제 1이동편과 상기 케이싱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
    상기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
    상기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을 정해진 범위내에서 횡방향으로 상호 유동 가능케 연결하는 연결수단;
    상기 어느 일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경사면을 상기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을 갖는 제 1고정편; 및
    상기 어느 타측의 여닫이문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경사면을 상기 케이싱 안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경사면과 상기 제 1 또는 제 2이동편의 끝단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을 갖는 제 2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1이동편 또는 제 2이동편의 어느 일측 끝단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된 소정 깊이의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을 가로지르는 핀구멍, 상기 제 1이동편 또는 제 2이동편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를 받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핀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제 1이동편과 제 2이동편의 유동 범위를 한정하는 장공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구.
KR2019980004788U 1998-03-30 1998-03-30 여닫이문 잠금구 KR200209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788U KR200209656Y1 (ko) 1998-03-30 1998-03-30 여닫이문 잠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788U KR200209656Y1 (ko) 1998-03-30 1998-03-30 여닫이문 잠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667U KR19990038667U (ko) 1999-10-25
KR200209656Y1 true KR200209656Y1 (ko) 2001-03-02

Family

ID=6951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788U KR200209656Y1 (ko) 1998-03-30 1998-03-30 여닫이문 잠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6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667U (ko) 199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03580A (en) Door catch
CA2055518A1 (en) Double-pivot door hinge for appliance doors
CA2232078A1 (en) Disk playback device
US4580753A (en) Support bracket for a venetian blind headrail
KR200209656Y1 (ko) 여닫이문 잠금구
KR200184327Y1 (ko) 여닫이문 잠금구
US5355556A (en) Enclosure having reversible door and hinge therefor
KR101539772B1 (ko)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CN212037238U (zh) 烹饪电器
US3057650A (en) Magnetic catch
CN108634836B (zh) 阻挡器、插接器、插接组件、预制件、插接结构和淋浴房
KR101722709B1 (ko) 건축용 안전 창문구조
KR940003704Y1 (ko) 장식장 개폐기
KR200387413Y1 (ko) 자성 자물쇠의 구조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200241043Y1 (ko) 대문 빗장
US3630556A (en) Handle-controlled door-latching arrangement for a cabinet
KR200325013Y1 (ko) 시스템 창호의 로킹장치
KR101810979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KR19980019522U (ko) 래크(rack)의 도어 잠금장치
KR870003426Y1 (ko) 경보기용 스위치가 부설된 개폐장치
KR200388245Y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890007252Y1 (ko) 도어 자물쇠의 보조록크 장치
KR910003961Y1 (ko) 전자 제품 제어반의 주기능 버튼 커어버 개폐 장치
KR200160791Y1 (ko) 전송장비 캐비넷의 도어 걸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