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106Y1 - 거 울 - Google Patents

거 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106Y1
KR200206106Y1 KR2020000018094U KR20000018094U KR200206106Y1 KR 200206106 Y1 KR200206106 Y1 KR 200206106Y1 KR 2020000018094 U KR2020000018094 U KR 2020000018094U KR 20000018094 U KR20000018094 U KR 20000018094U KR 200206106 Y1 KR200206106 Y1 KR 200206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ir
outer frame
tub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영
Original Assignee
권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영 filed Critical 권태영
Priority to KR2020000018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1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1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08Shaving mirrors
    • A45D42/16Shaving mirrors with other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활용품인 거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를 주입하여 형체를 갖추는 공기주입식 튜브를 외형틀로 제작하고 그 내부에 거울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에는 나무틀이나 플라스틱 고형체를 이용하여 틀로 사용하였던 바, 거울을 보관관리시에 부피가 크고 생산원가가 높아 가격을 상승시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공기주입식 튜브를 외형틀로 제작하여 이동을 하거나 보관을 할 시에 상기 튜브의 공기를 빼면 부피가 줄어 사용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외형틀을 합성비닐로 제작하므로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를 주입하여 형체를 갖추는 공기주입식 튜브를 외형틀로 제작하고 그 후면에 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형틀과 받침부의 사이에 거울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거울{A mirror}
본 고안은 생활용품인 거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를 주입하여 형체를 갖추는 공기주입식 튜브를 외형틀로 제작하고 그 내부에 거울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에는 나무틀이나 플라스틱 고형체를 이용하여 틀로 사용하였던 바, 거울을 보관관리시에 부피가 크고 생산원가가 높아 가격을 상승시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공기주입식 튜브를 외형틀로 제작하여 이동을 하거나 보관을 할 시에 상기 튜브의 공기를 빼면 부피가 줄어 사용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외형틀을 합성비닐로 제작하므로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체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거울의 고정방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공기주입식 튜브 2:공기주입구 3:받침부
4:거울 10:고정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를 주입하여 형체를 갖추는 공기주입식 튜브를 외형틀로 제작하고 그 후면에 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형틀과 받침부의 사이에 거울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를 주입하여 형체를 갖추는 공기주입식 튜브(1)와 공기주입구(2)를 형성하고 그 후측에 받침부(3)를 평편하게 형성하고 상기 공기 주입식 튜브(1)와 받침부(3)의 사이에 거울(4)을 위치시켜 상기 거울(4)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도3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받침부(3)에 거울(4)을 위치시키고 그 외주면에 고정띠(10)를 접착하여 상기 거울(4)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상기 거울(4)을 사용할 시에는 공기주입식 튜브(1)에 장착되어 있는 공기주입구(2)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공기주입식 튜브(1)가 형체를 갖추면서 받침부(3)와 공기주입식 튜브(1)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거울(4)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거울(4)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시에는 공기주입식 튜브(1)의 공기를 상기 공기주입구(2)를 통하여 인출하여 부피를 줄이므로 보관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도3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상기 거울(4)을 받침부(3)에 고정띠(1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므로 생산비는 상승되나 상기 거울(4)이 전혀 유동을 하지 않도록 고안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공기주입식 튜브(1)를 거울(4)의 외형틀로 제작하여 이동을 하거나 보관을 할 시에 상기 공기주입식 튜브(1)의 공기를 인출하여 외형틀의 부피를 줄이므로 거울(4)의 사용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외형틀을 가격이 저렴한 합성비닐로 제작하므로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2)

  1. 공기를 주입하여 형체를 갖추는 공기주입식 튜브(1)와 공기주입구(2)를 형성하고 그 후측에 받침부(3)를 평편하게 형성하고 상기 공기 주입식 튜브(1)와 받침부(3)의 사이에 거울(4)을 위치시켜 상기 거울(4)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에 거울(4)을 위치시키고 그 외주면에 고정띠(10)를 접착하여 상기 거울(4)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KR2020000018094U 2000-06-24 2000-06-24 거 울 KR200206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094U KR200206106Y1 (ko) 2000-06-24 2000-06-24 거 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094U KR200206106Y1 (ko) 2000-06-24 2000-06-24 거 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106Y1 true KR200206106Y1 (ko) 2000-12-01

Family

ID=1966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094U KR200206106Y1 (ko) 2000-06-24 2000-06-24 거 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1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87207S1 (en) Double pillow
DE60007985D1 (de) Gegossene einspritzdüse mit veränderbarem durchströmten querschnitt
EP1508478A3 (en) Load bearing article
USD489144S1 (en) Light bar
USD956431S1 (en) Hairbrush
USD455209S1 (en) Injection device
DE60202951D1 (de) Formung des einspritzstrahls mit nicht-schrägen öffnungen in der einspritzdüsenscheibe
USD432401S (en) Element of a clip structure
EP1391562A4 (en) CONSTRUCTION MACHINE
KR200206106Y1 (ko) 거 울
DE50302293D1 (de) Form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auf einem r tteltisch
ITTO20030042A1 (it) Dispositivo riscaldatore-diffusore termico per un ugello di
USD522775S1 (en) End frame for a bench
USD455664S1 (en) Laser level module with digital readout
USD442814S1 (en) Storage device
USD495139S1 (en) Molded article support
USD521854S1 (en) Lace retention clip
USD524442S1 (en) Vascular tube
USD492637S1 (en) Toolbox support frame with telescoping legs and crossbars
USD480952S1 (en) Washer
USD567946S1 (en) Vascular tube
USD471849S1 (en) Bulbous end cap for a vehicle running board
USD533192S1 (en) Narrow base fuel injection housing
USD435158S (en) Molded casket dish
KR200177771Y1 (ko) 풍선인형의 지지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