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606Y1 - Hands free cellular phone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Hands free cellular phone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606Y1
KR200205606Y1 KR2020000020622U KR20000020622U KR200205606Y1 KR 200205606 Y1 KR200205606 Y1 KR 200205606Y1 KR 2020000020622 U KR2020000020622 U KR 2020000020622U KR 20000020622 U KR20000020622 U KR 20000020622U KR 200205606 Y1 KR200205606 Y1 KR 200205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rd
winding
hands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6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욱
이성균
Original Assignee
박재욱
이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욱, 이성균 filed Critical 박재욱
Priority to KR2020000020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6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606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12)과 마이크(14)를 구비하는 별도의 외부 코드(11)를 통하여 전화기 본체와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한 핸즈프리 전화기에 있어서: 자동차의 실내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마이크(14)를 구비하는 케이스(10); 토션스프링(23)을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고, 외력의 작용시 상기 코드(11)의 인출을 구속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권취롤러(21); 및 상기 토션스프링(23)의 권취력을 단속하도록 권취롤러(21)와 연계되어 설치되고, 코드(11)의 감김을 정지하거나 다시 감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권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s-free telephone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telephone via a separate external cord 11 having an earphone 12 and a microphone 14,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telephone body. A case 10 provided; A winding roller (21) mounted inside the case (10) via a torsion spring (23) and supporting the drawer of the cord (11) so as not to restrain the drawing of the cord (11)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a winding means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winding roller 21 to intercept the wind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3 and selectively performing winding or rewinding of the cord 11. do.

자동차에 탑승하거나 운전하는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이어폰을 인출하여 통화하고 통화후 다시 간편하게 복귀시켜 사용의 편리함과 함께 안전운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When a call is received in a car or driving state, the earphone is withdrawn and the call is returned after the call.

Description

차량용 핸즈프리 전화기 {Hands Free Cellular Phone for Automobile}Hands Free Cellular Phone for Automobiles {Hands Free Cellular Phone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핸즈프리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탑승하거나 운전하는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이어폰을 인출하여 통화하고 통화후 다시 간편하게 복귀시켜 사용의 편리함과 함께 안전운전을 도모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a hand-free phone for a vehicle that withdraws earphones and makes a call when a call is received while driving or driving in a car, and then returns easily after a call to promote safe operation and safe driving. It is about.

통상 핸즈프리 전화기는 컴퓨터 등 다른 작업을 하면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마이크와 이어폰을 구비하는 형태로서 근래에는 일반 공중망 전화기 뿐 아니라 셀룰러 방식의 이동전화기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기능으로 탑재되고 있다. 이동전화기에 있어서는 유해전자파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능도 수행한다.In general, hands-free telephones are provided with a microphone and earphone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so that a user can make a call while performing other tasks such as a computer. In recent years, hands-free telephones are mounted as essential functions not only for general public telephones but also cellular phones. In mobile phones, it also functions to protect against the effects of harmful electromagnetic waves.

그런데 이동전화기에 있어서 핸즈프리 기능을 위해서는 마이크와 이어폰이 연결된 별도의 외부 통화선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한 때마다 전화기 본체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에는 실제 사용이 불편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아예 사용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However, hands-free function in mobile phones requires carrying a separate external telephone line with a microphone and earphones and connecting them to the main body of the phone whenever necessary, so it is inconvenient to drive a car. Many give up.

만일 핸즈프리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이동전화기에 외부 통화선을 미리 연결한 경우에도 전화기 본체로부터 이어폰까지 선이 길게 늘어지고 운전자의 팔에 걸리므로 운전자의 행동을 부자연스럽게 하고 결국에는 안전운전을 해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Even if an external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in advance to use the hands-free function, the line extends from the phone main body to the earphone and the driver's arm is unnatural, which causes the driver's behavior to be unnatural and ultimately impairs safe driving. Caused.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에 탑승하거나 운전하는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이어폰을 인출하여 통화하고 통화후 다시 간편하게 복귀시켜 사용의 편리함과 함께 안전운전을 도모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a call is received in the state of riding or driving a car, withdraw the earphones and talk, and return to the phone easily after the call, hands-free for the convenience and safe driving for the vehicl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telepho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코드인출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de withdrawal of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드인출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the code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신호접속부를 나타내는 측면도,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signal connection unit of FIG. 2;

도 4는 도 2의 변형예에 따른 코드인출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de drawing main par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케이스 11: 코드10: Case 11: Code

12: 이어폰 13, 43: 스위치12: earphone 13, 43: switch

14: 마이크 21: 권취롤러14: microphone 21: winding roller

22: 지지롤러 23: 토션스프링22: support roller 23: torsion spring

24, 34: 래칫 31: 도전링24, 34: Ratchet 31: Conductive Ring

32: 감속롤러 33: 접속핀32: Reduction roller 33: Connection pi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어폰(12)과 마이크(14)를 구비하는 별도의 외부 코드(11)를 통하여 전화기 본체와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한 핸즈프리 전화기에 있어서: 자동차의 실내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마이크(14)를 구비하는 케이스(10); 토션스프링(23)을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고, 외력의 작용시 상기 코드(11)의 인출을 구속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권취롤러(21); 및 상기 토션스프링(23)의 권취력을 단속하도록 권취롤러(21)와 연계되어 설치되고, 코드(11)의 감김을 정지하거나 다시 감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권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s-free telephone which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main body via a separate external cord 11 having an earphone 12 and a microphone 14,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interior of a vehicle. A case 10 having the microphone 14; A winding roller (21) mounted inside the case (10) via a torsion spring (23) and supporting the drawer of the cord (11) so as not to restrain the drawing of the cord (11)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a winding means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winding roller 21 to intercept the wind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3 and selectively performing winding or rewinding of the cord 11. do.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권취수단은 권취롤러(21)와 밀착되어 코드(11)를 가압하는 지지롤러(22)와, 상기 지지롤러(22)의 일방향 회전을 허용하면서 타방향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24)을 구비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mean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ake-up roller 21 and the support roller 22 for pressing the cord 11, and allowing the rotation in the other direction while allowing one direction rotation of the support roller 22. The ratchet 24 which interrupts is provided.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권취수단은 권취롤러(21)의 일측에 설치되고 코드(11)와 결선되는 도전링(31)과, 상기 도전링(31)과 항상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접속핀(33)과, 권취롤러(21)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일측을 가압하는 감속롤러(32)와, 권취롤러(21)의 일방향 회전을 허용하면서 타방향 회전을 단속하는 홀더(34)를 구비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mean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nding roller 21, the conductive ring 31 is connected to the cord 11, and the connection is always maintained in connection with the conductive ring 31 The pin 33, the reduction roller 32 for pressurizing one side to prevent sudden rotation of the winding roller 21, and the holder 34 for intermittent rotation while allowing one direction rotation of the winding roller 21, Equipped.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상기 홀더(34)를 생략하는 대신,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코드(11)를 안내하는 고정롤러(41)와 이동롤러(42)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롤러(42)는 지지편(44)과 스프링(45)에 의해 고정롤러(41)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회동한다.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omitting the holder 34, a fixed roller 41 and a moving roller 42 for guiding the cord 11 and rotating in one direction are installed, and the moving roller 42 is The support piece 44 and the spring 45 are rotated to be in close contact or spaced apart from the fixed roller 4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코드인출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de extraction main portion of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이어폰(12)과 마이크(14)를 구비하는 별도의 외부 코드(11)를 통하여 전화기 본체와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한 핸즈프리 전화기에 관련된다. 코드(11)의 일단은 전화기 본체와 결선하기 위한 잭이 구비되고, 타단은 이어폰(12), 스위치(13), 마이크(14)가 연결된다. 스위치(13)에는 발신신호를 보내는 키를 포함한 복수의 키가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telephone, which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main body via a separate external cord 11 having an earphone 12 and a microphone 14 to make a call. One end of the cord 11 is provided with a jack for connecting with the phone body,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12, the switch 13, the microphone 14. The switch 1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including keys for sending outgoing signals.

본 고안의 케이스(10)는 매직 테이프나 클립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실내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케이스(10)를 전방 윈드실드 글라스의 선바이저에 설치하기 용이하다. 이어폰(12)과 스위치(13)는 코드(11)에 의해 인출 가능하게 하는 반면 마이크(14)는 인출되지 않는 구조로 케이스(10) 상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C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using a magic tape or clip. In this way, the case 10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sun visor of the front windshield glass. While the earphone 12 and the switch 13 can be pulled out by the cord 11, the microphone 14 may be installed on the case 10 in such a way that the microphone 14 is not drawn out.

본 고안에 따르면 외력의 작용시 상기 코드(11)의 인출을 구속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권취롤러(21)가 토션스프링(23)을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된다. 권취롤러(21)는 코드(11)와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을 사용하고, 토션스프링(23)은 시계의 태엽스프링과 같은 구성을 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nding roller 21 for supporting the cord 11 not to be drawn out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is mounted inside the case 10 via the torsion spring 23. The winding roller 21 uses a rubber material to prevent slippage with the cord 11, and the torsion spring 23 adopts a configuration such as a spring of a watch.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코드(11)의 감김을 정지하거나 다시 감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권취수단이 상기 토션스프링(23)의 권취력을 단속하도록 권취롤러(21)와 연계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권취수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첨부된 도 1, 도 2 및 도 3의 구성을 택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nding means for selectivel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stopping or rewinding the cord 11 is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winding roller 21 to control the wind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3. Such winding means can take the configurations of FIGS. 1, 2 and 3, respectively, as described below.

우선 도 1에서 제안되는 권취수단은 권취롤러(21)와 밀착되어 코드(11)를 가압하는 지지롤러(22)와, 상기 지지롤러(22)의 일방향 회전을 허용하면서 타방향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24)을 구비한다. 지지롤러(22)는 항상 권취롤러(21)와 밀착되어 코드(11)를 지지하며 권취롤러(21)와 함께 양방향 회전이 자유롭다. 지지롤러(22)의 중심축 주위에는 톱니 치형을 구성하고 래칫(24)과 연계시킨다. 래칫(24)의 일단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지지롤러(22)의 톱니 치형에 맞물리고 래칫(24)의 타단은 손잡이 형태로 케이스(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한다.First, the winding means proposed in FIG.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ake-up roller 21, the support roller 22 pressurizing the cord 11, and the ratchet for intermittent rotation while allowing one direction rotation of the support roller 22. 24 is provided. The support roller 22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ing roller 21 to support the cord 11 and freely rotates in both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winding roller 21. A toothed tooth is form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ller 22 and associated with the ratchet 24. One end of the ratchet 24 is engaged with the toothed tooth of the support roller 22 in the case 10, and the other end of the ratchet 24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in the form of a handle to enable the user to operate. Configure.

이에 따라 이어폰(12)을 당겨 코드(11)를 인출시키면 권취롤러(21)와 지지롤러(22)가 원활하게 회전되고 권취롤러(21)의 토션스프링(23)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코드(11)의 인출시 래칫(24)은 지지롤러(22)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으며 이어폰(12)의 인출력이 해제되어 권취롤러(21)가 코드(11)를 당기는 방향으로 역회전하려 할 때 래칫(24)이 지지롤러(22)의 역회전을 구속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적절한 만큼 코드(11)를 당겨 이어폰(12)을 귀에 꽂을 수 있다. 코드(11)의 인출 길이를 조금 더 길게 하려면 다시 코드(11)를 당기기만 하면 된다.Accordingly, when the earphone 12 is pulled out and the cord 11 is pulled out, the winding roller 21 and the supporting roller 22 rotate smoothly, and elastic energy is accumulated in the torsion spring 23 of the winding roller 21. When the cord 11 is pulled out, the ratchet 24 does not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support roller 22 and the inlet output of the earphone 12 is released so that the winding roller 21 tries to rever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d 11 is pulled. When the ratchet 24 restrains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upport roller (22). Therefore, the user can pull the cord 11 as appropriate to put the earphone 12 in the ear. To make the lead length of the cord 11 a little longer, it is only necessary to pull the cord 11 again.

이어서 통화가 완료된 후에는 래칫(24)에서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를 누르면 래칫(24)에 의한 지지롤러(22)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토션스프링(23)의 탄성력으로 권취롤러(21)가 역회전하여 코드(11)가 케이스(10)로 전부 인입된다. 물론 코드(11)의 인입시 스위치(13) 부분에서 케이스(10)에 걸리도록 하여 이어폰(12)이 항상 노출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after the call is completed, pressing the handl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ratchet 24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support roller 22 by the ratchet 24, and the winding roller 21 is reversely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3. As a result, all of the cords 11 are led into the case 10.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arphone 12 is always exposed by being caught by the case 10 at the switch 13 part when the cord 11 is pulled in.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드인출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신호접속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de drawing main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signal connection unit of FIG. 2.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은 권취롤러(21)의 일측에 설치되고 코드(11)와 결선되는 도전링(31)과, 상기 도전링(31)과 항상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접속핀(33)과, 권취롤러(21)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일측을 가압하는 감속롤러(32)와, 권취롤러(21)의 일방향 회전을 허용하면서 타방향 회전을 단속하는 홀더(34)를 구비한다. 도 1은 코드(11)를 케이스(10) 내부에 인입하기만 하는 구성인 반면 도 2는 권취롤러(21) 상에 권취하는 구성으로서 케이스(10)를 보다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다.Wind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inding roller 21 and the conductive ring 31 is connected to the cord 11, and the connection pin to always keep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conductive ring 31 (33), a reduction roller (32) for pressurizing one side to prevent sudden rotation of the take-up roller (21), and a holder (34) for intermittent rotation while allowing one-way rotation of the take-up roller (21). do. 1 is a configuration in which only the cord 11 is drawn into the case 10, while FIG. 2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rd 11 is wound on the winding roller 21, which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ing the case 10.

도 2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드(11), 이어폰(12), 스위치(13), 마이크(14), 토션스프링(23) 등의 구성은 도 1과 동일하고, 도 1과 같은 지지롤러(22) 대신 보다 작은 크기의 감속롤러(32)를 사용하며, 도전링(31)과 접속핀(33)을 추가로 구비한다. 홀더(34)는 도 1의 래칫(2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유사한 구성을 사용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Figure 2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cord 11, earphone 12, the switch 13, the microphone 14, the torsion spring 23 and the like is the same as FIG. Instead of the roller 22, a smaller size reduction roller 32 is used, and the conductive ring 31 and the connecting pin 33 are further provided. Holder 34 uses a similar configuration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ratchet 24 in FIG.

이때 도전링(31)과 접속핀(33)은 코드(11)가 권취롤러(21) 상에 권취되므로 감거나 푸는 과정에서 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처럼 동심원상에 복수의 패턴으로 형성된다. 코드(11)의 내측단은 권취롤러(21)에 고정되면서 도전링(31)과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도전링(31)에 접촉되는 접속핀(33)은 다시 케이스(10)의 외부로 나와 전화기 본체와 연결된다. 접속핀(33)은 빈번한 작동에 따른 내구성 향상을 위해 롤러형태로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onductive ring 31 and the connecting pin 33 are wound on the winding roller 21 to prevent twisting during the winding or unwinding process, the conductive ring 31 and the connecting pin 33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patterns on concentric circles as shown in FIG. 3. Is formed. The inner end of the cord 11 is fixed to the winding roller 21 and makes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nductive ring 31. The connecting pin 33 which contacts the conductive ring 31 comes out of the case 10 again and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body. The connecting pin 33 may be in the form of a roller to improve durability due to frequent operation.

이에 따라 이어폰(12)을 당기면 코드(11)가 인출되고 권취롤러(21)의 토션스프링(23)은 탄성변형된다. 홀더(34)는 코드(11)의 풀림방향으로 권취롤러(21)가 회전되는 것은 구속하지 않으나 역회전을 구속하여 인출된 코드(11)가 임의로 인입되지 않게 한다. 코드(11)를 다시 인입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도 1처럼 홀더(34)를 눌러 권취롤러(21)의 구속을 해제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earphone 12 is pulled, the cord 11 is pulled out and the torsion spring 23 of the winding roller 21 is elastically deformed. The holder 34 does not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take-up roller 21 in the release direction of the cord 11 but restrains the reverse rotation so that the drawn cord 11 is not drawn in arbitrarily. In order to retract the cord 11, the holder 34 is released by pressing the holder 34 as shown in FIG. 1.

도 4는 도 2의 변형예에 따른 코드인출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de drawing main par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2.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상기 홀더(34)를 생략하는 대신,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코드(11)를 안내하는 고정롤러(41)와 이동롤러(42)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롤러(42)는 지지편(44)과 스프링(45)에 의해 고정롤러(41)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회동한다. 권취롤러(21), 토션스프링(23), 도전링(31), 감속롤러(32), 접속핀(33) 등의 구성은 도 2와 동일하다. 스위치(43)는 코드(11)의 인입시 그 일부가 케이스(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조를 변형한다.Instead of omitting the holder 34 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roller 41 and a moving roller 42 for guiding the cord 11 and rotating in one direction are installed, and the moving roller 42 is supported. It rotates so that the piece 44 and the spring 45 may be in close contact or spaced apart from the fixed roller 41.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ing roller 21, the torsion spring 23, the conductive ring 31, the reduction roller 32, the connecting pin 33 and the like is the same as in FIG. The switch 43 deforms the structure so that a part of the cord 11 may be drawn into the case 10 when the cord 11 is drawn in.

이때 가장 중요한 설계요소는 이동롤러(42)를 회동시키는 지지편(44)의 길이 및 회전중심 위치와, 스프링(45)의 길이 및 회전중심 위치이다. 이동롤러(42)가 고정롤러(41)와 밀착된 상태에서는 스프링(45)이 그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고, 이동롤러(42)가 이동롤러(42)와 이격된 상태에서는 스프링(45)이 그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그 중간의 위치를 지날 때 지지편(44) 및 스프링(45)이 순간적으로 평행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ost important design elements are the length and center of rotation of the support piece 44 for rotating the moving roller 42, and the length and center of rotation of the spring 45. In the state where the moving roller 4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roller 41, the spring 45 exerts a force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adhesion force, and in the state where the moving roller 42 is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roller 42, (45) must exert a force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this state. Therefore, the support piece 44 and the spring 45 are instantaneously parallel when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position.

이에 따라 이어폰(12)을 비교적 느리게 당기면 고정롤러(41)와 이동롤러(42)가 밀착된 상태에서 코드(11)가 인출되지만 이어폰(12)을 비교적 빠르게 당기면 이동롤러(42)는 고정롤러(41)와 이격된다. 전자의 경우 코드(11)가 인출되는 도중에 언제라도 인출력을 해제하면 고정롤러(41) 및 이동롤러(42)가 역회전되지 않아 코드(11)가 권취롤러(21)에 감기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코드(11)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코드(11)는 권취롤러(21)에 빠르게 감기고 스위치(43)가 이동롤러(42)에 충돌하면 다시 전자의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코드(11)의 인출시는 언제라도 필요한 만큼씩 천천히 당기면 되고 코드(11)의 인입시는 다시 빠르게 당긴다.Accordingly, when the earphone 12 is pulled relatively slowly, the cord 11 is pulled out while the fixed roller 41 and the moving roller 42 are in close contact, but when the earphone 12 is pulled relatively quickly, the moving roller 42 is fixed roller ( 41). In the former case, if the output is released at any time while the cord 11 is drawn out, the fixed roller 41 and the moving roller 42 are not reversely rotated, and the cord 11 is not wound on the take-up roller 21. Can be maintained. In the latter case, since the restraint of the cord 11 is released, the cord 11 is quickly wound on the take-up roller 21, and when the switch 43 collides with the moving roller 42, the cord 11 is in the former state. Therefore, at the time of withdrawal of the cord 11, pull as slowly as necessary at any time, and when the entry of the cord 11 is pulled again quickly.

도 4의 구성에서 작동의 원활성을 향상하기 위해 고정롤러(41)와 이동롤러(42)는 고무재질을 사용하고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클러치 베어링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제품 원가가 상승되는 반면 도 1의 래칫(24) 또는 도 2의 홀더(34)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이에 따른 동작이 불필요하므로 작동이 편리하다.In order to improve the smooth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Figure 4, the fixed roller 41 and the moving roller 42 is preferably made of a clutch bearing to use a rubber material and to enable only one-way rota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ile the product cost is relatively increased,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ratchet 24 or the holder 34 of FIG.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자동차에 탑승하거나 운전하는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이어폰을 인출하여 통화하고 통화후 다시 간편하게 복귀시켜 사용의 편리함과 함께 안전운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moting safe driving with the ease of use by withdrawing the earphone when the call is received in the state of boarding or driving in the car and returning after the call.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이어폰(12)과 마이크(14)를 구비하는 별도의 외부 코드(11)를 통하여 전화기 본체와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한 핸즈프리 전화기에 있어서:In a hands-free telephone, which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main body via a separate external cord 11 having an earphone 12 and a microphone 14, and which enables a call: 자동차의 실내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마이크(14)를 구비하는 케이스(10);A case 10 attachable to an interior of a vehicle and having the microphone 14; 토션스프링(23)을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고, 외력의 작용시 상기 코드(11)의 인출을 구속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권취롤러(21); 및A winding roller (21) mounted inside the case (10) via a torsion spring (23) and supporting the drawer of the cord (11) so as not to restrain the drawing of the cord (11)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상기 토션스프링(23)의 권취력을 단속하도록 권취롤러(21)와 연계되어 설치되고, 코드(11)의 감김을 정지하거나 다시 감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권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전화기.It is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winding roller 21 to control the wind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3,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nding means for selectivel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stopping or rewinding the cord (11) Car handsfree ph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권취수단은 권취롤러(21)와 밀착되어 코드(11)를 가압하는 지지롤러(22)와, 상기 지지롤러(22)의 일방향 회전을 허용하면서 타방향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전화기.The wind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upport roller 22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ing roller 21 and pressurizes the cord 11, and a ratchet 24 for intermittent rotation while allowing one direction rotation of the support roller 22. Car hands-free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권취수단은 권취롤러(21)의 일측에 설치되고 코드(11)와 결선되는 도전링(31)과, 상기 도전링(31)과 항상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접속핀(33)과, 권취롤러(21)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일측을 가압하는 감속롤러(32)와, 권취롤러(21)의 일방향 회전을 허용하면서 타방향 회전을 단속하는 홀더(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전화기.The winding means includes a conductive ring 3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inding roller 21 and connected to the cord 11, a connecting pin 33 which is alway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ring 31, and a winding roller. A vehicle hands-free comprising: a reduction roller 32 for pressurizing one side to prevent sudden rotation of the 21 and a holder 34 for intermittent rotation while allowing one direction rotation of the take-up roller 21. cellphon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홀더(34)를 생략하는 대신,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코드(11)를 안내하는 고정롤러(41)와 이동롤러(42)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롤러(42)는 지지편(44)과 스프링(45)에 의해 고정롤러(41)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전화기.Instead of omitting the holder 34, a fixed roller 41 and a moving roller 42 for guiding the cord 11 and rotating in one direction are installed, and the moving roller 42 has a support piece 44 and a spring. A hands free telephon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by rotating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or spaced apart from the fixed roller 41 by a 45.
KR2020000020622U 2000-07-19 2000-07-19 Hands free cellular phone for automobile KR2002056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22U KR200205606Y1 (en) 2000-07-19 2000-07-19 Hands free cellular phone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22U KR200205606Y1 (en) 2000-07-19 2000-07-19 Hands free cellular phone for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606Y1 true KR200205606Y1 (en) 2000-12-01

Family

ID=1966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622U KR200205606Y1 (en) 2000-07-19 2000-07-19 Hands free cellular phone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60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43096A1 (en) Wireless earphone structure
GB2350516A (en) Telephone handset with at least two movable elements whose motion is linked or is initiated by pushbutton or incoming call
KR20000059278A (en) Hands-free device for mobile telephones
KR200205606Y1 (en) Hands free cellular phone for automobile
US7046205B2 (en) Spring-loaded extendible antenna for a mobile phone
KR100554565B1 (en) Hands-free phone system having earphone
CN201312341Y (en) Bluetooth hand-free phone
US20070275770A1 (en) Hands-free accessory for mobile telephone
CN208656855U (en) Handset bracket and vehicle with handset bracket
JP2002281136A (en) Portable telephone set having earphone with microphone
KR100542105B1 (en) Device for connecting a cellular phone for vehicles
KR200243216Y1 (en) hands free set for car
KR20050039410A (en) Hands free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22016Y1 (en) Hands free cellular phone device for driving
KR100212619B1 (en) Handsfree set
KR20000023875A (en) Hands free kit for cellular phone
CN2663226Y (en) Vehicle-mounted ear phone
KR200200186Y1 (en) Device for fixed in ear phone
KR100212618B1 (en) Mobile telephone having handsfree set
CN2582283Y (en) Safety and convenient type vehicle carried telephone set
KR200292156Y1 (en) Mobile stastion with ear-microphone of bobbin method
CN2413448Y (en) Earphone accessory for mobile telephone
KR200243665Y1 (en) A portable telephone set having earphone and microphone
KR200329476Y1 (en) Miniature handsfree holder
KR100330888B1 (en) A supporting structure for hands-free mike of handy phone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