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475Y1 -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475Y1
KR200205475Y1 KR2020000016753U KR20000016753U KR200205475Y1 KR 200205475 Y1 KR200205475 Y1 KR 200205475Y1 KR 2020000016753 U KR2020000016753 U KR 2020000016753U KR 20000016753 U KR20000016753 U KR 20000016753U KR 200205475 Y1 KR200205475 Y1 KR 200205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main body
drawer
dust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종
오형종
Original Assignee
남도금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도금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도금형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6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4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5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vertical type, e.g. tank or buck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서랍을 합체시켜 여러 가지의 물건을 수납하여 정리 및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면에 바퀴를 포함하고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한개 이상의 서랍, 상기 서랍의 뒤쪽에 구비되는 흡입관부, 상기 흡입관부에 연결되는 집진부, 상기 흡입관부 및 상기 집진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발생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가 제공되어, 실내환경을 쾌적하고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손님 및 종업원의 건강에 유익한 동시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with a drawer for containing}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 이상의 서랍을 합체시킴으로서 여러 가지의 물건을 수납하여 정리 및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용실 또는 미용실에서는 손님들의 머리카락을 깍거나 다듬은 후 발생하는 잘린 머리카락이 바닥에 상당량 쌓이게 되므로 자주 청소를 할 필요가 있으나, 빗자루를 사용하여 바닥을 쓸게 되면 먼지와 함께 잘게 잘려진 머리카락이 바닥으로부터 떠올라 실내에서 부유하기 때문에 실내공기 오염의 원인이 되고, 이렇게 오염된 공기를 이용실 또는 미용실에서 근무하는 종업원과 손님들이 들이마심으로써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게다가 가위를 이용하여 잘려진 머리카락의 단면은 날카롭기 때문에 일단 이것을 들이마시게 되면 들이마신 사람의 호흡기 내에 박혀 제거되지 않으며, 특히 이용실 또는 미용실 실내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종업원들의 호흡기 계통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더우기 손님이 머리카락을 짧게 자르길 원하는 경우 짧게 잘려진 머리카락이 손님의 귓바퀴 뒤쪽이나 목덜미 등에 남게 되어 이 부분을 깨끗이 하기 위해 통상 스폰지나 솔 등을 이용하여 이 부분을 털지만, 짧게 잘려져 단면이 날카로운 머리카락은 피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으며 심지어 피부에 박혀버리는 경우도 있고,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털 때 종업원의 피부나 손톱 밑 부분에 잘린 머리카락이 박혀 염증을 일으키기도 하는 등의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청소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래 벽면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진공청소기가 일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고정식 진공청소기는 손님의 목덜미 등에 묻어 있는 머리카락을 제거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바닥까지 청소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즉, 이용실 또는 미용실에서는 각종 가위, 빗, 드라이어 등의 미용도구를 수납하기 위한 이동식 서랍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때 의자, 이동식 서랍, 진공청소기 등이 각각 공간을 차지하므로 실내환경이 어수선하고 깔끔하지 못하다는 인상을 주게 되어 결국 편안하고 깔끔한 서비스를 원하는 손님들에게 실례가 된다.
또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 진공청소기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요구하게 되어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실내를 청결히 유지하기 위해 자주 청소를 하려면 청소를 할 때마다 보관장소에서 진공청소기를 꺼내어 청소를 한 후 다시 진공청소기를 보관장소로 이동시켜 보관하는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힘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용실 또는 미용실에서 손님들의 머리카락을 깍거나 다듬을 때에는 각종 이·미용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이동식 서랍의 기능을 수행하며, 머리카락을 깍은 후에는 바로 손님의 목덜미 등에 묻어 있는 머리카락을 제거할 수 있고,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바닥 청소까지 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본체가 부분적으로 절단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본체가 부분적으로 절단된, 먼지통이 일부 빠져나온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보관실 도어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집진부 및 진공발생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먼지통 덮개부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상단 수납부 12: 청소도구 보관실
13: 바퀴 20: 서랍 30: 흡입관부
31: 브러쉬 33: U자관 36: 바닥청소용 브러쉬
40: 집진부 42: 먼지 수거통 43: 사이클론
44: 흡입덕트 46: 필터 50: 진공발생부
상기 목적은, 바닥면에 바퀴를 포함하고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한개 이상의 서랍, 상기 서랍의 뒤쪽에 구비되는 흡입관부, 상기 흡입관부에 연결되는 집진부, 상기 흡입관부 및 상기 집진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발생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여러 가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상단 수납부 및 바닥 청소용 브러쉬 등의 청소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청소도구 보관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진부는 먼지 수거통, 사이클론, 흡입덕트, 및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클론을 이용하는 방식의 진공청소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먼지를 집진하는 방식이 사이클론 방식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본체가 부분적으로 절단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본체가 부분적으로 절단된, 먼지통이 일부 빠져나온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청소도구 보관실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1)는, 바닥면에 바퀴(13)를 포함하고 있는 본체(10), 본체(10)에 구비되는 한개 이상의 서랍(20), 서랍(20)의 뒤쪽에 구비되는 흡입관부(30), 흡입관부(30)에 연결되는 집진부(40), 흡입관부(30) 및 집진부(40)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발생부(50)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상단 수납부(11), 청소도구 보관실(12) 및 바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의 가장 상단부분에는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수납하기 편리하도록 위쪽으로 개구된 상단 수납부(11)가 마련된다. 이 상단 수납부(11)의 아래쪽으로는 하나 이상의 서랍(20)이 구비되며, 이 서랍은 종래 이용실 또는 미용실에서 사용하던 이동식 서랍과 유사한 것이다.
본체(10)의 배면부, 즉 서랍(20)의 뒤쪽에는, 청소도구 보관실(12)이 위치되어 흡입관부(30)를 비롯하여 바닥 청소용 브러쉬(36) 등을 보관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청소도구 보관실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청소도구 보관실 도어(12a)를 닫아놓아 외부에서 보관실 내부를 볼 수 없도록 하고, 바닥을 청소할 때에는 하기된 바와 같이 청소도구 보관실 도어(12a)를 개방시킨 다음 연결 파이프(34)와 바닥 청소용 브러쉬(36)를 꺼내어 결합한 후 바닥의 머리카락 및 먼지를 청소할 수 있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1)는 본체(10)의 배면부에 청소도구 보관실(1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 연결호스와 파이프들을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청소도구 등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 이용실 또는 미용실의 실내 분위기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본체(10)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바퀴(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청소기(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흡입관부(30)는 머리카락 제거용 브러쉬(31), 머리카락 제거용 호스(32), U자관(33), 연결 파이프(34), 연결 호스(35) 및 바닥청소용 브러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각각의 부재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로를 형성한다.
이용실 또는 미용실에서 손님의 머리카락을 깍거나 다듬으면서 발생되어 손님의 귓바퀴 뒷부분이나 목덜미 등에 붙어 있는 머리카락은 머리카락 제거용 브러쉬(31)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머리카락 제거용 브러쉬(31)에 연결되어 있는 머리카락 제거용 호스(32)는 휨 가능한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들 머리카락 제거용 브러쉬(31) 및 머리카락 제거용 호스(32)는, 머리를 깍거나 다듬는 동안에는 본체(10) 측면의 머리카락 제거용 브러쉬 고정구(14) 및 개구부(15) 내에 착탈 가능하게 위치되고(도 3 참조), 머리카락 제거시에는 머리카락 제거용 브러쉬(31)를 머리카락 제거용 브러쉬 고정구(14)로부터 분리시켜 인출개구부(15)를 통하여 가요성인 머리카락 제거용 호스(32)와 함께 본체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한다.
머리카락 제거용 브러쉬(31)를 통하여 흡인되는 머리카락 및 먼지는 머리카락 제거용 호스(32) → U자관(33) → 연결 파이프(34) → 연결 호스(3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집진부로 이동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을 청소할 때에는 먼저 청소도구 보관실 도어(12a)를 개방한 후 연결 파이프(34)를 U자관(33)으로부터 분리하여 보관실(12)로부터 인출한다. 그 다음 청소도구 보관실(12) 내에 보관되어 있는 바닥청소용 브러쉬(36)를 꺼내어 이미 인출해 놓은 연결 파이프(34)의 흡입측 단부(34a)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바닥청소용 브러쉬(36)를 통하여 흡인되는 머리카락 및 먼지는 연결 파이프(34) → 연결 호스(3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집진부로 이동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부 및 진공발생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먼지통 덮개부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20) 아래쪽에 위치되는 집진부(40)는 덮개(41), 먼지 수거통(42), 사이클론(43), 흡입덕트(44) 및 필터(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흡입관부(30)의 연결 호스(35)의 배출측 단부는 먼지 수거통(42)의 덮개(41) 상에 개구되어 있는 흡입개구(41a)에 연결된다. 덮개(41)는 먼지 수거통(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먼지 수거통(42)의 내부 중앙에는 사이클론(43)이 위치된다. 사이클론(43)의 상부 측면에는 이 사이클론(4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치우쳐 흡입덕트(44)가 연결되며, 이 흡입덕트(44)의 하류측에는 바람직하게 먼지 주머니(도시 생략)가 위치된다. 마지막으로 필터(46)가 먼지 주머니의 하류측에 위치되어 진공 발생부(5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한다.
연결호스(35)를 통과한 머리카락 등을 포함한 흡입공기는 결국 흡입개구(41a)를 통해 먼지 수거통(42) 내로 들어와 먼지 수거통(42)의 내부에 위치된 사이클론(43)으로 향한다. 흡입개구(41a)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먼지 수거통(42) 내에서 선회하면서 유속이 느려지기 때문에, 이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머리카락 및 먼지 등은 먼지 수거통(42)의 바닥으로 떨어져 쌓이게 된다. 무게가 가벼운 먼지는 계속해서 사이클론(43)의 구멍(43a)을 통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덕트(44)로 이동하게 된다. 흡입덕트(44)를 통과한 먼지는 먼지 주머니와 필터(46)를 지나면서 여과되어, 결국 청정한 공기만이 본체(10)의 바닥면 또는 측면 하부에 개구되어 있는 배출구(도시 생략)를 통하여 배출된다.
흡입관부(30) 아래쪽에 위치되는 진공 발생부(50)는 임펠러(51)와 모터(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임펠러(51) 및 모터는 진공청소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지 수거통(42)은 서랍식으로 전방을 향하여 빠져나오게끔 본체(10)에 장착되어(도 2 참조), 먼지 수거통(42) 내에 쌓인 머리카락 및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이용실 또는 미용실에서 손님들의 머리카락을 깍거나 다듬을 때에는 각종 이·미용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이동식 서랍의 기능을 수행하며, 머리카락을 깍은 후에는 바로 손님의 목덜미 등에 묻어 있는 머리카락을 제거할 수 있고,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바닥 청소까지 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이동식 서랍과 진공청소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실내환경을 쾌적하고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손님 및 종업원의 건강에 유익한 동시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바닥면에 바퀴(13)를 포함하고 있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한개 이상의 서랍(20),
    상기 서랍(20)의 뒤쪽에 구비되는 흡입관부(30),
    상기 흡입관부(30)에 연결되는 집진부(40),
    상기 흡입관부(30) 및 상기 집진부(40)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발생부(5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및 꺼내어 재사용할 수 있는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가장 상단부분에서 위쪽으로 개구된 상단 수납부(11)와, 도어(12a)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흡입관부(30) 및 바닥청소용 브러쉬(36)를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배면부에 구비된 청소도구 보관실(12)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40)는, 연결 호스(35)에 이어지는 흡입 개구(41a)를 가지고 있는 덮개(4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먼지 수거통(42), 상기 먼지 수거통(42)의 내부 중앙에 위치된 사이클론(43), 상기 사이클론(4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치우쳐 연결된 흡입덕트(44), 및 상기 흡입덕트(44)에 연결되며 상기 집진부(40)의 가장 하류측에 위치된 필터(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KR2020000016753U 2000-06-13 2000-06-13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KR200205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53U KR200205475Y1 (ko) 2000-06-13 2000-06-13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53U KR200205475Y1 (ko) 2000-06-13 2000-06-13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683A Division KR20020008806A (ko) 2001-09-11 2001-09-11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475Y1 true KR200205475Y1 (ko) 2000-12-01

Family

ID=1966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753U KR200205475Y1 (ko) 2000-06-13 2000-06-13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4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9032A1 (en) * 2008-12-08 2010-06-10 Emerson Electric Co. Slide-Out Drum with Filter For A Wet/Dry Vacuum Appliance
US9572465B2 (en) 2008-12-08 2017-02-21 Emerson Electric Co. Slide out drum with filter for a wet/dry vacuum applian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9032A1 (en) * 2008-12-08 2010-06-10 Emerson Electric Co. Slide-Out Drum with Filter For A Wet/Dry Vacuum Appliance
US8973196B2 (en) * 2008-12-08 2015-03-10 Emerson Electric Co. Slide-out drum with filter for a wet/dry vacuum appliance
US9572465B2 (en) 2008-12-08 2017-02-21 Emerson Electric Co. Slide out drum with filter for a wet/dry vacuum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7371A (en) Cyclonic back-pack vacuum cleaner
US6122796A (en) Suction cleaning apparatus
US7329294B2 (en) Dirt container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6497001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with a detachable head
US9492045B2 (en) Filter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424742C (en) Edge cleaning system for vacuum cleaner
EP0557096A1 (en) Cyclonic back-pack vacuum cleaner
WO2002091818A3 (en) Vacuum grooming tool
US20180177356A1 (en) Multistage cyclone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US6245159B1 (en) Vacuum cleaner apparatus and return system for use with the same
US20180177353A1 (en) Multistage cyclone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US20180177354A1 (en) Multistage cyclone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CA2649307A1 (en) Vacuum cleaner with spiral air guide
KR200205475Y1 (ko)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EP3522761B1 (en) Stick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filter
KR20020008806A (ko) 수납용 서랍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JP7013038B2 (ja) 袋付き電気掃除機
US20210307572A1 (en) Battery powered vacuum cleaner
JP2004089703A (ja) 電気掃除機
KR200285832Y1 (ko) 집진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미용장치
KR200254938Y1 (ko) 집진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미용 테이블
KR20030052837A (ko) 복합형 진공청소기
CN216364907U (zh) 真空吸尘装置
CA2526664C (en) Hand-held vacuum cleaner with a detachable head
KR200375848Y1 (ko) 이·미용실용 모발흡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