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548Y1 - Light apparatus for fuction of air cleaning - Google Patents

Light apparatus for fuction of air clea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548Y1
KR200204548Y1 KR2019980008481U KR19980008481U KR200204548Y1 KR 200204548 Y1 KR200204548 Y1 KR 200204548Y1 KR 2019980008481 U KR2019980008481 U KR 2019980008481U KR 19980008481 U KR19980008481 U KR 19980008481U KR 200204548 Y1 KR200204548 Y1 KR 200204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air
pen
air purification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4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41567U (en
Inventor
최범선
윤임식
Original Assignee
윤임식
최범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임식, 최범선 filed Critical 윤임식
Priority to KR2019980008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548Y1/en
Publication of KR19990041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56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548Y1/en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에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 시켜주면서 조명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된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의 상단부에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이나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접속구가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펜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펜의 하측에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된 오존발생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선단부에 외부로 돌출되게 전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오존발생기가 오존을 발생시켜 실내의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켜줌과 동시에 상기 전구를 통하여 조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전구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조명의 효과를 극대화 시켜주게 되고 전구의 교체시 상기 전구가 상기 몸체의 선단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어서 간편하게 전구를 교체를 하여 사용을 하게 되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플러그나 접속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과 결합을 시켜 사용을 하거나,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 등에 간편하게 선택적으로 결합을 시켜 사용을 하게 되어 보다 사용의 폭을 넓게 하여 주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that can be installed indoors to purify the air and at the same time obtain the effect of lighting, which is installed on the socket or wall mounted on the ceiling at the top of the body. Optionally provided with a plug and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an outlet, a pen driven by a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an ozone generator for purifying air is provided below the pen. Since the bulb is protruded to the outside at the tip of the body, the ozone generator generates ozone to effectively purify the interior air and at the same time obtain the effect of lighting through the bulb, and the bulb to the outside It protrudes to maximize the effect of lighting and the bulb is reminded when replacing the bulb Since it is coupled to protrude outside the front end of the sieve, it is easy to replace the bulb and use it. In this case, the user can use it by simply and selectively combining with the outlet installed on the wall, thereby widening the range of use.

Description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Lighting device with air purification

본 고안은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 시켜주면서 조명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된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room to purify the indoor air and at the same time obtain the effect of lighting.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영업장소 등지에는 실내의 미려한 분위기 등을 조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을 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공기정화기를 구비하여 사용을 하고 있다.In general, a number of lighting devices are installed in a home or a business place to create a beautiful atmosphere of the room, and an air purifier is used to purify the air in the room.

특히, 근래에는 상기의 조명장치에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도 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공기정화장치를 함께 구비시켜 공기정화 기능과 조명장치의 기능을 함께 얻도록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을 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illumination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so as to obtain a function of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and the lighting device by providing an air purifier as shown in FIG. 1 so as to purify the indoor air in the above lighting device. It is installed and used.

즉, 상기한 종래의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1')는 상부몸체(2')와 하부몸체(3')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2')의 상단 외주면에는 접속구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 모터(6')와 함께 흡입펜(7')이 설치되어 그 하측에 필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몸체(3)의 내부에는 전구(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구(11')의 외측으로 전등갓이 구비되어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1 ') having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is composed of the upper body (2') and the lower body (3 ')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2') the connection port And a suction pen 7 'with a motor 6' installed therein, a filter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thereof, and a light bulb 11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body 3. The lampshade is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bulb 11 '.

이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1')는 상기 상부몸체(2')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구를 천장 등지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에 접속을 시켜 상기 하부몸체(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전구(11')에 전원을 공급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모터(6')에 전원을 공급시켜 상기 펜(7')을 구동시켜 주게 되어 상기 전구(11')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통하여 실내를 밝혀주면서 상기 펜(7')의 구동에 따라 하측의 공기가 상기 필터를 통하여 상부로 흡입되면서 상부몸체(2)의 외부로 배출시켜 조명의 효과와 공기정화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According to this, the lighting device 1 'having the air purifying function is connected to a socket provided in the ceiling or the like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port provided in the upper body 2' to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3 '.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installed light bulb 11 'and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6' to drive the pen 7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bulb 11' is emitted. By illuminating the room through the pen 7 ', the lower air is sucked upward through the filt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2 so that the effect of lighting and air purification can be simultaneously obtained. It is.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1')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흡입펜(7')의 구동에 따라 주변의 공기를 상기 필터를 통하여 정화시키면서 흡입 한 후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있는데 구성상 필터의 크기가 크게 제작이 불가능하여 단순히 소량의 주변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것에 불과하여 실내 전체적인 공기를 정화 시켜주는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1 'having the air purifying function is sucked while purifying the surrounding air through the filt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uction pen 7' provided therein,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However, the size of the filter is largely impossible to manufacture due to the configuration, and only a small amount of ambient air is purified and discharged.

또한, 하부몸체(3')의 내부에 전구(11')를 수납시켜 상기 전구(11')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기 필터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한 후 배출시켜 줌에 따라 상기 전구(11')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필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전구(11')의 교체시 상기 상부몸체(2')와 하부몸체(3')를 완전히 분리를 시킨 후 상기 전구(11')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light bulb 11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body 3'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bulb 11 'is sucked with the air through the filter and then discharg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ife of the filter is shortened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and when the light bulb 11 'is stored therein completely separated the upper body 2' and the lower body 3 ' There was a cumbersome problem of replacing the bulb 11 '.

또한, 상기 전구(11')가 하부몸체(3')의 내부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전구(11')의 밝기가 밝지 못하여 비교적으로 전구(11')의 성능이 저하되어 조명의 효과를 제대로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 bulb 11 'is housed in the lower body 3', the brightness of the light bulb 11 'is not bright, so the performance of the light bulb 11' is comparatively lowered, thereby improving the lighting effect.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get properly.

또한, 전구(11')를 내부에 수납시키고 외측에 전등갓을 구비시키고, 상기 하부몸체(3')의 하측에 커버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전등갓과 커버를 구비하여 부품의 수가 많아져 생산성이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대외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light bulb 11 'is housed inside, and the lamp shade is provided on the outside, and the cover is used under the lower body 3'. The lamp shade and the cover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ts and increase productivity.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xternal competitiveness is lowered.

또한, 상기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1)의 설치시 상기 상부몸체(2)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구를 천장의 소켓에 결합을 시켜서 사용을 하게 되는데, 이는 천장에 일반적인 전구(11')가 결합되는 소켓에 결합을 시켜 사용을 하는 것으로 한정이 되어 있어서 설치시 비교적 높은 천장에 설치를 할 때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되는 범위가 천장에 한정이 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lighting device 1 having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is installed, the connection port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2 is connected to the socket of the ceiling, which is used as a general light bulb 11 'on the ceiling. ) Is limited to the use of the coupling to the socket to be coupled to the socket to be coupled to the socket to be used in the relatively high ceiling during the install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ange used is limited to the ceiling.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존을 발생시켜 실내의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켜줌과 동시에 조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that can be effective to purify the indoor air in the room by generating ozone and at the same time obtain the effect of lighting To prov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구의 교체시 간편하게 전구를 교체할 수 있고, 전구의 조명효과를 극대화 시켜주도록 된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that can easily replace the bulb when replacing the bulb, maximizing the lighting effect of the bulb.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천장의 설치되어 있는 소켓과 결합을 시켜 사용을 하거나,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 등에 간편하게 결합을 시켜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된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socket installed on the ceiling, or easily connected to an outlet installed on a wall. .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을 간단히 하여 그에 따른 부품의 제작이나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대외적으로 경쟁력이 향상되도록 된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and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r processing of components accordingly, thereby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abroad.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몸체의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펜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펜의 하측에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된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단의 하측방으로 전구가 구비되어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단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소켓이나 플러그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구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구의 하측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모터와 펜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몸체와;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흡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홈과 일정거리를 두고 내부에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부에 상기 전구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시켜 주는 소켓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면의 상단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n that is rotated by a motor inside the body, and has a means configured to purify air under the pen, and to a lower side of the means. A light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provided with a light bulb, comprising: a connection port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to a socket or a plug on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 bulb,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grooves are formed around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An upper body having a motor and a pen; A low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groov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guide surface formed therei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ction groove, and having a socket for engaging the bulb to protrude downw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zone generator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guide surface formed in the lower body to purify the air.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가 상, 하부몸체가 상호 나사결합되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pper body, the lower body is screwed together.

이에 따라서, 상기 몸체가 상, 하부몸체로 구분이 되어 내부 부품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상호 나사결합되어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Accordingly, the body is divided into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to easily replace the internal parts, and are easily screwed together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부몸체의 내주면에 마주하는 나선홈이 선택적인 길이만큼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 외주면에 상기 나선홈과 대응하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와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spiral grooves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are each formed by an optional length, and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spiral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body,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body and Are mutually coupled.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부몸체의 선단 외주면에 상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 내측방으로 하양경사를 가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와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cking jaw having an incline upward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and a locking jaw having a lower slope towar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lower body is mutually coupled with the upper body. Will be.

이에 따라서, 상기 상, 하부몸체의 결착력을 향상시켜 상기 상, 하부몸체가 외부의 적은 힘에 의해 분리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Accordingly, the binding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is improved to prevent the upper and lower bodies from being separated by a small external force.

도 1 - 종래 일반적인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1-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having a general air purification function

도 2 -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의 외관구성을 보이는 설치상태 사시도Figure 2-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showing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 본 고안에 따른 내부구성을 보이는 단면도3-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 본 고안에 따른 일례를 보이는 단면도4-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5-show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6-show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7-show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 2 ; 상부몸체One ; Lighting apparatus 2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Upper body

3 ; 하부몸체 4 ; 소켓3; Lower body 4; socket

5 ; 접속구 6 ; 모터5; Connector 6; motor

7 ; 펜 8 ; 배출홈7; Pen 8; Exhaust groove

9 ; 흡입홈 10 ; 안내면9; Suction groove 10; Guide

11 ; 전구 12 ; 오존발생기11; Bulb 12; Ozone generator

13 ; 플러그 14 ; 콘센트13; Plug 14; consent

15 ; 나선홈 16 ; 돌기15; Spiral groove 16; spin

17, 18 ; 걸림턱17, 18; Jam

이와 같은 본 고안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1 having the present invention air purification function as an embodiment as follow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1)의 설치상태와 외관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1)는 대별하여 상부몸체(2)와 하부몸체(3)로 대별이 되는데 상기 상부몸체(2)의 상단 외주면에는 천장 등지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4)에 결합시키기 위한 접속구(5)가 구비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and appearanc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1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se drawings lighting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1 is roughly divided into an upper body 2 and a lower body 3. The upper end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2 is connected to a socket 4 installed on a ceiling or the like. Is provided.

또한, 상기 상부몸체(2)의 내부 상측에는 모터(6)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모터(6)의 구동축에는 펜(7)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펜(7)이 구비되어 있는 부분의 외측방 둘레의 몸체(2)에는 다수의 배출홈(8)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motor 6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2, and a pen 7 is provided on a drive shaft of the motor 6, and an outer side of a portion where the pen 7 is provided. A plurality of discharge grooves 8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body 2.

상기 하부몸체(3)는 상기 상부몸체(2)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 둘레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흡입홈(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홈(9)과 일정거리를 두고 흡입된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주는 안내면(10)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body (3)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2), a plurality of suction grooves (9) for sucking the outside air is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ction groove (9) A guide surface 10 for guiding the sucked air upward is formed therein.

또한, 상기 하부몸체(3)의 선단에는 전구(11)가 결합되는 소켓(4)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소켓(4)은, 일반적인 것으로 몸체(3)의 선단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구(11)가 하측방으로부터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lower body 3 is provided with a socket 4 to which the light bulb 11 is coupled, which socket 4 is generally provid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body 3 and the light bulb 11 is provided. Is coupled from the lower side to protrude outward.

또한, 상기 하부몸체(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면(10)의 내부에는 오존발생기(12)가 구비되는데 이 온존발생기(12)는 일반적인 것으로 공기를 정화시켜 주는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상기 안내면(10)의 상단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체(2)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펜(7)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an ozone generator 12 is provided inside the guide surface 10 formed in the lower body 3, and the ozone generator 12 is generally used to generate ozone to purify the air. It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guide surface 1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pen 7 which is provided in the upper body (2).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몸체(2)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접속구(5)를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4)에 결합을 시켜 상기 상부몸체(2)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6)와 전구(11)와 오존발생기(12)에 전원이 공급이 되고,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기 모터(6)가 구동되어 상기 모터(6)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펜(7)이 구동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2 by engaging the connection port 5 provid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body 2 to the socket 4 provided on the ceiling.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to the light bulb 11 and the ozone generator 12, and the pen 7 is driven by the supplied power to be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6. Will be driven.

이때, 상기 펜(7)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하부몸체(3)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홈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하부몸체(3)의 내부로 유입이 되게 되고,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홈(9)과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는 안내면(10)을 따라서 상기 상부몸체(2)로 유입이 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오존발생기(12)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에 의해 정화되면서 상부몸체(2)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홈(8)을 통하여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되게 되어 실내의 공기가 쾌적한 상태를 위지하도록 하여 주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pen 7 is driven,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body 3 through the suction groove formed in the lower body 3, and the air sucked into the inside is sucked. The upper body 2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body 2 along the guide surface 10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ove 9, and the introduced air is purified by the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or 12 and the upper body ( 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groove (8) formed in the room, so that the air in the room to be in a comfortable state.

또한, 상기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3)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전구(11)가 조명 빛을 발산시켜 주게 되어 실내의 공기를 정화와 시켜 줌과 동시에 실내 조명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되고, 전구(11)가 상기 하부몸체(3)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비교적으로 실내 조명의 효과를 향상시켜 주게 된다.In addition, the light bulb 11 coupled to the tip of the lower body 3 by the supply of the power emits the illumination light, thereby purifying the indoor air and simultaneously obtaining the effect of the indoor lighting. And, the light bulb 11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3) to improve the effect of the room lighting relatively.

또한, 상기 전구(11)의 교체시, 상기 하부몸체(3)로부터 전구(11)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전구(11)를 잡고 간편하게 돌려 상기 하부몸체(3)로부터 상기 전구(11)를 분리시킨 후 새로운 전구(11)로 교체를 하게 되어 상기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1)를 천장의 소켓(4)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를 시키지 않고도 전구(11)를 간편하게 교체를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ight bulb 11 is replaced, the light bulb 11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body 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light bulb 11 from the outside and turn the light bulb 11 from the lower body 3. 11) After the replacement of the new bulb 11 is replaced with a light bulb (1) having the air purifying function can be easily replaced the bulb 11 without completely removing from the ceiling socket (4)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도면상에는 상기 상부몸체(2)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구(5)가 소켓(4)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선택적으로 플러그(13)로도 사용되게 되는 것으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벽면 등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14)에도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 the connection port 5 provid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2 is shown to be coupled to the socket 4, which is selectively used as a plug 13,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outlet 14 provided on the wall or the like.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2)와 하부몸체(3)가 상호 나사결합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2 and the lower body 3 are screwed together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서, 상기 상부몸체(2)와 하부몸체(3)의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6)나 펜(7), 오존발생기(12) 등의 필요에 따른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upper body 2 and the lower body 3 can be easily separated, so as to easily replace the motor 6, the pen 7, the ozone generator 12, etc. provided therein. Will be done.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19, 19')는 각각 수나사와 암나사부를 나타낸 것임.Reference numerals 19 and 19 'in the drawings indicate male and female threads, respectively.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상부몸체(2)의 내주면 둘레에 마주하는 나선홈(15)이 선택적인 길이만큼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3)의 상단 외주면 둘레에 상기 나선홈(15)과 대응하는 돌기(16)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2)와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spiral groove 15 facing each other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2 is formed by an optional length, respectively, the lower body ( The spiral groove 15 and the corresponding protrusions 16 are formed a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3) to be mutually coupled with the upper body 2.

이에 따라서, 상기 상부몸체(2)에 상기 하부몸체(3)를 더욱 간편하게 결합을 시키거나 분리를 시키게 되는데, 상기 상부몸체(2)에 형성되어 있는 홈(15)에 하부몸체(3)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6)를 삽입시킨 후 하부몸체(3)를 돌리면 상기 각 돌기(16)가 각 나선홈(15)을 따라서 돌아가 홈(15)의 끝부분에 접하면서 결합되어 보다 간편하게 상기 상부몸체(2)와 하부몸체(3)를 결합 및 분리를 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lower body 3 is more easi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upper body 2, which is formed in the lower body 3 in the groove 15 formed in the upper body 2. When the lower body 3 is turned after inserting the protrusions 16, the protrusions 16 are coupled along each of the spiral grooves 15 to be in contact with the ends of the grooves 15, so that the upper body is more easily connected. (2) and the lower body (3) is to be combined and separated.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상부몸체(2)의 선단 외주면에 상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걸림턱(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3)의 상단부가 내측방으로 하향경사를 가지는 걸림턱(18)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2)와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2 is formed with a locking step 17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3) The engaging jaw 18 has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inner side is to be coupled to the upper body (2).

이에 따라서, 상기 상부몸체(2)의 선단부에 상기 하부몸체(3)의 상단부를 삽입을 시키게 되면 상기 상부몸체(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7)에 상기 하부몸체(3)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8)이 삽입되어 상, 하부몸체(2, 3)의 결착력을 향상시켜 주게 되고 상기 상, 하부몸체(2, 3)가 외부의 작은 힘에 의해 분리가 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시켜 주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3 is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upper body 2, the lower body 3 is formed on the locking jaw 17 formed on the upper body 2. The locking jaw 18 is inserted to improve the binding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2 and 3 and to prevent the upper and lower bodies 2 and 3 from being separated by a small external force. Is given.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의 상단부에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이나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접속구가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펜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펜의 하측에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된 오존발생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선단부에 외부로 돌출되게 전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오존발생기가 오존을 발생시켜 실내의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켜줌과 동시에 상기 전구를 통하여 조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전구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조명의 효과를 극대화 시켜주게 되고 전구의 교체시 상기 전구가 상기 몸체의 선단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어서 간편하게 전구를 교체를 하여 사용을 하게 되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플러그나 접속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과 결합을 시켜 사용을 하거나,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 등에 간편하게 선택적으로 결합을 시켜 사용을 하게 되어 보다 사용의 폭을 넓게 하여주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body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a plug and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socket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wall is installed on the wall, the pen driven by the motor inside the body And an ozone generator capable of purifying air at the lower side of the pen, and a bulb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dy to protrude to the outside, whereby the ozone generator generates ozone It effectively purifies the internal air of the lamp and at the same time can obtain the effect of lighting through the light bulb, the light bulb protrudes to the outside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light and when the bulb is replaced, the light bulb protrudes outside the tip of the body It is combined so that the bulb can be replaced easily,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It can be used by combining with the socket installed on the ceiling selectively by the plug or the connection port provided at the upper part, or by easily connecting with the outlet installed on the wall for wider use. It is a devised effect.

Claims (4)

몸체의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펜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펜의 하측에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된 필터와 살균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나 살균등의 하측방으로 전구가 구비되어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에 있어서,A pen that is rotated by a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a filter and a sterilization lamp for purifying air are provided below the pen, and a bulb is provided below the filter or sterilization lamp. In the light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상단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소켓(4)이나 콘센트(14)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구(5, 13)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구(5, 13)의 하측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배출홈(8)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모터(6)와 상기 펜(7)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몸체(2)와;Connection holes 5 and 13 are provid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selectively connect to the socket 4 or outlet 14,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grooves 8 are formed around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holes 5 and 13. An upper body (2) provided with the motor (6) and the pen (7) therein;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흡입홈(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홈(9)과 일정거리를 두고 내부에 안내면(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부에 상기 전구(11)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시켜 주는 소켓(4)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몸체(3)와;A plurality of suction grooves 9 are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guide surface 10 is formed therei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ction groove 9 to couple the bulb 11 to protrude downward. A lower body 3 having a socket 4; 상기 하부몸체(3)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면(10)의 상단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펜(7)과 마주하면서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Air pur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guide surface 10 formed in the lower body (3) comprises an ozone generator (12) for generating ozone to clean the air while facing the pen (7) Lighting device with a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몸체(2, 3)가 상호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lower body (2, 3) is a light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screw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의 내주면에 마주하는 나선홈(15)이 선택적인 길이만큼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3)의 상단 외주면에 상기 나선홈(15)과 대응하는 돌기(16)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2)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piral grooves (15) fac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body (2) are formed by an optional length, respectively, and correspond to the spiral grooves (15)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body (3) Illuminating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s 16 are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body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의 선단 외주면에 상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걸림턱(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3)의 상단 내측방으로 하양경사를 가지는 걸림턱(18)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2)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3. The locking jaw (18)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locking jaw (17)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is formed on a tip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2), and the locking jaw (18) having a lower slope toward an upper inner side of the lower body (3). ) Is formed is a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upper body (2).
KR2019980008481U 1998-05-21 1998-05-21 Light apparatus for fuction of air cleaning KR20020454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481U KR200204548Y1 (en) 1998-05-21 1998-05-21 Light apparatus for fuction of air clea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481U KR200204548Y1 (en) 1998-05-21 1998-05-21 Light apparatus for fuction of air clea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567U KR19990041567U (en) 1999-12-15
KR200204548Y1 true KR200204548Y1 (en) 2000-12-01

Family

ID=1953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481U KR200204548Y1 (en) 1998-05-21 1998-05-21 Light apparatus for fuction of air clea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54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026A (en) * 2002-08-16 2003-08-25 김태익 An air cleaner
KR20040026719A (en) * 2002-09-25 2004-04-01 프라임휴텍 주식회사 Air cleaning lamp generating plas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567U (en)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1222B1 (en) Power-saving lamp
CA2162963A1 (en) Improved interior light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ed display case
KR20020029067A (en) Air cleaner
CN1065608C (en) Energy-saving lamp
CN109027823A (en) A kind of ceiling lamp of easy cleaning
KR101249386B1 (en) A led light with ac/dc convertor
CN208504142U (en) A kind of ceiling lamp of easy cleaning
KR200204548Y1 (en) Light apparatus for fuction of air cleaning
KR200466988Y1 (en) Ventilator with the led grill assembly
KR200421556Y1 (en) Negative Generator Lamp Using LED
KR101851066B1 (en) Down-light lighting device haivng air cleaner
KR200379928Y1 (en) ventilating fan which has a lighting function
JP2003123505A (en) Luminaire
KR200233729Y1 (en) Cover joint structure for lighting
KR20000010995A (en) Metallic halogen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390553A2 (en) LED illuminating apparatus
KR200161780Y1 (en) Illuminating lamp
CN214700382U (en) Desk lamp with soft light divergence
KR200362104Y1 (en) Mounting structure for lighting
CN212537648U (en) Ceiling lamp structure
CN213237212U (en) Ceiling lamp with dust collection structure
CN218819720U (en) Multi-application illumination strip lamp
CN212204253U (en) Ceiling lamp
CN218936184U (en) Mask mounting structure and lighting fixture
WO2005071313A1 (en) Lighting fixture for exhausting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022

Effective date: 200212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