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545Y1 - 낚시봉돌 - Google Patents
낚시봉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4545Y1 KR200204545Y1 KR2019970033134U KR19970033134U KR200204545Y1 KR 200204545 Y1 KR200204545 Y1 KR 200204545Y1 KR 2019970033134 U KR2019970033134 U KR 2019970033134U KR 19970033134 U KR19970033134 U KR 19970033134U KR 200204545 Y1 KR200204545 Y1 KR 2002045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 cut
- housing
- fishing
- lead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품의 일종인 봉돌에 관한 것으로, 납을 원료로 제조되는 봉돌이 낚시찌와 부력을 일치시키기 위하여는 봉돌을 잘라내면서 부력을 맞추기 때문에 이와 같이 잘려져서 버려지는 납편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고 또한 봉돌의 형상이 부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선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잘라내기가 용이치 아니하고 또한 봉돌을 낚시를 하면서 수시로 만지게 됨으로 인체에 유해하게 되며 또한 낚시찌가 교환될 경우에는 봉돌을 교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냥버리게 됨으로 이와 같이 버려지는 봉돌로 인하여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봉돌의 중앙부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산의 상하로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체가 나사결합토록 하고 상기 수납체의 외면은 집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오색반짝이나 다면체로 형성하여 큰고기가 반짝임을 잔고기로 오인하여 모여들게 됨으로 집어효과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낚시봉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납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봉돌이 낚시찌와 부력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잘라낼 경우에 잘라냄을 용이토록 하면서 잘라낸 봉돌을 재사용토록 하기 위하여 납편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체가 나사결합되어지도록 하여 환경을 보존할 수 있도록 되는 낚시봉돌에 관한것이다.
현재 납으로 제조된 봉돌은 낚시찌와의 부력을 맞추기 위하여는 낚시찌의 부력보다는 큰 중량을 갖는 봉돌을 잘라가면서 맞추기 때문에 이와 같이 잘려나간 납편은 그냥 버려지게 됨으로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납으로 제조되는 봉돌의 형상이 부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선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잘라내기가 용이치 아니하고, 또한 이러한 봉돌을 낚시를 하면서 수시로 만지게 됨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경우에 인체에 유해하게 될 수 있으며, 또한 낚시찌가 교환될 경우에는 봉돌을 버려야 하기 때문에 낚시인구의 증가에 따라 버려지는 봉돌이 환경오염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봉돌의 중앙부에는 일정 폭으로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에는 상하로 나사결합되는 수납체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체의 외면은 집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오색반짝이를 형성하거나 다면체로 형성하여 반짝임이 많이 발생토록 하여 큰고기가 반짝임을 잔고기로 오인하여 모여들게 됨으로 집어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나사산부 2 : 수납체
3 : 절취부 4 : 수납공간
5 : 걸고리 6 : 고무패킹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봉돌의 중앙에는 일정폭으로 나사산부(1)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나사산부(1)의 상.하부로는 절취부(3)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부(1)와 나사결합이 되면서 절취부(3)를 수납하고 남을 정도의 수납공간(4)을 확보하고 있는 상.하수납체(2,2a)를 봉돌의 나사산부(1)에 나사결합시키도록 된 구성이다.
이때 상.하수납체(2,2a)의 상부로는 낚시줄과 바늘의 목줄을 연결토록 하기위하여 걸고리(5)를 형성하는 것이고, 상.하부수납체(2,2a)가 봉돌의 나사산부(1)에 나사결합될 경우에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패킹(6)을 끼워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하부수납체(2a)에는 나사산부(1)가 노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부(1)에 상부수납체(2)만을 탈착이 가능토록 나사결합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부력을 맞추기 위하여는 봉돌의 중량이 낚시찌보다 클 경우에는 봉돌의 절취부(3)를 절단하면서 부력을 맞추면 되는 것이고 이때 절취부(3)가 절단되면 서 남게 되는 납편은 모았다가 봉돌의 중량이 낚시찌보다 가벼울 경우에 납편을 수납체(2,2a)의 수납공간(4)으로 수납시키면서 낚시여건에 따라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력이 맞추어졌을 경우에는 상부수납체(2)를 봉돌의 나사산부(1)에 나사결합시키면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수납체(2,2a)의 외면이 다면체로 되어있고 또한 수납체(2,2a)의 내부에 는 오색반짝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짝임으로 인하여 큰고기가 작은고기로 오인하여 모여들게 됨으로 집어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납체(2,2a)의 내부에는 공기가 주입되어지기 때문에 봉돌의 부력이 미세한 힘의 작용에도 작동되도록 되어지기 때문에 미세한 입질에도 찌의 움직임을 관찰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납으로 제조되는 봉돌의 부력을 맞출 경우에 발생되는 납편이 버려지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봉돌이 수납체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교환이 가능하고 또한 수납체의 반짝임으로 인하여 집어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봉돌의 중앙에는 일정폭으로 나사산부(1)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나사산부(1)의 상.하부로는 절취부(3)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부(1)와 나사결합이 되면서 절취부(3)를 수납할 수 있을 정도의 수납공간(4)을 확보하고 있는 상.하수납체(2,2a)를 봉들의 나사산부(1)에 나사결합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하는 집어봉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3134U KR200204545Y1 (ko) | 1997-11-21 | 1997-11-21 | 낚시봉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3134U KR200204545Y1 (ko) | 1997-11-21 | 1997-11-21 | 낚시봉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9744U KR19990019744U (ko) | 1999-06-15 |
KR200204545Y1 true KR200204545Y1 (ko) | 2001-01-15 |
Family
ID=5389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3134U KR200204545Y1 (ko) | 1997-11-21 | 1997-11-21 | 낚시봉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4545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483B1 (ko) | 2008-11-13 | 2009-07-28 | 김화규 | 낚시추 |
KR101045811B1 (ko) | 2008-11-17 | 2011-07-05 | 이혜근 | 미끼수납부가 구비된 낚시추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7011B1 (ko) * | 2016-03-22 | 2017-05-29 | 이석문 | 무게중량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낚시봉돌 |
-
1997
- 1997-11-21 KR KR2019970033134U patent/KR20020454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483B1 (ko) | 2008-11-13 | 2009-07-28 | 김화규 | 낚시추 |
KR101045811B1 (ko) | 2008-11-17 | 2011-07-05 | 이혜근 | 미끼수납부가 구비된 낚시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9744U (ko) | 1999-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36396A (en) | Combination canister cover and cookie cutter | |
KR200204545Y1 (ko) | 낚시봉돌 | |
KR200354291Y1 (ko) | 미끼통 겸용 낚시추 | |
JPS648924A (en) | Color changeable straw | |
USD256317S (en) | Knife for filleting fish | |
KR100716709B1 (ko) | 수납구가 구비된 낚시채비 | |
US2861380A (en) | Fishing lure | |
USD299736S (en) | Handle for a fishing rod | |
USD299513S (en) | Handle for a fishing rod | |
USD299735S (en) | Handle for a fishing rod | |
USD300651S (en) | Fishing rod handle | |
KR200212292Y1 (ko) | 굴참나무의 코르크를 이용한 낚시찌 | |
US5822909A (en) | Fishing lure with illuminating eyes | |
USD300768S (en) | Handle for a fishing rod | |
USD300167S (en) | Handle for a fishing rod | |
KR200354250Y1 (ko) | 낚시용 미끼 통 | |
USD300168S (en) | Handle for a fishing rod | |
KR200194985Y1 (ko) | 낚시용 밑밥주걱 | |
KR970006698Y1 (ko) | 낚시용 뜰채의 케미라이트 부착구조 | |
CN209387629U (zh) | 一种便携式食品检测探针结构 | |
USD420419S (en) | Fishing rod handle with extended butt | |
USD393041S (en) | Saltwater fish lure | |
CN209421784U (zh) | 可拆装式铡刀菜板 | |
KR910003993Y1 (ko) | 낚시밥 | |
CN208066411U (zh) | 一种粮食用浸泡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