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792Y1 - 지문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792Y1
KR200203792Y1 KR2020000016168U KR20000016168U KR200203792Y1 KR 200203792 Y1 KR200203792 Y1 KR 200203792Y1 KR 2020000016168 U KR2020000016168 U KR 2020000016168U KR 20000016168 U KR20000016168 U KR 20000016168U KR 200203792 Y1 KR200203792 Y1 KR 200203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fingerprint recognition
data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남준
황현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큐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큐뱅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큐뱅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7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Landscapes

  • Image Input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문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문감지수단으로서 반도체칩을 이용하는 지문인식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 지문인식장치에 있어서는 지문감지수단으로써 주로 영상출력방식이나 스케닝 방식의 광학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 방식은 지문감지를 위해 광학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등 감지장치가 매우 복잡 방대하고 제어기기(컴퓨터) 간의 처리효율 저하로 품질향상에 한계가 있고 신뢰성 제고를 이룰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지문감지수단으로서 소형의 반도체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지문감지수단의 콤팩트화를 이룸과 동시에 다양한 분야로의 이용이 기능하며, 신뢰성, 보안성, 안정성, 확장성, 독취성(신속한 감지),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문인식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a fingerprint}
본 고안은 지문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문감지수단으로서 반도체칩을 이용하는 지문인식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지문은 같은 경우가 없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각종 시스템들이 제공되고 있다. 즉 사람의 지문은 땀샘이 융기되어 일정한 흐름이 형성된 것으로 각 개인 고유의 모습을 평생동안 그대로 유지하는 불변성(Immutability)과 유일성(Individuality)이 일찍이 19세기 말 F.GALTON에 의하여 밝혀진 이래 인증의 신뢰성과 안정성면에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인증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모든 사람의 지문데이터를 확보하여 신분의 증명으로 사용하고 있고(주민등록증), 범죄수사에도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지문을 포함한 생체인식을 통한 보안시스템 및 방범시스템에 대한 신기술이 제공되어 각종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되고 있다.
보안, 방범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지문인식장치(시스템)는 사용자의 지문을 전자적으로 읽어 미리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 본인여부를 판별하는 시스템으로 지문인식의 방법에 따라 카메라나 스케너를 이용하는 광학방식과 반도체칩이나 홀로그램 등의 반도체 기술을 사용하여 지문을 감지하는 방법, 열을 사용하여 지문을 감지하는 방법 등이 알려졌거나 연구개발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종래 지문인식장치에 있어서는 지문감지수단으로써 주로 영상출력방식이나 스케닝 방식 광학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 방식은 지문감지를 위해 광학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등 감지장치가 매우 복잡 방대하고 제어기기(컴퓨터) 간의 처리효율 저하로 품질향상에 한계가 있고 신뢰성 제고를 이룰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지문감지수단으로서 소형의 반도체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지문감지수단의 콤팩트화를 이룸과 동시에 다양한 분야로의 이용이 기능하며, 신뢰성, 보안성, 안정성, 확장성, 독취성(신속한 감지),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지문감지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어부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문감지부 11 : 칩홀더
12 : 반도체소자 a : 접지부
20 : 제어부 30 : 메모리부
40 : 수행구동부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인 특징을 제공한다.
칩홀더(11)에 접지부(a)를 갖는 반도체소자(12)를 설치한 지문감지부(10)와, 상기 반도체소자(12)로부터 입력되는 지문감지신호(지문데이터) 또는 통신신호를 받아 비교등급을 점검하며 기 입력되어 있는 등록된 데이터와 차례로 비교하여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와, 상기 반도체소자(1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메모리부(30)와, 상기 제어기(20)로부터 신호를 받아 명령을 수행하는 수행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제품의 경박단소화가 가능해지고 외부환경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저가격의 지문인식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직접 접촉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지문감지부(10)와, 입력신호와 등록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0)와,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수행구동부(40)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문감지부(10)는 반도체소자(12)가 설치되는 칩홀더(11)로 구성된다.
상기 반도체소자(12)에는 표면에 지문을 접지하는 부위로서의 접지부(a)가 마련되어 있다. 동 반도체소자(12)는 제어부(20)와 메모리부(30)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지문감지부(10)의 반도체소자(12) 및 메모리부(30)와 연결되어 반도체소자(12)로부터 인가된 지문감지신호를 받아 메모리부(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 데이터와 차례 차례로 비교 처리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리고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입력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0)의 출력단에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수행구동부(4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0)에는 필요시 선택이 가능한 리모우트(원격제어)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기능을 설명하면, 먼저 본 방치에 전원이 투입되면 시스템의 초기화가 진행되고 자체진단이 수행되면서 전원의 변화상태와 메모리의 읽기, 기록상태 및 연결된 입출력 장치의 표시부를 점검하게 되며 현재 기기의 모드가 등록상태인지 비교상태인지와 세밀도를 조정하는 레벨의 상태가 무엇인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이에 합당한 통신이 이루어지는데, 통신상태는 2개의 직렬통신으로 이루어지며 상태표시는 발광소자(LED : Light Emitting Diode)로서 나타내어진다.
지문입력 및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지문감지부(10)를 구성하는 칩홀더(11)에 설치된 반도체소자(12) 표면의 접지부(a)에 해당 손가락의 지문을 직접 접촉시켜 살포시 누르게 되면, 접촉된 손가락에 형성된 지문의 모양(골 문양)에 따라 접지부(a)에는 전하의 축적이 실행된다. 즉 접지된 지문의 요철 형태에 따라 정전기의 발생량이 다르게 나타나고 전하축적의 강약에 따라 나타난 데이터를 상(Image) 처리하여 전체적인 지문의 모양이 만들어지게 되고, 이 지문데이터는 여러 단계의 필터링 과정을 거치면서 비교에 용이한 기본 형태의 지문상만 남게 된다. 이렇게 실제 비교 가능한 지문의 모양이 만들어지게 되면 수 곳의 주요 포인트를 찍어 유효지문을 판독하게 된다. 이때 레벨의 준위에 따라 비교의 정밀도를 낮추거나(단순 출입문에 적용) 높이게(보안 출입문에 적용) 된다.
유효지문여부를 판독하여 유효지문이 아닐 경우에는 재입력을 요구하게 되며 유효할 경우에 등록모드인 경우는 그 지문데이터를 메모리부(30)로 전송 저장한다.
한편, 비교모드일 경우 제어부(20)에서는 지문감지부(10)의 반도체소자(12)를 통해 입력 추출된 지문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비교등급을 점검한다. 그리고 메모리부(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 데이터를 차례 차례로 불러들여 추출된 새로운 지문데이터와 정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한다. 이때 저장된 숫자만큼 카운트하여 등록된 지문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그리하여 등록된 지문과의 동일인이라는 것이 판명되면, 즉 비교된 데이터가 서로 완전 일치하면 제어부(20)에서는 수행구동부(40)에 제어신호(예; 릴레이 구동신호 등)를 출력하게 되고 동 신호에 의해 수행구동부(40)에서는 릴레이 등을 구동시켜 목적하는 바의 시스템을 안전하게 구동 또는 차폐 해주는 통제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를 스위치기능으로서의 스위치 키, 록크기능으로서의 도어록을 개폐하는 키, 시스템통제기능으로서의 스위치 키, 전자상거래의 인증 키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지문감지부(10)에서 감지된 데이터와 기 저장된 기본 데이터가 다르게 나타날 경우에는 제어부(20)에서는 수행구동부(4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므로써 보안 및 방범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사용자의 얼굴상이 모니터에 비추도록 함으로써 실내에서 수동으로 문을 열어 주도록 하는 것은 기존의 화상인터폰 기능과 같다.
특히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를 은행내부의 금융결제 시스템에 적용한다면 유용하리라 본다. 즉 기존에는 은행내부에서 돈의 인입출 금액을 5,000만원 이하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파란색 카드와 5,000만원 이상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적색카드가 운영되고 있지만, 이러한 카드는 간부들이 갖고 직접 카드를 인식시켜 결제하도록 하고 있으나 은행의 간부들은 여러 가지 일을 함으로서 자리를 비우는 일이 많다보니 카드를 입출금담당 직원에게 보관토록 하여 사용함으로서 금융회사내의 금융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은행내의 인입출 결제를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결제를 대행할 수 없게 되므로 어쩔 수 없이 규칙을 지키게 되어 결재권자가 결재를 반드시 하게 되는 관계로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결재에 대한 책임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지문인식장치는 아파트 주택 등의 현관문의 방범시스템에 적용 가능하고, 연구소의 보안시스템, 금융거래소 등의 금고 문, 오디오, 자동차 문 또는 시동, 컴퓨터 등의 스위치, 키 등에 활용이 가능하리라 본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소형의 반도체소자를 사용하게 되므로 지문인식율이 높아짐을 물론 제품의 경박단소화가 가능해지고 외부환경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불법복제 및 위조 변조가 불가한 저가격의 지문인식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칩홀더(11)에 접지부(a)를 갖는 반도체소자(12)를 설치한 지문감지부(10);
    상기 반도체소자(12)로부터 입력되는 지문감지신호 또는 통신신호를 받아 먼저 유효지문여부를 판별하여 기 입력되어 있는 등록된 데이터와 차례 차례로 정밀하게 비교분석해서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
    상기 반도체소자(1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메모리부(30);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신호를 받아 명령을 수행하는 수행구동부(4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문감지부(10)를 구성하는 상기 반도체소자(12)에서는 지문의 모양에 따라 출력되는 정전기의 양에 의해 나타나는 전하축적량의 차이에 의해서 지문상이 출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접지부(a)를 구비한 반도체소자(12)를 이용한 지문인식장치를 도어록의 키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접지부(a)를 구비한 반도체소자(12)를 이용한 지문인식장치를 스위치의 키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접지부(a)를 구비한 반도체소자(12)를 이용한 지문인식장치를 은행내부에서의 금융결제기능용 키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장치.
KR2020000016168U 2000-06-08 2000-06-08 지문인식장치 KR2002037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253A KR20010111124A (ko) 2000-06-08 2000-06-08 지문인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253A Division KR20010111124A (ko) 2000-06-08 2000-06-08 지문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792Y1 true KR200203792Y1 (ko) 2000-11-15

Family

ID=196713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253A KR20010111124A (ko) 2000-06-08 2000-06-08 지문인식장치
KR2020000016168U KR200203792Y1 (ko) 2000-06-08 2000-06-08 지문인식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253A KR20010111124A (ko) 2000-06-08 2000-06-08 지문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11112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124A (ko)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5223A (en) Skin-pattern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7394346B2 (en) Free-space gesture recognition for transaction security and command processing
WO2005034025A1 (en) Individual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s
KR100512764B1 (ko)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대여금고
CN108073862A (zh) 一种能扩大指静脉识别使用人数的方案
Oruh Three-factor authentication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system
JP4744326B2 (ja) Icカード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08460868A (zh) 一种基于生物信息控制验证系统
KR200203792Y1 (ko) 지문인식장치
KR100384949B1 (ko) 출입자 확인 센서부를 구비하는 도어개폐시스템 및지문인식 전자카드키를 이용한 도어개폐 및 출입자 확인방법
KR100198108B1 (ko) 사용자 지문과 집적회로(ic)카드를 이용한 출입허용장치
KR200196620Y1 (ko) 지문 인식기의 지문 인식부 보호장치
Praveena et al. Face detection based secured atm system with two step verification using fisher face method
KR20010067697A (ko) 주민증을 이용한 본인확인기
WO2002071225A1 (en) Identity verification using biometrics in analog format
KR20020061375A (ko) 장문 및 정맥 패턴 인식을 이용한 보안관리 시스템
WO2000010125A1 (fr) Systeme d'authentification electronique et sa carte
JP2005350960A (ja) Icカードゲート装置
KR950023825A (ko)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CN212675634U (zh) 一种人脸识别文件柜
Kavyashree et al. FINGERPRINT AND FACE RECOGNITION BASED ATM SYSTEM USING RASPBERRY PI
KR200184985Y1 (ko) 조회장치
KR20020073716A (ko) 위겐드신호 자동발생장치를 갖춘 출입통제용직렬통신인터페이스 및 그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의운영방법
Phukan et al. Biometric Cashless Payment System
Elaveni et al. Implementation of locker security system on raspberry Pi processor based on gsm and face recognition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