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682Y1 - 측방녹크식 샤프펜슬 - Google Patents

측방녹크식 샤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682Y1
KR200203682Y1 KR2019980018962U KR19980018962U KR200203682Y1 KR 200203682 Y1 KR200203682 Y1 KR 200203682Y1 KR 2019980018962 U KR2019980018962 U KR 2019980018962U KR 19980018962 U KR19980018962 U KR 19980018962U KR 200203682 Y1 KR200203682 Y1 KR 200203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ck
outer cylinder
lever
mechanical pencil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388U (ko
Inventor
타카히코 스즈키
타다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윤휘정
주식회사수한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2996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15373A/ja
Application filed by 윤휘정, 주식회사수한,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윤휘정
Publication of KR19990017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3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682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에서는 녹크레버를 외통에다 조립하는 것이 복잡해서 숙련을 필요로 하고, 녹크스트록을 충분히 확보하기가 곤란하였으며, 척기구의 개폐동작도 불확실해질 염려가 있고, 녹크레버가 그가 눌려지는 힘으로 직접 슬라이더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어 손가락끝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측벽에 구멍(2)을 가진 외통(1)과, 이 외통(1) 앞부분 내에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된 척(5), 상기 외통(1) 내를 앞뒤로 이동해서 상기 척(5)을 개폐시키는 슬라이더(3), 상기 구멍(2) 내에 끼워져 위쪽앞끝부분이 상기 외통(1)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한편, 그 아래쪽앞끝부분이 상기 슬라이더(3)에 닿도록 된 녹크레버(8) 및, 이 녹크레버(8)가 초기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7)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측방녹크식 샤프펜슬
본 고안은 척기구를 갖춘 샤프펜슬 외통의 측벽부에 장착시킨 녹크레버를 외통을 손으로 잡고서 손가락끝으로 녹크해줌으로써 필심을 조출할 수 있도록 된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통(11)의 측벽에 필기시에 외통(11)을 손으로 잡았을 때 손가락의 끝부분이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된 지지점부(12)를 사이에 두고 연속된 큰구멍부(13a) 및 작은구멍부(13b)로 나뉘어진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멍(13)에는 녹크레버(14)가 장착되고서, 이 녹크레버(14)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심을 조출시키기 위해 손가락끝으로 녹크하게 되는 녹크면(15)과, 이 녹크면(15)에 연속하여 상기 구멍(13)의 한쪽 끝부분에 외통(11)의 단면벽(16)에 닿아 녹크레버(14)가 뒤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계단면(17), 이 정지계단면(17)에서 이어져 외통(11)의 내벽면과 접촉하게 되는 걸림면부(18), 외통(11)내에 끼워져 그 끝부분이 이음부재(20)에 형성된 슬라이더(21)의 경사면(22)에 닿아 녹크면(15)을 외통(11) 안쪽으로 누르게 되는 작용편(24) 및, 이 작용편(24)의 바깥쪽 측벽에는 외통(11)의 내벽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걸림계단부(25)에 걸려지도록 된 돌출편(2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녹크레버(14)는 걸림면부(18)가 작은구멍부(13b) 내로 끼워짐과 더불어 정지계단면(17)이 단면벽(16)에 닿아, 작용편(24)을 손가락으로 안쪽으로 압압하게 되면 만곡되어진 상태에서 녹크면(16)을 외통(11)의 축중심방향으로 눌러서 돌출편(26)을 걸림단부에다 걸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에서 필심을 조출시키려면, 녹크면(16)을 녹크조작하면 작용편(24)이 이음부재(20)에 형성된 슬라이더(21)의 경사면(22)에 닿아, 이음부재(20)를 스프링(23)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외통(11)의 내면에 붙여진 상태로 앞쪽으로 이동시켜 척(19)을 개방시키게 됨으로써 필심을 조출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녹크레버를 외통에다 조립하기가 어려워 숙련을 필요로 하고, 녹크레버가 그 앞끝부분이 외통내로 눌려져 그 앞끝부분에 의해 슬라이더의 뒷끝 경사면이 밀려져 이 슬라이더가 전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녹크스트록을 충분히 확보하기가 곤란하였다. 그 결과, 척기구의 개폐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염려가 있었다. 또, 상기 녹크레버가 눌려지는 힘으로 직접 슬라이더가 동작되기 때문에, 손가락끝에 큰 힘이 요구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특히, 선단부 슬라이드 즉 선구 내에 파이프가 설치된 형식의 슬라이드식 샤프펜슬인 경우에는, 파이프를 밀어내기 위한 스트록이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의 슬라이더 위끝경사면부를 이용하는 이른바 경사면방식으로 된 것은 이점에서 많은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통에다 녹크레버를 조립하기가 쉽고, 작은 힘으로도 녹크스트록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방녹크식 샤프펜슬 앞끝부분을 일부 절개해서 나타 낸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외통이 투명한 것으로 된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의 녹크레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 대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횡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의 종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에서의 녹크레버의 사시도이다.
1 - 외통 2 - 구멍
3 - 슬라이더 4 - 이음부재
5 - 척기구 7 - 스프링(탄성부재)
8 - 녹크레버 8a - 구면돌기
8b - 걸림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은, 측벽에 구멍을 가진 외통과, 이 외통 앞부분 내에 수납되는 척기구를 갖추고서, 상기 외통내를 왕복이동해서 상기 척기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구멍내에 삽입되어 위쪽앞끝부분이 지지점으로 해서 상기 외통에 회동할 수 있게 부착되는 한편, 하방앞끝부분이 상기 슬라이더에 닿도록 된 녹크레버 및, 이 녹크레버를 초기위치에 보유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은, 상기 초기위치에서 녹크레버의 일부가 외통 밖으로 돌출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의 탄성부재는, 슬라이더를 매개로 녹크레버를 초기위치에 보유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은, 슬라이더에 닿게 되는 녹크레버의 아래쪽앞끝부분에 구면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의 1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의 앞끝부분을 일부 절개해서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외통이 투명한 것으로 된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의 정면도, 도 4는 녹크레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 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외통(1)의 측벽에는 필기를 하기 위해 외통(1)을 손으로 잡았을 때 손가락 끝부분이 닿는 위치에 구멍(2)이 형성되어 있다.
외통(1)의 앞끝부분에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3)가 수납되어 있는데, 이 슬라이더(3)는 뒷끝에 외통(1)의 내벽면계단부(1a)와 닿게되는 제 1돌출편(3a)과, 중간부분에 형성된 제 2돌출편(3b)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외통(1)의 앞끝부분 내부에서는 이음부재(4)가 나사결합되고서, 그 내부에 척(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이음부재(4)의 외부에는 앞끝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된 형상의 선단캡(6)이 나사결합으로 설치되게 된다. 또한, 참조부호 7은 슬리이브(10)와 이음부재(4) 사이에 끼어 수납된 탄성부재인 스프링을 나타내는 바, 이 스프링(7)의 탄성복원력으로 슬라이더(3)를 외통(1)의 뒤쪽으로 밀어부치도록 되어 있다.
또, 참조부호 8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U자형상을 한 녹크레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녹크레버(8)가 외통(1)의 구멍(2)에 끼워넣어져 그 U자형상의 위쪽앞끝부분의 각진 부분이 지지축(9)에 의해 외통(1)에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이 녹크레버(8)는 U자형상을 한 양쪽 다리부분의 아래쪽앞끝부분에는 제 2돌출편(3b)에 접촉하는 구면돌기(8a)가 형성되는 한편, 양 바깥쪽에는 외통(1)의 내벽면에 접촉해서 녹크레버(8)의 초기위치, 즉, 녹크레버(8)가 외통(1)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걸림돌기(8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측방녹크식 샤프펜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녹크레버(8)는 U자형상의 양쪽 다리가 슬라이더(3)를 사이에 두고 걸쳐지도록 하고서 걸림돌기(8b)가 외통(1)내로 들어갈때까지 밀어넣어 그 양쪽 다리의 아래쪽앞끝부분에 형성된 구면돌기(8a)가 슬라이더(8a)의 제 2돌출편(3b)에 닿아 슬라이더(3)를 전진시켜 스프링(7)을 조금 압축되도록 한 상태에서, 녹크레버(8)의 위쪽앞끝부분이 지지축(9)에 의해 외통(1)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게 되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녹크레버(8)의 뒷끝부분 일부가 외통(1) 밖으로 돌출되어져 있게 된다.
이러한 샤프펜슬을 사용할 때, 상기 녹크레버(8)의 돌출부를 외통(1) 안으로 밀어넣게 되면 제 2돌출편(3b)에 닿은 구면돌기(8a)가 이음부재(4)를 외통(1) 내면에 접촉하면서 앞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그 결과 척(5)이 개폐되어져 필심이 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녹크레버(8)의 위쪽앞끝부분이 외통(1)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됨으로써 녹크레버(8)의 회전에 의해 큰 녹크스트록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3)를 매개로 이음부재(4)를 외통(1)내로 충분히 이동시킬수 있게 되어, 척(5)의 개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녹크레버(8)를 축지지점과 반대되는 쪽 뒷부분을 압압조작함으로써 지렛대원리로 회전시킬 수가 있어서 누르는데 힘이 적게 들어 사용하기가 편리하게 된다.
또, 상기 스프링(7)의 탄성복원력으로 슬라이더(3)를 매개로 녹크레버(8)가 초기위치에 보유지지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적은 수의 부품으로도 각 구성부재가 흔들리지 않게 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녹크레버(8)가 그 양쪽 다리의 아래쪽앞끝부분에 형성된 구면돌기(8a)가 슬라이더(3)의 제 2돌출편(3b)에 접촉됨으로써 그 접촉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필심의 송출조작이 원활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녹크레버의 위쪽앞끝부분이 외통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에 숙련이 필요치 않고 간단히 조립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이렇게 설치된 녹크레버의 회전에 의해 큰 녹크스트록이 얻어질 수 있게 되어 척기구의 개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녹크레버가 축지지점과는 반대되는 쪽 뒷부분을 눌러 지렛대원리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누르는데 힘이 적게 들어 사용하기가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매개로 녹크레버가 초기위치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적은 부품수로도 각 구성부분이 흔들리지 않게 되고, 더구나 녹크레버가 그 양쪽 다리부 아래쪽앞끝부분에 형성된 구면돌기가 슬라이더의 제 2돌출편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서 그 접촉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가 있게 되어, 시간이 지나도 필심의 송출기능에 변화가 없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측벽에 구멍(2)을 가진 외통(1)과, 이 외통(1)의 앞부분 내에 수납된 척(5), 상기 외통(1) 내를 왕복이동해서 상기 척(5)을 개폐시키는 슬라이더(3), 상기 구멍(2) 내에 삽입되어 그 위쪽앞끝부분을 지지점으로 해서 지지축(9)에 의해 상기 외통(1)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한편, 아래쪽앞끝부분이 상기 슬라이더(3)에 닿도록 된 녹크레버(8) 및, 이 녹크레버(8)를 초기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7)을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프펜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크레버(8)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 그 일부가 외통(1) 밖으로 돌출시켜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프펜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7)이, 슬라이더(3)를 매개로 상기 녹크레버(8)가 초기위치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프펜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에 닿게 되는 녹크레버(8)의 아래쪽앞끝부분에 구면돌기(8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프펜슬.
KR2019980018962U 1997-10-17 1998-10-01 측방녹크식 샤프펜슬 KR20020368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99605A JPH11115373A (ja) 1997-10-17 1997-10-17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97-299605 1997-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388U KR19990017388U (ko) 1999-05-25
KR200203682Y1 true KR200203682Y1 (ko) 2000-12-01

Family

ID=1787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962U KR200203682Y1 (ko) 1997-10-17 1998-10-01 측방녹크식 샤프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6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388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2495A (en) Push type mechanical pencil
US20100183356A1 (en) Retractable writing implement
JP3882272B2 (ja) シャ−プペンシル
US6203226B1 (en) Side-knock type mechanical pencil
KR200203682Y1 (ko) 측방녹크식 샤프펜슬
JP2001232987A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EP0315337B1 (en) Mechanical pencil
US5010219A (en) Push button switch with actuator for applying transverse force to buckling spring
US7452147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lateral button
US6082916A (en) Mechanical pencil
JP4590267B2 (ja) ボールペンなどの筆記具
ITMI951790A1 (it) Matita meccanica
JP2598110Y2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H074527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体を含むノック式筆記具
JPH0439028Y2 (ko)
JPH0443347Y2 (ko)
JP2007118347A (ja) 開閉蓋付のノック式筆記具
KR870002710Y1 (ko) 샤아프 펜슬
EP1003090A2 (en) Lever switch device
JP2502534Y2 (ja) 棒状物繰り出し装置付き筆記具
JPS6110651Y2 (ko)
JPS6319185Y2 (ko)
KR910000014Y1 (ko) 축통체선단부 출몰기구
JPH0872479A (ja) ノック式筆記具
KR200240539Y1 (ko) 샤아프펜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