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540Y1 - 통신 케이블 설치용 단자함 - Google Patents

통신 케이블 설치용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540Y1
KR200203540Y1 KR2020000013824U KR20000013824U KR200203540Y1 KR 200203540 Y1 KR200203540 Y1 KR 200203540Y1 KR 2020000013824 U KR2020000013824 U KR 2020000013824U KR 20000013824 U KR20000013824 U KR 20000013824U KR 200203540 Y1 KR200203540 Y1 KR 200203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mmunication cable
terminal
terminal pin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연
Original Assignee
다영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영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영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3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3Insulating enclosures f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국내의 전자교환기와 다중화전송장치 사이에서 통신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자핀에 감겨진 통신 케이블을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케이블의 단락을 간편하게 시험하여 수리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자함은 단순하게 양측의 통신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통신 선로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때는 수많은 단자핀들에 감겨진 통신 케이블을 분리시킨 후 검사장비를 사용하여 일일이 테스트 해야하므로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20)에서 배열된 단자핀(21)들의 세로열 상측에 장착된 제1스위치(23), 제2스위치(24), LED램프(22)에 의하여 세로열로 배열된 단자핀(21)들을 한줄씩 테스트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별도의 검사장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통신 케이블(30)의 단락 유무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어 통신 케이블용 단자함의 대외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 케이블 설치용 단자함{A terminal box}
본 고안은 전화국내의 전자교환기와 다중화전송장치 사이에서 통신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자핀에 감겨진 통신 케이블을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케이블의 단락을 간편하게 시험하여 수리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은 지지판 양측에 무수한 단자핀들이 돌출형성되어 회로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전자교환기에서 인출된 통신 케이블과 다중화전송장치에 접속된 통신 케이블이 받침대에 뚫려진 통공을 통해 양측의 단자핀들에 각각 접속되어 교환기에서 전송된 통신신호가 단자함과 다중화전송장치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단자함은 단순하게 양측의 통신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통신 선로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때는 수많은 단자핀들에 감겨진 통신 케이블을 분리시킨 후 검사장비를 사용하여 일일이 테스트 해야하므로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단락이 발생되면 정상적인 통신 라인들도 단락을 시켜야하므로 보수작업 중에는 단락되지 않은 전화가입자들의 통화를 일시 정지시켜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자핀에 감겨진 통신 케이블을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케이블의 단락을 간편하게 시험하여 수리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 설치용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지지판(10)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20)의 양측에 무수한 단자핀(21)들이 돌출형성되어 회로에 의하여 연결되고, 전자교환기(1)에서 인출된 통신 케이블(30)과 다중화전송장치(2)에 접속된 통신 케이블(30)이 지지판(10)의 받침대(11)에 뚫려진 통공(11a)을 통해 양측 단자핀(21)들에 각각 접속되는 통상의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서 배열된 단자핀(21)들의 세로열 상측에는 제1스위치(23), 제2스위치(24), LED램프(22)가 장착되어 단자핀(21)들과 회로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1스위치(23)와 제2스위치(24)의 작동시 LED램프(22)의 점등 유무에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단자핀(21)들의 단락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설치용 단자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자교환기
2 : 다중전송장치
10 : 지지판
11 : 받침대
11a : 통공
12 : 덮개
20 : 인쇄회로기판
21 : 단자핀
22 : LED램프
23 : 제1스위치
24 : 제2스위치
30 : 통신 케이블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10)의 전면에 형성된 안내홈에는 인쇄회로기판(20)이 장착되어 있고, 이 인쇄회로기판(20)의 양측에는 무수한 단자핀(21)들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핀(21)들은 가로 세로 열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고, 이 단자핀(21)들은 인쇄회로기판(20)에 인쇄된 회로에 의하여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20)의 양측으로 돌출된 단자핀(21)들이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0)의 받침대(11)에는 단자핀(21)의 세로열과 상응하는 수의 통공(1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11a)들에는 전자교환기(1)에서 인출된 통신 케이블(30)과 다중화전송장치(2)에 접속된 통신 케이블(30)들이 통과하여 인쇄회로기판(20) 양측의 단자핀(21)들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교환기(1)의 신호가 인쇄회로기판(20) 일측의 단자핀(21)과 타측의 단자핀(21)을 통해 다중화전송장치로 전송되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자함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서 배열된 단자핀(21)들의 상측에 장착되는 제1스위치(23), 제2스위치(24), LED램프(22)의 구성에 있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서 배열된 단자핀(21)들의 세로열 상측에는 제1스위치(23), 제2스위치(24), LED램프(22)가 장착되어 있고, 도 3에서 도시한 회로도와 같이 제1스위치(23), 제2스위치(24), LED램프(22)는 양측 단자핀(21)들과 인쇄회로기판(20)의 회로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1스위치(23)가 온(on)된 상태에서는 전자교환기(1)에 접속된 2개의 회선(DROP T, DROP R)이 다중화전송장치(2)와 접속되는 2개의 회선(LINE T, LINE R)과 도통되어 전자교환기(1)에서 다중화전송장치(2) 쪽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정상적인 신호전달이 이루어지고, 제2스위치(24)가 온(on)된 상태에서는 다중화전송장치(2)와 접속되는 2개의 회선(LINE T1, LINE R1)이 전자교환기(1)에 접속된 2개의 회선(DROP T1, DROP R1)과 도통되어 다중화전송장치(2)에서 전자교환기(1)쪽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정상적인 신호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쌍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되는 4선식 통신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스위치(23)와 제2스위치(24)를 오프(off)시키면 전자교환기(1)와 다중화전송장치(2)의 신호가 LED램프(22) 쪽으로 전송되어 신호와 함께 흐르는 신호전류에 의하여 LED램프(22)가 점등된다.
이와 같이 LED램프(22) 점등되는 경우에는 세로열로 배열된 한줄의 단자핀(21)들에 접속된 통신 케이블(30)은 단락되지 않은 경우이고 LED램프(22)가 점등되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 케이블(30)이 단락된 경우이므로 매우 간편하게 통신 케이블(30)의 단락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별도의 검사장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통신 케이블(30)의 단락 유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세로줄로 배열된 단자핀(21)들의 상측에 장착된 스위치들을 각각 오프(off)시키면서 한줄씩 검사하다가 LED램프(22)가 점등되지 않은 한줄의 세로열 단자핀(21)들에 접속된 통신 케이블(30)만 테스트하여 수리하면 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동시에 통신 케이블용 단자함의 대외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지지판(1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된 덮개이다.
한편, 상기 전자교환기(1)는 단국장치 등으로 대체될 수 있고, 다중화전송장치(2)는 광전송장치로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꼭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20)에서 배열된 단자핀(21)들의 세로열 상측에 장착된 제1스위치(23), 제2스위치(24), LED램프(22)에 의하여 세로열로 배열된 단자핀(21)들을 한줄씩 테스트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별도의 검사장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통신 케이블(30)의 단락 유무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어 통신 케이블용 단자함의 대외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지지판(10)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20)의 양측에 무수한 단자핀(21)들이 돌출형성되어 회로에 의하여 연결되고, 전자교환기(1)에서 인출된 통신 케이블(30)과 다중화전송장치(2)에 접속된 통신 케이블(30)이 지지판(10)의 받침대(11)에 뚫려진 통공(11a)을 통해 양측 단자핀(21)들에 각각 접속되는 통상의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서 배열된 단자핀(21)들의 세로열 상측에는 제1스위치(23), 제2스위치(24), LED램프(22)가 장착되어 단자핀(21)들과 회로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1스위치(23)와 제2스위치(24)의 작동시 LED램프(22)의 점등 유무에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단자핀(21)들의 단락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설치용 단자함.
KR2020000013824U 2000-05-16 2000-05-16 통신 케이블 설치용 단자함 KR200203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824U KR200203540Y1 (ko) 2000-05-16 2000-05-16 통신 케이블 설치용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824U KR200203540Y1 (ko) 2000-05-16 2000-05-16 통신 케이블 설치용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540Y1 true KR200203540Y1 (ko) 2000-11-15

Family

ID=1965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824U KR200203540Y1 (ko) 2000-05-16 2000-05-16 통신 케이블 설치용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5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648B1 (ko) * 2014-09-15 2016-04-01 (유)노블이엔씨 선로의 이상유무 검출이 용이한 패치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648B1 (ko) * 2014-09-15 2016-04-01 (유)노블이엔씨 선로의 이상유무 검출이 용이한 패치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944B2 (en) Patch field documentation and revision systems
US5552962A (en) Interconnect and cross-connect equipment including jack panel
US6752665B2 (en) Modular cross-connect with removable switch assembly
JPH025377A (ja) ディジタル通信回路網交差接続モジュール
EA007249B1 (ru) Гнездовая панель, шасси, узел гнездовой панели и шасси и способы его сборки
US5961335A (en) Decentralized input/output module for a data bus
KR200203540Y1 (ko) 통신 케이블 설치용 단자함
KR100276503B1 (ko) Ic테스터용테스트보드
KR20040101288A (ko) 측정 장치 및 통신 조립체
KR100731296B1 (ko) 정션박스의 도통검사기
CN212459782U (zh) 一种线束模块电性能检测固定夹具
CN209215437U (zh) 线路板测试机开关卡
US20090139745A1 (en) Repair device for printed circuit board
KR200157467Y1 (ko) 디지탈 통신기기용 분배기
CN214255080U (zh) 高开柜模块接线架
AU648439B2 (en) Digital cross-connect assembly
CN215819086U (zh) 一种防雷模块盒
CN108540873A (zh) 信号检测装置及系统
KR200217359Y1 (ko) 통신용 통합 배선 단자
CN218514689U (zh) 一种抗干扰组装pcb板
KR100736744B1 (ko) 배전반용 케이블통신방식의 집합형 경보장치
US3453497A (en) Apparatus arrangement for electrical communication equipment,particularly directional radio equipment
CN215800147U (zh) 一种细纱机单锭监测板的连接电路
KR20030090232A (ko) 소방용 경보장치
CN208433608U (zh) 摄像模组点亮调试分体式电路转接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