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534Y1 -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 Google Patents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534Y1
KR200203534Y1 KR2020000013462U KR20000013462U KR200203534Y1 KR 200203534 Y1 KR200203534 Y1 KR 200203534Y1 KR 2020000013462 U KR2020000013462 U KR 2020000013462U KR 20000013462 U KR20000013462 U KR 20000013462U KR 200203534 Y1 KR200203534 Y1 KR 200203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fuse
power
bracke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구
Original Assignee
강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968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36267B1/ko
Application filed by 강정구 filed Critical 강정구
Priority to KR2020000013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5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5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전설비에 사용되는 변압기를 케이스에 각각 탑재하고 이를 적층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설치의 간편함은 물론 공간을 사용을 최소한으로 줄여 특히,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아파트 공사장등 대형 공사에 적용시 남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케이스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매인전원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기와, 상기 자동개폐기에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과부하 발생을 차단하는 파워퓨즈와, 상기 파워 퓨즈 1차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접지라인으로 연결되는 피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를 갖는 자동개폐기반과;
상기 자동개폐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개량기용 변전기기반과;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하측 변압기반을 적층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A Hydroelectricity Transformer Having Laminating Structure}
본 고안은 다단형 케이스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전설비에 사용되는 변압기를 케이스에 각각 탑재하고 이를 적층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설치의 간편함은 물론 공간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줄여 아파트 공사장등 대형 공사에 적용시 남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케이스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빌딩, 아파트 단지, 공장 등과 같은 집단 전력 수요처에서는 각각 필요한 전력을 얻기 위하여 수변전 시설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수변전 시설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특고압을 수전하여 적정한 저전압의 상용전압으로 변전하기위해 변압기와 스위치장치 및 기타 안전장치들을 포함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패키지형 수변전 설비의 제 1 실시예이고, 도 2는 종래의 수변전 설비의 패키지용 수변전의 제 2 실시예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수변전 장치의 전기적인 회로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고압선로(2)를 통하여 입력되는 3상 22,900V의 특고압은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ASS: Automatic Section Switch, 4)를 거친 다음 고압선로(6)를 통하여 일측이 그라운딩 된 피뢰기(8)와 파워 퓨즈(10)에 인입되게 연결한다.
상기 파워 퓨즈(10)는 3개가 한조를 이루어 3상 입력의 RST라인마다 설치한다.
상기 파워 퓨즈(10)를 통한 특고압의 3상라인에는 계기용 변압기(MOF: Metering Out Fit, 12)를 설치하여 사용 전력량 측정을 위한 전압 및 전류를 픽업하게 연결하고,
상기 계기용 변압기(12)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값은 전력량 계량기(14)에 설치된 전압계 및 전류계에 인가되게 연결한다.
한편, 각상 별로 파워 퓨즈(10)를 통한 특고압은 고압선로(16)를 통해 고압 변압기(18)의 △ 결선방식의 특고압의 입력단자에 입력되어 Y결선 방식의 저전압으로 2차측 저압단자에서 변환 출력되게 연결하고, 상기 고압변압기(18)의 2차측 저압단자에 나타난 저전압은 4단자의 고속 배선용 차단기(MCCB: Molded Case Circuit Breaker, 20)를 거쳐 부하(22)측으로 인가되게 연결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수전형 변압기는 변전소로부터 최고 22,900V의 3상 특고압이 수변전 장치에 공급되면, 이 특고압은 고압선로를 따라 ASS 작동레버를 가지고 있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고압인입 단자에 인가된다.
이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는 스페이라인(또는 오프라인)과 특고압 인입라인중 어느 하나를 상기 ASS 작동 레버의 작동에 의해 선택하게 된다.
상기 ASS 작동레버에 의해 선택된 특고압 라인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고압인출단자에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특고압은 고압선로를 따라 피뢰기와 파워 퓨즈에 인가된다.
즉, 케이스 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특고압 변압기와 적층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기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는 특고압 성분을 일측이 그라운딩된 각 상별 피뢰기와 파워 퓨즈를 통해 고압 변압기 및 계기용 변류기에 고압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파워 퓨즈는 밀폐된 퓨즈통 내에 엘리먼트와 규소등 소호제를 충진시킨 규소퓨즈로서 매우 높은 아크저항을 발생하여 사고전류를 단시간내에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변전시설을 살펴보면, 전력수용가 단위로 정해지게 되는 대형의 변압기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고압 스위치장치들과 관련 계기들을 배치할 때 이들을 평면적으로 배치해왔고 또한 감전사고 등의 안전을 고려하여 수변전 시설 내부에서도 장치들간에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시켜 왔기 때문에 수변전시설을 설치하는데 큰 설치면적이 요구되었고 또한 큰 중량의 수변전 설비를 운반 이동시키기 위한 물류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즉, 도 1과 같은 종래의 수전형 변압기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둥을 세우고 변압기를 올리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특히 감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고;
도 2와 같은 시스템 역시 수평방향으로 길게 수전형 변압기 시스템을 설치하므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다른 공간을 잠식하게 되므로, 타 공정 진행시 걸림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수직으로 적층하기 적합한 일정개수의 케이스내에 자동개폐부와 전력량 계량부 및 부하측 변압기를 미리 탑재후 적층하여 설치함으로써, 수변전 설비의 설치면적 축소와 장비의 케이스내부 삽입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매인전원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기와, 상기 자동개폐기에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과부하 발생을 차단하는 파워퓨즈와, 상기 파워 퓨즈 1차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접지라인으로 연결되는 피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를 갖는 자동개폐기반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자동개폐기반의 파워퓨즈 2차측에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부하측 사용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개량기용 변압기와, 상기 개량기용 변압기의 1차측과 연결하되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전력을 일시 차단하는 변압기 퓨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자동개폐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개량기용 변전기기반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변압기 퓨즈 2차측와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유도하는 저압라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하측 변압기반으로 구성함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의 수전형 변압기 제 1 실시예도.
도 2는 종래의 수전형 변압기 제 2 실시예도.
도 3은 종래의 수전형 변압기 회로 구성도.
도 4a,b,c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도.
도 5a,b,c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도.
도 6a,b,c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자동 개폐기반 110: 자동 개폐기
120: 파워 퓨즈 130: 피뢰기
140: 가공 붓싱 150: 지중선 헤드
200: 계량기용 변전기기반 210: 계량기용 변압기
220: 변압기 퓨즈 300: 부하측 변압기반
310: 부하측 변압기 320: 변압기 퓨즈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측면도이며, 도 4c는 본 고안의 외함 구성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매인전원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기(110)와, 상기 자동개폐기(110)에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과부하 발생을 차단하는 파워퓨즈(120)와, 상기 파워 퓨즈 (120)1차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접지라인으로 연결되는 피뢰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를 갖는 자동개폐기반(100)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자동개폐기반(100)의 파워퓨즈(120) 2차측에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부하측 사용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개량기용 변압기(210)와, 상기 개량기용 변압기(210)의 1차측과 연결하되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전력을 일시 차단하는 변압기 퓨즈(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자동개폐기반(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개량기용 변전기기반(200)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200)의 변압기 퓨즈(220) 2차측와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변압기(310)와, 상기 변압기(310)의 2차측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유도하는 저압라인(320)을 포함하고 있으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하측 변압기반(300)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140은 가공 붓싱으로써 가공선을 연결시 사용되고, 150은 지중선 헤드로써 지중선을 연결시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가공선 내지는 지중선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230, 330은 사다리로써, 개량기 변전기기반과 부하측 변압기반의 우측면 내지 좌측면중 선택된 어느 한 측면 하우징에 설치되며, 설치 및 보수시 작업인부가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 올라선 후 상부에 위치한 외함을 열고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340은 투명창으로써 전력 사용량을 외부에서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회로 연결 구성을 살펴보면, 특고압 인입구를 통한 고압선로를 따라 인입되는 22,900V의 특고압은 차단 스위치 기능 수행용 ASS자동레버를 가지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0)의 고압인입단자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0)의 고압인출단자에 나타나는 특고압은 고압선로를 따라 파워 퓨즈(120)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 파워 퓨즈를 통한 특고압 성분은 고압선로를 통하여 전력량 계량기(210)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 전력량 계량기에서 고압선로를 따라 인출된 고압은 부하측 변압기(310)의 고압단자에 인가되게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본 발명의 수전형 변압기는 자동개폐기반(100) 상부에 계기용 변압기반(200)가 적층되고, 계기용 변압기반(200) 상부에 부하측 변압기반(300)이 각각 적층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수전형 변압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변압기를 사용 용도에 따라 각각 외함에 내장시킨 후 적층되도록 한 구성을 갖도록 하여 공장에서 미리 제작후 현장에서 조립으로 작업이 완료되도록 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수전형 변압기 시스템이 전봇대등을 높이 세운후 설치하므로서 부가 자제의 비용이 상승함은 물론 작업 인부가 많이 동원되어야 하므로 공사 비용상승이 유발되고, 또한 높은 곳에서 작업하므로 낙하사고로 인한 인명피해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지만,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케이스별로 변압기를 탑재하여 제작한후 현장에서 조립하여 완료하므로 작업이 쉽게 진행되면서도 낙하사고등의 위험요소가 없어진다.
또한, 종래의 수전형 변압기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둥을 세우고 변압기를 올리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케이스에 변압기를 미리 내장시킨후 공사 현장에서는 조립만으로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인부 2명이 4시간 정도면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결국 작업 속도가 빠르면서도 기존 수전설비 공사비에 원가절감이 20%정도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수전설비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조류와 짐성낙하물 사고 발생을 막아주게 되어 정전으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즉, 종래의 수전설비에는 까치등의 조류가 집을 짓기 위해 나뭇가지등을 설치할때 도전성 금속류를 배치하게 되면 합선등으로 인하여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이때문에 정전사고의 유발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그 외 공기중의 이물질이 스며들거나 황사등 이물질 내에 포함된 도전성 물질이 수전설비에 쌓인후 비가 오게 되면 마찬가지로 쇼트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수전설비가 모두 케이스 내부에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조류등에 의한 피해를 막을 수 있음은 물론, 공기중의 이물질로 인한 피해도 막을 수 있게 되어 매우 높은 안전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설치시 용이함은 물론 해체시에도 용이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내에 적은 인부를 이용하여 작업 철수가 가능함으로써 신속한 설치 및 신속한 철거 작업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 형태로 쌓기 때문에 면적을 최소한으로 차지하게 되어 타 공사에 영향을 최소화 하게 되는바, 특히 종래에는 수전설비에 필수적인 자동개폐기용 변압기와 계기용 변압기 및 부하측 변압기를 평면상에 배치하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쌓게 된다면 그만큼 적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어 공간이용에 매우 유리하게 된다.
이는 미국에서와 같이 땅이 넓은 나라에서는 평면으로 길게 늘어져도 큰 문제가 없을지 몰라도 우리나라에서와 같이 땅이 좁은 나라에서는 평면으로 길게 늘어지면 공간활용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바, 본 고안에서와 같이 각각의 변압기를 케이스에 탑재하여 수직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자연히 공간활용을 최적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a, 도 5b, 도 5c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써,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매인전원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기(110)와, 상기 자동개폐기(110)에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과부하 발생을 차단하는 파워퓨즈(120)와, 상기 파워 퓨즈 (120)1차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접지라인으로 연결되는 피뢰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를 갖는 자동개폐기반(100)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자동개폐기반(100)의 파워퓨즈(120) 2차측에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부하측 사용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개량기용 변압기(210)와, 상기 개량기용 변압기(210)의 1차측과 연결하되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전력을 일시 차단하는 제 1 변압기 퓨즈 (220)및 동일한 기능의 제 2 변압기 퓨즈(2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자동개폐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개량기용 변전기기 반(200)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200)의 제 1 변압기 퓨즈(220) 2차측와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변압기(310)와,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유도하는 저압라인(320)을 포함하고 있으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부하측 변압기반(300)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200)의 제 2 변압기 퓨즈(221) 2차측와 고압 케이블(430)을 통해 연결되는 변압기(410)와, 상기 변압기(410)의 2차측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유도하는 저압라인(420)을 포함하고 있으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제 1 부하측 변압기반(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부하측 변압기반(400)으로 구성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배치 구조를 이용하여 4단으로 수전형 변압기를 완성한 것으로, 내부 설계는 도 4에 설계한 것과 동일하며, 단자 부하측 변압기를 제 1 변압기와 제 2 변압기로 분리하여 실제 사용시 각각 필요한 전압을 일개의 장치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4c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서는 작업용 사다리를 설치하는바, 230, 330, 430은 사다리로써, 개량기 변전기기반과 부하측 변압기반의 우측면 내지 좌측면중 선택된 어느 한 측면 하우징에 설치되며, 설치 및 보수시 작업인부가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 올라선 후 상부에 위치한 외함을 열고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340, 440은 투명창으로써 전력 사용량을 외부에서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1000KVA 이상의 용량이 필요한 전기규정상 있어야할 고압 진공 차단기와 CT PT를 별도의 케이스에 내장시킨후 적층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용량에도 매우 유리하다.
즉, 도 6a,b,c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도로써,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매인전원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기(110)와, 상기 자동개폐기(110)에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과부하 발생을 차단하는 파워퓨즈(120)와, 상기 파워 퓨즈(120) 1차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접지라인으로 연결되는 피뢰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를 갖는 자동개폐기반(100)과;
자동개폐기반(100)의 파워퓨즈(120) 2차측에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공급의 차단을 제어하는 변압기 퓨즈(510)와, 상기 변압기 퓨즈(510)의 1차측에 연결하되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기용 변압기(520)와, 상기 변압기 퓨즈(510)의 2차측에 연결하되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순시전압값을 표시하는 볼트 메터용 변압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변압기(530)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자동개폐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개량기용 변전기기반(500)과;
상기 계량기용 변압기(520)의 2차측에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과전류 릴레이와 과전류 접지 릴레이 및 과전압 접지 릴레이를 내장하여 이상 발생시 자동 차단되는 고압 전류 차단기(600)와;
상기 고압 전류 차단기(600)의 출력라인과 고압 케이블(610)을 통해 연결되는 퓨즈(710)와, 상기 퓨즈(710)의 2차측과 연결되는 부하용 변압기(720)와, 상기 부하용 변압기의 2차측과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유도하는 저압라인(730)을 포함하고 있으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하측 변압기반(700)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도 4c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서는 작업용 사다리를 설치하는바, 530, 620, 740은 사다리로써, 개량기 변전기기반과 부하측 변압기반의 우측면 내지 좌측면중 선택된 어느 한 측면 하우징에 설치되며, 설치 및 보수시 작업인부가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 올라선 후 상부에 위치한 외함을 열고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750은 투명창으로써 전력 사용량을 외부에서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을 구성하게 되면 1000KVA 이상의 용량에 사용되는 수전형 변압기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은 수전설비에 사용되는 변압기를 케이스에 각각 탑재하고 이를 적층구조로 설계함으로서, 설치의 간편함은 물론 공간을 사용을 최소한으로 줄여 특히 아파트 공사장등 대형 공사에 적용시 남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다른 공사에 지장을 주지않게 되는 부수적인 장점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일정개수의 케이스내에 자동개폐부와 전력량 계량부 및 부하측 변압기를 각각 탑재하여 설치함으로써, 수변전 설비의 사이즈 축소와 경량화를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0)

  1.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매인전원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기와, 상기 자동개폐기에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과부하 발생을 차단하는 파워퓨즈와, 상기 파워 퓨즈 1차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접지라인으로 연결되는 피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를 갖는 자동개폐기반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자동개폐기반의 파워퓨즈 2차측에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부하측 사용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개량기용 변압기와, 상기 개량기용 변압기의 1차측과 연결하되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전력을 일시 차단하는 변압기 퓨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자동개폐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개량기용 변전기기반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변압기 퓨즈 2차측와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유도하는 저압라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하측 변압기반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량기 변전기기반과 부하측 변압기반의 우측면 내지 좌측면중 선택된 어느 한 측면 하우징에 사다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기와 개량기용 변압기 및 부하용 변압기는 외함의 중앙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엇갈리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 변압기반의 우측상단에는 사용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5.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매인전원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기와, 상기 자동개폐기에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과부하 발생을 차단하는 파워퓨즈와, 상기 파워 퓨즈 1차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접지라인으로 연결되는 피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를 갖는 자동개폐기반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자동개폐기반의 파워퓨즈 2차측에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부하측 사용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개량기용 변압기와, 상기 개량기용 변압기의 1차측과 연결하되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전력을 일시 차단하는 제 1 변압기 퓨즈 및 동일한 기능의 제 2 변압기 퓨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자동개폐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개량기용 변전기기 반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제 1 변압기 퓨즈 2차측와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유도하는 저압라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부하측 변압기반과;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제 2 변압기 퓨즈 2차측와 고압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유도하는 저압라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제 1 부하측 변압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부하측 변압기반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량기 변전기기반과 제 1 부하측 변압기반 및 제 2 부하측 변압기반의 우측면 내지 좌측면중 선택된 어느 한 측면 하우징에 사다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기와 개량기용 변압기와 제 1 부하용 변압기 및 제 2 부하용 변압기는 외함의 중앙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엇갈리게 위치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8. 일측 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 상단에 설치되며 매인전원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개폐기와, 상기 자동개폐기에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과부하 발생을 차단하는 파워퓨즈와, 상기 파워 퓨즈 1차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접지라인으로 연결되는 피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를 갖는 자동개폐기반과;
    자동개폐기반의 파워퓨즈 2차측에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공급의 차단을 제어하는 변압기 퓨즈와, 상기 변압기 퓨즈의 1차측에 연결하되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기용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 퓨즈의 2차측에 연결하되 전기유도가 되지 않을 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순시전압값을 표시하는 볼트 메터용 변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변압기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자동개폐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개량기용 변전기기반과;
    상기 계량기용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과전류 릴레이와 과전류 접지 릴레이 및 과전압 접지 릴레이를 내장하여 이상 발생시 자동 차단되는 고압 전류 차단기와;
    상기 고압 전류 차단기의 출력라인과 고압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퓨즈와, 상기 퓨즈의 2차측과 연결되는 부하용 변압기와, 상기 부하용 변압기의 2차측과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유도하는 저압라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브라켓을 제외하고 상하부가 뚫린 상태의 사각 밀폐구조이고, 상기 개량기용 변전기기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하측 변압기반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량기 변전기기반과 고압 전류 차단기 및 제 2 부하측 변압기반의 우측면 내지 좌측면중 선택된 어느 한 측면 하우징에 사다리를 위치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10. 제 1 항, 제 5항,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기반은 가공 붓싱 또는 지중선 헤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KR2020000013462U 2000-04-14 2000-05-12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KR200203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62U KR200203534Y1 (ko) 2000-04-14 2000-05-12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687A KR100336267B1 (ko) 2000-04-14 2000-04-14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및 설치방법
KR2020000013462U KR200203534Y1 (ko) 2000-04-14 2000-05-12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687A Division KR100336267B1 (ko) 2000-04-14 2000-04-14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및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534Y1 true KR200203534Y1 (ko) 2000-11-15

Family

ID=2663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462U KR200203534Y1 (ko) 2000-04-14 2000-05-12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5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152B1 (ko) * 2002-03-26 2004-06-04 엘지산전 주식회사 지상형 이동변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152B1 (ko) * 2002-03-26 2004-06-04 엘지산전 주식회사 지상형 이동변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ackburn et al. Protective relay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US9246325B2 (en) Connection device for transformer substation modules
US20100142108A1 (en) Network unit including network transformer and network protector
Agüero et al.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power distribution systems through single-phase tripping
CN204441884U (zh) 一种消弧线圈接地补偿限压装置
KR200203534Y1 (ko)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KR100336267B1 (ko)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및 설치방법
EP1533877B1 (en) Compact transformer station
EP4367761A1 (en) Electrical transformation substation
KR100388089B1 (ko) 용량 분리식 공간 절약형 수전형 변압기
CN2389413Y (zh) 柱上多功能真空断路器
KR100662077B1 (ko) 수배전반의 전력보호 장치
KR100571291B1 (ko) 특별고압 수전설비
RU2406199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ШНЫХ И КАБЕЛЬНЫХ ЛИНИЙ ДЛЯ СИСТЕМ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35 кВ
RU88856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ШНЫХ И КАБЕЛЬНЫХ ЛИНИЙ ДЛЯ СИСТЕМ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35 кВ
KR100940230B1 (ko) 접지가 형성된 가스 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RU2170485C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101008234B1 (ko) 접지가 형성된 특별고압 수변전설비
Sen et al. Design of 132/33KV Substation
KR102103952B1 (ko)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 장치
KR100734334B1 (ko) 가스절연형 간이수변전장치
Sider et al. Study of converting the electrical network in the city of Yatta from (33 kV) to (11 kV)
Peggs et al. Innovations for protection and control of high voltage capacitor banks on the Virginia power system
CN105794059A (zh) 带母线侧电压互感器或避雷器的开关设备
RU24893U1 (ru) Шкаф комплек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частичного заземления нейтрал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