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350Y1 -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350Y1
KR200203350Y1 KR2020000015593U KR20000015593U KR200203350Y1 KR 200203350 Y1 KR200203350 Y1 KR 200203350Y1 KR 2020000015593 U KR2020000015593 U KR 2020000015593U KR 20000015593 U KR20000015593 U KR 20000015593U KR 200203350 Y1 KR200203350 Y1 KR 200203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 exchanger
heat
assembly
electric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동보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동보일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동보일러
Priority to KR2020000015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350Y1/ko
Priority to CN00258186U priority patent/CN2445241Y/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apparatus, e.g. for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심야 전기보일러의 사용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 사용시 관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크기가 작은 열교환기(1, 1')가 병렬로 구비되어, 이 열교환기(1, 1')사이에는 관수 뜨거운 유체가 유입되는 삼방의 난방순환 출구(2)와 난방수 열흡수 뜨거운 유체를 배출하는 삼방의 난방출구(5)가, 관수 열손실 차가운 유체가 배출되는 삼방의 난방순환 입구(3)와 난방수 차가운 유체가 유입되는 난방입구(4)가 각각 결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

Description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HEAT EXCHANGER OF ELECTRIC BOILER}
본 고안은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야 전기보일러의 사용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 사용시 관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통 전기보일러는 전기의 발열을 연료대신에 이용하는 보일러로서, 형식면에서 보일러수 자체를 전기저항체로하여 전극간에 전류를 통하여 줄(JOULE)열을 발생시키는 전극형과, 보일러수속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금속 저항선을 넣고 그 발열을 이용하는 저항형 또는 열선형이 구분되고 있는 바, 일반적으로는 전극형이 사용되고 있는 한편 그 구조가 간단하고 위생적이며 과열등의 사고 위험도 적고 고효율적이다. 그 일례로 병원등과 같은 환경위생이 특히 엄격한 장소에서 소용량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심야 전기보일러의 난방 사용시에는 사용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 사용할 때 관체에 압력이 전달되고 있으므로 관체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관체내부에 코일을 삽입하여 난방으로 사용하여 왔는 바, 이러한 형태의 방법은 그 작업의 방법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되어 심야 전기보일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커다란 제약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난방열교환기 조립체를 구성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조립용 배관부품, 팩킹등을 사용하여 압력에 의한 관체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외곽을 구성하는 외부가 아티론 보온재로 보온되어 외부로 방열됨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를 도시해 놓은 결합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열교환기 2 ---- 난방순환 출구
3 ---- 난방순환 입구 4 ---- 난방입구
5 ---- 난방출구 6 ---- 난방소켓링
7 ---- 보온재 8 ---- 열교환기 덮개
9 ---- 열교환기 고정브라켓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는, 크기가 작은 열교환기(1, 1')가 병렬로 구비되어, 이 열교환기(1, 1')사이에는 관수 뜨거운 유체가 유입되는 삼방의 난방순환 출구(2)와 난방수 열흡수 뜨거운 유체를 배출하는 삼방의 난방출구(5)가, 관수 열손실 차가운 유체가 배출되는 삼방의 난방순환 입구(3)와 난방수 차가운 유체가 유입되는 난방입구(4)가 각각 결합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는 심야 전기보일러의 사용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 사용시 관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설치하여(도 3 참조) 관수와 난방수 열교환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1, 1')는 심야 전기보일러가 보유하고 있는 열량을 흡수하여 난방라인에 열량을 공급한다. 크기가 작은 열교환기(1, 1')가 병렬로 구비되어 본 고안의 열교환기 조립체크기를 콤팩트화시키게 되는 바, 이 열교환기(1, 1')사이에는 관수 뜨거운 유체가 유입되는 삼방의 난방순환 출구(2)와 난방수 열흡수 뜨거운 유체를 배출하는 삼방의 난방출구(5)가 결합설치되고, 관수 열손실 차가운 유체가 배출되는 삼방의 난방순환 입구(3)와 난방수 차가운 유체가 유입되는 난방입구(4)가 결합설치된다.
이 열교환기(1, 1')의 상하로는 삼방의 난방순환 출구(2)와 삼방의 난방순환 입구(3)가 각각 설치되는 바, 상기 난방순환 출구(2)는 심야 전기보일러가 보유하고 있는 열량을 열교환기(1, 1')로, 상기 난방순환 입구(3)는 상기 열교환기(1, 1')에서 열교환된 유체를 보일러로 각각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1, 1')의 전면으로는 난방라인의 난방수를 열교환기(1, 1')내로 전달하는 삼방의 난방입구(4)와 이 열교환기(1, 1')내에서 열교환되는 난방수를 난방라인으로 전달하는 난방출구(5)가 설치된다. 난방소켓링(6)은 상기 난방출구(5)와 난방입구(4)를 보호하고, 보온재(7)는 상기 열교환기(1)의 방열을 방지하며, 열교환기 덮개(8)는 외부 공기에 의한 방열을 방지한다. 상기 열교환기(1, 1')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열교환기 고정브라켓(9)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를 도 2 와 같이 결합되어 도 3 와 같이 설치하게 되는 바, 이는 심야 전기보일러의 축열조안에 보유하고 있는 고온의 관수를 순환펌프(10)를 이용하여 병렬 난방 열교환기(1, 1')의 관수라인(11, 12)으로 흐르게 되고, 다른 라인(13, 14)은 난방수를 흐르게 하여 서로 열교환함으로써 난방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도 관체파손이나 관체변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난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 열교환기(1, 1')와 열교환기덮개(8)사이에 아티론 보온재(7)를 삽입하여 난방 열교환기의 방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열교환기 조립용 배관부품을 육각으로 제작하고 난방소켓링(6)을 육각으로 만들어서 배관작업시 무리한 힘을 가할 때 배관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심야 전기보일러 난방 열교환기 조립체를 구성하는 열교환기(1, 1'), 열교환기 조립용 배관, 패킹등을 사용하여 사용압력을 극대화시키고 있다.상기 난방 열교환기 조립체를 구성하는 열교환기(1, 1'), 열교환기조립용 배관부품, 열교환기 보온용 아티론 보온재(7)를 사용하여 조립체를 일체화시켜 높은 압력에서도 심야 전기보일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난방열교환기 조립체를 구성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조립용 배관부품, 팩킹등을 사용하여 압력에 의한 관체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외곽을 구성하는 외부가 아티론 보온재로 보온되어 외부로 방열됨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교환기와 열교환기 덮개사이에 아티론 보온재를 삽입하여 난방 열교환기의 방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크기가 작은 열교환기(1, 1')가 병렬로 구비되어,
    이 열교환기(1, 1')사이에는 관수 뜨거운 유체가 유입되는 삼방의 난방순환 출구(2)와 난방수 열흡수 뜨거운 유체를 배출하는 삼방의 난방출구(5)가, 관수 열손실 차가운 유체가 배출되는 삼방의 난방순환 입구(3)와 난방수 차가운 유체가 유입되는 난방입구(4)가 각각 결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 1')를 아티론 보온재(7)로 보온하고, 열교환기 덮개(8)로 씌워 외부로 방열된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
KR2020000015593U 2000-06-01 2000-06-01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 KR200203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593U KR200203350Y1 (ko) 2000-06-01 2000-06-01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
CN00258186U CN2445241Y (zh) 2000-06-01 2000-10-18 电热锅炉的供暖用热交换器组装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593U KR200203350Y1 (ko) 2000-06-01 2000-06-01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350Y1 true KR200203350Y1 (ko) 2000-11-15

Family

ID=1965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593U KR200203350Y1 (ko) 2000-06-01 2000-06-01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3350Y1 (ko)
CN (1) CN2445241Y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445241Y (zh)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7351A (en) Electric space heater employing a vaporizable heat exchange fluid
WO1996026397A1 (en) Space heating device
EP1957884A1 (en) Dual pipe heat exchanger of instantaneous boiler for house heating and hot water and boiler
KR20150028468A (ko) 전기 순간온수기용 가열장치
JP6531099B2 (ja) 熱交換器、加熱装置、加熱システム、および水を加熱するための方法
KR101468724B1 (ko) 순간 가열식 전기보일러 시스템
KR200203350Y1 (ko) 전기보일러의 난방열교환기용 조립체
KR100393917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JPH0456216B2 (ko)
KR20020040230A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온수기의 열교환기
RU2367855C2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тепловой насос для бытового отопления
KR100747120B1 (ko) 보일러의 가열시스템
CN202993348U (zh) 一种电加热导热油取暖装置
KR200375356Y1 (ko) 히트 파이프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난방장치
CN210740534U (zh) 具有自加热功能的暖气
RU2240477C1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797580B1 (ko) 전기히터를 이용한 열교환기
KR20080062418A (ko) 히트파이프 보일러
RU2179689C2 (ru) Теплообменная установка
CN209840400U (zh) 一种大功率通水型ptc加热管
RU11308U1 (ru) Электрорадиатор
KR101992175B1 (ko) 코어 내부의 열전달 유체 및 에너지 절감형 저전력 난방장치
KR200427206Y1 (ko) 에어컨의 전기히터
JPS6053738A (ja) 電気瞬間湯沸器
KR20030073283A (ko) 전기 히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