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891Y1 - Tool for disjointing a washer - Google Patents

Tool for disjointing a 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891Y1
KR200202891Y1 KR2020000016631U KR20000016631U KR200202891Y1 KR 200202891 Y1 KR200202891 Y1 KR 200202891Y1 KR 2020000016631 U KR2020000016631 U KR 2020000016631U KR 20000016631 U KR20000016631 U KR 20000016631U KR 200202891 Y1 KR200202891 Y1 KR 200202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housing
coupling pin
present
brak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63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태
Original Assignee
조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태 filed Critical 조성태
Priority to KR2020000016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89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891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Abstract

본 고안은 결합핀 삽입용의 장공이 천공되어 결합대상물에 탄력 설치되는 와셔를 상기 결합대상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탈거되어진 와셔는 유동이 방지된 채 그 내측에 수납되도록 하는 와셔 탈거용 간이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remove the washer that is elastically installed on the coupling object by drilling a hole for the insertion of the coupling pin, and the washer removed for the removal of the washer so that the washer is stored therein while the flow is prevented. It is about a simple tool.

이같은 본 고안은, 내측에 자성체(11)가 결합된 하부를 개방한 원통형 구조이고, 상기 개방구 주연의 저부에는 톱니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톱니부(12)를 가리우는 상태로 수직 연장되는 가이드관(13)을 구비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조정 손잡이(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magnetic body 11 is coupled to the inside, and a tooth portion 1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pening periphery, and is vertical in a state of covering the tooth portion 12. A housing 10 having an extending guide tube 1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djustment knob 2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Description

와셔 탈거용 간이공구{Tool for Disjointing a Washer}Tool for Disjointing a Washer

본 고안은 와셔를 탈거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핀 삽입용의 장공이 천공되어 결합대상물에 탄력 설치되는 와셔를 상기 결합대상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탈거되어진 와셔는 유동이 방지된 채 그 내측에 수납되도록 하는 와셔 탈거용 간이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sm for removing the 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he washer removed at the same time to make it easy to remove the washer that is elastically installed on the coupling object by drilling a hole for insertion of the coupling p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er removal easy tool for preventing a flow from being stored therein.

일반적으로, 차량의 브레이크 백 플레이트(이하 '백 플레이트 라고 함')와 브레이크 슈 간의 결합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개의 물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결합핀과, 이같은 결합핀의 유동 및 이탈을 억제하는 와셔 구성이 널리 이용되는 것이었다.In general, as shown by the coupling between the brake back plate of the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ack plate") and the brake shoe, the coupling pin which is carried by the spring as a suppo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wo objects, The washer configuration that suppresses the flow and departure of such a coupling pin was widely used.

즉, 도 1은 상술한 백 플레이트(1)와 브레이크 슈(2)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 플레이트(1)와 브레이크 슈(2)에는 한 쌍의 슬롯이 마주보는 상태로 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같은 슬롯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결합핀(4)이 삽입되는 것이며, 이러한 결합핀(4)은 그 단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걸림부(4a)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핀(4)에 와셔(3)가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와셔(3)의 중앙부에는 상기 걸림부(4)가 끼워져 회전할 수 있도록 장공(3a)이 천공되는 것이다.That is, FIG. 1 shows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back plate 1 and the brake shoe 2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a pair of slots face the back plate 1 and the brake shoe 2. To be perforated. Then, the coupling pin 4 is inserted while passing through such a slot in turn, and the coupling pin 4 has a locking portion 4a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end thereof. In addition, the washer (3)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in (4), the long hole (3a) is perforat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4 is inserted into the center portion of the washer (3).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슈(2)의 벽면과 상기 와셔(3)와의 사이에는 스프링(5)이 탄설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셔(3)와 상기 걸림부(4a)를 갖는 결합핀(4)의 일측 단부는 상호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이루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상기 결합핀(4)의 타측 단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1)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다. 즉, 이같은 결합핀(4)과 와셔(3)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슈(2)는 상기 백 플레이트(1)에 보다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이루면서 결합되는 것이다.Then, the spring 5 is coalesced between the wall surface of the brake shoe 2 and the washer 3, and the washer 3 and the engaging portion 4a are re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 One end of the coupling pin (4) having a stable coupling stat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in (4)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ck plate (1) . That is, the brake shoe 2 is coupled to the back plate 1 by the coupling pin 4 and the washer 3 to form a more stable support state.

또한, 상기 백 플레이트(1)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2)를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핀(4)의 걸림부(4a)를 상기 와셔(3)의 장공(3a)과 일치되도록 회전시킨 다음, 상기 와셔(3)와 스프링(5)을 결합핀(4)으로부터 차례로 분리시키는 것이었다.In addition, when the brake shoe 2 is removed from the back plate 1, the locking portion 4a of the coupling pin 4 is rotated to coincide with the long hole 3a of the washer 3. The washer 3 and the spring 5 were in turn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in 4.

그러나, 이같이 결합핀에서 와셔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결합핀의 걸림부를 회전시키는 것이었지만, 작은 직경을 갖는 상기 걸림부를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회전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큰 불편함이 따를 뿐만아니라, 그 과정에서 지나치게 힘을 가하는데 따른 부품 파손의 우려가 많은 것이었다.However, in order to remove the washer from the coupling pin in this way, the locking portion of the coupling pin was rotated using a tool such as a spanner, but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locking portion having a small diameter with a tool such as a spanner is not easy. Not only was it accompanied, but there were many concerns about component damage caused by excessive force in the process.

또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와셔의 장공이 일치되면서 상기 와셔에 의해 규제되어 있던 스프링이 탄발함과 동시에 그 힘으로 인해 와셔 역시 튕겨져 나가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브레이크 슈로부터 분리된 상기 스프링과 와셔를 다시 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며, 경우에 따라 튕겨진 와셔와 스프링을 찾지 못해 새 부품으로 교체하는데 따른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고, 교체 부품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었다.In addition, while the locking portion and the washer of the washer coincides, the spring regulated by the washer is elastic and the washer is also bounced out by the force. This results in the need for the operator to retract the spring and washer separated from the brake shoe, and in some cases, the economical loss of replacing the new washer without finding the bounced washer and spring. If it wasn't ready, it would act as a delay.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셔를 회전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상기 와셔를 결합대상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tool that can be easily removed to remove the washer from the object by rotating the washer i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고안은 또한, 탈거된 와셔가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분리된 와셔가 분실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와셔 탈거용 간이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to provide a simple washer removal tool for preventing the washer from being lost while the removed washer is fix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material.

도 1은 브레이크 슈에 와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sher is coupled to a brake sho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셔 탈거용 간이공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asher removal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백 플레이트 2: 브레이크 슈 3: 와셔 3a: 장공 4: 결합핀 4a: 걸림부 5: 스프링 10: 하우징 11: 자성체 12: 톱니부 13: 가이드관 14: 투시공 20: 조정 손잡이DESCRIPTION OF SYMBOLS 1: Back plate 2: Brake shoe 3: Washer 3a: Long hole 4: Coupling pin 4a: Engagement part 5: Spring 10: Housing 11: Magnetic body 12: Tooth part 13: Guide tube 14: Perforation 20: Adjustment knob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에 자성체가 결합된 하부를 개방한 원통형 구조이고, 상기 개방구 주연의 저부에는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톱니부를 가리우는 상태로 수직 연장되는 가이드관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조정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a magnetic body is coupled to an inner side, and a bottom portion of the opening is formed with a sawtooth part and a guide tube extending vertically to cover the sawtooth part. A housing having a; And an adjustment knob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본 고안은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톱니부를 포함하여 내측 공간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투시공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through-holes are drilled in the housing so as to look into the inner space including the tooth.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선행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parts as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셔 탈거용 간이공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조정 손잡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asher removal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ing knob 20 coupled to.

상기 하우징(1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서, 그 내측 상단에는 자성체(11)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성체(11)로는 본 실시예와 같이 영구자석의 구성이면 족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자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The housing 10 is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n open bottom, and the magnetic body 11 is coupled to an inner upper end thereof. Such a magnetic body 11 may be sufficient as long as the configuration of the permanent magne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not limited to this, various configurations capable of exerting magnetic force may be provided.

그리고, 이같은 하우징(10)의 개방구 주연, 즉 상기 하우징(10) 저부에는 톱니부(12)가 제공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eth 12 are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housing 10, that is,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10.

또한,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톱니부(12)를 가리우는 상태로 수직 연장되는 가이드관(13)이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같은 가이드관(13)은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우징(10)과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에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guide tube 13 vertically extending in a state covering the toothed portion 12, such a guide tube 13 and the housing 1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It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l, or in some cases may be provided in a removable form on the housing (10).

그외에도, 상기 하우징(10)의 표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투시공(14)이 상기 하우징(10) 내측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이같은 투시공(14)을 통해 작업자는 상기 톱니부(12)와 와셔(3) 표면과의 접촉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e-through holes 14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12) and the washer (3) the surface of the contact can be easily understood.

이렇게 구성되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조정 손잡이(20)가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이같은 조정 손잡이(20)는 상기 하우징(10)과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겠으며, 상기 하우징(1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정 손잡이(20)를 'T'자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그밖에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djustment knob 20 is provided in a fixed for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uch an adjustment knob 20 may be formed in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 Will also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fasten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justment knob 20 has been described in the 'T' shape, but can be provided in various other forms of course.

이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해 와셔가 탈거되는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이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백 플레이트와 브레이크 슈의 결합에 적용되는 와셔 구성을 그 실시예로 들었음을 밝혀둔다.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washer by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found that the washer configuration is applied to the coupling of the back plate and the brake shoe of the vehicle. Put it.

즉, 상기 와셔(3)는 그 중앙부에 장공(3a)을 천공하고 있으며, 이같은 장공(3a)에 후술되는 결합핀(4)의 단부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핀(4)은 백 플레이트(1)와 브레이크 슈(2)에 천공된 결합홀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장공(3a)에 삽입되는 것이며, 이같은 결합핀(4)의 단부에는 수직 절곡되는 걸림부(4a)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걸림부(4)는 상기 장공(3a)에 삽입된 다음 회전되어 상기 와셔(3)의 표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장공(3a)과 직교되는 위치에 놓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셔(3)와 상기 브레이크 슈(2) 사이에는 스프링(5)이 탄설되는 것이며, 이러한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셔(3)는 탄발되면서 상기 결합핀(4)의 걸림부(4a)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다.That is, the washer (3) is boring the long hole (3a) in the central portion, the end of the coupling pin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long hole (3a) is inserted. The coupling pin 4 is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drilled in the back plate 1 and the brake shoe 2 in order to be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a. The locking pin 4 is vertically bent at the end of the coupling pin 4. As the portion 4a is formed, the locking portion 4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a and then rotated so as to be plac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hole 3a to support the surface of the washer 3. In addition, a spring 5 is installed between the washer 3 and the brake shoe 2, an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 the washer 3 is elastic and the engagement pin 4 is caught. It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ion 4a.

그럼, 본 고안에 의해서 상술한 와셔(3)가 브레이크 슈(2)에서 탈거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when the above-described washer 3 is removed from the brake shoe 2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고안의 조정 손잡이(20)를 파지하여 하우징(10)의 가이드관(13) 내측으로 와셔(3)가 인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브레이크 슈(2) 방향으로 가압하여 준다. 그러면, 상기 결합핀(4)의 걸림부(4a)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되며, 가압된 상기 스프링(5)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와셔(3)는 상기 하우징(10)의 톱니부(12)와 밀착되어진다.First, the housing 1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brake shoe 2 while the washer 3 is drawn into the guide tube 13 of the housing 10 by holding the adjusting knob 20 of the present invention. Give it. Then, the engaging portion 4a of the coupling pin 4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and the washer 3 is drive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 to be pressed by the housing 1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ed portion 12 of the.

이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정 손잡이(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하우징(10) 및 그 톱니부(12)가 동시에 회전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와셔(3)는 상기 톱니부(12)의 날카로운 단부에 가압된 상태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셔(3)를 그 장공(3a)과 상기 결합핀(4)의 걸림부(4a)가 일치되는 지점까지 회전시키는 것이고, 이때 작업자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투시공(14)을 통해 상기 와셔(3)의 회전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When the adjustment knob 20 is rotated in this state, the housing 10 and its teeth 12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washer 3 is pressed against the sharp end of the teeth 12. Will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Then, the washer 3 is rotated to the point where the long hole 3a and the engaging portion 4a of the coupling pin 4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worker has a see-through hole 14 formed in the housing 10. Through the washer (3) can grasp the degree of rotation is made easy operation.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통해 상기 와셔(3)의 장공(3a)과 상기 결합핀(4)의 걸림부(4a)가 일치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5)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와셔(3)는 탄발되는 것이며,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제공된 자성체(11)의 자력에 의해 상기 와셔(3)는 상기 톱니부(12)의 표면에 접착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브레이크 슈(2)에서 분리된 상기 와셔(3)는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수납되어지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10)의 개방구를 하방향으로 기울이거나 그밖에 상기 하우징(10)의 유동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와셔(3)는 하우징(10) 외부로 이탈됨 없이 고정되게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수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the series of operations, the long hole 3a of the washer 3 and the engaging portion 4a of the coupling pin 4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washer 3 is cau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 Is elastic, and the washer 3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part 12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11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That is, the washer 3 separated from the brake shoe 2 is stored inside the housing 10 in a state where the flow is prevented. As a result, even if a worker inclines the opening of the housing 10 downward or other flow phenomenon of the housing 10 occurs, the washer 3 is fixedly supported without being separated out of the housing 10. It is housed inside the housing 10 in a state.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통해 상기 결합핀(4)에 의해 지지되었던 상기 와셔(3)를 상기 브레이크 슈(2)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같이 브레이크 슈(2)에서 분리된 상기 와셔(3)는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수납되는 것이므로, 스프링(5)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와셔(3)가 작업장 주변으로 튕겨져 분실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Through this series of operations, the washer 3, which was supported by the coupling pin 4, is separated from the brake shoe 2. In addition, since the washer 3 separated from the brake shoe 2 is stored in the fixed state inside the housing 10, the washer 3 is moved around the work plac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 The phenomenon of being thrown out and lost is prevented.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와셔 탈거용 간이공구에 의하여, 작업자는 와셔가 탄력 설치되어 있는 대상물로부터 와셔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며, 그 분리과정에서 와셔가 분실될 염려가 없어 부품을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can be seen by the above embodiment, by the washer removal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easily separate the washer from the object in which the washer is elastically installed. There is no fear of losing parts, so it is necessary to replace parts with new ones.

Claims (2)

내측에 자성체가 결합된 하부를 개방한 원통형 구조이고, 상기 개방구 주연의 저부에는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톱니부를 가리우는 상태로 수직 연장되는 가이드관을 구비한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a magnetic body is coupled to an inner side thereof, and having a tooth portion formed at a bottom of the opening periphery, and having a guide tube extending vertically while covering the tooth portion;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조정 손잡이;An adjustment knob fixed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탈거용 간이공구.Simple tool for removing wash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톱니부를 포함하여 내측 공간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투시공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탈거용 간이공구.The housing, the washer removal tool,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see-through holes are drilled so as to look into the inner space including the tooth.
KR2020000016631U 2000-06-12 2000-06-12 Tool for disjointing a washer KR2002028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631U KR200202891Y1 (en) 2000-06-12 2000-06-12 Tool for disjointing a 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631U KR200202891Y1 (en) 2000-06-12 2000-06-12 Tool for disjointing a 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891Y1 true KR200202891Y1 (en) 2000-11-15

Family

ID=1966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631U KR200202891Y1 (en) 2000-06-12 2000-06-12 Tool for disjointing a wa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89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8495A (en) Holder, especially for a drill chuck key
US5309798A (en) Tool bit retaining assembly
KR980012759A (en) Cable stabilizer
JPH0214933Y2 (en)
JPH08267443A (en) Drill tool for rotary impact type hole-making for rock
US5042829A (en) Screw holding device
KR200202891Y1 (en) Tool for disjointing a washer
JP2991976B2 (en) Core drill
JP3664970B2 (en) Electric tool
JPH0311762Y2 (en)
KR200271342Y1 (en) Fastener
JPH0541467Y2 (en)
KR0133593Y1 (en) Clip
JPH031906A (en) Drill structure with stopper
KR200251570Y1 (en) Supporting members for wheel
KR19980037449A (en) Detachable clip
KR900008689B1 (en) Ratch for door fixing of electricity machinery and tools
KR880004231Y1 (en) Battery eject lever of cassette
KR200360174Y1 (en) A tack case
JP2519134Y2 (en) Locking structure between scissors and sheath
KR910001750Y1 (en) 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JP3003137B2 (en) Rotating tool detachable structure
KR0112384Y1 (en) Mounting holder of trun signal lamp
JP3505756B2 (en) lighting equipment
JP3118156B2 (en) Tool ho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