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403Y1 -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403Y1
KR200202403Y1 KR2020000015752U KR20000015752U KR200202403Y1 KR 200202403 Y1 KR200202403 Y1 KR 200202403Y1 KR 2020000015752 U KR2020000015752 U KR 2020000015752U KR 20000015752 U KR20000015752 U KR 20000015752U KR 200202403 Y1 KR200202403 Y1 KR 200202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unit
learning
book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철
Original Assignee
장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철 filed Critical 장영철
Priority to KR2020000015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등학생부터 대학원생 및 재수생및 기타 학원생들을 위한, 전자 학습서에 관한 하드웨어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3개의 모니터부가 배치되어, 제 1모니터는 학습을 받고자하는 교과서의 전문이 수록 배치되어, 제 2모니터는 제 1모니터의 교과서와 관련한 참고서의 전문이 수록 배치되어, 제 1모니터의 학습내용과 유기적인 관계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제 3모니터는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펜 베이스 방식을 이용하여, 메모나 필기, 기록이 가능하여, 종이 노트의 기능을 대체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며, 입력 및 저장이 가능하여, 학습을 받기 위해 많은 양의 책과 노트를 가지고 다녀야 한다는 문제를 극복하며, 컴퓨터나 다른 장치와 호환이 가능하여, 학습에 필요한 부분을 복사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학습에 필요한 내용을 자신의 학습서에 옮겨 놓거나, 자신이 학습하였던 정보를 플로피디스켓등을 통하여 저장 보관하거나, 수업중 중요한 부분에 대하여는 녹음이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필요한 시간에 자유롭게 재생하여, 학습에 이용하거나, 상기 제 1 모니터부의 교과서 내용 중 일부분을 펜 마우스로 터치한 뒤, 제 3 모니터부에서 메모 또는 필기를 한뒤, 완료 버튼을 펜 마우스로 터치하면, 제 3 모니터부에서 입력한 메모 내용이 제 1 모니터부에서, 펜 마우스로 터치한 문장이나 단어에 숨김창으로 자동 저장되고, 상기 제 2 모니터부의 참고서 또는 관련 서적의 내용 중 일부분을 펜 마우스로 갈무리한 뒤 제 1 모니터부의 일정한 문장이나 구문을 터치한 뒤, 완료 버튼을 펜 마우스로 터치하면, 제 2 모니터부에서 갈무리된 내용이 제 1 모니터부의 펜마우스로 터치한 문장이나 단어에 숨김창으로 자동 저장되고, 상기 제 2 모니터부의 참고서 내용 중 일부분을 펜 마우스로 터치한 뒤, 제 3 모니터부에서 메모 또는 필기를 한뒤, 완료 버튼을 펜 마우스로 터치하면, 제 3 모니터부에서 입력한 메모 내용이 제 2 모니터부에서, 펜 마우스로 터치한 문장이나 단어에 숨김창으로 자동 저장되고, 상기 이러한 방법들로 자동 저장된 숨김창이 있다는 것을 학습자에게 상기 시켜 주기 위하여, 숨김창이 있는 문장이나 단어의 색상이 숨김창이 없는 단어나 문장의 색깔과 차별화 되어 저장되어, 학습자가 언제든지 그 내용을 다시 확인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의 종이 책에서는 불가능하였던, 검색창이 구비되어, 학습자가 찾고자하는 문장이나 단어를 실시간에 찾을 수 있도록하는 전자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그 외부 형태를 기준으로 강의자의 육성 강의 내용을 녹음 할 수 있는 녹음 장치부와(11) 이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부(12)로 구성된 음성 지원부와(10) 교과서의 전문 및 학습 관련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는 제 1모니터부(20)와 필기 및 메모등이 가능하고, 상기 제 1모니터부(20)에 디스플레이된 교과서 전문과 관련이 있는 참고서나 관련 서적을 호출할수 있는 제 2모니터부(30) 상기 제 1, 제 2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된 문장이나 단어및 기타 부분에 숨김창이나, 헤드라인및 헤드라인으로 시작되는 구획부속에 문자 입력이 가능한 제 3모니터부(40)와 본 하드웨어 장치의 전원부(50) 및 3.5인치 플로피 디스켓이(61)나 C.D -ROM을(62) 인식할 수 있는 디스켓부와(60) 하드웨어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주는 동작표시부와(70) 모뎀이나 LAN을 통하여 인터넷이나 통신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넷 연결 구획부와(80) 기타외부기기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USB포트 및 마이크 연결 포트, 헤드폰 연결포트, 프린터 포트등의 포트로 구성된 외부 기기 연결 포트부(90) 및 CPU의 온도를 조절하는 환풍구(100) 및 입력을 위한 펜 마우스 보관부(110)및 펜 마우스(111)및 휴대를 위한 충전지부와(120) 외부 전원을 전원 코드로 연결하기 위한 아답타부(130) 및 외부 키보드 및 외부 마우스 및 외부 모니터를 연결하기 위한 확장 커넥터부(140)으로 구성하여, 학습자에게 필요한 완벽한 사양을 지원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내부적인 면으로는 펜 베이스 방식의 입력부와(41) 교과서나 학습 관련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20) 제 1디스플레이부와 관련한 참고서나 관련서적을 호출할 수 있는 제 2 디스플레이부와(30) 입력,저장등이 가능한 제 3 디스플레이부와 (40) 녹음 및 재생이 가능한 음성지원부와(10) 데이타를 저장하는 주 저장 장치부와(150) 상기 모든 작용들 및 기타 소프트웨어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와(160) 교과서 전문 및 학습 관련 내용을 기억 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는 제 1 메모리부와(170) 참고서 전문 및 관련 서적을 기억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는 제 2메모리부와(180) ,노트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제 3 메모리 저장 장치와(190) 학습에 필요한 각종 소프트 웨어를 저장 가능한 소프트 웨어 저장부와(200) 기타 외부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외부기기 연결 장치부(90) 및 중앙처리 장치(210) 및 장치의 내부온도를 맞추기 위한 환풍장치(100)으로 구성하여, 학습자에게 보다 편안한 조건에서 학습이 가능하도록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등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고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 전자 장치{THE ELECTRIC LEARN BOOK WHICH IS UNITED ELECTRIC TEXT BOOK, ELECTRIC NOTE AND VOICE RECORDING CONSTRUCT ETC}
본 고안은 학생들이 학습에 이용할 수 있는 가볍고, 편리한 전자 장치에 관한 하드웨어 장치에 관한 고안으로서, 특히 3개 이상의의 모니터부가 배치되어, 제 1모니터는 학습을 받고자하는 교과서의 전문이 수록 배치되어, 학습에 있어서 기존의 종이 책의 기능을 대체하고, 제 2모니터는 제 1모니터와 관련하여, 참고서나 각종 관련 서적을 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 3 모니터는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펜 베이스 방식을 이용하여, 메모나 필기, 기록이 가능하여, 종이 노트의 기능을 대체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며, 저장이 가능하며, 학습을 받기 위해 많은 양의 책과 노트를 가지고 다녀야 한다는 문제를 극복하며, 컴퓨터나 다른 장치와 호환이 가능하여, 학습에 필요한 부분을 복사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학습에 필요한 내용을 자신의 장치에 옮겨 놓거나, 자신이 학습하였던 정보를 플로피디스켓등을 통하여 저장 보관하거나, 수업중 중요한 부분에 대하여는 녹음이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자들에게 편리한 학습 여건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21세기를 맞아 컴퓨터와 관련한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는 있으나, 학습에 관한 한 두꺼운 종이책과 수많은 관련 노트들을 가지고 다녀야만 하는 재래적인 방법을 탈피하지 못하고, 학생들은 아침마다 만원 버스에 시달리며, 무거운 책가방등을 들쳐메고, 학교나 학원에 가야하는 고생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한 학생들의 어깨처짐등 체형의 변화및 발육기의 청소년들에 대한 성장 저해는 물론이고, 학생들 자신조차도 무거운 책가방을 가지고 다녀야하는 각종 스트레스에 시달림은 물론 심한 경우 학교 등교 기피증까지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따라, 첨단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그 시행 자체가 대부분 학생 한사람 한사람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컴퓨터 특할반을 운영한다든지 아니면, 학생과 학교 및 교사간에 인터넷 홈페이지를 운영함으로써, 자유로운 대화의 공간을 마련한다든지 하는 식이어서, 본 고안에서 논하고자하는 취지와는 거리가 멀고, 또 일선학교에서 학생들의 무거운 책가방 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한 방편으로, 개인 사물함을 비치하여, 그 속에 책이나 노트를 보관하게 하고 있으나, 수시로 일어나는 도난, 분실의 문제와 하교 후 집이나 학원에서 공부를 하기 위해서는 다시 그 무거운 책을 책가방에 담아가지고 가야만 한다는 이상한 논리가 되어, 실제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있어서 가장 가까워야 할 책과 노트가 오히려 학생들에게 무거운 짐이 되고, 공부에만 전념해야할 학생들의 체력이 무거운 책가방 때문에 불필요하게 소모됨으로써, 학생들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하는 아이러니칼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가벼운 책가방에 대한 학생들의 소망을 위하여, 개인적으로 노트북이라는 하드웨어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노트북은 학생들이 사용하기에는 너무 가격이 비쌀뿐만 아니라, 학습 전용의 장치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불 필요한 부분이 많을 뿐만 아니라, 노트 북을 사용한다 하여도, 자신이 학습에 필요한 교과서의 전문이 수록되어 있는 전자 교과서가 없을 뿐 만아니라, 노트북 자체가 학습을 전용으로 하는 하드웨어 장치가 아니어서, 학습 그 자체만을 위하여 활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장치 하드웨어 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을 논하자면, 학습자가 자신이 메모하고 싶은 내용을 전자 수첩이나, 노트북 및 데스크탑 컴퓨터등에 입력하고, 학습에 이용하는 부분은 있으나, 학습자가 학습을 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학습자의 교과서 전문과 일반 컴퓨터 장비와는 함께 동시적으로 있는 것이 아닌 일정한 거리가 있어서, 결국 학습은 학습이고, 컴퓨터는 컴퓨터라는 생각으로 흐르게되고, 기껏해야, 레포트나 논문작성등을 위한 장비정도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컴퓨터 장비가 입력장치로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고, 일부 전자수첩에서만 펜 베이스 방식으로 펜 마우스로 글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그 자체가 저장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전자의 경우 반드시 학습에 이용할 수 있을 정도의 능숙한 키보드 운용 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전제가 될 뿐만아니라, 데스크탑 컴퓨터의 경우 휴대가 불가능하고, 노트북의 경우, 구입비가 너무 비쌀 뿐만 아니라, 학습 전용으로 개발된 하드웨어 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많다는 점은 전기에서도 상술하였거니와, 펜베이스 방식을 취하고 있는 전자 수첩의 경우, 하드 용량도 작고, 그 효용도 간단한 메모 정도를 할 수 있는 수준 밖에는 되지 않아, 학습에 이용하기에는 부적적하다고 하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 전자 장치'라는 새로운 하드웨어 장치를 통하여, 학습에 꼭 필요한 장치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좀 더 쾌적하고, 편안한 학교 수업을 위하여, 학생들의 무거운 책가방 문제를 해결해 줄 뿐만아니라, 학생들이 인터넷에 손쉽게 접속하여,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할 뿐 아니라, 수업 도중에 자신에 필요한 중요한 강의는 즉시 녹음이 가능하고, 필요시 언제든지 재생하여, 학습에 이용하고, 다른 컴퓨터나 A/V 장치등의 외부기기와 연결이 가능하여, 학습에 있어서 자료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고, 특히, 학습에 필요한 교과서 전문을 수록하는 제 1모니터와 제 1모니터와 관련한 참고서 및 관련 서적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제 2 모니터와 키보드 자체를 없애고, 펜 베이스 방식을 채택하여, 기존의 키보드 방식에 익숙하지 않아도, 누구든지 필요한 부분을 메모, 정리 할 수 있도록 한 제 3모니터부를 배치하였을 뿐 아니라, 제 1모니터 화면이나 제 2 모니터 화면에서 단어나 문장을 터치한 뒤, 제 3모니터에서 필요한 내용을 입력한 뒤, 완료 버튼을 터치하면, 제 1모니터부나 제 2 모니터의 터치된 화면의 해당 단어나 문장에 숨김창으로 자동 저장되고, 학습자에게 언제든지 숨김창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하여, 숨김창이 있는 문장이나 단어는 색깔이 자동으로 다르게 저장되고, 그 하단에 밑줄이 그어지는 형태를 취하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제 2모니터에서 갈무리한 중요구문을 제 1모니터나 제 3모니터에 저장 혹은 입력이 가능하여, 레포트 작성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등, 3개의 모니터에서 갈무리된 문장등이 서로 호환이 되도록하여, 학습자에게 체계적인 학습 내용의 정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면도로서 학습자가 전원부(50)을 켜게 되면, 제 1모니터부(20)에는 초기화면과 함께, 학습에 관련된 교과서 부분을 호출할 수있는 화면이 도시되고, 이때 학습자는 펜마우스 보관부에(110)있는 펜마우스를(111) 꺼내어,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과목이나, 학습 관련 내용의 문서를 선택하여 펜 마우스로 터치하면, 상기 제 1모니터부(20)에는 관련 학습 내용의 문서가 도출되고,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상기 제 1모니터부(20)에 표현된 학습 내용 중 문장이나 단어등을 터치한 뒤, 제 3모니터부(40)에 임의로 필요사항을 기재하고, 제 3 모니터부의 화면 내부의 입력 완료 버튼을 상기 펜 마우스로(111) 터치하면, 제 2 모니터 부에서 입력한 내용들이 상기 제 1모니터부(20) 화면중에서 처음에 펜마우스에 의해 터치되었던 문장이나 단어밑으로 숨김창이 되어 저장되고, 자동으로 색상이 변하고, 밑줄이 그어짐으로써, 숨김 창이 있는 부분임을 나타내고, 제 2모니터부(30)에는 초기화면과 함께, 제 1모니터 부와 관련하여, 교과서와 관련한 참고서나 관련 서적등을 호출할 수있는 화면이 도시되고, 이때 학습자는 펜마우스 보관부에(110)있는 펜마우스를(111) 꺼내어,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참고서나 관련서적이나, 학습 관련 내용의 문서를 선택하여 펜 마우스로 터치하면, 상기 제 2모니터부(30)에 관련 학습 내용의 문서가 도출되고,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상기 제 2모니터부(30)에 표현된 학습 내용 중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문장이나 단어등을 펜마우스로 갈무리 한뒤, 제 1모니터부(20)의 중요 문구나 문장등을 터치하고, 입력완료 버튼을 터치하면, 상기 제 2모니터부에서 갈무리된 내용들이 제 1모니터부의 중요 문구나 문장 밑에 숨김창으로 자동 저장되고, 숨김 창이 있는 문장이나 구문은 자동으로 색상이 변하고, 밑줄이 그어져 학습자에게 숨김창이 있는 부분임을 나타내고, 제 1모니터와(20) 제 2모니터의(30) 중요부분을 각각 동일한 방식으로 펜마우스로 터치한 뒤, 제 3 모니터에서(40) 임의로 필요사항을 기재하고, 제 3 모니터부의(40) 화면 내부의 입력 완료 버튼을 상기 펜 마우스로(111) 터치하면, 제 3 모니터 부에서(40) 입력한 내용들이 상기 제 1모니터부(20) 및 제 2모니터부(30)의 화면중에서 처음에 펜마우스에 의해 터치되었던 문장이나 단어밑으로 숨김창이 되어 저장되고, 자동으로 색상이 변하고, 밑줄이 그어짐으로써, 숨김 창이 있는 부분임을 나타내고, 상기 충전지부(120)는 휴대용으로 학습을 해야 할 경우의 장치이며, 내부마이크는(11) 수업 도중에 학습자가 언제든지 강의 내용을 녹음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스피커부는(12) 상기 (11)에 의하여 녹음된 학습 내용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종 정보를 읽어들일수 있는 플로피 디스켓 부와(61) CD-ROM부가(62)설치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우측면도로서 인터넷이나 통신을 통하여, 원하는 학습 정보를 득할 수 있도록 인터넷 연결부를(80) 설치하고, 각종 A/V및 외부기기와 연결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외부기기 연결부가(90) 배치된 전자 장치 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좌측면도 및 후측면도로서, 일반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어뎁터부와(130) 각종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한 확장 커넥트부와(140) 본 고안 장치내의 내부의 일정 온도 유지등을 위한 환풍구가(100) 설치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타 본 고안에 관한 도면들은 보정 서류를 작성 할때 제출 하겠습니다.
본 고안은 학생들이 학습을 할 때, 무거운 책가방이나 각 과목에 따른 노트들을 가방에 넣어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강의 도중에 자신에게 꼭 필요한 강의 내용은 간단하에 녹음하여, 자신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재생하여, 강의 내용을 반복 청취하도록 하며, 컴퓨터나 A/V등의 외부기기와도 호환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고안에 관한 것으로서, 학생들에게 편리한 전자교과서 및 전자 노트 및 기타 부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더 이상 무거운 교과서나 노트등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으며, 수업도중 자신에게 필요한 강의 내용을 녹음하기 위하여, 소형 카셋트등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을뿐만 아니라, 손 쉬운 찾기 기능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찾고자 하는 단어나 문장을 손쉽게 찾을 수 있어서,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을 뿐아니라, 제 1모니터에서(50) 추가적인 학습기능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학습을 해야할 제목이 담긴 문장이나 단어를 클릭한 후에, 장바구니 담기 단추를 클릭하면, 과외 학습이라는 단추내부에 학습 내용이 저장되어, 학습자가 확인후 관련 공부를 잊지 않고 할 수있도록하는 메모기능이 있을 뿐아니라, 제 2모니터에서 갈무리한 문장을 제 1모니터에 입력 저장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제 2모니터에서 갈무리한 문장을 제 3모니터에 입력 저장및 편집 할 수 있도록 하여, 레포트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제 3모니터에서 입력한 문장들은 상기 제 1, 2 모니터에 저장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학습에 필요한 정보가 있을 경우 인터넷에 손쉽게 접속하여, 관련 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학습에 관한한 최대한의 여건을 조성한 것이다.
상세한 프로세서의 구성도등은 보정서류 제출시 제출토록하겠습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 본 고안의 전자 장치에 의하면, 학습에 있어서, 이동과 편리성을 추구하면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고, 또한 기존처럼 학습 그 자체를 위하여, 불필요한 체력을 소모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학습에 필요한 검색, 입력, 저장 및 출력이 쉽고, 외부 기기와의 연결이 쉬워, 학습에 관한한 극대화의 효과를 추구할 수가 있으며, 매년 쏟아져 나오는 폐 종이에 관한 환경적인 문제도 해결하고, 경제적측면에서 불필요한 낭비도 줄이게 될 뿐 아니라, 현대 사회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인터넷과의 연결이 용이해져, 학습 정보의 깊이와 다양함을 골고루 추구하게 되어, 학습의 질과 만족도에서 괄목 성장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모니터가 3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그 중에 하나는 학습 내용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그중의 하나는 참고서 및 관련 서적등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그중의 하나는 펜 베이스 방식을 채택하여, 입력및 편집 저장이 가능하도록 만든 전자 학습 장치
  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모니터나 제 2모니터의 문장이나 단어를 터치한 후, 제 3모니터에서 입력하면, 자동으로 상기 제 1모니터부나 제 2모니터부에서 터치된 문장이나 단어에 숨김창이 생기고, 제 3모니터부에서 입력한 내용이 저장되면서, 숨김창이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기 위하여, 자동으로 색상이 변경되고, 밑줄이 그어지도록 만든 전자 학습 장치
  3. 상기 2항과 관련하여 특별히 강의 도중에 강의 내용을 녹음하거나 녹음된 내용을 반복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전자 학습 장치
  4. 상기 2항과 관련하여, 전원의 공급 방법이 휴대가 가능한 충전지를 이용하거나, 아답타를 이용하여, 일반 전원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전자 학습 장치
  5. 상기 2항과 관련하여, 외부 기기 연결부를 통하여, 각종 A/V 장치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전자 학습 장치
  6. 상기 2항과 관련하여, 3.5인치 플로피 디스켓이나 C.D롬을 처리할 수있도록 설계한 전자 학습 장치
  7. 상기 2항과 관련하여, 펜마우스 방식으로 제 1, 제 2, 제 3 모니터부를 활용하는 방법의 전자 학습 장치
  8. 상기 1항과 관련하여, 제 2 모니터부를 갈무리하여, 제 1모니터부의 중요 문구나 문장속에 입력 저장 편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전자 학습 장치
  9. 상기 1항과 관련하여, 제 1모니터부와 제 2모니터부의 중요 문구나 문장을 갈 무리하여, 제 3모니터부에 입력 저장 편집이 가능하여, 레포트 작성이나, 요약집을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자 학습 장치
  10. 상기 1항과 관련하여, 제 1, 2 모니터부를 없애고, 그 부분에 참고서나 기타 책을 걸어 놓고 볼 수 있도록 제작하거나, 그 내부에 서류등의 수납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제 3모니터만을 분할하여, 교과서 및 참고서나 관련서적 디스플레이부로 활용하고, 그 나머지 부분을 입력부로 활용하도록 구성한 전자 학습 장치
  11. 상기 1항과 관련하여, 제 1,2 모니터부를 없애고, 제 3 모니터부 하나만을 두면서, 교과서나 참고서 및 관련 서적의 디스플레이부로 활용하되, 펜 베이스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 참고서나 교과서 위에 직접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전자 학습 장치
KR2020000015752U 2000-06-02 2000-06-02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전자 장치 KR200202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752U KR200202403Y1 (ko) 2000-06-02 2000-06-02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752U KR200202403Y1 (ko) 2000-06-02 2000-06-02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403Y1 true KR200202403Y1 (ko) 2000-11-15

Family

ID=1965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752U KR200202403Y1 (ko) 2000-06-02 2000-06-02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4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yahya et al. iPads in education: A qualitative study of students’ attitudes and experiences
Presley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students who are blind or visually impaired: A guide to assessment
WO1998021665A1 (es) Libro electronico
Choi et al. Toward a future wireless classroom paradigm
Willis et al. Tablet PC's as Instructional Tools or the Pen is Mightier than the'Board!
Harel Children as software designers: A constructionist approach for learning mathematics
Shibata et al. Why Digital Displays Cannot Replace Paper
US20130227682A1 (en) Apparatus for E-Learning and method therefor
KR200202403Y1 (ko)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전자 장치
KR200208247Y1 (ko)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전자 학습서
KR200205201Y1 (ko)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전자 장치
KR20010109728A (ko) 전자 노트, 전자 교과서 및 전자 참고서, 음성 녹음장치등이 구비된 전자장치
KR20010107457A (ko) 전자 교과서 및 전자 노트, 음성 녹음 장치등이 구비된전자 학습서
Johnson Digital ink: In-class annotation of PowerPoint lectures
Olabisi et al. Digital smart pen: a portable media with endless benefits
Steinberg Computer-presented organizational/memory aids as instruction for solving Pico-Fomi problems
Tingerthal et al. Using Tablet PCs as a teaching tool in the CM classroom
Friedlander et al. iPad: Enhancing Learning and Communi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CN2544345Y (zh) 一种便携式电脑
Eurell et al. Tablet computers in the veterinary curriculum
RU118085U1 (ru) Электронная книга
Barai K-YAN: EXPLORED AND EXPLAINED
Soroya et al. Interacting with digital contents: Understanding the on-screen reading behavior of young adults
KR20020030462A (ko) 교재 전용 디스플레이 장치
Cristy et al. The New E-Textbook: Flipping the Page to a New Paradig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