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276Y1 -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276Y1
KR200202276Y1 KR2020000017278U KR20000017278U KR200202276Y1 KR 200202276 Y1 KR200202276 Y1 KR 200202276Y1 KR 2020000017278 U KR2020000017278 U KR 2020000017278U KR 20000017278 U KR20000017278 U KR 20000017278U KR 200202276 Y1 KR200202276 Y1 KR 200202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drain
rubber cover
air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목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목성
Priority to KR2020000017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2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수 있도록 수조(1)의 외부에 형성시킨 레버(2)와, 상기 레버(2)와 줄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수조(1)의 내부의 하단에 1회용의 물이 내려간 후, 닫히도록 힌지로 연결된 고무덮개(3)와, 상기 고무덮개(3)의 하부에 배수구(4)를 형성하고, 닫고 있던 고무덮개(3)를 들어올려 물이 일시에 배수구(4)를 통하여 변기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9)으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배수통로(5)와,
상기 배수통로(5)의 후방에 상기 고무덮개(3)가 개방되어 물이 배수될 때 수압에 의하여 밀폐되고 물이 배수되지 않을 때는 자체의 무게로 자동 개방되어 있도록 형성한 고무덮개(3')와, 상기 고무덮개(3')의 상부를 향하여 형성된 통기구(6)와, 상기 통기구(6)와 통기파이프(10)와 연결된 통기호스(7)와, 상기 배수통로(5)의 후방 하부에는 남은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시킨 경사면(8)과, 배수시 경사면(8)에 의해 잔존하는 물을 배수시키는 미세배수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좌변기 환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The structure for ventilation of bedpan}
본 고안은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좌변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변을 볼 때에 있어 좌변기로부터 흘러나오는 분 냄새를 외부로 방출시켜 용변을 보는 사용자 및 화장실 내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내에 설치되어 이용되는 좌변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도기형식으로서 인체 공학적인 형상, 즉 타원형으로 제작되며, 용변을 마친 다음에는 좌변기측에 설치된 밸브를 작동시켜 용변을 배수구로 흘러보낼 수 있는 수세식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좌변기의 구체적인 구조는, 바닥에 하수관과 연결 설치되며 내측 중앙에 용변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통로가 형성된 변기와, 상기 변기의 후측에 연결 설치되어 변기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조와, 상기 변기의 상부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받치는 타원형의 시트와, 상기시트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변기 상부를 덮는 시트커버와, 상기 변기의 상부 내부로는 수조측으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로내에는 변기 내에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변기내부는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용변과 함께 씻겨 내려가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자연스럽게 좁아지는 깔대기 형태의 배수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변기와 연결 설치된 수조내에는 일정량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밸브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수조는 건물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좌변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메인 물탱크로부터 공급파이프를 통해 직접 변기 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도 설치되어 상기 밸브장치의 조작에 의해 일정량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좌변기는 변기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시트커버를 회동시켜 개방시킨 후 시트에 착석하여 용변을 볼 때에 있어, 용변 냄새는 상기 시트의 하측부분인 변기측의 여유공간으로부터 흘러나와 이용자에게 심리적으로 불쾌감을 주게 되며, 또한, 용변을 마치고 난 후 수조를 통해 밸브장치를 동작시켜 주면, 변기측의 배출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배수통로를 통해 용변물을 배수시키고 일정량의 물이 상기 배수통로의 소정높이로 차이게 되어 배수된 냄새를 억제시켜 주나,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트커버를 덮는다 하더라도 용변냄새는 화장실 내부 및 변기내에 잔존하고 있어, 다음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9-8653호는 타원형의 시트와, 상기 시트의 외측부분이 상부에 얹혀지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저면측에 용변냄새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공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환기통로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환기통로의 출구측에 부착 형성되어 시트를 회동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축 연결 설치되며 변기의 상부 일측에 소정높이의 유지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환기통로로부터 냄새를 유도하는 연통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변냄새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배출관으로 형성된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안은 시트의 힌지 내부가 환기통로로 되어 있어 고장이 날 경우에는 수리비가 발생되고, 냄새 또한 화장실내로 번지게 되며, 화장실 내부 및 변기내에 잔존하는 냄새로 인하여, 다음 변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후각적인 면에서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조에서 배수구의 고무덮개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기존의 배출통로를 활용 타원형으로 형성된 배출통로 내에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출공이 환기 흡입구로 역할이 변환되어 배출통로가 통기로가 됨으로서 수조에서 배수구 후면에 설치된 통기구를 통하여 통기호스와 통기파이프를 통하여 냄새가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서, 물이 수조에서 배수구를 통하여 쏟아질 때 통기구로 물이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무 덮개를 통기구의 하부에 설치하여 물이 쏟아질 때 수압에 의하여 통기구 구멍을 막도록 하였으며, 수로를 통하여 흘러내린 물이 용변들을 배수시킨 후, 통기로 상에 남아 있는 물이 배수통로로 배수되도록 변기의 통기로 적정 깊이를 유지하며 물이 미세배수구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경사도를 유지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좌변기의 구조도
도2는 본 고안의 좌변기 구조도
도3은 본 고안의 좌변기 배수통로 단면도
도4는 수로의 통기 시스템 구조 상세도
<도면의 부호 설명>
수조(1), 레버(2), 고무덮개(3,3'), 배수구(4), 배수통로(5),
통기구(6), 통기호스(7), 경사면(8), 배출공(9), 통기파이프(10),
천장배기구(11), 통기관(12), 무동력팬(13), 미세배수구(14)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조와 변기에 연결된 배수구의 후면에 통기구(약 2.54cm)를 설치하고, 수조에서 일시에 물이 배수구를 통하여 밀려들어올 때 통기구로 물이 흘러 들어가 막히지 않도록 상기 통기구의 하부에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고무덮개를 설치하며 고무덮개가 아래로 처져 있을 시 통기로가 막히지 않도록 변기의 통기로 하부에 경사를 두어 적정깊이를 유지시켜 줌으로서 통기로 상에 고여 있던 물이 미세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됨으로서 고무덮개 하부로 통기로가 형성되는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좌변기의 구조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좌변기 구조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좌변기 배수통로 단면도이고, 도4는 수로의 통기 시스템의 구조 상세도를 도시하였으며, 도면의 부호는 수조(1), 레버(2), 고무덮개(3,3'), 배수구(4), 배수통로(5), 통기구(6), 통기호스(7), 경사면(8), 배출공(9), 통기파이프(10), 천장배기구(11), 통기관(12), 무동력팬(13), 미세배수구(14)임을 알 수 있다.
도1은 천장에 천장배기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장배기구(11)는 통기관(12)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관(12)은 통기파이프(10)와 연결되고, 상기통기파이프(10) 상부는 건물의 옥상으로 노출되어 끝단에 무동력팬(13)이 설치되어있는 화장실 내부에 설치하는 종래의 좌변기의 구조로서, 이용자가 용변을 본 후, 수조(1)의 외부에 부착된 레버(2)를 당기면 연결된 줄에 의하여 배수구(4)를 닫고있던 고무덮개(3)를 들어올려 물이 일시에 배수구(4)를 통하여 변기에 배수통로(5)로 유입되어 변기의 타원형으로 형성된 배수통로(5)를 통하여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배출공(9)으로 내려와 용변과 함께 씻겨 내려가도록 되어 있는 것이며,
도2는 본 고안의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로서, 이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수 있도록 수조(1)의 외부에 레버(2)를 부착시키고, 상기 레버(2)와 줄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수조(1)의 내부의 하단에 1회용의 물이 내려간 후, 닫히도록 고무덮개(3)가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덮개(3)의 하부에 배수구(4)를 형성하고, 닫고 있던 고무덮개(3)를 들어올려 물이 일시에 배수구(4)를 통하여 변기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9)으로 배출시키도록 배수통로(5)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배수통로(5)의 후방에는 상부를 향하여 통기구(6)와 고무덮개(3')를 형성하고, 상기 통기구(6)는 통기파이프(10)와 연결된 통기호스(7)와 연결하며, 상기 배수통로(5)의 후방 하부에는 잔존하는 물이 배수되도록 경사면(8)과, 미세배수구(14)를 형성한 것이다.
도3은 배수통로의 단면도로서, 배수구(4)와 배출공(9)을 통하여 용변과 함께 물이 빠지고 나면 통기로의 역할을 하도록 배수통로(5)를 형성시킨 것이다.
도4는 배수통로 구조의 상세도로서 수조(1)와 변기가 연결되는 배수구(4)의 상부에 형성된 고무덮개(3)가 열리면 수조(1)에서 물이 일시에 배수통로(4)를 통하여 밀려들어와 대부분의 물은 타원형 배수통로(5)를 통하여 내려가고 일부는 후면배수통로(5)로 밀려들어와 수압의 힘으로 통기구(6) 하부에 설치되는 고무덮개(3')를 밀어 올려 통기구(6)를 막게되며 물이 빠지면서 통기로가 형성된 움푹 파여진 곳에 고인 물은 자연스럽게 미세배수구(14)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경사면(8)으로 형성하고, 배수된 후에는 고무덮개(3')가 자체의 무게로 열려져 상기 배수통로(5)와함께 통기로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수조(1)와 연결된 배수구(4)의 고무덮개(3)가 닫히면 타원형 배수통로(5)에 형성된 배출공(9)이 환기 흡입구가 되어 냄새를 흡입하여 통기로를 통하여 통기구(6)를 막도록 형성된 고무덮개(3')의 하부를 지나 통기구(6)를 통하여 통기호스(7)로 변기 내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좌변기에 통기구와 환기 시스템을 이용한 환기구조를 설치함으로서, 변기의 이용시 또는 후에 남는 용변냄새를 화장실내의 탁한 공기와 더불어 배출되게 하여 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후각적인 불쾌감을 덜어줄 수 있고, 화장실내의 청결을 항상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에 있어서, 이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수 있도록 수조(1)의 외부에 형성시킨 레버(2)와, 상기 레버(2)와 줄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수조(1)의 내부의 하단에 1회용의 물이 내려간 후, 닫히도록 힌지로 연결된 고무덮개(3)와, 상기 고무덮개(3)의 하부에 배수구(4)를 형성하고, 닫고 있던 고무덮개(3)를 들어올려 물이 일시에 배수구(4)를 통하여 변기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9)으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배수통로(5)와,
    상기 배수통로(5)의 후방에 상기 고무덮개(3)가 개방되어 물이 배수될 때 수압에 의하여 밀폐되고 물이 배수되지 않을 때는 자체의 무게로 자동 개방되어 있도록 형성한 고무덮개(3')와, 상기 고무덮개(3')의 상부를 향하여 형성된 통기구(6)와, 상기 통기구(6)와 통기파이프(10)와 연결된 통기호스(7)와, 상기 배수통로(5)의 후방 하부에는 남은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시킨 경사면(8)과, 배수시 경사면(8)에 의해 잔존하는 물을 배수시키는 미세배수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좌변기 환기구조.
KR2020000017278U 2000-06-17 2000-06-17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 KR200202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78U KR200202276Y1 (ko) 2000-06-17 2000-06-17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78U KR200202276Y1 (ko) 2000-06-17 2000-06-17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276Y1 true KR200202276Y1 (ko) 2000-11-15

Family

ID=1966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278U KR200202276Y1 (ko) 2000-06-17 2000-06-17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2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7831A1 (en) Odor-free toilet
US8060952B2 (en) Odor removal system and overflow safety system for toilets
WO2006022893A1 (en) System for venting noxious fumes from a toilet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JP2002047715A (ja) 洋式大便器の脱臭装置
KR200202276Y1 (ko)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
CN201106201Y (zh) 空气节水式除臭坐便器
CN101324082A (zh) 分排式无存水弯节水座便器
CN211948736U (zh) 一种智能马桶用的负压式防臭装置
JP2503745B2 (ja) 脱臭装置を設けた簡易水洗便器
KR200349308Y1 (ko)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200381138Y1 (ko) 좌변기 악취제거 장치
KR100450265B1 (ko) 다기능 좌변기
KR200220526Y1 (ko)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040042754A (ko) 양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20050081653A (ko)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200173540Y1 (ko) 배수관용 악취차단 슬리브
KR20180023599A (ko) 절수 및 탈취 양변기
KR200161161Y1 (ko) 화장실용 좌변기의 환기구조
KR200220241Y1 (ko) 청결 좌변기
CN2437753Y (zh) 分排式坐便器
CN2934409Y (zh) 一种用于卫生便器的密封防臭装置
JPS63107632A (ja) 簡易水洗装置
JP2500228Y2 (ja) 脱臭装置を設けた簡易水洗便器
CN2158896Y (zh) 抽水马桶除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