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129Y1 - Portab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with Anti-Slip Rubber Pad - Google Patents

Portab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with Anti-Slip Rubber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129Y1
KR200202129Y1 KR2020000007444U KR20000007444U KR200202129Y1 KR 200202129 Y1 KR200202129 Y1 KR 200202129Y1 KR 2020000007444 U KR2020000007444 U KR 2020000007444U KR 20000007444 U KR20000007444 U KR 20000007444U KR 200202129 Y1 KR200202129 Y1 KR 200202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user
rubber pad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4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이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재 filed Critical 이광재
Priority to KR2020000007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12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129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무선통신기기를 사용할 때 기기가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러짐 방지패드가 부착된 휴대용무선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an anti-slip pad that can reduce or prevent the device from slipping in a user's hand when using the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고안에 따르면, 전파를 송수신하는 장치가 구비된 핸드폰(Mobile Phone)이나 무전기, 그리고 개인휴대단말기(PDA) 같은 휴대용무선통신기기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손으로 잡을 때 사용자의 손과 각 기기가 밀접하게 접하게 되는 중요 부위에 각 기기의 크기와 모양에 알맞은 고무재질성격의 패드를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기기를 사용할 때 고무재질성격의 패드로 인해 손과 기기간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사용중 기기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시 부드러운 촉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폴더형 휴대용무선통신 기기의 경우 미끄러짐 현상 방지에 추가하여 기기의 열고 닫음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holds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walkie talki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equipped with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the user's hand and each device By attaching rubber material pads suitable for the size and shape of each device to the important parts that are in close contact, the rubber material pads increase the friction between hands and devices when the user uses the device. Can significantly reduce or prevent phenomena and make the user feel a soft touch.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olding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addition to preventing slippage, an effect of facilita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evice can be obtained.

Description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가 부착된 휴대용무선통신기기{Portab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with Anti-Slip Rubber Pad}Portab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with Anti-Slip Rubber Pads

본 고안은 휴대용 무선통신기기를 사용할 때 기기가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가 부착된 휴대용무선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an anti-slip rubber pad that can reduce or prevent the device from slipping in the user's hand when using the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최근 핸드폰, 개인휴대단말기 등 휴대용무선통신기기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점차 경량화, 소형화 되고 있으며, 향후 대부분의 정보통신기기들도 더욱더 소형 경량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다 보니 기기를 휴대하기는 보다 더 간편해진 반면, 과거 커다란 기기에 비해서 사용중 손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빈도가 높아졌다.Recently,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personal handheld terminals are becoming lighter and smaller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ost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re expected to become smaller and lighter in the future. This makes it easier to carry the device, but it is more likely to slip out of the hand during use than in the past.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핸드폰 등 휴대용무선통신기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기의 외장 케이스 측면 부위의 일부분이 굴곡처리 되어 있거나 또는 아무런 장치가 되어 있지 않다. 아무런 장치가 되어 있지 않은 기기는 사용중 견고하게 잡기 어려우며, 양 측면의 일부분을 굴곡처리한 기기도 기기의 외장 재질을 그대로 사용하여 굴곡처리 되어 있어 미끄러짐 현상을 충분히 방지하기 어렵다.In general,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is not bent or provided with a portion of a side portion of the exterior case of the device to prevent slipping as shown in FIG. 1. Devices that are not equipped with any device are difficult to hold firmly during use, and devices that are curved on both sides of the device are also bent using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device, making it difficult to sufficiently prevent slippage.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의 사용중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거나 줄이는 데 있으며, 그로 인해 기기가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거나 고장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고, 사용자가 기기를 견고하게 쥘 수 있게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폴더형 기기에 있어서는 추가적으로 기기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용이성을 높이는 목적도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or reduce the slippage that can occur during the use of a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the device falling on the floor and causing breakage or failure, and enables the user to hold the device firmly. It is to increase convenience. In addition, the folding device also has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a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evice easily.

도 1은 휴대용무선통신기기중 핸드폰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of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핸드폰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실시 예가 적용된 핸드폰 부분확대도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mobile phone to which the embodiment is applied;

도 4는 상기 실시 예가 적용된 핸드폰 부분단면도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phone to which the embodiment is applied;

도 5는 상기 실시 예가 적용된 폴더형 핸드폰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cell phone is applied to the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핸드폰 본체 전면부 2. 핸드폰 본체 후면부1. Cell phone main unit front 2. Cell phone main unit rear

3. 밧테리 4. 안테나3. Battery 4. Antenna

5. 스트랩 6. 액정화면5. Strap 6. LCD Screen

7.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 21. 전면부 외장부분7. Anti-slip rubber pad 21. Exterior part of front part

22. 후면부 외장부분 31. 무선통신기기 외장부분22. Exterior of rear panel 31. Exterior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고안에 따르면, 각종 휴대용무선통신기기의 사용중 미끄러짐 현상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각 기기를 손으로 쥐었을때 사용자의 손과 밀접하게 접하게 되는 기기의 중요 부위에 고무재질로 된 패드를 부착하는 것이다. 미끄러짐 방지 고무 패드(7)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천연고무(Natural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SR(Silicon Rubber) 등과 같은 고무재질로 만들어야 하며, 마찰강도를 높이기 위해 코르크(Cork)가 첨가된 코르크러버(Cork Rubber) 종류를 원재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무재질 성격의 패드는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기존에 미끄러짐 현상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해 단순히 기기 측면의 일부 표면을 거칠게 하거나 표면에 굴곡을 주는 것과는 달리 미끄러짐 현상을 현저하게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상 촉감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적용한 무선통신 기기의 한 예로써 미끄러짐 혀상을 방지하기 위해 핸드폰 본체 후면부(2)의 측면 일부분에 굴곡(12)을 준 경우를 나타낸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or prevent slippage during use of various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 pad made of rubber material is placed on an important part of the devi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and when the user grips each device. To attach. The anti-slip rubber pad (7) should be made of rubber materials such as natural butadiene rubber (CR), chloroprene rubber (CR), silicon rubber (SR), etc. to prevent slipping. Cork rubber added may be used as a raw material. This rubber pad is characterized by significantly reducing or preventing slippage, as shown in FIG. 1, in contrast to merely roughening or bending a surface of a part of the side of the device in order to reduce or prevent the slippage. It also has the effect of softening the touch. For reference, FIG. 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bend 12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body 2 in order to prevent a slipping tongue as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첨부 도면의 경우 여러종류의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중 하나인 핸드폰(Mobile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For referen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mobile phone, which is one of several types of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s an example.

도 2는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중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가 부착된 핸드폰을 도시한 것으로써, 핸드폰 본체 전면부(1)와 후면부(2)가 결합되는 핸드폰 측면부위에 고무재질 성격의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부착한 것이다. 이경우, 미끄러짐 방지고무패드(7)의 크기와 모양은 각 무선통신기기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다르며, 미끄러짐 방지패드(7)가 부착되는 위치도 각 기기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서 사용자의 손과 밀접하게 접하게 되는 부위가 다르므로 기기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하였을(쥐었을) 때, 손가락이나 또는 손바닥 중 일부분이 기기와 밀접하게 또는 강하게 접하게 되는 부위에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부착하는 것으로써, 기기의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도 부착할 수 있으며, 전면부에만 또는 후면부에만, 그리고 양면 모두에도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측면에 하나의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부착할 수도 있으며, 기기의 전면부(1)와 후면부(2)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서 또는 사용자의 손과 밀접하게 접하게 되는 부위에 따라 하나의 측면에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부착할 수도 있다.Figure 2 shows a mobile phone with a non-slip rubber pad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rubber material on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body that the mobile phone body front part 1 and the rear part 2 is coupled The anti-slip rubber pad 7 is attached. In this case, the size and shape of the anti-slip rubber pad (7) depends 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osition where the anti-slip pad (7) is attached also closely with the user's han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each device. Since the parts to be touched are different, they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quipment.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grips (holds) the hand to use the device, the anti-slip rubber pad 7 is attached to the part where the finger or the palm is in close or strong contact with the device. It can also be attach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car, and can be attached only to the front or back and both sides. In addition, one anti-slip rubber pad 7 may be attached to one side, and in order to secure 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part 1 and the rear part 2 of the device, or depending on the part closely contacted with the user's hand. The anti-slip rubber pad 7 may be attached to one side in several parts.

핸드폰의 경우 사용자가 핸드폰을 사용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하였을(쥐었을) 때 사용자의 손과 밀접하게 접하게 되는 기기의 중요 부위는, 사용자 왼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밀접하게 접하는 기기의 왼쪽 측면과 왼쪽손의 검지,중지,약지 손가락과 밀접하게 접하는 기기의 오른쪽 측면이 될 것이다. 따라서 미끄러짐 방지 패드가 부착되게 되는 중요부위는 기기의 양쪽 측면이 되며, 그 부위에 패드를 부착하면 된다. 이를 그림에서 보면 도 2와 같은데, 도 2와 같은 모양을 한 핸드폰의 경우 사용자의 손과 밀접하게 접하게 되는 양 측면에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부착하는 것이다. 개인휴대단말기(PDA)의 경우를 예로 들면, 직사각형 모양의 기기 (가로 7cm X 세로 10cm X 높이 1.5 cm)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기기를 왼쪽 손바닥 위에 올려 놓고 기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왼쪽손의 손가락을 이용해 기기를 파지하게(쥐게) 된다. 그리고 오른쪽 손을 이용하여 기기를 조작한다. 이경우, 기기와 밀접하게 접하게 되는 중요 부위, 즉 미끄러짐 방지 패드(7)가 부착되게 되는 위치는 기기를 파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부분으로써 사용자의 왼쪽 손가락들과 접하게 되는 좌우측 측면과 손바닥과 접하게 되는 밑면의 일부분이 될 것이다.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an important part of the devi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and when the user grips (holds) the hand to use the phone is the left side and the left hand of the devi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umb of the user's left hand.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and ring finger will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device. Therefore, the important area to which the anti-slip pad is to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device, the pad can be attached to the area. This is the same as in Figure 2,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having the shape as shown in Figure 2 is to attach the anti-slip rubber pad 7 on both side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and. For example, with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when using a rectangular device (7cm wide x 10cm wide x 1.5cm high), users typically place the device on the left palm and place it on the left side to secure the device The fingers of the hand are used to hold the device. Then operate the device using your right hand. In this case, an important area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evice, that is, a position at which the anti-slip pad 7 is attached, is a part where the user applies a force to grip the device, and is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palm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user's left fingers. Will be part of the bas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가 핸드폰에 부착된 부분을 확대한 모양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는 핸드폰 본체 전면부(1)와 후면부(2)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핸드폰 본체 전면부(1)와 후면부(2)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측면 전체의 길이보다 짧은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부착함으로써, 나머지 핸드폰 본체 전면부(1)와 후면부(2)가 만나는 부분은 기존의 무선통신기기와 같이 양부분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3 shows an enlarged shape of the anti-slip rubber pad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As shown in FIG. 3, the anti-slip rubber pad 7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body 1 and the rear part 2 of the mobile phone body, and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body front part 1 and the rear part 2 is firmly coupled. By attaching a non-slip rubber pad (7)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 and the rear portion (2) can be used to secure the coupling of the two parts, such as a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무선통신기기의 전면부(1)와 후면부(2) 사이에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 장착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도4의 4a와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4a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부착하는 경우로,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가 끼워져 부착될 수 있도록 무선통신기기의 전면부 외장부분(21)과 후면부 외장부분(22)에 알맞은 크기의 홈을 만든다. 그리고 나서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와 접하게 되는 부분에 접착제를 발라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핸드폰에 고정, 부착시킨다. 4b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로,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가 끼워져 부착될 수 있도록 무선통신기기의 전면부 외장부분(21)과 후면부 외장부분(22)에 알맞은 크기의 홈을 만든다. 그리고 나서,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사이에 끼운 후 전면부 외장부분(21)과 후면부 외장부분(22)을 결합하면 된다. 이 경우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의 모양은 도 4의 4d에서 도시된 것과 같다. 4d는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점선으로 구분된 하단부(72)의 아래부분을 윗부분보다 다소 크게 만들어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가 기기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도 4의 4d에서 도시된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는 적용 가능한 모양의 한 예이며, 각 기기의 모양과 특성에 따라 상단부(71)와 하단부(2) 또는 전체 모양이 바뀔 수 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mounting the anti-slip rubber pad 7 between the front part 1 and the rear part 2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shown in FIGS. 4A and 4B. 4a is a case where the anti-slip rubber pad 7 is attached by using an adhesive. The anti-slip rubber pad 7 is inserted into and attached to the front exterior part 21 and the rear exterior part 22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ke a groove of the right size. Then, an adhesive is applied to a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lip prevention rubber pad 7 to fix and attach the slip prevention rubber pad 7 to the mobile phone. 4b is a case in which no adhesive is used, and grooves of a suitable size are formed in the front exterior part 21 and the rear exterior part 22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o that the anti-slip rubber pad 7 can be inserted and attached. Then, after sandwiching the anti-slip rubber pad 7, the front outer portion 21 and the rear outer portion 22 may be combined.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anti-slip rubber pad 7 is as shown in 4d of FIG. 4. 4d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i-slip rubber pad 7, which makes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72 separated by a dotted line slightly larger than the upper part so that the anti-slip rubber pad 7 does not fall out of the device. Of course, the anti-slip rubber pad 7 shown in 4d of FIG. 4 is an example of an applicable shape, and the upper end 71 and the lower end 2 or the overall shap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device.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는 무선통신기기의 전면부(1)와 후면부(2)의 결합성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또는 각종 기기의 모양과 특성에 따라 전면부 외장부분(21)과 후면부 외장부분(22)이 접하는 부분이 아닌 전면부 외장부분(21)이나 후면부 외장부분(22)만에도 부착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통신기기가 전면부와 후면부로 분할되어 있지 않은 일체형 기기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손과 밀접하게 접하게 되는 부위에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한 부착예는 도 4의 4c에 도시된 것과 같다. 이경우 무선통신기기 외장부분(31)에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가 부착될 만한 크기의 홈을 만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미끄럼 방지패드의 하단부(72)의 아래부분을 위부분보다 크게 만들어 무선통신기기 외장부분(31)에 만들어진 홈에 끼워넣어 부착할 수도 있다.The anti-slip rubber pad 7 is used to secure 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part 1 and the rear part 2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r according to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devices.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o only the front exterior part 21 or the rear exterior part 22 instead of the part in contact with 22).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n integrated device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not divided into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the anti-slip rubber pad 7 may be attached to the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and. In this case, the preferred attachment example is as shown in 4c of FIG. 4. In this case, a groove sized to attach the anti-slip rubber pad 7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xterior part 31 may be made and attached using an adhesive, or the bottom of the lower portion 72 of the anti-slip pad without using the adhesive. The part may be made larger than the upper part and inserted into a groove made in the external part 31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도 5는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폴더형 기기에 실시한 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기기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다.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lip resistant rubber pad 7 is implemented in a folding device. This prevents slipping and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device.

이러한 미끄럼 방지용 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핸드폰이나 무전기 뿐만 아니라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라디오나 자동차 도난 경보기 같은 리모콘(remote controller) 그리고 개인휴대단말기(PDA) 등과 같이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These non-slip pads are not only mobile phones or walkie-talkies as described above, but also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portable notebook computers, remote controllers such as portable radios or car burglar alarm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pplicable to the device.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통신기기에 고무재질의 패드를 부착함으로써 기기의 사용중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기기가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거나 고장날 수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기기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기기 사용이 편리하며, 고무재질의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사용하므로 사용중 촉감을 부드럽게 해줄 수도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더형 무선통신기기에 본 고안을 적용할 경우 기기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잇점을 더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rubber pa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significantly reduce or prevent slippage that may occur during use of the devic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the device falling to the floor and being broken or broken. have.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hold the device firmly, the use of the device is convenient, and the rubber pad 7 can be used to soften the touch during use. 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old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s shown in FIG. 5, an advantage of easily opening and closing the device may be added.

Claims (1)

각종 휴대용무선통신기기를 사용중에 기기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해 각 기기의 모양과 크기에 알맞은 고무재질로 된 미끄러짐 방지 고무패드(7)를,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의 일부분과 기기가 가장 밀접하게 접하게 되는 또는 강하게 힘을 받게 되는 특정 부위에 홈을 파서 끼워 넣거나 또는 접착제를 발라서 부착시킨 휴대용무선통신기기.In order to significantly reduce or prevent the device from slipping from the user's hands while using various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e a rubber slip pad (7) made of rubber material suitable for the shape and size of each device.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groove is inserted or glued into a specific portion where the user's finger or palm is most closely contacted or strongly applied when the user grips the device.
KR2020000007444U 2000-03-16 2000-03-16 Portab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with Anti-Slip Rubber Pad KR20020212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444U KR200202129Y1 (en) 2000-03-16 2000-03-16 Portab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with Anti-Slip Rubber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444U KR200202129Y1 (en) 2000-03-16 2000-03-16 Portab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with Anti-Slip Rubber 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129Y1 true KR200202129Y1 (en) 2000-11-15

Family

ID=1964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444U KR200202129Y1 (en) 2000-03-16 2000-03-16 Portab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with Anti-Slip Rubber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12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7006B2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US9013863B2 (en) Protective sheath
US20120139879A1 (en) Capacitive stylus pen
US7428143B1 (en) Tablet computer palette with extended bezel
WO2002079958A3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pad
WO2002102034A1 (en) Portable radio unit
US7393149B2 (en) Compact input device for entering data
US6856792B2 (en)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50233707A1 (en) Mobile phone with health care functionality
KR20010107055A (en) portable computer standard-keyboard
KR101434896B1 (en) Mobile Phone Case for preventing slipping
WO2021213506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put system
US20040125548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202129Y1 (en) Portab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with Anti-Slip Rubber Pad
KR200187500Y1 (en) Anti-slip pad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KR101586254B1 (en) Provided the fitting finger space mobile elctronics case
EP2299661A2 (en) Electronic device for accommodating an earphone
US20090115643A1 (en) Finger-Tip Key Depress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50140643A1 (en) Pointing device
KR200413201Y1 (en) Earphone combined with stylus
JP3739961B2 (en) Small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452963Y1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s
JP2006140575A (en) Belt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KR200355628Y1 (en) A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finger pressure treatment
KR200324616Y1 (en) Hand strap for mobile and portable machine, and subsidiary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