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051Y1 - 버티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버티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051Y1
KR200202051Y1 KR2020000017818U KR20000017818U KR200202051Y1 KR 200202051 Y1 KR200202051 Y1 KR 200202051Y1 KR 2020000017818 U KR2020000017818 U KR 2020000017818U KR 20000017818 U KR20000017818 U KR 20000017818U KR 200202051 Y1 KR200202051 Y1 KR 200202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ase
blind
control means
contro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현
Original Assignee
김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3423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20003596A/ko
Application filed by 김귀현 filed Critical 김귀현
Priority to KR2020000017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0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2Travellers; Lamellae suspension stems
    • E06B9/364Operating mechanisms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창문의 상부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찬넬의 내측에는 그 외주면은 기어를 형성한 각봉이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 설치되고, 이 각봉에는 블라인드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찬넬의 일측에는 연결부재를 각봉의 길이방향으로 인입출시키는 인입출용 줄과, 블라이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개폐용 볼줄이 열결되어 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하는 로울러부재 및 회전력 전달용 로울러부재를 포함하는 컨트롤 유니트로 이루어진 버티컬 블라인드에 있어서, 그 내부가 격벽에 의해 분할되고 그 전면에는 조작스위치가 갖추어진 보호케이스와; 상기 보호케이스내측에 각각 실장되어 상기 인입출용 줄 및 개폐용 볼줄을 제어하는 제1,2제어수단과; 상기 제1,2제어수단의 하단부에는 이들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는 외부입력수단에 대응되게 제1,2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원거리 및 직접 블라인드를 인입출 및 및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찬넬만 설치할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다. 제1,2제어수단 손상시 버티컬 블라인드 전체를 탈거시키지 않고도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교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 BLINDS}
본 고안은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양용으로 실내 유리창측에 설치되는 버티컬 블라인드를 모터의 구동으로 인입출 및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은 통상 투명한 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실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또한 햇빛이 직접 비추어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특히 하절기 등과 같이 강렬한 햇볕이 내리 쬐는 계절에는 직사광선에 의하여 실내온도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창문에는 커튼을 치기도 하지만 대부분 고층건물에서는 사용하기 편리한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 blinds)를 사용하고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트롤 유니트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식 버티컬 블라인드(10)는 설치될 창문의 상부에 수평하게 대략 'ㄷ'자형상으로 구비되어 창문의 상부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찬넬(11)과, 이 찬넬(11)의 내측에는 이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 설치되며, 그 외주면은 기어(12a)를 형성한 각봉(12)과, 이 각봉(12)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각봉(12)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블라인드(13)를 이동 및 개폐시키는 연결부재(14)와, 상기 찬넬(11)의 일측에 그 일부가 내측으로 매립되어 상기 각봉(12) 및 이의 각봉(1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된 연결부재(14)를 콘트롤 하기 위해 구비되는 콘트롤 유니트부(1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콘트롤 유니트부(15)의 조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출용 줄(16)과, 개폐용 볼줄(17)을 당김시킴으로 인해 상기 콘트롤 유니트부(15)가 조작되어 각각 연결부재(14)를 각봉(12)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아울러 각봉(12)을 회전시켜 이에 연결된 연결부재(14)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콘트롤 유니트부(15)를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콘트롤 유니트부(15)는 일측에 인입출용 줄이(16) 권취되는 한쌍의 로울러부재(18)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은 그 내측에 기어부(19)가 형성된 관통홀(20)을 갖추어 찬넬(11)에 나사고정되는 보호케이스(21)와, 상기 관통홀(20)의 기어부(19)에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감속기어부(22)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단은 찬넬(11)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각봉(12)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각봉(12)을 회전시키도록 홈부(23)가 형성되고, 타단은 후술할 회전력전달용 로울러부재(26)의 일단을 삽입시키도록 삽입홈(24)이 형성된 감속부재(25)와, 상기 감속부재(25)의 삽입홈(24)측으로 삽입되어 그 일단이 감속기어부(22)와 물림되는 전달편(26a)이 갖추어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개폐용 볼줄(17)을 권취시키도록 개폐용 볼줄(17)에 구비된 볼(17a)에 대응되게 요홈(26b)이 형성된 회전력전달용 로울러부재(26)로 이루어진다.
한편, 미설명부호 '27'은 인입출용 줄(16)을 팽창시키기 위한 웨이트부재이고, 또한 '28'은 개폐용 볼줄(17)의 각 일단을 이음시키는 플라스틸재질의 사출물로 성형된 이음부재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수동식 버티컬 블라인드(10)를 설치용 창문의 상단에 고정설치한 후, 이를 사용하고자 한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웨이트부재(27)와 콘트롤 유니트(15)의 보호케이스(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한쌍의 로울러부재(18) 권취되고 아울러, 각 일단은 찬넬(11)의 선단에 구비된 연결부재(14)의 연결되어 있는 인입출용 줄(16)을 당기면 연결부재(14)는 찬넬(11)의 길이방향으로 그 내측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각봉(12)을 따라 이의 길이방향으로 인출 즉, 펼쳐지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부재(14)의 일단에 구비된 블라인드(13)의 각도를 사용자의 소망하는 각도로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는 개폐용 볼줄(17)을 당기면 이의 볼(17a)이 삽입되도록 요홈(26b)이 형성된 회전력전달용 로울러부재(26)가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력전달용 로울러부재(26)의 회전으로 이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된 전달편(26a)이 보호케이스(21)의 관통홀(20) 내측에 형성된 기어부(19)와 그 외주면에 구비된 감속기어부(22)가 회전가능하게 물림된 감속부재(25)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부재(25)의 회전으로 이의 일단에 형성된 홈부(23)에 삽입고정된 각봉(12)이 회전하게 된다.
이의 각봉(12)의 회전으로 이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연결부재(14)가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이의 일단에 연결되는 블라인드(13)가 회전하여 창문을 폐쇄 즉, 실내가 보이지 않고 햇볕의 유입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13)는 개폐용 볼줄(17)에 구비된 이음부재(28)에 의해 이를 기준으로 각 방향 90°씩 개폐되어 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수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는 블라인드를 인,입출 및 개폐시키고자 할 경우, 인입출용 줄, 개폐용 볼줄을 각가 당김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소망하는 각도를 블라인드를 개폐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점이 있었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3은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수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전동식으로 블라인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30)는 구동부(31)와, 이 구동부(31)를 보호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대략 사각 형상의 보호케이스(32)와, 상기 구동부(31)의 조작에 따라 블라인드(33)를 인입출 및 개폐되도록 가이드하는 찬넬(3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보호케이스(32) 내에 실장되는 구동부(31)는 보호케이스(32) 내측으로 그 일부가 삽입된 찬넬(34)을 기준으로 그 양단측에 블라인드(33)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미도시)를 인입출시키기 위한 인입출용 구동모터(35)가 구비되고, 이의 타측에는 연결부재를 회전시켜 블라인드(33)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용 구동모터(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인입출용 구동모터(35)의 회동축(35a)과 각도조절용 구동모터(36)의 회전축(36a)에는 각각 회전기어부(35b,36b)가 구비되며, 이들 회전기어부(35b,36b)에는 상호 물림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기 위한 전달기어부(35c,36c)가 각각 다수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5,36)들을 조작하여 연결부재의 인입출 및 회전 조작을 위한 미도시된 복수개의 조작버튼이 갖추어진 스위치가 벽에 고정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를 설치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32)와 찬넬을 설치용 창문 상단에 고정시킨다.
이후, 벽면에 고정된 연결부재의 스위치의 인출용 버튼에 대응되는 조작버튼을 조작하면 인입출용 구동모터(25)가 구동하게 되고, 이 구동은 회전축(35a)을 통하여 이에 연결된 회전기어부(35b)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에 물림연결된 전달기어부(35c)들도 일련의 동작으로 동시에 회전하여 연결부재가 인출되어 진다.
이후, 블라인드(33)를 소망하는 각도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에 대응되는 스위치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면, 각도조절용 구동모터(36)가 구동하게 되고, 이의 구동으로 회전축(36a)이 회전하게 되고, 이의 회전으로 회전기어부(36b) 및 이에 물림연결된 전달기어(36c)가 동시에 회전함으로 인해 연결부재의 각도가 조절되어 진다.
그러나 상술한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는 설치시 충분한 설치공간 즉, 보호케이스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는 설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호케이스내의 기어부 또는 전동모터의 손상시 이를 교체할 경우에는 버티컬 전체를 탈거시켜야 하므로 교체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버티컬 블라인드의 콘트롤 유니트에 권취 연결되는 인입출용 줄과, 개폐용 볼줄을 리모컨의 조작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모터로 블라인드를 인입출 및 개폐시키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손상시 교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원거리에서도 블라인드를 인입출 및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버티컬 블라인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트롤 유니트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의 보호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제1제어수단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제2제어수단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버티컬 블라인드 105 : 찬넬
110 : 각봉 115 : 블라인드
120 : 연결부재 125 : 로울러부재
130 : 회전력전달용 로울러부재 135 : 콘트롤 유니트
140 : 인입출용 줄 145 : 개폐용 볼줄
150 : 보호케이스 155 : 조작스위치
160 : 외부입력수단 165 : 전원공급부
170 : 제1제어부단 175 : 제2제어수단
180 : 콘트롤부 185 : 제1정,역구동모터
190 : 제1회전기어축 195 : 제1전달기어부
200 : 접촉용 회전부재 205 : 제2정,역구동모터
210 : 제2회전기어축 215 : 제2전달기어부
220 : 개폐용 회전부재 225 : 덮개부
230 : 연결편 235 : 입력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창문의 상부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찬넬의 내측에는 그 외주면은 기어를 형성한 각봉이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 설치되고, 이 각봉에는 블라인드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찬넬의 일측에는 연결부재를 각봉의 길이방향으로 인입출시키는 인입출용 줄과, 블라이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개폐용 볼줄이 열결되어 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하는 로울러부재 및 회전력 전달용 로울러부재를 포함하는 컨트롤 유니트로 이루어진 버티컬 블라인드에 있어서, 그 내부가 격벽에 의해 분할되고 그 전면에는 조작스위치가 갖추어진 보호케이스와; 상기 보호케이스내측에 각각 실장되어 상기 인입출용 줄 및 개폐용 볼줄을 권취시켜 이들을 제어하는 제1,2제어수단과; 상기 제1,2제어수단의 하단부에는 이들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는 외부입력수단 및 조작스위치에 대응되게 제1,2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버티컬 블라인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입력수단은 제1,2제어수단에 대응되게 버튼이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제어수단은 이분할되어 제1,2실로 이루어진 보호케이스의 제1실의 바닥면에 고정구비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정,역구동모터와, 이 제1정,역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외주면은 기어부가 형성된 제1회전기어축과, 상기 제1회전기어축에 그 양측 외주면이 물림연결되도록 기어부가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달기어부와, 상기 제1전달기어부의 기어부 사이와 접촉되어 감속회전되되, 그 외주면에는 인입출용 줄이 안착접촉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접촉용 회전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제어수단은 제2실의 바닥면에 고정구비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정,역구동모터와, 이 제2정역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외주면은 기어부가 형성된 제2회전기어축과, 상기 제2회전기어축에 그 양측 외주면이 물림연결되도록 기어부가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달기어부와, 상기 제2전달기어부의 기어부와 대응되게 물림연결되어 감속회전되되, 그 중앙부 원주면에는 개폐용 볼줄의 볼에 대응되게 요홈부가 형성된 개폐용 회전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케이스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는 건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케이스의 상부측에는 이의 보호케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양측면에는 인입출용 줄 및 개폐용 볼줄을 인입출시키도록 홈이 형성된 덮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용 볼줄은 탄성을 갖는 러버재질의 연결편에 의해 연결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전동시 버티컬 블라인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버티컬 블라인드(100)는 창문의 상부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찬넬(105)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각봉(110)에 블라인드(115)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120)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찬넬(105)의 일측에는 각봉(110)을 회전시키고 아울러, 연결부재(120)를 인입출시키기 위한 로울러부재(125) 및 회전력전달용 로울러부재(130)가 회전가능하게 갖추어진 콘트롤 유니트(13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 유니트(135)는 인입출용 줄(140) 및 개폐용 볼줄(145)에 의해 조작되되, 상기 인입출용 줄(140) 및 개폐용 볼줄(145)은 보호케이스(150)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스위치(155) 및 외부입력수단(160)에 대응되게 전원공급부(165)인 건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제1,2제어수단(170,175)에 벨트와 같이 권취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버티컬 블라인드(100)는 보호케이스(15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155)의 조작 혹은 외부입력수단(160)인 리모트 컨트롤의 조작에 대응되게 제1,2제어수단(170,175)이 구동하게 되고, 이의 구동으로 인입출용 줄(140) 및 개폐용 볼줄(145)을 제어하므로 인해 블라인드(115)가 인입출 및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보호케이스(150)는 그 전면에 조작스위치(155)가 구비되며, 그 내부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격벽(150a)에 의해 제1,2실(150b,150c)로 분할되고 상기 제1실(150b) 및 제2실(150c)에는 인입출용 줄(140)과 개폐용 볼줄(145)에 대응되게 제1제어수단(170) 및 제2제어수단(175)이 내설되며, 이 제1,2제어수단(170,175)의 하부에는 전원공급부(165)인 건전지가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제1,2제어수단(170,175)을 원거리에서도 제어가능도록 블라인드의 인입출 및 개폐에 대응되게 버튼이 구비된 외부입력수단(160)인 리모트 콘트롤에 대응되게 콘트롤부(180)가 실장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제어수단(170)은 전원공급부(165)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제1정,역구동모터(185)가 구비되고, 이 제1정,역구동모터(185)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외주면은 기어부(190a)가 형성된 제1회전기어축(190)이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기어축(190)에 그 양측 외주면이 물림되어 회전되도록 기어부(195a)가 형성구비된 제1전달기어부(195)가 치합구비되며, 이 제1전달기어부(195)의 양단면에 형성된 기어부(195a)의 사이와 접촉되어 그 회전을 감속시키되, 그 외주면에는 인입출용 줄(140)이 안착접촉되도록 안착홈(200a)이 형성구비된 접촉용 회전부재(20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제어수단(175)은 보호케이스(150)의 제2실(150c)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바닥면에는 전원공급부(165)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제2정,역구동모터(205)가 구비되고, 이 제2정역구동모터(20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그 외주면은 기어부(210a)가 형성된 제2회전기어축(210)과, 상기 제2회전기어축(210)에 그 양단 외주면이 물림되는 기어부(215a)가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달기어부(215)와, 상기 제2전달기어부(215)의 기어부(215a)와 대응되게 물림되도록 감속회전시키도록 그 양단 외주면에는 기어부(220a)가 형성되고, 아울러 중앙부에는 개폐용 볼줄(145)에 대응되게 요홈부(220b)가 형성된 개폐용 회전부재(2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보호케이스(150)의 상부측에는 이의 보호케이스(150)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양측면에는 인입출용 줄(140) 및 개폐용 볼줄(145)을 인입출시키도록 홈(225a)이 형성된 덮개부(22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개폐용 볼줄(145)은 탄성을 갖는 러버재질의 연결편(230)에 의해 연결구비된다.
미설명부호 '235 '는 리모트콘트롤의 입력부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를 설치용 창문에 상단에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보호케이스(150)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스위치(155)중 연결부재(120)의 인출에 대응된 조작스위치(155)를 조작하면, 전원공급부(165) 즉, 건전지로부터 보호케이스(150)의 제1실(155b)에 구비된 제1제어수단(170)의 제1정,역구동모터(185)로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제1정,역구동모터(185)는 정방향 구동하여 제1회전기어축(19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기어축(190)의 회전으로 이의 기어부(190a)에 그 양단에 형성된 기어부(195a)가 물림된 제1전달기어부(195)가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전달기어부(195)의 기어부(195a) 사이와 그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200a)에 인입출용 줄(140)이 안착권취된 회전부재(205)가 일련의 동작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인입출용 줄(150)이 감김 즉, 보호케이스(150)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부(225)의 홈(225a)측으로 유입 및 유출되고 이로 인하여 찬넬(105) 내측에 구비되고 일단에 블라인드(115)가 연결된 연결부재(120)가 각봉(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된다.
이후, 상기 블라인드(115)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게 보호케이스(150)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155)를 조작하면 보호케이스(150)의 하단부에 구비된 전원공급부(165)로부터 제2실(150b)에 구비된 제2제어수단(175)의 제2정,역구동모터(205)로 전원이 인가되고 이의 제2정,역구동모터(205)는 정방향 구동하게 된다.
상기 제2정,역구동모터(205)의 정방향 구동으로 인해 이에 연결된 제2회전기어축(210)이 회전하고, 이의 기어부(210a)에 그 양단에 형성된 기어부(215a)가 물림된 제2전달기어부(215)가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전달기어부(215)의 기어부(215a)와 물림된 기어부(220a)에 의해 개폐용 회전부재(220)가 일련의 동작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개폐용 회전부재(220)의 회전에 따라 이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부(220b)에 개폐용 볼줄(145)이 감김 즉, 덮개부(225)의 홈(225a)측으로 유입 및 유출되고, 이로 인해 찬넬(105)의 내측에 구비된 각봉(110)이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에 대응되게 연결부재(120)도 회전하게 된다.
연결부재(120)의 회전으로 인해 이의 일단에 구비된 블라인드(115)도 회전하게되고 이때 조작스위치(155)의 조작을 멈춤시키면 즉, 오프시키면 전원이 차단되어 제2정역구동모터(205)가 정지하게 되면서 간편하게 창문을 폐쇄시켜 실내가 보이지 않고 햇볕의 유입을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블라인드(115)가 펼쳐진 상태에서 동작 전의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보호케이스(16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170)중 입인출시킬 때와 반대되는 조작스위치(155)를 조작하면 제1정,역구동모터(185) 역구동하게되고 이로 인하여 연결부재(120)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며 이후 블라인드(115)이 각도를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 이에 대응되는 조작스위치(155)를 누르면 제2정역구동모터(205)가 역구동하게된다. 따라서 블라인드(115)는 최초의 각도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거리에서 블라인드를 조작하고자 할 경우 이에 대응되는 외부입력수단(160) 즉, 리모트 콘트롤를(160)의 전면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면 이 신호값은 보호케이스(150)의 전면 하단부에 구비된 입력부(235)측으로 그 입력신호가 입력되고 이 입력신호에 대응되게 콘트롤부(180)는 제1정역구동모터(185)측으로 전원을 인가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보호케이스(15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155)의 조작과 동일하게 제1정,역구동모터(185)가 구동하게 되고 따라서 블라인드(115)가 인출되게 된다.
이후 인출된 블라인드(185)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이에 대응되는 리모트 콘트롤(160)의 버튼을 누르면 입력부(235)측으로 그 입력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입력신호에 대응되게 콘트롤부(180)는 전원공급부(165)로부터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로 인해 블라인드(115)는 각도가 조절되어 진다.
따라서 블라인드를 설치 즉, 인입출시켜 개폐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보호케이스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거나 혹은 리모트 콘트롤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조작하기만 하면 블라인드를 간편하게 인입출 및 개폐시킬 수 있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호케이스의 조작스위치 및 원거리조작가능한 리모트 콘트롤의 조작에 대응되게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2정역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1,2제어수단에 의해 원거리 및 직접 블라인드를 인입출 및 및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찬넬만 설치할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제어수단 손상시 버티컬 블라인드 전체를 탈거시키지 않고도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교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종래에 구비하고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의 인입출용 줄 및 개폐용 볼줄에 제1,2제어수단이 내설된 보호케이스를 상호 연결시키면 되므로 모든 버티컬 블라이드에 호환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창문의 상부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찬넬의 내측에는 그 외주면은 기어를 형성한 각봉이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 설치되고, 이 각봉에는 블라인드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찬넬의 일측에는 연결부재를 각봉의 길이방향으로 인입출시키는 인입출용 줄과, 블라이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개폐용 볼줄이 열결되어 이의 조작에 대응되게 회전하는 로울러부재 및 회전력 전달용 로울러부재를 포함하는 컨트롤 유니트로 이루어진 버티컬 블라인드에 있어서,
    그 내부가 격벽에 의해 분할되고 그 전면에는 조작스위치가 갖추어진 보호케이스와;
    상기 보호케이스내측에 각각 실장되어 상기 인입출용 줄 및 개폐용 볼줄을 제어하는 제1,2제어수단과;
    상기 제1,2제어수단의 하단부에는 이들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는 외부입력수단에 대응되게 제1,2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버티컬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입력수단은 블라인드이 인입출 및 개폐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버튼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수단은 이분할되어 제1,2실로 이루어진 보호케이스의 제1실의 바닥면에 고정구비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정,역구동모터와, 이 제1정,역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외주면은 기어부가 형성된 제1회전기어축과, 상기 제1회전기어축에 그 양측 외주면이 물림연결되도록 기어부가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달기어부와, 상기 제1전달기어부의 기어부 사이와 접촉되어 감속회전되되, 그 외주면에는 인입출용 줄이 안착접촉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접촉용 회전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수단은 제2실의 바닥면에 고정구비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정,역구동모터와, 이 제2정역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외주면은 기어부가 형성된 제2회전기어축과, 상기 제2회전기어축에 그 양측 외주면이 물림연결되도록 기어부가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달기어부와, 상기 제2전달기어부의 기어부와 대응되게 물림연결되어 감속회전되되, 그 중앙부 원주면에는 개폐용 볼줄의 볼에 대응되게 요홈부가 형성된 개폐용 회전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는 건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의 상부측에는 이의 보호케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양측면에는 인입출용 줄 및 개폐용 볼줄을 인입출시키도록 홈이 형성된 덮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볼줄은 탄성을 갖는 러버재질의 연결편에 의해 연결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
KR2020000017818U 2000-06-21 2000-06-22 버티컬 블라인드 KR200202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818U KR200202051Y1 (ko) 2000-06-21 2000-06-22 버티컬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234A KR20020003596A (ko) 2000-06-21 2000-06-21 버티컬 블라인드
KR2020000017818U KR200202051Y1 (ko) 2000-06-21 2000-06-22 버티컬 블라인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234A Division KR20020003596A (ko) 2000-06-21 2000-06-21 버티컬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051Y1 true KR200202051Y1 (ko) 2000-11-01

Family

ID=2663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818U KR200202051Y1 (ko) 2000-06-21 2000-06-22 버티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0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695A (ko) * 2001-03-02 2002-09-11 김지웅 버티칼브라인드의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695A (ko) * 2001-03-02 2002-09-11 김지웅 버티칼브라인드의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8131B1 (en) Motorized shutter assembly
JP3201528U (ja) 電動ロールスクリーン省エネ補助装置
US6062290A (en) Photocell mounting apparatus for vertical blinds
US4896713A (en) Drive unit for a vertical blind or the like and vertical blind utilizing same
US10227822B2 (en) Home-automation equipment for closure or solar protection and method for recharging a battery for such equipment
KR101060499B1 (ko) 창문개폐장치
KR200202051Y1 (ko) 버티컬 블라인드
KR20020003596A (ko) 버티컬 블라인드
CN213928117U (zh) 一种感应伸缩式防火卷帘收口装置
KR200385952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CN212563031U (zh) 一种智能中空百叶玻璃
JP5875281B2 (ja) 開閉装置
KR20180051962A (ko) 실내 조도 및 온도 조절이 용이한 차양 시스템
JP3709280B2 (ja) 建物用シャッタ
KR20080004754A (ko)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발코니 도어
KR200288756Y1 (ko) 반투과성커튼을 구비한 이중커튼
KR200256755Y1 (ko) 블라인드의 분리형 자동개폐장치
CN113062685A (zh) 节能环保塑钢门窗及其安装方法
KR101442124B1 (ko) 슬라이드 블럭형 발코니 블라인드
WO2020106207A1 (en) Motorized window cover device with solar cells arranged at a wand, and a wand comprising solar cells
KR100477830B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CN214886725U (zh) 遥控式电动中空玻璃内置百叶窗
KR200288751Y1 (ko) 양방향 권취형 롤브라인드
KR20100096703A (ko) 천정 블라인더
KR200310630Y1 (ko) 미닫이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