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932Y1 - 가압 부상식 침전지 - Google Patents

가압 부상식 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932Y1
KR200201932Y1 KR2020000013784U KR20000013784U KR200201932Y1 KR 200201932 Y1 KR200201932 Y1 KR 200201932Y1 KR 2020000013784 U KR2020000013784 U KR 2020000013784U KR 20000013784 U KR20000013784 U KR 20000013784U KR 200201932 Y1 KR200201932 Y1 KR 200201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dimentation basin
floating
water
flo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제
Original Assignee
일신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신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신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3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27Floating sediment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응결된 불순물인 플록(FLOCK)(또는 슬러지)등을 포함하는 혼합수(또는 응결수)를 정수하는 침전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침전지에서의 정수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정수율이 향상되어 여과지의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서 역세척 작업의 주기를 연장시키도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침전지(1)의 내측으로 체류조(10), 2단 부상조(20)(30), 탱크설치조(40) 및, 수위조정조(2)를 형성하고 혼합수가 흐르도록 침전지 유입구(1a)에서 부터 순차로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격벽부재(50);와, 상기 부상조(20)의 하부에 혼합수내의 플록(F)을 부상토록 설치되는 플록 부상수단(60);과, 상기 2단 부상조(20)(30)의 상측으로 부상된 플록(F)을 제거토록 설치되는 플록 제거수단(70); 및, 상기 부상조(30)에 인접한 탱크설치조(40)의 하부에 혼합수의 플록이 제거된 상태의 처리수의 통과가 가능토록 설치되는 베이스부재(82)상에 플록(F)을 수집토록 장착되는 수집탱크(80);로서 구성되는 가압 부상식 침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압 부상식 침전지{PRESSURE FLOATING TYPE SETTLING POND}
본 고안은 정수시 응결된 불순물인 플록(FLOCK) 또는 슬러지등을 포함하는 혼합수를 정수하는 침전지(SETTLING POND)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혼화지 및 플록 형성지에서 응결작업을 거쳐 응결된 불순물인 플록(FLOCK)을 포함하는 혼합수가 부상조내에 설치된 가압수 분사노즐에서 방출되는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된 후, 스키머로서 부상조에 근접하여 설치된 슬러지 탱크에 수집됨으로써, 정수시간이 극히 단축되는 것은 물론, 특히 정수율이 향상되어 침전지의 수위조정조를 통한후의 여과지 사용기간이 상당히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가압 부상식 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수공정은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착수정(110)에서 원수를 착수하는 착수공정과, 착수정(110)을 경유하여 약품혼화지 (120)로 이송된 원수를 응집제로서 혼화시키는 응집제의 혼화공정과, 그 다음 플록형성지(130)로 이송된 혼합수에 미세한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여 응결된 불순물의 혼합체인 플록(FLOCK)을 형성하는 공정과, 그 디음 침전지(100)로 이송된후 무거운 플록(F)들을 하부로 침전시키는 침전공정 및, 침전지(100)를 경유하여 여과지(140)로 이송된 비교적 가벼운 플록(F)들을 여과하는 여과공정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이러한 정수공정에 관련한 종래의 침전지(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 또는 원통형으로 된 구조물이지만, 통상적으로 장방형으로 된 침전지(100)를 사용하며, 상당량의 혼합수를 저장하여 플록(FLOCK)들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상당한 크기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는데, 간혹 필요에 따라서는 철구조물을 사용하기도 하며 침전지(100)의 저면을 경사지게 설치하기도 한다.
따라서, 혼화지(120) 및 플록형성지(130)에서 응집되어 이송된 플록(FLOCK)중 대부분의 무거운 입자로 응결된 플록(F)들은 침전지(100)을 체류하는 동안 침전지(100)의 하부에 침전되는데, 예를 들어 흙탕물이 침전지(100)에서 침전과정을 거치면 흙성분은 침전지(100) 바닥에 가라앉는 것과 같으며, 이후 미세한 플록만을 포함하는 처리수가 침전지(100)를 경유하여 여과지(140)를 통하면서 여과되는데, 이와 같은 침전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침전지(100)의 전공정인 혼화지(120)와 플록형성지(130)에서 무거운 입자의 플록을 형성하기 위한 완전한 응결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전지(100)에 있어서는, 단순히 침전지(100)를 흐르는 동안에 플록(F)들이 침전지(100) 하부로 침전되도록 함으로써, 침전지(100)내에서의 유속을 빠르게 하면 침전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가 있어 통상 침전지(100)에서의 체류시간을 1.5 - 2시간정도로 유지시켜야 하고, 이는 결국 상당한 침전시간이 소요되어 전체 정수공정이 상당히 길게 되는 것이다.
특히, 실제 정수작업시에 유입되는 혼합수의 양이 많은 경우, 침전지(100)에서의 완전한 플록 침전이 어렵게 되는데, 예를 들어 10시간의 침전시간이 필요하다면 통상 5 - 7 시간 정도만 침전과정을 거친후, 다음의 여과지(140)로 넘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여과지(140)에서의 여과부분이 완전히 침전되지 않은 큰 입자의 플록들로서 손쉽게 막히게 되고, 이와 같은 여과지(140)의 막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과지(140)를 세척하는 역세척작업이 필요하며, 조류의 발생등으로 인하여 종래 침전지(100)에서 원수의 수질이 상당히 악화되는 경우에는 하루에도 3-4번 정도 여과지(140)의 역세척 작업이 필요한 번거로운 작업을 초래하는 것이다.
결국, 종래의 침전지(100) 만으로는 완벽한 정수처리를 위하여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여과지(140)의 막힘으로 인한 반복적인 역세척작업이 필요하며, 여과지(140)의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여과지(140) 교체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발생이 있는 한편, 전체 정수작업의 가동율 또는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침전지에 유입되는 플록들의 상당부분을 침전공정을 거치기 전에 부상시키어 제거함으로써, 침전지에서의 체류시간이 단축되어 전체 정수처리능력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가압 부상식 침전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수처리능력의 향상으로 기존의 침전지에 비하여 용적율이 극히 감소되어 플록 부상을 부상조 근처의 주변기기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공간이 확보되는 한편, 같은 용적율인 경우에는 정수처리능력이 상당히 높아지는 가압 부상식 침전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침전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정수능력을 향상되어 침전지를 통한 여과지의 사용기간이 상당히 연장되는 한편, 여과지의 막힘을 방지하는 여과지 역세척작업의 주기가 연장되고, 여과지 교체에 따른 비용발생이 감소되는 가압 부상식 침전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정수공정의 침전지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압 부상식 침전지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인 가압 부상식 침전지르르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인 가압 부상식 침전지의 베이스부재 및 이에 장착되는 수집탱크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인 가압 부상식 침전지의 부상수단인 디퓨져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가압 부상식 침전지를 통한 정수 흐름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침전지 2.... 수위조정조
10.... 체류조 20,30.... 2단 부상조
40.... 탱크설치조 50.... 격벽부재
60.... 부상수단 62.... 가압수 분사노즐
64.... 가압수관 66.... 메인관
70.... 플록 제거수단 72.... 구동롤
74.... 회전롤 76.... 벨트
80.... 수집탱크 82.... 베이스부재
82a.... 베이스 개구 84.... 가이드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혼화지와 플록 형성지를 경유하여 폴록을 침전시킨후 여과지로 처리수를 이송시키는 침전지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내측으로 체류조, 2단 부상조, 탱크설치조 및 수위조정조를 형성하고 혼합수가 흐르도록 침전지 유입구에서 부터 순차로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격벽부재와,
상기 부상조의 하부에 혼합수내의 플록(F)을 부상토록 설치되는 플록 부상수단과,
상기 2단 부상조의 상측으로 부상된 플록(F)을 제거토록 설치되는 제거수단 및,
상기 부상조에 인접한 탱크설치조의 하부에 처리수 통과가 가능토록 설치된 베이스부재상에 플록(F)을 수집토록 장착되는 수집탱크로서 구성되는 가압 부상식 침전지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인 가압 부상식 침전지를 도시한 정면 및 평면 구성도이고, 도 4는 가압 부상식 침전지의 베이스부재 및 이에 장착되는 수집탱크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침전지의 부상수단인 디퓨져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침전지를 통한 정수흐름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인데,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부호로서 나타낸다.
도 2 에서는 본 고안인 가압 부상식 침전지(1)의 전체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안인 침전지(1)는 크게 가압 부상방식을 위한 체류조(10), 2단 부상조(20)(30), 탱크설치조 (40) 및, 수위조정조(2)를 침전지(1)내에 형성시키기 위한 격벽부재(50)들과, 부상조(20)의 하부에 플록(F)을 수면상으로 부상토록 설치된 부상수단(60)과, 상기 부상된 플록을 제거토록 부상조(20) (30)의 상측에 설치된 플록(F) 제거수단(70) 및, 제거된 플록을 수집토록 상기 탱크설치조 (50)에 설치되는 수집탱크(80)로 나눌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4 에서는 상기 격벽부재(50)들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격벽부재(50)들은 대용량 침전지(1)가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이므로, 콘크리트 격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존의 침전지(1)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혼화지(120) 및 플록 형성지(130)를 경유한 혼합수가 유입되는 침전지 유입구(1a)측으로 부터 순차로 설치되는 4개의 격벽(50a)(50b)(50c)(50c)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50)들중 3개의 격벽(50a)(50b)(50c)들은 하측으로 혼합수 또는 플록(F)이 부상 제거된 처리수가 흐르도록 침전지(1)의 바닥에서 일정높이로 이격된 하방격벽이며, 나머지 하나의 격벽(50d)은 2단부상조(20)(30)를 이루도록 그 사이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혼합수가 흐르도록 침전지(1) 바닥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상방격벽이다.
또한, 상기 격벽(50)들이 침전지(1)내에 순차로 설치되면, 상기 침전지(1)내에는 다음에 각각의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체류조(10), 2단 부상조(20)(30), 탱크설치조(40) 및, 수위조정조(2)를 형성시키는데, 이와 같은 격벽(50)들은 추가적인 방수작업을 행할 필요는 없다.
다음, 도 2 ,3 및 도 5 에서는 정수시의 가압 부상방식을 실질적으로 가능토록 하는 상기 부상수단(6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부상수단(60)은 침전지 유입구(1a)측 부상조(20)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가압수 분사노즐(62)이 장착되는 가압수관(64)을 구비하는 디퓨져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디퓨져(50)의 가압수관(64)은 상기 침전지(1) 외측으로 설치된 메인관(66)과 연결되며, 상기 가압수관(64)은 침전지(1)의 양측벽과 바닥을 따라 일체로 신장하는 U자형상으로 형성시키어 기존의 침전지(1)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메인관(66)은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가압탱크는 가압펌프, 에어컴퓨레셔, 각종 개,폐밸브 및, 전자작동식 밸브들에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 설치되고, 적정의 압력으로 가압수를 분사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어 효율적으로 플록(F)을 부상토록 제어변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압수 분사노즐(62)은 도면에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지만, 플록(F)들간의 부착력 즉, 미세 플록(F)들이 충돌하여 부피가 큰 입자로 응결시키기 위해, 가압수 분사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분사노즐로 설치하고, 그 설치간격도 일정하게 배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2 및 도 3 에서는 상기 플록 제거수단(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플록 제거수단(70)은 상기 부상조(20)(30)의 상측으로 설치된 지지대(미도시)상에 구동토록 설치된 구동롤(72)과 공회전하는 회전롤(74)로서 궤도 운동토록 설치된 벨트(76)를 구비하는 스키머(SKIMMER)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스키머(70)는 부상조(20)(30)의 수면상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롤(72)은 회전 작동토록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구동롤(72) 및 회전롤(74)은 부상조(20)(30)의 상측으로 수평 설치된 지지대(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 에서는 상기 탱크설치조(40)의 내부에 스키머(70)로부터 제거된 플록(F)이 낙하되어 수집되는 수집탱크(80)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수집탱크(80)는 상기 탱크설치조(40)의 바닥부분에 설치된 베이스부재(82)상에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82)에는 부상조(30)의 하부 개구와 연결되어 플록(F)이 제거된 처리수가 흐르는 개구(82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탱크설치조(40)의 양측 하방격벽(50a)(50b) 하측과 일체로 통하도록 설치된다.
다음,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집탱크(80)와 인접한 부상조(20)사이에는 스키머(70)로서 제거되는 플록(F)을 수집탱크(80)에 안내하는 가이드관 (84)이 추가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수가 착수정(110)을 경유하여 약품혼화지(120)로 이송되면 정적량의 응집제를 투입 혼화시키어 원수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응결시키고, 그 다음 플록형성지(130)로 이송되어 응결된 불순물의 미세한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여 불순물 혼합체인 플록(F)으로 형성된 후, 침전지(1)의 유입구(1a)를 통하여 침전지(1)로 흐른다.
다음, 도 2 및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지(1)의 유입구(1a)측에는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향하는 하나의 하방격벽(50a)이 설치되어 혼합수가 유입되는 체류조(10)를 형성시킨후, 이를 통하여 이송되는 혼합수는 상기 격벽(50a)의 하측으로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일정량의 혼합수만이 1차적으로 체류조(10) 바닥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침전지 유입구(1a)측 하방격벽(50a)에 인접하여 침전지 바닥 (1)에 밀착된 상태에서 위로 향하는 다른 하나의 상방격벽(50d)이 설치되어 있어 하방격벽(50a)과 상방격벽(50a) 사이에 형성되는 부상조(20)의 바닥통로를 통한 혼합수는 상기 상방격벽(50d)의 상측 통로를 통하여 그 전방으로 설치된 다른 하방격벽 (50b)과 상기 상방격벽(50d)사이에 형성되는 부상조(30)내로 흐른다.
이때, 상기 체류조(10)에 인접한 일측 부상조(20)의 바닥으로 통로에 인접하여 설치된 플록 부상수단인 디퓨져(60)의 가압수관(64)에 장착된 다수의 가압수 분사노즐(62)에서는 일정압력의 가압수가 분사되어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미세기포에 의하여 결국 체류조(10)를 경유한 혼합수내의 플록(F)들은 부상조 (20)(30)의 수면위로 부상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상조(20)(30)의 상측으로 지지대(미도시)상에 설치된 스키머(70)의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동하면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롤(72) 및 회전롤(74)로서 궤도 이송하는 벨트(76)에 의하여 부상된 플록(F)들이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퓨져(60)의 가압수관(64)은 침전지(1)의 외측으로 설치된 메인관(66)에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가압수관(64)은 U 자형상으로 형성시키어 기존의 침전지(1)에도 간단하여 삽입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메인관(66)에는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가압탱크는 가압펌프, 에어컴퓨레셔, 각종 개,폐밸브 및, 전자작동식 밸브들에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가압수관(64)의 가압수 토출압력은 전체적인 비용 및 안전을 고려하여 대략 7kg/㎠ 정도가 적당하며, 또한 이러한 적정압력으로 가압수를 분사하도록 제어변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수관(64) 및 그 외주면에 일정하게 설치된 가압수 분사노즐(62)을 통하여 분사되는 가압수로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이유는 플록의 부상효율을 높이기 위해서인데, 즉 통상 기포의 부상속도는 기포의 크기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STOKE'S LAW), 초미세 기포를 발생시킬수록 기포의 부상속도는 저하되고, 이는 결국 미세입자의 플록(F)이라 할지라도 플록들간의 충돌로 인한 부착효율이 높아지면서 플록 응결성이 높아지고, 결국 플록(F)의 입자가 크게되어 혼합수내의 플록(F)이 손쉽게 부상조(20)(30)의 수면위로 부상되며, 이는 플록의 제거효율을 높이어 혼합수의 정수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디퓨져(60)의 가압수 분사노즐(62)은 가능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국 디푸져(60)의 작동용량 및 분사압력등과 같은 부상조건들은 침전지(1)의 환경에 맞도록 조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디퓨져(60)로서 부상된후 스키머(70)로서 제거되는 풀록(F)들은 상기 부상조(20)의 일측으로 설치된 수집탱크(80)측으로 가이드관(82)을 통하여 낙하 수집되어, 플록들의 수집작업도 용이하게 수행되며, 특히 종래에 침전지(100)내의 슬러지(플록)들은 침전지를 비워서 세척 및 제거하는 것에 비하여, 본 고안에서는 플록이 수집된 탱크(80)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집탱크(80)는 상기 침전지(1)의 상방격벽(50d) 일측으로 설치된 두개의 하방격벽(50b)(50c) 사이의 공간 즉, 탱크설치조(4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수집탱크(80)는 상기 격벽(50b) (50c)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82)상에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82)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개구(82a)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류조(10)와 부상조(20) 사이 통로를 경유한 혼합수는 플록(F)들이 디퓨져(60)에 방출된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 제거되면서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방격벽(50d)의 상측 통로를 경유하여 다른 두개의 하방격벽(50b)(50c)사이에 설치된 베이스부재(82)의 개구(82a)들을 통하여 수위조정조(2)측으로 이송됨으로써, 상기 부상조(20)(30)에서의 급속한 수위변화가 방지되는 것이다.
결국, 상술한 부상방식을 통하여 플록들이 제거되면, 상기 침전지(1)의 마지막부분에 형성된 수위조정조(2)를 경유하는 처리수는 여과지(140)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여과 정수되어, 결국 상기 침전지(1)를 경유한 처리수의 정수성을 극히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침전지(1)의 출구(1b)를 통하여 흐르는 처리수는 여과지(140)를 통하면서 최종적으로 정수되고, 혼합수에 포함된 90% 이상의 플록(F)들이 부상방식으로 제거된 상태에서 상당히 미세한 입자들의 플록만이 수위조정조(2)를 통하여 여과지(140)에 보내지게 되어 여과지(1)의 사용기간이 상당히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 하루에 3번 정도는 여과지(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세척작업 즉, 여과지(140)의 역세척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본 고안인 부상방식 침전지(1)에 의하면 3-4 일에 한번정도 역세척작업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특히, 조류의 발생으로 플록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플록들이 효율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실질적인 침전지(1) 출구(1b)에서의 SS(SUSPENDED SOLIDS,부유물질) 농도는 전혀 변화가 없으며, 이와 같은 부상방식의 침전지(1)는 종래에 단순히 침전만으로 정수를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혼합수의 유속을 보다 빠르게 하면서도 플록(F)의 제거성은 향상시키어 정수시간을 극히 단축시키는데, 종래에 침전시간이 1.5 - 2 시간인 반면에, 본 고안인 부상식 침전지(1) 경우에는 대략 15분정도에 불과한 것이다.
또한, 기존의 침전지(1)에 격벽(50)들을 설치한후, 간단한 디퓨저(60)와 스키머(70)를 구비하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기존 침전지(100)에도 용이하게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정수능력이 증가되어 종래의 침전지(100)보다도 작은 용적율 즉, 종래 침전지(100)의 1/6 - 1/8 정도의 침전지(1)를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동일한 용적율을 갖는 침전지(1)인 경우에는 종래 침전지(100)에 비하여 6 - 8배 만큼 증가하는 정수능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가압 부상식 침전지에 의하면, 침전지에 유입되는 혼합수중의 플록들을 침전공정 대신에 부상시키어 90% 이상 제거함으로써, 침전지에서의 체류시간이 단축되고, 정수능력은 기존에 비하여 6-8배 정도 향상시키는 동시에 , 기존 침전지에 비하여 1/6 - 1/8 정도로 용적율을 낮출수 있어 침전지의 설치공간이 극히 감소되어 주변기기를 위한 공간활용이 뛰어난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침전지의 체류시간은 단축되면서도 정수능력은 향상되어 침전공정을 거친 여과지공정의 역세척작업 주기가 크게 늘어나서 여과지의 사용기간이 3-4 일로 크게 신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더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침전지에 별도의 방수작업 없이 간단하게 시공 사용할수 있어 보다 실용적인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혼화지(120)와 플록 형성지(130)를 경유하여 폴록을 침전시킨후 여과지(140)로 여과토록 하는 침전지(1)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1)의 내측으로 체류조(10), 2단 부상조(20)(30), 탱크설치조 (40) 및, 수위조정조(2)를 형성하고 혼합수가 흐르도록 침전지 유입구(1a)에서 부터 순차로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격벽부재(50); 와,
    상기 부상조(20)의 하부에 혼합수내의 플록(F)을 부상토록 설치되는 플록 부상수단(60); 과,
    상기 2단 부상조(20)(30)의 상측으로 부상된 플록(F)을 제거토록 설치되는 제거수단(70); 및,
    상기 부상조(30)에 인접한 탱크설치조(40)의 하부에 혼합수 통과가 가능토록 설치된 베이스부재(82)상에 플록(F)을 수집토록 장착되는 수집탱크(8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식 침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50)는 하측으로 혼합수 및 처리수를 흐르도록 하는 3개의 하방격벽(50a)(50b)(50c)과 상측으로 혼합수를 흐르도록 하는 상방격벽(50d)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방격벽(50d)은 2단 부상조(20)(30)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식 침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수단(60)은,
    상기 침전지 유입구(1a)측 부상조(20)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가압수 분사노즐(62)이 장착되는 가압수관(64)을 구비하는 디퓨져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수관(64)은 침전지(1) 외측의 메인관(66)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식 침전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록 제거수단(70)은,
    상기 부상조(20)(30)의 상측으로 구동롤(72)과 회전롤(74)로서 궤도 운동토록 설치된 벨트(76)를 구비하는 스키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식 침전지
  5. 제 1항에 있어서, 수집탱크(80)와 인접한 부상조(30)사이에는 제거된 플록(F)을 탱크(80)로 안내하는 가이드관(84)이 설치되고, 상기 수집탱크(8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재(82)에는 일정량의 처리수가 통과하는 개구(82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식 침전지
KR2020000013784U 2000-05-16 2000-05-16 가압 부상식 침전지 KR200201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784U KR200201932Y1 (ko) 2000-05-16 2000-05-16 가압 부상식 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784U KR200201932Y1 (ko) 2000-05-16 2000-05-16 가압 부상식 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932Y1 true KR200201932Y1 (ko) 2000-11-01

Family

ID=1965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784U KR200201932Y1 (ko) 2000-05-16 2000-05-16 가압 부상식 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9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58B1 (ko) 2013-08-27 2014-02-14 경상북도 경주시 미세버블을 이용한 다단 격벽식 부상분리장치
CN116675317A (zh) * 2023-08-04 2023-09-01 山东辛化硅胶有限公司 一种硅胶加工废水回收处理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58B1 (ko) 2013-08-27 2014-02-14 경상북도 경주시 미세버블을 이용한 다단 격벽식 부상분리장치
WO2015030381A1 (en) * 2013-08-27 2015-03-05 Gyeongju-Si,Gyeongsangbuk-Do Partition-type floatation apparatus using fine bubbles
CN116675317A (zh) * 2023-08-04 2023-09-01 山东辛化硅胶有限公司 一种硅胶加工废水回收处理设备
CN116675317B (zh) * 2023-08-04 2023-10-24 山东辛化硅胶有限公司 一种硅胶加工废水回收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74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rification of water using combined flotation and filtration processes
US4022696A (en) Apparatus for clarification of waste water operating on dissolved air flotation process
KR101362858B1 (ko) 미세버블을 이용한 다단 격벽식 부상분리장치
RU2121981C1 (ru)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WO1994021561A1 (en) Compact clarifier system for municipal waste water treatment
KR101278958B1 (ko) 폐수처리시스템
US8431027B2 (en)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with bubble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0862367B1 (ko)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CN104291530A (zh) 一种序批式生化污水处理装置及其沉淀排水的方法
US3788477A (en) Treatment apparatus
CN1193949A (zh) 废水净化工艺
KR200201932Y1 (ko) 가압 부상식 침전지
US2342024A (en) Method of treating sewage and apparatus therefor
KR20050034105A (ko) 응집식 오폐수 정화장치
KR102352545B1 (ko) 고액분리장치
CN214457072U (zh) 沉砂沉淀装置
JP2019126760A (ja) 汚水処理システム、及び撹拌装置
PL201522B1 (pl) Sposób biologicznego oczyszczania ścieków i oczyszczalnik biologiczny ścieków
JP4248101B2 (ja) 汚水の浄化装置
US20120211407A1 (en) Dissolved Air Flotation Nozzle for Use With Self Contained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KR940002443Y1 (ko) 사용용수를 집수, 정화처리하여 재사용 가능케한 용수의 리싸이클 장치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KR200225088Y1 (ko) 경사판침전조
CN219907293U (zh) 过滤气浮一体机
KR19990064409A (ko) 고도처리용 침지형 막분리공정을 이용한 합병정화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