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214A - Cable holder, cable laying device, and mov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Cable holder, cable laying device, and mov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214A
KR20020097214A KR1020027013231A KR20027013231A KR20020097214A KR 20020097214 A KR20020097214 A KR 20020097214A KR 1020027013231 A KR1020027013231 A KR 1020027013231A KR 20027013231 A KR20027013231 A KR 20027013231A KR 20020097214 A KR20020097214 A KR 20020097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ipe
work vehicle
holder
cab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93827B1 (en
Inventor
미나카타츠오
마츠바라히로유키
히라타요시미
고바야시아키라
요시카와히로시
니시와키마사아키
고마츠바라노부테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콘섹
니폰휴무 가부시키가이샤
도쿄도 게스이도 사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28451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8706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2845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33020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28967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0803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콘섹, 니폰휴무 가부시키가이샤, 도쿄도 게스이도 사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콘섹
Publication of KR20020097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2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8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08Fixation devices in ducts for draw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ewage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하수도관 내에 인입한 통신용 광섬유를 관 천장부에 설치하는 케이블 홀더이다. 케이블 홀더(31)는, 전체가 수지제이며, 하향으로 개구하는 역U자 형상을 이루고, 입구에 클로(32)를 형성한 케이블 유지구(33)와, 케이블 유지구(33) 위에 돌출 설치되는 부착부(34)를 갖고, 부착부(34)에는, 점착제가 충전되는 세로 구멍에 플런저 핀(39)이 삽입되며, 하수도관(1)의 관 천장부에 뚫린 드릴 구멍에 부착부(34)를 압입하면, 플런저 핀(39)이 압입되어 점착제가 넘쳐남으로써 케이블 홀더(31)가 관 천장부에 접착 고정된다. 또한, 케이블 유지구(33)는 그 양측에 사이즈가 작은 케이블 유지구(34)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케이블 유지구(33, 34)에 의해 종류가 서로 다른 케이블의 유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It is a cable holder that installs communication optical fiber inserted into sewer pipe in the ceiling of the pipe. The cable holder 31 is made of resin and is formed in an inverted U-shape to open downward. The cable holder 31 protrudes from the cable holder 33 and the cable holder 33 formed with the claw 32 at the inlet. Plunger pin 39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filled, and the attachment portion 34 is attached to the drill hole drilled in the pipe ceiling of the sewer pipe 1. Is pressed, the plunger pin 39 is pushed in and the adhesive overflows so that the cable holder 31 is adhesively fixed to the tube ceiling. In addition, the cable holder 33 integrally forms small cable holders 34 on both sides thereof, and allows the cable holders 33 and 34 to hold cables of different types. .

Description

케이블 홀더와 케이블의 부설 장치 및 그 이동 방법{CABLE HOLDER, CABLE LAYING DEVICE, AND MOVING METHOD THEREFOR}Cable holder and cable laying device and moving method {CABLE HOLDER, CABLE LAYING DEVICE, AND MOVING METHOD THEREFOR}

최근, 정보화사회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통신망으로서 전기적 장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대량의 정보를 정확하게 보낼 수 있는 광섬유 망이 망라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망은 도시의 경우, 기설(旣設)의 하수도관을 이용하여 부설되는 경우가 많고, 하수도관에 부설할 경우에는, 광섬유로 이루어진 케이블에 먼지가 부착되거나, 먼지가 쌓여서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케이블은 통상 관 천장부에 케이블 홀더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e optical fiber network that can accurately transmit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electrical interference as a communication network has been covered. In the city, such a communication network is often installed by using existing sewer pipes, and when installed in sewer pipes, dust is attached to a cable made of optical fiber or dust is accumulated so as not to impede flow. The cable is usually fixedly supported by a cable holder on the tube ceiling.

케이블의 부설 작업은, 하수도관이 간선(幹線)이며 비교적 큰 구경(口徑)일 경우, 관내에 사람이 들어가서 관내에 인입한 케이블을 고정도구에 의해 관내 벽에 고정하는 작업을 행하고 있으나, 통신망이 사업소 또는 가정 등의 말단 수요자까지 정비됨에 따라, 관의 구경도 작아져, 사람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의 크기로 되면, 케이블 부설용 로봇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부설 작업을 행하고 있다.The cable laying work is to fix the cable that is inserted into the pipe by a person when the sewer pipe is a main line and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s end users, such as offices and homes, are maintained, the diameter of the pipes is also small, and when the size of the pipe cannot be reached, a cable laying robot is used for cable laying.

일본국 특공평3-50483호에는, 이러한 로봇으로서 맨홀로부터 하수도관 내에 삽입되고, 외부로부터의 원격 제어에 의해 관내를 주행하는 작업차를 가지며, 그 작업차에 하수도관의 천장부에 케이블 홀더를 끼워넣는 구멍을 뚫기 위한 한쌍의 드릴과, 케이블을 관 천장부에 고정하기 위한 U자 형상을 이루는 케이블 홀더를 저장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에 저장되는 케이블 홀더를 1개씩 위쪽으로 쳐내고, 드릴에 의해 관 천장부에 뚫린 구멍에 압입하는 스트라이커를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50483 has a work vehicle which is inserted into a sewer pipe from a manhole as such a robot and travels inside the pipe by remote control from the outside, and the cable holder is fitted to the ceiling of the sewer pipe to the work car. A pair of drills for drilling holes to be inserted, a cartridge for storing a U-shaped cable holder for fixing the cable to the tube ceiling, and a cable holder stored in the cartridge are struck upwards one by one, and the tube ceiling is drilled by a drill. The provision of the striker which press-fits into the hole perforated is disclosed.

또한, 케이블 홀더로서는, 일본국 특개평8-103012호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옆을 향하는 훅 형상의 케이블 유지구를 상하에 갖고, 드릴 구멍에 압입되는 부착부에 바닥이 있는 세로 구멍을 형성하여 그 구멍에 점착제를 충전하는 동시에, 플런저 핀을 끼워넣고, 플런저 핀 선단을 부착부로부터 돌출시켜 관내 벽에 천공한 드릴 구멍에 부착부를 압입하며, 플런저 핀의 압입에 의해 부착부로부터 압출되어 넘쳐나는 점착제로 접착 고정하도록 한 케이블 홀더, 일본국 특개2000-261924호 및 일본국 특개2001-28819호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하향으로 개구하는 역(逆)U자 형상을 이루고, 상측부가 관내 벽에 비틀려 들어가거나, 또는 매립하여 고정되는 동시에, 개구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클로를 갖고, 하수도관에 미리 부착되는 케이블 홀더 등이 알려져 있으며, 케이블의 고정 지지는 케이블 캐처(catcher)로 포착한 케이블을 개구부로부터 케이블 홀더에 압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s the cable holder,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103012, it has a hook-shaped cable holder having a side facing up and down, and a vertical hole having a bottom is formed in an attachment portion that is pressed into the drill hole. The adhesive is filled into the hole, the plunger pin is inserted, the plunger pin tip protrudes from the attachment portion, and the attachment portion is press-fitted into the drill hole drilled in the wall of the pipe, and extruded from the attachment portion by the press-fit of the plunger pin. As disclosed in the cable holder and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61924 and th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28819, which are adhesively fixed by means of an adhesive, an inverted U-shape opening downwards is formed, and the upper side thereof is inferior to the wall of the tube. Cable holders having a claw that is misaligned or buried, and which protrude inwardly into the opening and are attached to the sewer pipe in advance are known. The fixed support of the tablet is carried out by pressing and securing the cable captured by the cable catcher from the opening to the cable holder.

상술한 케이블 홀더 중에서 드릴 구멍에 압입 또는 접착 고정되는 케이블 홀더는, 기설의 하수도관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훅 형상의 케이블 유지부를 상하에 복수 갖고 있는 케이블 홀더의 경우, 새로운 케이블을 추가하여 부착하거나, 종류가 서로 다른 케이블, 예를 들어, 간선과 지선을 나누어 각각 별도의 케이블 유지부에 부착할 수도 있으나, 관내 벽과 케이블 유지부 사이의 틈이 좁아, 케이블을 걸치기 어려우며, 지진 등에 의해 관에 직경 방향의 전단력(剪斷力)이 부가되었을 때, 케이블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하향으로 개구하는 케이블 홀더는, 지진 등에 의해 관에 직경 방향의 전단력이 부가된 경우에도 케이블이 개구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에 손상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으나, 종래의 이러한 케이블 홀더는 새로운 케이블을 추가하여 부착하거나, 종류가 서로 다른 케이블을 나누어 각각 별도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새로운 케이블을 추가하여 부착할 때에는 새로운 케이블 홀더를 관내 벽에 부착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종류가 서로 다른 케이블을 나누어 각각 별도로 부착하도록 하면, 케이블 홀더를 복수 부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Among the cable holders described above, the cable holder press-fitted or fixed to the drill hole can be attached to an existing sewer pipe. In the case of a cable holder having a plurality of hook-shaped cable holders above and below, a new cable is added and attached. Alternatively, different types of cables, such as trunk and branch lines, may be attached to separate cable holders, but the gap between the wall of the pipe and the cable holder is narrow, making it difficult to hook the cables, There is a risk of damaging the cable when a shear force in the radial direction is added to the coil. The cable holder opening downward has the advantage of not damaging the cable because the cable can be separated from the opening even when a shear force in the radi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pipe du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but such a cable holder is a conventional cable holder In addition, they are not attached to each other or divided into different cables. Therefore, when adding and attaching a new cable, it is necessary to attach a new cable holder to the wall in the tube, and if a different type of cable is to be separately attached and attached separately, it is necessary to attach a plurality of cable holders.

케이블 홀더가 복수의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으면, 새로운 케이블을 추가하여 부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것은 새로운 케이블을 삽입하고자 할 때, 삽입 완료한 케이블이 개구부 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삽입 완료한 케이블이 새로운 케이블의 삽입을 방해하게 되어, 삽입이 곤란해지는 것이다.If the cable holder has a size capable of inserting a plurality of cables, new cables can be added and attached, but this causes the following new problems. When the new cable is to be inserted, the inserted cable is often located above the opening, so that the inserted cable interferes with the insertion of the new cable, making insertion difficult.

케이블 캐처에 관해서는, 케이블의 포착 및 케이블 홀더로의 삽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일본국 특개2001-28819호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케이블 캐처를 이용하면, 핸드의 개폐에 의해 케이블을 확실하게 포착하며, 케이블 홀더로의 삽입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으나, 케이블을 포착하여 들어올리고, 케이블 홀더에 개구부로부터 삽입할 때에는 케이블이 케이블 캐처를 정점(頂點)으로 하여 산형(山形)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며, 특히, 케이블이 느슨해져 있을 때에는, 케이블 캐처에 의해 들어올려져 산형을 이루는 케이블의 하향으로 경사지는 구배가 급격해져, 케이블 홀더로의 삽입이 곤란해진다.As for the cable catcher, it is desired to be able to securely capture the cable and insert it into the cable holder. By using a cable catcher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28819, the cable can be securely captured by opening and closing of the hand, and the position can be positioned at the insertion position into the cable holder. When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holder from the opening, the cable is lifted up on the mountain with the cable catcher at its vertex. In particular, when the cable is loose, the cable is lifted up by the cable catcher and sloped downward toward the mountain. The gradient becomes sharp and insertion into the cable holder becomes difficult.

또한, 케이블을 부설할 때에 사용하는 작업차에 관해서는, 종래의 작업차는, 관내에서의 이동이 관외로부터 원격 제어되는 모터에 의해 구동륜을 회전 구동시켜 실행되도록 되어 있으나, 관의 구배가 급격하거나, 기설의 하수도관과 같이 관내 벽이 진흙의 부착에 의해 미끈미끈하면, 미끄러지기 쉬워 관내에서의 이동 확실하게 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s for the work vehicle used when laying the cable, the conventional work vehicle is designed to be driven by rotationally driving the drive wheels by a motor whose movement in the pipe is remotely controlled from outside the pipe. If the wall in the pipe is slippery due to the adhesion of mud like an existing sewer pip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slippery and cannot be moved reliably in the pipe.

본 발명의 목적은, 하향으로 개구하는 케이블 유지부를 복수 갖고, 한번의 부착 작업에 의해 기설의 하수도관 등에도 부착할 수 있는 케이블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holder having a plurality of cable holding portions that open downward, and which can be attached to an existing sewer pipe or the like by one attachment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을 복수 삽입할 수 있는 케이블 홀더에 대하여, 새로운 케이블의 삽입을 이미 삽입 완료한 케이블에 방해되지 않고 행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부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의 케이블 홀더로의 삽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케이블 부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laying apparatus which allows a cable holder into which a plurality of cables can be inserted, so that insertion of a new cable can be performed without interfering with a cable that has already been inser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le laying apparatus which can reliably insert a cable into a cable hold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의 구배가 급격하여도, 또한, 관내 벽이 미끈미끈하여 미끄러지기 쉬워도 케이블 부설용 작업차를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ing method capable of reliably moving a cable laying work vehicle even when the gradient of the tube is sharp and the inner wall of the tube is slippery and slippery.

본 발명은 하수도관 등의 관내에 인입한 광섬유 등의 케이블을 관내 벽에 고정 지지하는 케이블 홀더와, 케이블을 케이블 홀더에 의해 관내 벽에 고정 지지시키는 부설 장치 및 그 이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holder for fixing and supporting a cable such as an optical fiber introduced into a pipe such as a sewer pipe to a wall of a pipe, a laying device for fixing and supporting a cable to a wall of a pipe by a cable holder, and a method of moving the same.

도 1은 케이블 부설 장치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cable lay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홀더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cab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홀더의 다른 형태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nother form of a cab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홀더의 또 다른 형태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another form of a cab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케이블 홀더의 앵커를 떼어낸 평면도.FIG. 5 is a plan view of the anchor of the cable holder shown in FIG. 4; FIG.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케이블 홀더의 앵커의 요부 확대 정면도.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anchor of the cable holder shown in FIG. 4;

도 7은 케이블 홀더의 다른 예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cable holder.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부설용 작업차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the work vehicle for laying ca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케이블 캐처가 케이블을 포착할 때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9 shows the form when the cable catcher picks up the cable;

도 10은 케이블 캐처가 케이블을 포착했을 때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form when the cable catcher catches the cable;

도 11은 색조의 견인에 의해 관내를 이동하는 케이블 부설용 작업차의 측면도.Fig. 11 is a side view of a cable laying work vehicle moving in the tube by towing of color tone;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케이블 부설용 작업차의 정면도.Fig. 12 is a front view of the work vehicle for laying cables shown in Fig. 11.

도 13은 색조에 의해 작업차를 견인할 때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form at the time of towing a work vehicle by hue.

도 14는 색조를 구성한 제어 케이블의 단면도.Fig. 14 is a sectional view of a control cable constituting the color ton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31 : 케이블 홀더31: cable holder

32 : 클로32: claw

33 : 케이블 유지구33: cable holder

34 : 케이블 유지구34: cable holder

36 : 드릴 구멍36: drill hole

37 : 부착부37: attachment part

38 : 분할 홈38: split groove

39 : 플런저 핀39: plunger pin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홀더의 제 1 특징에 있어서는, 유지 쇠부재에 하향으로 개구하고, 개구부를 오므린 대략 U자 형상의 케이블 유지부가 복수 횡방향으로 병설된다. 유지 쇠부재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앵커(anchor)는, 하수도관 등의 관내 벽에 천공된 드릴 구멍에 압입되는 부착부를 갖고, 상기 부착부에 상방으로부터 형성되는 바닥이 있는 세로 구멍에는 점착제가 충전되는 동시에, 플런저 핀이 그 선단을 돌출시켜 압입되고, 부착부를 드릴 구멍에 압입하면, 플런저 핀이 세로 구멍 내에 압입되며, 이에 따라 드릴 구멍 내에 넘쳐나는 점착제로 부착부가 접착 고정된다.In the first aspect of the cab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bstantially U-shaped cable holding portion which opens downward in the holding metal member and pinches the opening portion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transverse directions. An anchor projecting upward from the retaining metal member has an attachment portion press-fitted into a drill hole drilled into the inner wall of a sewer pipe or the like, and an adhesive is filled in a bottomed vertical hole formed from above the attachment portion. At the same time, when the plunger pin protrudes to its tip and presses the attachment into the drill hole, the plunger pin is pushed into the longitudinal hole, whereby the attachment portion is adhesively fixed with the adhesive overflowing into the drill hole.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의 부착부를 관내 벽에 천공한 드릴 구멍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하향으로 개구하는 케이블 유지부를 복수 갖는 케이블 홀더를 관내 벽에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holder having a plurality of cable holders which are opened downward can be fixed to the pipe wall only by pressing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anchor into the drill hole drilled into the pipe wall.

제 2 특징에 있어서는, 상기 유지 쇠부재가 앵커에 회전 정지 수단에 의해 회전 정지되어 부착되고, 케이블 유지부가 항상 일정한 방향 및 위치에서 유지된다.In the second aspect, the retaining metal member is attached to the anchor by being rotated and stopped by the rotation stop means, and the cable retaining portion is always held in a constant direction and position.

케이블 캐처에 의해 관내 벽에 인입한 케이블을 포착하고, 들어올려서 케이블 홀더에 삽입할 때, 포착한 케이블의 위치 결정이 실행되면, 케이블 캐처를 밀어올리는 것만으로도 케이블 홀더의 개구부로의 삽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able catcher catches the cable drawn into the wall of the pipe, lifts it and inserts it into the cable holder, if the captured cable is positioned, the cable catcher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cable holder simply by pushing it up. It can be done.

유지 쇠부재를 앵커에 회전 정지시켜 부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앵커와 유지 쇠부재 중 어느 한쪽에 핀 등의 돌출부를, 다른쪽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오목부 또는 구멍을 형성하거나, 앵커에 단면이 사각형 등의 다각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다각형부가 결합되는 유지 쇠부재의 구멍을 다각형으로 하고, 또는 앵커에 키를 부착하는 동시에, 앵커가 결합되는 유지 쇠부재의 구멍에 키가 결합되는 키 홈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In order to attach the retaining metal member to the anchor by rotating stop, for example, one of the anchor and the retaining metal member forms a projection such as a pin, and a recess or a hole in which the projection is coupled to the other, or a cross section in the anchor. A key groove which forms a polygonal part such as a quadrangle and at the same time makes a hole in the retaining member to which the polygonal part is coupled as a polygon, or attaches a key to the anchor and at the same time the key is coupled to the hole of the retaining member to which the anchor is engaged. It is good to form.

제 3 특징에 있어서는, 앵커의 양측에 클로 끝을 단면 역V자 형상으로 형성한 스프링체로 이루어진 클로가 경사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유지 쇠부재에 클로가 오므려져 결합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된다. 결합 시에는 결합 구멍의 양측의 구멍 에지에 클로 끝을 닿게 하여, 앵커를 압입하면, 구멍 에지에 의해 클로가 내측으로 폐쇄되는 방향으로 압입되면서 구멍 에지가 클로 끝을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클로 끝 아래에 도달하면, 클로가 복원하여 외측으로 개방되어, 구멍 에지에 고정된다.In the third aspect, a claw made of a spring body having a claw tip formed in a cross-sectional inverted V shape on both sides of the anchor is formed to protrude upwardly inclined, and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which the claw is clamped to the retaining metal member. At the time of engagement, the end of the claw touches the hole edges on both sides of the engagement hole, and when the anchor is pushed in, the hole edge slides in the direction where the claw is pushed inwardly by the hole edge. When the claw reaches the bottom of the claw, the claw is restored and opened outward and fixed to the hole edge.

앵커에 유지 쇠부재를 연결한 본 발명의 케이블 홀더에 의하면, 앵커 양측의 클로가 확장 개방되어 클로 끝이 구멍 에지에 고정됨으로써, 유지 쇠부재의 앵커로부터의 빠짐 정지가 실행되는 동시에 회전 정지가 실행된다.According to the cab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etain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anchor, the claws on both sides of the anchor are extended and opened so that the end of the claw is fixed to the hole edge. do.

제 4 특징에 있어서는, 하향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케이블 유지부는, 일체화되어 횡방향으로 갖는 수지제 유지구에 수지제 부착부가 돌출 형성된다. 부착부에는, 상술한 케이블 홀더의 부착부와 동일하게, 상방으로부터 형성되는 바닥이 있는 세로 구멍에 점착제가 충전되는 동시에, 플런저 핀이 그 선단을 돌출시켜 삽입되고, 부착부를 하수도관 등의 관내 벽에 천공된 드릴 구멍에 압입하면, 플런저 핀이 압입되며, 이에 따라 드릴 구멍 내에 넘쳐나는 점착제로 부착부가 접착 고정된다.In the fourth aspect, the plurality of cable holders that are opened downward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sin attachmen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sin holder having the crosswise direction. In the attachment portion, the adhesive is filled into the bottomed vertical hole formed from above, similarly to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cable holder described above, and the plunger pin is inserted to protrude its tip, and the attachm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sewer pipe or the like. When press-fitted into the drill hole drilled in, the plunger pin is press-fitted, and the attachment part is adhesively fixed with the adhesive overflowing in the drill hole.

본 발명의 케이블 홀더는 전체가 수지제이며,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The cab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tirely made of resin, and can be molded integrally, so that the cable holder can be obtained at low cost.

제 5 특징은, 케이블 부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도관 등의 관내를 주행하는 작업차에 로드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드는 상단부에 케이블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대(bed)와, 횡방향으로 개폐되고, 폐쇄했을 때에 상기 대 위에서 케이블을 포착하는 케이블 캐처를 가지며, 대는 산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블 캐처를 폐쇄했을 때, 케이블이 대 정상부에 위치 결정하여 유지된다. 그리고, 로드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케이블 캐처에 의해 대 정상부에 포착 지지되는 케이블을 들어올려 관내 벽에 부착되는 케이블 홀더에 개구부로부터 압입 삽입한다.A fifth feature relates to a cable laying apparatus, wherein a rod is supported by a work vehicle traveling in a pipe such as a sewer pipe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The rod has a bed that supports the cable from below at the upper end, and a cable catcher which opens and close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catches the cable on the bed when closed, and the bed is formed in a mountain shape, and when the cable catcher is closed. The cable is then positioned and maintained at the top. Then, the rod is raised, and thus the cable caught and supported by the cable catcher is lifted and press-inserted from the opening into the cable holder attached to the wall in the tube.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 홀더에 이미 삽입 완료한 케이블이 대의 상승에 의해 대 양측의 경사부에서 좌우로 나뉘어지게 되기 때문에, 대 정상부 위의 케이블이 삽입 완료한 케이블에 방해되지 않고 삽입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ble already inserted into the cable holder is divided left and right at the inclined portions on both sides by the rise of the stand, the cable on the top is insert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inserted cable.

제 6 특징은, 케이블을 케이블 홀더에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부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도관 등의 관내를 주행하는 작업차에 한쌍의 로드가 관의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각 로드는 각각 승강 가능하며, 선단부에 케이블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대와, 횡방향으로 개폐되고, 폐쇄했을 때에 상기 대에 지지되는 케이블을 포착하는 케이블 캐처를 갖는다. 각 로드의 케이블 캐처를 폐쇄하여 대 위에 케이블을 포착하면, 케이블 캐처 사이의 케이블이대략 수평으로 지지되고, 양 암을 상승시키면, 케이블 캐처 사이의 케이블이 대략 수평 상태에서 들어올려져 케이블 홀더에 개구부로부터 압입 삽입된다.The sixth feature relates to a cable laying apparatus which can reliably insert a cable into a cable holder, wherein a pair of rods are disposed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in a work vehicle traveling in a pipe such as a sewer pipe. Each rod is movable up and down, and has a stage for supporting the cable from below, and a cable catcher for catching the cable supported on the stage when the rod is opened and cl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the cable catcher of each rod is closed and the cable is caught on the table, the cables between the cable catchers are roughly supported horizontally, and when both arms are raised, the cables between the cable catchers are lifted in the approximately horizontal state from the opening in the cable holder. It is press-fitted.

케이블을 수평 상태에서 들어올려 케이블 홀더에 삽입함으로써, 케이블 홀더로의 삽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By lifting the cable in a horizontal state and inserting it into the cable holder, insertion into the cable holder can be reliably performed.

각 케이블 캐처에 설치되는 대는 케이블 캐처마다 각각 별도로 부착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대를 길게 하고, 케이블 캐처를 대의 전후 양단부 또는 대의 중간부에 적당한 간격을 두어 설치할 수도 있다.The stand provided in each cable catcher may be separately attached to each cable catcher, and one stand may be lengthened, and the cable catcher may be provided at appropriate distances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tand or the middle of the stand.

제 7 특징은, 제 6 특징과 동일한 특징을 갖는 케이블 부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도관 등의 관내를 주행하는 작업차에 로드와 케이블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케이블 받침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드는 선단부에 케이블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대와, 횡방향으로 개폐되고, 폐쇄했을 때에 상기 대에 지지되는 케이블을 포착하는 케이블 캐처를 가지며, 케이블 캐처를 폐쇄하여 대 위에 케이블을 포착하면, 상기 케이블 캐처의 대와 케이블 받침에 의해 케이블이 대략 수평으로 지지되고, 로드와 케이블 받침을 상승시키면, 케이블 캐처와 케이블 받침 사이의 케이블이 대략 수평 상태에서 들어올려져 케이블 홀더에 개구부로부터 압입 삽입된다.The seventh feature relates to a cable la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eatures as the sixth feature, wherein a cable support for supporting a rod and a cable from below is supported on a work vehicle that runs in a pipe such as a sewer pipe. The rod has a stage for supporting the cable from below at the distal end, and a cable catcher for catching the cable supported on the stage when opened and closed laterally, and closing the cable catcher to capture the cable on the stage. The cable is supported approximately horizontally by the stand of the catcher and the cable support, and when the rod and the cable support are raised, the cable between the cable catcher and the cable support is lifted in the approximately horizontal state and press-inserted from the opening into the cable holder.

케이블 받침은 로드와는 별개로 독립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로드에 연결되어 로드와 함께 승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 기구가 공통화되어 구조가 간단해진다.The cable support may be capable of lifting up and down independently from the rod, but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rod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rod. As a result, the lifting mechanism becomes common an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제 8 특징은, 상술한 제 5 특징과 제 6 또는 제 7 특징을 함께 갖는 케이블부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 5 특징을 갖는 케이블 부설 장치에 있어서, 선단부에 대와 케이블 캐처를 갖는 상기 한쌍의 로드를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어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로드의 전후에 상기 로드와는 관의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어 케이블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케이블 받침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An eighth feature relates to a cable laying device having both the above-described fifth feature and the sixth or seventh feature, wherein the cable laying device having the fifth feature includes: a pair of rods having a stand and a cable catcher at the tip end thereof. Is provided at an appropriate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 cab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cable from below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lifting up and down at an appropriate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with the rod before and after the rod.

제 9 특징은, 하수도관 등의 관내를 이동하고, 상기 관내에 인입한 케이블을 관내 벽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를 관내 벽에 부착하는 작업차의 상기 관내의 이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차에 색조(索條)를 연결하고, 작업차의 앞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는 색조 중 어느 한쪽을 조출(繰出)하면서, 다른쪽을 관외로부터 견인함으로써 작업차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한 것이다.A ninth feature relates to a method of moving in a pipe of a work vehicle for moving a pipe such as a sewer pipe and attaching a cable holder for fixing and holding the cable introduced into the pipe to the wall of the pipe. A color tone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e of the color tones extending to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work vehicle is pulled out while the other is pulled out of the outside to move the work vehicle forward or backward.

케이블 홀더를 관내 벽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차에 마련한 드릴에 의해 관내 벽에 구멍을 뚫고, 이어서 케이블 홀더의 부착부를 드릴 구멍에 압입하여 접착제로 고정하는 방법, 관이 열가소성 수지제인 경우, 케이블 홀더를 가열하여 관내 벽에 압입하여 융착(融着) 고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In order to attach the cable holder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 for example, a method of drilling a hole in the inner wall of the pipe by using a drill provided in the work vehicle as described above, and then pressing the attachment part of the cable holder into the drill hole to fix it with an adhesive, the pipe In the case of the thermoplastic resin, a method of heating the cable holder, pressing the tube holder into the inner wall of the tube, and fusion fixing can be used.

제 10 특징은, 하수도관 등의 관내를 이동하고, 상기 관내에 인입한 케이블을 포착하며, 관내 벽에 고정 지지되는 케이블 홀더에 고정하여 부착하는 작업차의 상기 관내의 이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차에 색조를 연결하고, 작업차의 앞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는 색조 중 어느 한쪽을 조출하면서, 다른쪽을 관외로부터 견인함으로써 작업차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한 것이다.A tenth feature relates to a method of moving in a pipe of a work vehicle that moves inside a pipe, such as a sewer pipe, captures a cable introduced into the pipe, and fixes and attaches the cable to a cable holder fixed to a wall of the pipe. A color tone is connected to the vehicle, and one of the color tones extending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vehicle is pulled out, and the other side is pulled from the outside to move the vehicle forward or backward.

상기 각 발명에 의하면, 색조의 견인량과 작업차의 이동량이 일치하고, 색조의 견인에 의해 작업차를 미끄러지게 하지 않아, 관내를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inventions, the amount of towing of the color tone corresponds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work vehicle, and the inside of the tube can be reliably moved without causing the work vehicle to slip by the towing of the color tone.

상기 각 발명에서 사용되는 색조로서는, 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 체인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색조는 중간부를 작업차에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고, 2개의 색조를 사용하여, 작업차의 전후에 각각 연결할 수도 있다. 작업차에는 관외의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제어 케이블이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차의 전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색조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케이블에 구성되고, 일체화된다. 색조와 제어 케이블을 별개로 독립하여 설치하면, 주행 시에 양자가 서로 얽히는 반면, 양자를 일체화시키면, 이러한 문제가 해소된다.As a color tone used by each said invention, a wire, a rope, a chain, etc. are used, for example. Such color tone may be such that the middle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work vehicle, or two color tones may be used to connect the front and rear of the work vehicle, respectively. Since the work vehicle is provided with a control cable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outside the tube, the color tone extending to either front or rear of the work vehicle is preferably constituted by the control cable and integrated. If the color tone and the control cable are separately provided, both of them become entangled with each other during traveling, while integrating them solves this problem.

제 11 특징은, 작업차와 관외의 제어장치를 연결하는 제어 케이블을 견인하여 작업차를 진퇴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관외의 제어장치와 제어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고, 하수도관 등의 관내에 인입한 케이블을 관내 벽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를 관내 벽에 부착하는 케이블 부설용 작업차에 제어 케이블과는 반대쪽으로 연장 돌출되는 색조를 연결하는 동시에, 제어 케이블을 인장 강도가 큰 케이블로 하며, 색조 또는 제어 케이블을 견인함으로써 작업차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한 것이다.An eleventh feature is to pull the control cable connecting the work vehicle and the control device outside the tube to advance the work vehicle. In other words, the cable laying work vehicl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outside the pipe and the cable holder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cable drawn into the pipe such as the sewer pipe to the wall of the pipe is opposite to the control cable. The control cable is a cable with a high tensile strength, and the control cable is pulled forward or retracted by pulling the color tone or the control cable.

본 발명에 있어서도, 색조 또는 케이블 홀더를 관내 벽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것이 이용된다.Also in this invention, the same thing as the above-mentioned is used as a method of attaching a color tone or a cable holder to a wall in a pipe.

제 12 특징은, 상술한 색조의 작업차에 대한 연결 위치를 작업차의 중심 위치와 일치시키거나, 또는 중심 위치의 근방, 바람직하게는 중심 위치의 하방에 설치한 것이다.The twelfth feature is that the connection position for the work vehicle of the above-described color tone coincides with the center position of the work vehicle, or is provided near the center position, preferably below the center posi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색조에 의해 작업차를 견인했을 때, 작업차의 전도(轉倒)가 방지되며, 관내 벽이 미끈미끈하여 미끄러지기 쉬워도 작업차의 이동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ork vehicle is towed by the color tone, the fall of the work vehicle is prevented, and the movement of the work vehicle can be smoothly and reliably performed even if the inner wall of the pipe is slippery and slippery.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효과는,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하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거하여 보다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그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Other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xamples. In addi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and drawing.

도 1은 관외로부터의 원격 제어에 의해 하수도관(1) 내를 주행하는 작업차(2)를 나타내는 것이며, 작업차(2)에는, 일본국 특개소63-7121호에 개시되는 장치와 동일하게, 승강 가능하고, 관 천장부에 구멍을 뚫는 드릴(3)과, 후술하는 케이블 홀더를 저장하는 카트리지(4)와, 카트리지(4)로부터 압출된 케이블 홀더를 쳐내고, 드릴(3)에 의해 형성된 구멍에 케이블 홀더의 부착부를 압입하는 케이블 홀더 드라이빙 장치(5)와, 라이트(도시 생략)에 의해 비추어진 관 천장부를 촬영하는 모니터 카메라(6)를 탑재하고 있다.FIG. 1 shows a work vehicle 2 traveling in the sewer pipe 1 by remote control from outside the tube, and the work vehicle 2 is similar to the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3-7121. The drill 3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 hole in the tube ceiling, the cartridge 4 storing the cable holder described later, and the cable holder extruded from the cartridge 4 and formed by the drill 3. The cable holder driving apparatus 5 which press-fits the attachment part of a cable holder to a hole, and the monitor camera 6 which image | photographs the tube ceiling part illuminated by the light (not shown) are mounted.

도 2에 나타낸 케이블 홀더(8)는, 좌우 양측에 케이블 유지부(9)를 갖는 유지 쇠부재(11)와, 유지 쇠부재(11)를 중앙부에 있어서 하수도관에 부착하는 앵커(12)로 이루어지고, 유지 쇠부재(11)는 대략 C자 형상을 이루는 외측부재(11a)와 내측부재(11b)로 구성되며, 양 부재(11a, 11b)는 중앙부에 있어서 앵커(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The cable holder 8 shown in FIG. 2 is a retaining member 11 having a cable retaining portion 9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and an anchor 12 attaching the retaining fitting member 11 to the sewer pipe at the center. The holding metal member 11 is composed of an outer member 11a and an inner member 11b having an approximately C-shape, and both members 11a and 11b are connected by an anchor 12 at the center thereof. have.

앵커(12)는 수지제이며, 중간부에 유지 쇠부재(11)의 지지부(12a)를 상부에 분할 홈(도시 생략)을 구비한 나사부(12b)와 바닥이 있는 세로 구멍(도시 생략)을 갖고, 지지부(12a)는 하측부가 원형 단면, 상측부가 사각형 단면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사각형 단면의 상측부가 외측부재(11a)와 내측부재(11b)에 형성한 사각형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양 부재(11a, 11b)가 함께 앵커(12)에 회전 정지되어 부착되어 있다.The anchor 12 is made of resin, and has a threaded portion 12b having a split groove (not shown) at the top and a vertical hole (not shown) having a support groove 12a of the retaining metal member 11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a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upper portion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upper part of a square cross section is inserted in the rectangular hole formed in the outer member 11a and the inner member 11b, and both members 11a and 11b are rotated and attached to the anchor 12 together.

앵커 상부의 세로 구멍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점착제가 충전되는 동시에, 플런저 핀(13)이 선단을 돌출시켜 삽입되고, 플런저 핀(13)을 압입하면, 점착제가 세로 구멍으로부터 넘쳐나도록 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vertical hole at the top of the anch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filled from the vertical hole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filled and the plunger pin 13 protrudes and is inserted into the tip.

도 3에 나타낸 케이블 홀더(15)는, 하향으로 개구하고, 개구부를 오므린 Ω(Ohm)형을 이루는 복수의 케이블 유지구(16)가 판 형상의 연결부재(17)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고, 케이블 유지구 사이의 연결부재(17)의 중앙부에는 사각형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cable holder 15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cable holders 16, which are open downward and form an ohm (Ohm) type with the openings closed, are attached to the plate-shaped connecting member 17 at regular intervals. A rectangular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member 17 between the cable holders.

앵커(18)는 상기 앵커(12)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연결부재(17)를 상기 유지 쇠부재(11)와 마찬가지로, 회전 정지시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에서 참조부호 19는 상기 플런저 핀(13)과 동일한 플런저 핀이다.The anchor 18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anchor 12, and the connecting member 17 is rotated and supported similarly to the retaining member 11.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9 denotes the same plunger pin as the plunger pin 13.

도 4에 나타낸 케이블 홀더(21)는, 하향으로 개구하고, 개구부를 오므린 Ω형을 이루는 한쌍의 케이블 유지구(22)를 연결부재(23)에 의해 연결하며, 연결부재(23)의 중앙부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앵커(24)의 상측부가 결합되는 원형부(25)와, 원형부(25)의 좌우 양측에 상기 원형부(25)와 연결되는 결합부(26)로 이루어진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The cable holder 21 shown in FIG. 4 connects a pair of cable holders 22 of an Ω type having a downwar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by a connecting member 23,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3.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a hole including a circular portion 25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anchor 24 is coupled, and a coupling portion 26 connected to the circular portion 25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ircular portion 25 is formed. Forming.

앵커(24)는 수지제이며, 상기 원형부(25)에 결합되는 상측부가 작은 직경이고, 하측부와 단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상측부는 분할 홈(도시 생략)을 갖는 동시에, 외주에 나사(27)가 파여지고, 상방으로부터 형성되는 바닥이 있는 세로 구멍에는 점착제가 충전되는 동시에 플런저 핀(28)이 삽입되어 있다.The anchor 24 is made of resin, and the upper part joined to the circular part 25 has a small diameter and forms an end with the lower part. The upper side has a split groove (not shown), a screw 27 is dug i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 plunger pin 28 is inserted in the bottom vertical hole formed from above, and the adhesive is filled.

상측부와 단을 이루는 앵커 하측부의 상단면에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부를 사이에 끼워 한쌍의 클로(29)가 경사 상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대칭형을 이루고 있다.As shown in FIG. 6, a pair of claws 29 protrude upward and obliquely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anchor which forms an end with the upper part, and are symmetrical.

이 클로(29)는 가요성을 가져 상단부가 단면 역V자 형상의 훅 형상을 이루고, 연결부재(23)에 형성되는 구멍의 원형부(25)에 앵커 상측부를 삽입하며, 결합부(26)가 클로(29)에 합치하는 방향에 맞추어 압입하면, 결합부(26)의 구멍 에지에 의해 클로(29)가 내측으로 압입되고, 구멍 에지가 클로 상단부를 슬라이딩하여 훅 형상의 상단부 아래에 도달하면, 클로(29)가 복원하여 외측으로 확장되고, 구멍 에지에 고정되어 연결부재(23)의 회전 정지와 빠짐 정지를 행하고 있다.The claw 29 has flexibility, and the upper end forms a hook shape having an inverted cross-sectional V-shape, inserts the upper part of the anchor into the circular portion 25 of the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23, and the engaging portion 26. Is pressed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the claw 29, the claw 29 is pushed inward by the hole edge of the engaging portion 26, and when the hole edge slides the top of the claw to reach below the upper end of the hook shape. The claw 29 is restored and extended outwardly, and is fixed to the hole edge to stop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3 and the release stop.

도 7에 나타낸 케이블 홀더(31)는, 전체가 수지제이며, 하향으로 개구하는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개구부에 클로(32)를 내측으로 돌출 설치한 케이블 유지구(33)와, 그 양측에 일체 형성되고, 케이블 유지구(33)와 동일한 형상의 사이즈가 작은 케이블 유지구(34)와, 케이블 유지구(33) 위에 돌출 형성되고, 하수도관(1)의 관 천장부에 뚫린 드릴 구멍(36)에 압입하여 부착되는 부착부(37)로 이루어지며, 부착부(37)는 상기 앵커(12, 18, 24)와 마찬가지로, 바닥이 있는 세로 구멍(도시 생략)과 분할 홈(38)을 갖고, 상기 세로 구멍에는 점착제가 충전되며, 플런저 핀(39)이 삽입되어 있다.The cable holder 31 shown in FIG. 7 is made of resin, has a substantially U-shape opening downward, and has a cable holder 33 in which the claws 32 are protruded inward from the opening, and both sides thereof. A drill hol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ble holder 33 and having a small size in the same shape as the cable holder 33, protruding from the cable holder 33, and drilled in the pipe ceiling of the sewer pipe 1; 36, which is press-fitted into the attachment portion 37, and the attachment portion 37, like the anchors 12, 18, and 24, has a bottomed vertical hole (not shown) and a division groove 38.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filled in the vertical hole, and the plunger pin 39 is inserted.

도 8은 관외로부터의 원격 제어에 의해 하수도관(1) 내를 주행하는 작업차(41)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작업차(41)에는, 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작업차(41)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에어 실린더(도시 생략)에 의해 승강하는 한쌍의 로드(42)와, 관 앞쪽을 비추는 라이트(43)와, 관 천장부를 비추는 라이트(44)와, 라이트(44)에 의해 비추어진 관 천장부를 촬영하는 모니터 카메라(45)를 탑재하며, 상기 로드(4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가 산 형상의 대를 이루고, 개폐 가능한 케이블 캐처(4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블 캐처(46)는 일본국 특개2001-28819호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진 개폐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개폐하는 한쌍의 핸드(47)를 갖고, 로드(42)가 일정량 상승하여 관내에 인입한 케이블(48)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47)를 개방하여 받은 후, 개폐 기구에 의해 핸드(47)를 폐쇄하면, 케이블(48)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 중앙의 정상부에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FIG. 8 shows a work vehicle 41 traveling in the sewer pipe 1 by remote control from outside the tube, and the work vehicle 41 i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A pair of rods 42 supported by the air cylinder (not shown) to move up and down by an air cylinder (not shown), a light 43 illuminating the front of the tube, a light 44 illuminating the tube ceiling, and a light 44. A monitor camera 45 for capturing the illuminated tube ceiling is mounted, and the rod 42 is provided with a cable catcher 46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s shown in FIG. . The cable catcher 46 has a pair of hands 47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not shown) made of an air cylinder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28819. After receiving the cable 48 drawn into the tube as shown in FIG. 9 by opening the hand 47 and closing the hand 47 by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the cable 48 has a large center as shown in FIG. 10.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is maintained.

한쌍의 각 케이블 캐처(46)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48)을 대 중앙의 정상부에서 유지하면, 케이블(48)은 케이블 캐처 사이에 있어서 대략 수평으로 지지된다. 이 후, 로드(42)가 일정량 더 상승하면, 대 중앙의 정상부에서 유지된 케이블(48)이 관 천장부에 부착된 케이블 홀더(49)에 개구부(49a)로부터 압입되고, 케이블 홀더 내에 삽입된다. 이 때, 산 형상의 대가 케이블 홀더 내에 삽입 완료한 케이블(48)을 좌우로 나누고, 새로운 케이블(48)을 삽입할 때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If each pair of cable catchers 46 holds the cable 48 at the top of the center as shown in FIG. 10, the cable 48 is supported approximately horizontally between the cable catchers. Thereafter, when the rod 42 is further raised by a certain amount, the cable 48 held at the top of the center is press-fitted from the opening 49a to the cable holder 49 attached to the tube ceiling and inserted into the cable holder. At this time, the mount-shaped stand divides the cable 48 inserted into the cable holder from side to sid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of the new cable 48.

하수도관 내로의 케이블 부설 작업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행된다.Cable laying into the sewer pipe is carried out as follows.

먼저, 도 1에 나타낸 작업차(2)를 맨홀로부터 하수도관(1) 내에 삽입하고, 원격 제어에 의해 관내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일정량 이동해서는 정지하고, 정지 시에 관 천장부에 드릴(3)로 구멍을 뚫는다. 구멍을 뚫은 후에 드릴(3)을 후퇴시키고, 카트리지(4)로부터 압출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케이블 홀더(49)를 스트라이커(5)로 쳐내며, 앵커(12)를 드릴 구멍에 압입하여 부착한다.First, the work vehicle 2 shown in FIG. 1 is inserted into the sewer pipe 1 from the manhole, and the inside of the pipe is moved by remote control. And it moves and stops by a fixed amount, and makes a hole with a drill 3 in a pipe ceiling part at the time of stop. After drilling, the drill 3 is retracted, the cable holder 49 extruded from the cartridge 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ith a striker 5, and the anchor 12 is removed. Press in the drill hole to attach it.

하수도관 천장부에 적당한 간격으로 앵커(12)를 이상과 같이 하여 부착한 후, 이어서 맨홀로부터 하수도관(1) 내에 리드선을 통과시키고, 리드선 종단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리드선을 끄집어당김으로써 케이블을 하수도관 내에 통과시킨다.The anchor 12 is attached to the ceiling of the sewer pipe at appropriate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lead wire is passed from the manhole into the sewer pipe 1,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lead wire end, and the cable is pulled out to pull the lead wire. Pass it inside.

그 후, 도 8에 나타낸 작업차(41)를 동일하게 하여 맨홀로부터 하수도관 내에 삽입하고, 원격 제어에 의해 관내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라이트(44)로 비춘 관 천장부를 모니터 카메라(45)에 의해 촬영하고, 그것을 관외의 모니터 텔레비전으로 감시한다. 모니터 텔레비전 화면에 의해 관 천장부에 부착된 케이블홀더(49)를 확인하면, 작업차(41)를 일단 정지시킨다. 그 후, 도 9에 나타낸 케이블 캐처(46)의 핸드(47)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후의 한쌍의 케이블 캐처(46)를 각각 일정량 상승시키고, 관내에 인입된 케이블(48)을 각 케이블 캐처(46)의 핸드(47)에 의해 각각 받는다. 핸드(47)가 케이블(48)을 받은 것을 모니터 텔레비전으로 확인하면, 각 케이블 캐처(46)의 핸드(47)를 폐쇄하고, 케이블(48)을 포착하여 로드(42) 상단의 대 정상부에 위치 결정 유지한다(도 10).Thereafter, the work vehicle 41 shown in Fig. 8 is similarly inserted into the sewer pipe from the manhole, and the inside of the pipe is moved by remote control. And the ceiling part of the pipe | tube shined with the light 44 is image | photographed with the monitor camera 45, and it monitors it with the monitor television outside a tube. When the cable holder 49 attached to the tube ceiling is confirmed by the monitor television screen, the work vehicle 41 is stopped once. Thereafter, in the state where the hand 47 of the cable catcher 46 shown in FIG. 9 is opened, the pair of front and rear cable catchers 46 are respectively raised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cable 48 drawn into the pipe is lifted by each cable catcher ( By hand 47, respectively. When the monitor 47 confirms that the hand 47 has received the cable 48, it closes the hand 47 of each cable catcher 46, captures the cable 48, and locates the top of the rod 42. The decision is retained (FIG. 10).

케이블(48)은 케이블 캐처 사이에서 대략 수평으로 지지되고, 이대로 케이블 캐처(46)를 더 상승시키면, 관 천장부에 부착된 케이블 홀더(49)의 개구부로부터 케이블 홀더 내에 압입되어, 삽입된다. 케이블(48)이 케이블 홀더 내에 삽입된 것을 관내의 모니터 텔레비전으로 확인하면, 케이블 캐처(46)의 핸드(47)를 개방하여 하강시키고, 케이블을 해방한다. 그리고, 다시 작업차(41)를 이동시키고, 상기 작업을 반복한다.The cable 48 is supported approximately horizontally between the cable catchers, and when the cable catcher 46 is further raised as it is, it is pressed into the cable holder from the opening of the cable holder 49 attached to the tube ceiling and inserted. When the monitor 48 in the tube confirms that the cable 48 is inserted into the cable holder, the hand 47 of the cable catcher 46 is opened and lowered to release the cable. Then, the work vehicle 41 is moved again, and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도 11에 나타낸 작업차(51)는, 상술한 작업차(2) 또는 작업차(41)에 상당하는 것이며, 전후에 색조인 와이어(52, 53)가 연결되어 있다. 이 와이어(52, 53)는 작업차(51)의 중심보다 하방에 있어서 작업차(51)에 연결되고, 작업차(51)를 하수도관 내에 이동시킬 때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홀의 바로 아래에 가이드 풀리(54)를 배치하고, 와이어(52, 53)와 제어 케이블(55)을 함께 가이드 풀리(54)에 걸친다. 그리고, 와이어(52, 53)의 한쪽에 텐션을 인가하여 견인하고, 다른쪽을 조출함으로써, 작업차(51)를 관내에 이동시킨다.The work vehicle 51 shown in FIG. 11 corresponds to the work vehicle 2 or the work vehicle 41 mentioned above, and the wires 52 and 53 which are color tone before and after are connected. These wires 52 and 53 are connected to the work vehicle 51 below the center of the work vehicle 51, and when the work vehicle 51 is moved into the sewer pipe, as shown in FIG. The guide pulley 54 is arranged below, and the wires 52 and 53 and the control cable 55 run together to the guide pulley 54. Then, tension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wires 52 and 53 to draw and the other side is moved to move the work vehicle 51 in the pipe.

와이어(52, 5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차(51)에 중심 위치보다 하방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차(51)를 와이어(52, 53)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텐션을 인가한 상태에서 견인하면, 작업차(51)가 관 하측부에 꽉 눌린 상태에서 전도하지 않아, 원활하게 이동하며, 관내 벽이 미끈미끈하거나, 관이 경사져 있어도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the wires 52 and 53 are connected below the center position to the work vehicle 51 as described above, the work vehicle 51 is pulled in a state where tension is applied from both sides by the wires 52 and 53. In this case, the work vehicle 51 does not fall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tube is pressed down, and moves smoothly, so that the inner wall of the tube is slippery or the tube is inclined so that it can move without slipping.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 케이블(55)이 와이어(52, 53)와 동일한 인장 강도를 갖도록 구성되고, 작업차(51)의 이동이 제어 케이블(55)의 견인에 의해 실행된다. 이 경우, 한쌍의 와이어(52, 53) 중에서 제어 케이블(55)과 동일한 방향의 와이어를 생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cable 55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tensile strength as the wires 52, 53, and the movement of the work vehicle 51 is performed by the pulling of the control cable 55. In this case, the wir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ntrol cable 55 can be omitted from the pair of wires 52 and 53.

도 14는 와이어(52, 53)와 동일한 인장 강도를 갖는 제어 케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섬유를 꼰 섬유 로프(57)가 튜브(58), 신호선(59), 동축선(60)과 함께 배치되고, 그 주위가 폴리우레탄 수지(61)로 피복되어 있다.Fig. 14 shows an example of a control cable having the same tensile strength as the wires 52 and 53, in which a fiber rope 57 braided with fibers is disposed together with the tube 58, the signal line 59, and the coaxial line 60. The periphery is covered with the polyurethane resin 61.

Claims (12)

하수도관 등의 관내에 인입한 광섬유 등의 케이블을 관내 벽에 고정 지지하는 케이블 홀더에 있어서, 하향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케이블 유지부를 횡방향으로 갖는 유지 쇠부재와, 케이블 유지부 사이의 유지 쇠부재를 통과시켜 관내 벽에 천공된 드릴 구멍에 압입되는 부착부를 갖는 앵커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의 부착부에 상방으로부터 형성되는 바닥이 있는 세로 구멍에는 점착제가 충전되는 동시에, 플런저 핀이 그 선단을 돌출시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A cable holder for fixing and supporting a cable such as an optical fiber introduced into a pipe, such as a sewer pipe, to a wall in a pipe, comprising: a holding iron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cable holding portions that are opened downward; and a holding iron member between the cable holding portions. An anchor having an attachment portion press-fitted into a drill hole drilled through the inner wall of the pipe, wherein a vertical hole having a bottom formed from above in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anchor is filled with an adhesive, and a plunger pin protrudes its tip. Cabl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유지 쇠부재는 앵커에 회전 정지 수단에 의해 회전 정지되어 부착되는 케이블 홀더.The holding metal member is a cable holder attached to the anchor by rotation stop by the rotation stop mean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회전 정지 수단이 앵커의 양측에 클로 끝을 단면 역V자 형상으로 형성한 스프링체로 이루어진 클로와, 유지 쇠부재에 형성되고, 클로가 오므려져 결합되는 결합 구멍인 케이블 홀더.A cable holder, wherein the rotation stop means is a claw made of a spring body having a claw end formed in a cross-sectional inverted V shape on both sides of the anchor, and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retaining metal member, and the claw being retracted and engaged. 하수도관 등의 관내에 인입한 광섬유 등의 케이블을 관내 벽에 고정 지지하는 케이블 홀더에 있어서, 하향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케이블 유지부가 일체화되어횡방향으로 갖는 수지제 유지구와, 상기 유지구 위에 돌출 형성되고, 관내 벽에 천공된 드릴 구멍에 압입되는 수지제 부착부를 가지며, 상기 부착부에 상방으로부터 형성되는 바닥이 있는 세로 구멍에는 점착제가 충전되는 동시에, 플런저 핀이 그 선단을 돌출시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A cable holder for fixing and supporting cables such as optical fibers introduced into a pipe, such as a sewer pipe, to a wall in a pipe, wherein a plurality of cable holders opening downwardly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protrude on the holder. And a resin attachment portion press-fitted into the drill hole drilled in the inner wall of the pipe, wherein the bottom-shaped vertical hole formed from above is filled with an adhesive, and a plunger pin protrudes from the tip thereof. Cable holder made. 하수도관 등의 관내를 주행할 수 있는 작업차와, 상기 작업차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케이블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대를 갖는 로드와, 로드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폐쇄했을 때에 상기 대 위에서 케이블을 포착하는 케이블 캐처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 캐처에 의해 케이블을 포착한 후, 상기 대에 케이블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승하고, 관내 벽에 개구부를 하향으로 하여 부착되는 케이블 홀더에 개구부로부터 압입하여 삽입시키는 케이블 부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가 산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블 캐처를 폐쇄했을 때에 케이블이 대 정상부 위에 위치 결정하여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설 장치.A work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in a pipe such as a sewer pipe, a rod supported by the work vehicle so as to be liftable and supporting a cable from below, and a rod upper end portion which is instal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nd closed. And a cable catcher which catches the cable on the stage at the time, and after the cable is captured by the cable catcher, ascends while supporting the cable on the stage, and is attached to the cable holder attached downward with an opening in the pipe wall. A cable laying apparatus for press-inserting from an opening portion, wherein the stage is formed in a mountain shape, and the cable is placed and held on the top portion when the cable catcher is closed. 하수도관 등의 관내를 주행할 수 있는 작업차와, 작업차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케이블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대를 갖는 로드와, 로드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폐쇄했을 때에 상기 대 위에서 케이블을 포착하는 케이블 캐처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 캐처에 의해 케이블을 포착한 후, 상기 대에 케이블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승하고, 관내 벽에 개구부를 하향으로 하여 부착되는 케이블 홀더에 개구부로부터 압입하여 삽입시키는 케이블 부설 장치에 있어서,케이블을 지지하는 대와, 케이블을 포착하는 케이블 캐처를 갖는 한쌍의 로드가 관의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설 장치.When a work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in a pipe such as a sewer pipe and a rod supported by the work vehicle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supporting the cable from the lower side are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rod upper end, and closed. And a cable catcher for capturing the cable on the stage, the cable catcher catches the cable, and then lifts the cable in the state in which the cable is supported on the stage, and opens the cable holder attached downwardly to the inner wall of the tube. In the cable laying apparatus which press-fits and inserts from the said cable laying apparatus, The cable lay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installing the pair which supports the cable and the cable catcher which catches a cable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ipe | tube. 하수도관 등의 관내를 주행할 수 있는 작업차와, 상기 작업차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케이블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대를 갖는 로드와, 로드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폐쇄했을 때에 상기 대 위에서 케이블을 포착하는 케이블 캐처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 캐처에 의해 케이블을 포착한 후, 상기 대에 케이블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승하고, 관내 벽에 개구부를 하향으로 하여 부착되는 케이블 홀더에 개구부로부터 압입하여 삽입시키는 케이블 부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에 케이블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케이블 받침이 상기 로드와는 관의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설 장치.A work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in a pipe such as a sewer pipe, a rod supported by the work vehicle so as to be liftable and supporting a cable from below, and a rod upper end portion which is instal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nd closed. And a cable catcher which catches the cable on the stage at the time, and after the cable is captured by the cable catcher, ascends while supporting the cable on the stage, and is attached to the cable holder attached downward with an opening in the pipe wall. A cable laying apparatus for press-inserting from an opening portion, wherein the cable laying means for supporting the cable from below is installed on the work vehicle so as to be able to be elevated up and down with the rod at an appropriate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작업차에 선단부에 대와 케이블 캐처를 갖는 상기 한쌍의 로드를 관의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어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로드와는 관의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어 케이블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케이블 받침을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설 장치.A cable for installing the pair of rods having a stand and a cable catcher at the tip end of the work vehicle at an appropriate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or a cable for supporting the cable from the lower side at an appropriate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A cable lay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installed to be elevated. 하수도관 등의 관내를 이동하고, 상기 관내에 인입한 케이블을 관내 벽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를 관내 벽에 부착하는 작업차의 상기 관내의 이동 방법에 있어서, 작업차에 색조(索條)를 연결하고, 작업차의 앞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는 색조 중 어느 한쪽을 조출하면서, 다른쪽을 관외로부터 견인함으로써 작업차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이동 방법.In the above-mentioned method of moving a pipe in a work vehicle in which a cable holder for moving a pipe such as a sewer pipe and fixedly supporting the cable drawn into the pipe on the wall of the pipe i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pipe. Moving the vehic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by pulling the other from outside the tube while feeding one of the tones extending to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vehicle. 하수도관의 관내를 이동하고, 상기 관내에 인입한 케이블을 포착하여, 관내 벽에 고정 지지된 케이블 홀더에 걸어 고정하여 설치하는 작업차의 이동 방법에 있어서, 작업차에 색조를 연결하고, 작업차의 앞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는 색조 중 어느 한쪽을 조출하면서, 다른쪽을 관외로부터 견인함으로써 작업차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이동 방법.In the work method of the work vehicle which moves the inside of a sewer pipe, catches the cable drawn in the said pipe, hangs and fixes to the cable holder fixed to the wall in a pipe, and installs it, connects a color tone to a work vehicle, A moving method of moving a work vehicle, wherein the work vehicle is advanced or retracted by pulling the other from outside the tube while feeding out one of the color tones extending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vehicle.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작업차에 연결되는 제어 케이블의 인장 강도를 증대시켜 제어 케이블과 동일한 측의 색조를 생략하고, 제어 케이블과 반대쪽의 색조 또는 제어 케이블을 견인함으로써 작업차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작업차의 이동 방법.A method of moving a work vehicle in which the work cable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increas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ntrol cable connected to the work vehicle so as to omit the color tone on the same side as the control cable and towing the color tone or the control cable opposite the control cable.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색조를 작업차의 중심 위치 또는 그 근방에서 작업차에 연결하는 작업차의 이동 방법.A moving method of moving a work vehicle, wherein the color tone is connected to the work vehicle at or near the center position of the work vehicle.
KR1020027013231A 2001-02-05 2002-02-04 Cable holder, cable laying device, and moving method therefor KR10079382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28450 2001-02-05
JPJP-P-2001-00028451 2001-02-05
JP2001028451A JP4388706B2 (en) 2001-02-05 2001-02-05 Cable laying equipment
JP2001028450A JP2002233020A (en) 2001-02-05 2001-02-05 Truck moving method for cable laying
JPJP-P-2001-00028967 2001-02-06
JP2001028967A JP4180803B2 (en) 2001-02-06 2001-02-06 Cable holder for in-pipe ca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214A true KR20020097214A (en) 2002-12-31
KR100793827B1 KR100793827B1 (en) 2008-01-11

Family

ID=2734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231A KR100793827B1 (en) 2001-02-05 2002-02-04 Cable holder, cable laying device, and mov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3827B1 (en)
WO (1) WO2002063734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558B1 (en) * 2008-09-09 2010-02-03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Hanger for fan
CN113467019A (en) * 2021-07-05 2021-10-01 富通集团(嘉善)通信技术有限公司 Submarine optical cable and fix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2847B (en) * 2014-05-26 2016-08-31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市牟平区供电公司 A kind of power pip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592A (en) * 1974-10-03 1976-04-05 Furukawa Electric Co Ltd Zetsuenbasudakuto no fusetsuhoho
JPH0255508A (en) * 1988-08-15 1990-02-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of leading cable tow rope
JPH06101986B2 (en) * 1990-08-31 1994-12-14 株式会社第一化成 Transparent whey protein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sal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978070B2 (en) * 1994-09-30 1999-11-15 株式会社コンセック Cable laying method and device
JPH11285136A (en) * 1998-03-30 1999-10-15 Haneda Hume Pipe Co Ltd Suspension pipe for cable and sheath tube
JP4256972B2 (en) * 1999-03-05 2009-04-22 日本ヒューム株式会社 In-pipe cable laying method, laying device and fume pipe used therefor
JP4266442B2 (en) * 1999-07-14 2009-05-20 日本ヒューム株式会社 Cable laying device in pip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558B1 (en) * 2008-09-09 2010-02-03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Hanger for fan
CN113467019A (en) * 2021-07-05 2021-10-01 富通集团(嘉善)通信技术有限公司 Submarine optical cable and fix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63734A1 (en) 2002-08-15
KR100793827B1 (en) 200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655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wire ring hard to be clogged with snow
US201101082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afety Cord For Window Covering Systems
KR20210005052A (en) Cable winding device
KR100793827B1 (en) Cable holder, cable laying device, and moving method therefor
JP2652602B2 (en) Wiring and piping material suspension members and wiring and piping equipment
US6644892B2 (en) Method for attaching cable and cable holder
JP2978070B2 (en) Cable laying method and device
RU2461695C2 (en) Rope from synthetic fibre with connection element
CN102043214B (en) Optical cable fixing device
US6047954A (en) Pulling element for installing a cable in a duct, and ducting system comprising such pulling element
JP3574431B2 (en) Telecommunications cable or band mounting device for inserting a communication cable into a sheath pipe inner wall and method for fixing a communication cable or sheath pipe inner wall using this band mounting device
CN212251622U (en) Automatic locking joint with checking function
KR100760182B1 (en) Dvice carring guard camera in the sewer pipe
JP4256972B2 (en) In-pipe cable laying method, laying device and fume pipe used therefor
CN111306514B (en) High-pole lamp rope distributor installation method
JP3730909B2 (en) New and old wire bundling construction method and hanger removal device used for it
JPH1094125A (en) Support device for sheave device
JP4388706B2 (en) Cable laying equipment
JP2511729Y2 (en) Shackle
JP4266442B2 (en) Cable laying device in pipe
CN216851178U (en) Combined cable bridge capable of being spliced
KR0125943Y1 (en) Telephone handset code fixing installation
JP3198437B2 (en) Cable catch with shooter
JP2005057873A (en) Wire-like body insertion assisting tool
CN114185142A (en) Pretermination optical cable assembly and optical cable overhead lay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