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095A - 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 - Google Patents

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095A
KR20020096095A KR1020010034141A KR20010034141A KR20020096095A KR 20020096095 A KR20020096095 A KR 20020096095A KR 1020010034141 A KR1020010034141 A KR 1020010034141A KR 20010034141 A KR20010034141 A KR 20010034141A KR 20020096095 A KR20020096095 A KR 20020096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oard
rear wheel
ped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국표
Original Assignee
박국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국표 filed Critical 박국표
Priority to KR1020010034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095A/en
Publication of KR20020096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095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2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rotary cranks combined with reciprocatin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3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mediate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unchangeable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 foot-driven kickboard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kickboard are provided to make carriage easy by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to drive the wheels of a kickboard with the force of the foot, and to transmit the driving power by stepping on a pedal. CONSTITUTION: A lever is attached with a pedal(7). A user steps on the pedal while supporting the body on another foot. The lever is connected with a lever shaft installed on a rotating shaft of a rear wheel(6). Through the lever, the load is transmitted only to the rear wheel, while the lever shaft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 drive mechanism converts the upward and downward motion of the lever to a rotational motion and rotates a rotor. The drive mechanism comprises the lever shaft, a lever arm, a lever arm shaft, a crank, and a crankshaft. The shaft of the rotor is fixed on a board(4). The lever shaft is rotatably fix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rear wheel. The crankshaft is attached to the face of the rotor. The rear wheel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Description

발의 힘으로 구동하는 발 동력 퀵보드 및 이를 위한 방법{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Foot-powered quick board driven by the force of the foot and a method therefor {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

본 발명은 작고 가벼워 이동이 편리하고 발의 힘으로 바퀴를 구동하여 자전거와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동력 퀵보드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퀵보드가 사용자 발의 동력을 승차한 자세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극복하여, 사용자가 서서 발로 패달을 밟으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quick board, which is small and light, which is convenient to move and to move like a bicycle by driving wheels with the power of a foot, and overcomes the disadvantage that a conventional quick board cannot use the power of a user's foot in a riding position. He stood up and stepped on his foot pedal to transmit power.

본 발명은 발의 상하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 메카니즘을 종래의퀵보드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퀵보드에서도 발판을 밟아 퀵보드를 탈 수 있도록 하고, 일반 자전거 처럼 변속기를 달아 변속을 할 수 있도록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drive mechanism for converting the up and down motion of the foot into the rotational movement to the conventional quick board so that the user can ride on the quick board by stepping on the footboard in the quick board, so that the transmission can be attached to the transmission like a normal bicycle.

기존의 자전거의 1회전으로 인한 사용자의 직립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45도 정도의 각도로 발판을 밟음으로서 안정적으로 사용자가 직립한 채로 탈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한발은 보드에 있고 다른 한 발로는 패달을 밟아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발로 밟아도 무관하다. 본 발명은 한발은 보드에 올려놓고 다른 한 발로 패달을 상하로 밟으면 되므로 안정되게 서있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앞에 패달만 나오고 보드는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있고 뒷바퀴가 커지는 경우 뒷바퀴 부분만 튀어오르게 할 수 있어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바퀴는 2,3,4개가 되어도 무관하다.By overcoming the difficulty of the user's upright due to the first rotation of the existing bicycle, the user can stably ride by standing on the footrest at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One foot is on the board, and the other foot is preferably stepped on the pedals, and it is safe to step on both fee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and stably because one foot on the board and the other foot to step on the pedal up and dow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only the front pedal comes out as shown in Figure 3 and the board is stably fixed and the rear wheel portion can bounce when the rear wheel is lar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wheels may be two, three, four.

뒷바퀴의 크기는 속력을 고려하여 크기를 좀 크게 해도 무관하지만, 휴대성과 디자인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안정성을 위해 무게 중심은 아래에 오도록 설계한다. 패달을 밟는 각도(상하 거리)는 사용자의 크기에 따라 적당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밟는 힘과 속도 및 퀵보드의 주행 속도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구동 메카니즘도 가장 효율적인 구동을 발생할 수 있도록 종래의 기술을 인용하여 구성한다.The size of the rear wheels can be made larger in consideration of speed, but they are designed for portability and design, and designed to be below the center of gravity for stability. The pedal stepping angle (up and down distan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ize, and it is designed considering the stepping force, speed, and speed of the quick board. The driving mechanism is also cited in the prior art so as to generate the most efficient driving.

체인없이 단지 구동 메카니즘을 직접 뒷바퀴에 적용하여 바로 뒷바퀴를 돌릴 수도 있으나, 속력을 내려면 바퀴가 상당히 커야 하므로 체인으로 변속하는 것 보다는 좋지 않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해도 무관하다.You can apply the drive mechanism directly to the rear wheels without a chain, and turn the rear wheels directly, but it's not as good as shifting into a chain because the wheels need to be quite large to speed up. However, this configuration is irrelevant.

뒷바퀴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경우 뒷바퀴축을 보드보다 높게하여, 사용자가 올라설 경우 상기 판은 바닥에 낮게 되도록 하여 무게의 중심을 아래로 내리도록설계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가 서서 본 발명을 탈 경우 중심을 잡기 편하도록 한다.When the size of the rear wheel is increased, the rear wheel shaft is higher than the board, and when the user climbs up, the plate may be designed to be lowered to the floor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lowered. In this way, when the user stands and rides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the centering.

뒷바퀴 축이란 뒷바퀴가 회전하는 중심을 의미하고 뒷바퀴나 기어는 모두 판에 튼튼히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도면에서는 내부를 보기위해 간단히 연결된 것처럼 도시되었다. 본 발명은 앉아서 타는 자전거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퀵보드 구조가 바닥에 낮게 구성된다는 점과 서서탄다는 점에서 특징이며, 서서타는 퀵보드에 대해서는 서서 타면서 패달을 밟아 바퀴를 구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다. 그리고 모터나 엔진을 사용하여 구동하는 퀵보드와 다른점은 사람의 발로 구동한다는 점에서 특징이다. 그러므로 부피가 작고 가격이 싸게 되므로 많이 보급할 수 있어 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The rear wheel axle mean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ear wheel, and both the rear wheel and the gear are firmly fixed to the plate. In the drawings, however, they are shown as simply connected to see the interio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of the bike is a quick boar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low on the floor and standing on the stand, and standing on the quick 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move by driving the wheels by stepping on the pedal while standing on the quick board to be. The difference between a quick board driven by a motor or an engine is that it is driven by a human foot. Therefore, since it is small in volume and low in price, it can be widely distributed,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올라 설수 있는 소정의 넓이의 보드에 앞바퀴와 뒷바퀴가 달려 있고 앞바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보드 상에 올라타서 직립한 상태로 앞바퀴를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접을 수 있는 손잡이가 달려 있는 이동 장치에 있어서, 패달이 부착된 지렛대로서, 사용자가 한발은 상기 보드 상에서 몸을 지지하면서 다른 한 발로 패달을 상하로 밟을 수 있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의 상하 운동을 받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 메커니즘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뒷바퀴로 전달하여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발 동력 퀵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is mounted on a board of a predetermined width that the user can stand up and the front wheel is a mobile device configured to fold the handle and foldable so that the user can drive the front wheel in an upright state on the board In the lever attached to the pedal, the user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o step on the pedal up and down with the other foot while supporting the body on the board, the lever and the lever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ever A drive mechanism for converting the motion to rotate the rotating body,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to the rear wheel to rotate the rear wheel.

본 발명에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9가 앞(예를 들어 9,19도)에 장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position may be mounted in front of 9 (eg, 9, 19 degrees) around the user.

본 발명에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9가 뒤이고 회전체의 앞(예를 들어 3도)에 장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9 behind the user and may be mounted in front of the rotating body (for example, 3 degrees).

본 발명에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9가 뒤이고 회전체의 뒤(예를 들어 23도)에 장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9 behind the user and may be mounted behind the rotating body (for example, 23 degrees).

본 발명에서, 8을 길게하여 사용자 앞으로 나와(예를 들어 18도) 밟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lengthen 8 so that it can be stepped out (eg 18 degrees) in front of the user.

본 발명에서, 패달은 종래의 자전거의 패달과 동일한 구성이거나,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달이나 기어 패달들과 같은 구성이 어도 되고, 퀵보드의 균형을 고려하는 위치에 오도록 하고 사용자가 밟을 수 있는 위치에 오게한다 (예를들어 도 17,18,22).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al may b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a conventional bicycle, or may be a configuration such as a brake pedal or a gear pedal of an automobile, and may be placed in a position that allows the user to step on the balance of the quick board. (Eg FIGS. 17,18,22).

9의 위치가 회전체의 상하에 오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9 can be configured to be above and below the rotating body.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지렛대에 연결된 지렛대축, 지렛대팔, 지렛대팔축, 크랭크, 크랭크축이 이 순서로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며, 지렛대 축과 회전체의 축은 보드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11과 13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해주는 구성이며, 크랭크축은 회전체의 중심 이외의 면에 부착되는 발 동력 퀵보드에 관한 것이다(예를 들어, 도 1).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mechanism, the lever axis, lever arm, lever arm axis, crank, crank shaft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order is configured, the lever axis and the axis of the rotating body is fixed to the board rotatably , 11 and 13 are rotatably connected, the crankshaft relates to a power-driven quick board attached to a surface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rotor (for example, Figure 1).

본 발명에서, 도 23과 같이 8과 10이 일직선인 하나의 막대로 구성될 수 있으며,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3, 8 and 10 may be composed of one straight line,

본 발명에서, 도 25와 같이 8과 10이 적당한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해도 된다.In this invention, you may comprise so that 8 and 10 may have an appropriate angle like FIG.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스프링, 한방향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스프링은 지렛대에 연결되어 지렛대가 항상 위로 되돌아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한방향베어링은 내부링과 외부링으로 구성되어 외부링에는 지렛대가 연결되고 내부링에는 회전체가 연결되며, 내부링과 외부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구동 메커니즘(예를 들어 도 11)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mechanism is composed of a spring, one-way bearing,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lever so that the lever is always located back up, the one-way bearing is composed of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the outer ring is a lever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are connected, and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are related to a driving mechanism (for example, FIG. 11) which can rotate only in different directions.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달 수단은 회전체를 집적 뒷바퀴의 회전축에 연결시켜 뒷바퀴와 하나가되어 뒷바퀴를 구동하는 구성(예를 들어 도3,13,인 발 동력 퀵보드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integrated rear wheel to be in combination with the rear wheel to drive the rear wheel (for example, Fig. 3, 13, to a motive power quick board).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달 수단은 회전체에 기어산을 구성하고 뒷바퀴에 기어를 일체시키고 회전체와 뒷바퀴의 기어 사이에 하나의 기어를 추가하여 회전력을 뒷바퀴에 전달하여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구성인 발 동력 퀵보드에 관한 것이다(예를 들어, 도 4,5,14,15 ; 여기서 추가되는 기어는 도시하지 않음).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means constitutes a gear mountain to the rotating body, the gear is integrated into the rear wheel and one gear is added between the rotating body and the gear of the rear wheel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ear wheel to rotate the rear wheels 4, 5, 14, 15; the gears added herein are not shown.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달 수단은 회전체가 기어산을 갖고서 뒷바퀴에 부착된 기어를 체인을 통하여 회전시켜 뒷바퀴를 구동하는 구성인 발 동력 퀵보드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means relates to a quick power board that is configured to drive the rear wheel by rotating the gear attached to the rear wheel having a gear mountain to the rear wheel through the chain.

본 발명에서, 기어를 더 추가하여 회전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rate can be changed by adding more gears.

또한, 27도와 같이 50을 뒷바퀴에 설치하고 15에는 8을 그냥 고정시켜 구성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50 can be installed on the rear wheel as shown in 27 and 15 can be configured by just fixing 8.

또한, 상기 가 내지 하 중 어느하나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any of the above.

또한, 사용자가 올라 설수 있는 소정의 넓이의 보드에 앞바퀴와 뒷바퀴가 달려 있고 앞바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보드 상에 올라타서 직립한 상태로 앞바퀴를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가 달려 있는 이동 장치에서, 상기 이동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dditio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is attached to the board of a predetermined width that the user can stand up, and the front wheel is a mobile device with a handle configured to drive the front wheel in an upright state on the board, the movement In a method of driving a device,

사용자가 한발은 상기 보드 상에서 몸을 지지하면서 다른 한 발로 지렛대에 연결된 패달을 상하로 밟는 경우 또는 패달에 하중이 상하로 가해지는 경우, 상하운동을 생성하는 단계와,Generating a vertical movement when the user presses up and down a pedal connected to the lever with the other foot while supporting the body on the board, or when a load is applied up and down on the pedal;

상기 지렛대의 상하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단계와,Rotating the rotating body by converting the vertical motion of the lever into a rotational motion;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뒷바퀴로 전달하여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 동력 퀵보드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method of a quick power board, comprising: rotating a rear wheel by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to a rear wheel.

본 발명에서 전달 수단은 하나이상의 기어 또는/및 체인의 조합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변속하는 공지된 기술이면 모두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 메커니즘은 지렛대를 밟아 회전판이 회전하게하는 공지된 구동메커니즘은 어떤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즉, 지렛대를 밟은후 회전판이 회전하기 전까지의 중간 과정은 공지된 어떠한 기술도 적용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a known technique of shifting while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in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gears and / or chains. In addition,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known driving mechanism that allows the rotating plate to rotate by stepping on the lever. That is, the intermediate process until the rotating plate rotates after pressing the lever can be applied to any known technique.

본 발명의 지렛대를 이용하는 구동 메커니즘을 서서 탈수 있는 기구의 뒷바퀴에 설치함에 있어서, 도 28에서 9의 회전중심을 16에 연결하여 16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하중을 6에 대부분을 가하게 되어 보드가 받는 하중이 최소로 될 수 있도록 하여 보드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install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the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rear wheel of the standing dewatering mechanism, in Fig. 28, the center of rotation of 9 is connected to 16 and rotates around 16, and the load is applied to most of the load by the board. It can be minimized to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of the board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한방향베어링을 사용하는 구동메커니즘에서 50의 회전 중심을 16에 일치시켜 하중의 대부분이 6에 전달되도록 하여 보드의 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riving mechanism using the unidirectional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center of 50 is matched to 16, so that most of the load is transmitted to 6, so that the bending of the board is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1 illustrates a driv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 메커니즘의 동작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2 shows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drive mechanism of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 메커니즘이 장착된 퀵보드를 도시하는 도면.Figure 3 shows a quick board equipped with the driv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구동 메커니즘에 변속을 위한 기어를 구비한 기어 변속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4 shows a gear shifting drive mechanism having a gear for shifting the drive mechanism of FIG. 1;

도 5는 도 4의 변속 구동메커니즘을 장착한 퀴보드를 도시하는 도면.FIG. 5 shows a quinboard equipped with the shifting drive mechanism of FIG. 4; FIG.

도 6은 도 1의 구동 메커니즘에 변속을 위한 체인을 구비한 체인 변속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FIG. 6 shows a chain shift drive mechanism having a chain for shifting in the drive mechanism of FIG. 1; FIG.

도 7은 본 발명의 패달부의 다른 실시예.Figure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eda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상부도.8 is a top view of FIG. 7;

도 9는 구동 메커니즘을 앞쪽에 장착하는 경우의 실시예.9 is an embodiment in the case of mounting the drive mechanism to the front.

도 10은 도 9의 상부 사시도.10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FIG. 9;

도 11은 본 발명의 한방향베어링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Figure 11 illustrates a one-way bearing driv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한방향베어링 구동 메커니즘의 동작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Figure 12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one-way bearing driv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한방향베어링 구동 메커니즘이 장착된 퀵보드를 도시하는 도면.FIG. 13 shows a quick board equipped with a one-way bearing driv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4는 도 11의 한방향베어링 구동 메커니즘에 변속을 위한 기어를 구비한 기어 변속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14 shows a gear shifting drive mechanism having a gear for shifting in the one-way bearing drive mechanism of FIG.

도 15는 도 14의 변속 구동메커니즘을 장착한 퀴보드를 도시하는 도면.FIG. 15 shows a quin board equipped with the shifting drive mechanism of FIG. 14; FIG.

도 16은 도 11의 한방향베어링 구동 메커니즘에 변속을 위한 체인을 구비한 체인 변속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FIG. 16 shows a chain shift drive mechanism having a chain for shifting in the one-way bearing drive mechanism of FIG. 11;

도 17은 본 발명의 패달부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Figure 17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eda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도 17의 상부도.18 is a top view of FIG. 17.

도 19는 한방향베어링 구동 메커니즘을 앞쪽에 장착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19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the case of mounting the one-way bearing drive mechanism to the front;

도 20은 도 19의 상부 사시도.20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FIG. 19.

도 21은 수직 상하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메커니즘의 도면.21 is a diagram of a mechanism for converting vertical up and down motion into rotational motion.

도 22는 지렛대를 측면으로 구성한 도면.22 is a view in which the lever is configured on the side;

도 23은 또다른 구동 메커니즘의 도면.23 is a view of another drive mechanism.

도 24는 도 23의 구동 순서도.24 is a driving flowchart of FIG. 23.

도 25는 도 23의 변형도.25 is a variation of FIG. 23;

도 26은 바퀴의 뒤쪽에 본 발명의 구동 메커니즘을 설치하는 예시도.Figure 26 is an illustration of installing the driv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ck of the wheel.

도 27은 한방향베어링을 바퀴측에 장착한 실시예의 도면.27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one-way bearing is mounted on the wheel side;

도 2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지렛대를 이용하는 구동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FIG. 28 illustrat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drive mechanism using a lev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한방향베어링을 이용하는 구동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FIG. 29 illustrat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drive mechanism using one-way bearing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0은 도 29에 사용되는 부분품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30 is a view showing the form of the parts used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7 : 패달8 : 지렛대7: pedal 8: lever

12 : 크랭크50 : 한방향베어링12: crank 50: one-way bearing

본원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도면 부호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대상을 의미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모든 도면 부호를 기재하지 않았어도 동일한 대상은 모두 동일한 도면 부호로 인용된다. 도 1은 본원의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이 구동 메커니즘은 패달(7), 지렛대(8), 지렛대축(9), 지렛대팔(10)을 포함하는 패달부와 지렛대팔축(11), 크랭크(12), 크랭크축(13)을 포함하는 크랭크부와 바퀴(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보드(4)에 지렛대축(9)이 상하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하 패달부와 크랭크부를 통합한 구성을 구동부로 인용한다. 상기 패달부에서 지렛대(8)와 지렛대팔(10)은 지렛대축(9)을 기준으로 어떤 각도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어떤 각도는 패달(7)을 밟아 바퀴(6)를 회전 시킬수 있는 길이로서 크랭크(12)의 길이와 크랭크축(13)의 위치와 서로 관련되어 결정되며, 0도 내지 360도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0도인 경우 8과 10이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23과 동일한 원리이며 9가 회전체 앞에 위치하는 모양이 된다. 또한, 지렛대(8)와 지렛대팔(10)과 크랭크(12)의 길이 및 크랭크축(13)의 위치는 바퀴(6)를 회전시킬수 있는 범위에서 패달(7)을 밟는 힘과 패달(7)과 보드(4)가 이루는 각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s used herein refer to like objects in all drawings. In addition, even if all the reference numbers are not described in all the drawings, the same objects are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1 shows the drive mechanism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rive mechanism comprises a pedal including a pedal 7, a lever 8, a lever axle 9, a lever arm 10, a lever arm 11, a crank 12 and a crankshaft 13.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rank portion and the wheel (6) and the lever shaft (9) is fixed to the board (4) to be rotated up and down. Hereinafte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edal portion and the crank portion are integrated is referred to as a driving portion. In the pedal unit, the lever 8 and the lever arm 10 are fix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lever axis 9. The angle may be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length of the crank 12 and the position of the crankshaft 13 as the length to rotate the wheel 6 by stepping on the pedal 7 and may be determined in the range of 0 to 360 degrees. have. At 0 degrees, 8 and 10 can be one. It is the same principle as FIG. 23, and it turns out that 9 is located in front of a rotating body.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lever 8, the lever arm 10 and the crank 12 and the position of the crankshaft 13 are the force and stepping on the pedal 7 in the range that can rotate the wheel (6) And the angle formed by the board 4 is determined.

상기 크랭크축(13)은 회전체에 부착되고 이 회전체(도시하지 않음)가 바퀴(6)에 부착되어 바퀴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도 1에서는 회전체가 바퀴 옆면에부착된 것이다.The crankshaft 13 is attached to the rotating body and this rotating body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wheel 6 to rotate the wheel. Therefore, in Figure 1, the rotating body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wheel.

이 구동 메커니즘의 구동 원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패달(7)을 밟으면 도 2의 a 내지 d와 같은 순으로 바퀴(6)가 회전한다. 이러한 원리는 연소기관 엔진의 구동원리와도 같으며, 이미 공지된 원리이다. 즉, 연소기관 엔진에서 폭발력을 사람의 발로 대체한 원리와 동일하다.The driving principle of this driving mechanism is that, as shown in Fig. 2, when the user steps on the pedal 7, the wheel 6 rotates in the same order as in Figs. This principle is similar to the driving principle of a combustion engine engine, and is a known principle. That is, the same principle as replacing the explosive power with human feet in the combustion engine engine.

도 3은 본원의 구동 메커니즘이 장착된 발동력 킥보드의 구성도이다. 상기 발동력 킥보드는 핸들(1), 핸들축(2), 바퀴(3), 보드(4), 커버(5)를 포함하는 킥보드부와 구동부 및 바퀴(6)로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으로 구성된다. 상기 킥보드부는 사용자가 올라서서 선자세로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가능한 지면에 가깝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에 구동 메커니즘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대축(9)을 보드(4)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여, 패달부가 지렛대축(9)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바퀴(6)는 회전축(16)을 기준으로 보드(4)또는 커버(5)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의 발동력 킥보드에서 사용자는 보드(4)에 올라타서 한발은 보드(4) 상에서 몸을 지탱하고 다른 한 발로 패달(7)을 밟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6)가 회전하여 킥보드부가 이동하게 된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actuation kickboard equipped with the drive mechanism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ctuation kickboard is comprised of a kickboard part comprising a handle 1, a handle shaft 2, a wheel 3, a board 4, a cover 5, a drive mechanism and a drive part and a wheel 6. The kickboard un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tand up and drive in a standing posture,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s close to the ground as possible. Here, as shown in FIG. 1, the drive mechanism is rotatably fixed to the board 4 so that the pedal portion can be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lever axis 9. The wheel 6 is fixed to the board 4 or the cover 5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16. In the acting kickboard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limbs on the board 4 so that one foot supports the body on the board 4 and steps on the pedal 7 with the other foot so that the wheel 6 rotates as shown in FIG. 2. The kickboard unit is moved.

도 4는 기어 변속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구동부를 제1기어(15)에 장착하고 제1기어(15)는 제2기어(17)에 기어산(18,19)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2기어(17)에 연결된 바퀴(6)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속도를 제1기어 및 제2기어의 크기에 의해 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기어들의 크기는 사용자가 패달을 밟는힘과 발동력 킥보드의 속력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정해진다. 이하 제1기어(15)가 회전체이다.4 is a gear shift driving mechanism, in which a driving unit is mounted to the first gear 15, and the first gear 15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gear 17 through the gear mountains 18 and 19, and the second gear ( The wheel 6 connected to 17 is configured to rotate, so that the speed can be changed by the size of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These gears are sized appropriately, taking into account the pedaling force of the user and the speed of the kickboard. Hereinafter, the first gear 15 is a rotating body.

도 5는 도 4의 기어 변속 구동 메커니즘을 킥보드부에 장착한 도면으로서 장착 방법은 도 3과 같으며, 회전축(14, 16)이 보드(4)또는 커버(5)에 고정되어 있다.FIG. 5 is a view in which the gear shifting drive mechanism of FIG. 4 is mounted on the kick board, and the mounting method is the same as that of FIG. 3, and the rotation shafts 14 and 16 are fixed to the board 4 or the cover 5.

도 6은 도 4의 기어 변속 구동 메커니즘에서 제1기어와 제2기어를 체인(20)으로 연결한 체인 변속 메케니즘을 킥보드부에 장착한 도면을 나타내며, 체인(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제외하고, 원리 및 장착방법은 기어 변속 구동 메커니즘에 관한 것과 동일하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chain shift mechanism in which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are connected to the chain 20 in the gear shift drive mechanism of FIG. 4 by the chain,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chain 20. Except, the principle and the mounting method are the same as for the gear shifting drive mechanism.

도 7은 본원의 패달부의 지렛대(8)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패달(7)을 밟을 때 패달의 위치가 사용자의 앞으로 올수 있도록 지렛대(8)의 길이를 늘리는 경우 지렛대(8)에 의해 사용자가 보드위에 올라서 있는 자리가 불편할 것을 고려하여, 지렛대(8)을 도 7의 상부도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을 90도 회전시킨형으로 만들어 사용자가 보드상에 안정적으로 서있을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도시한다.Figure 7 relates to the lever 8 of the pedal un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user presses on the pedal 7, when the length of the lever 8 is increas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edal can come to the user in front of the user by the lever 8 In consideration of the inconvenience of the above-mentioned seat, the lever 8 is rotated 90 degrees as shown in FIG. 8, which is the top view of FIG. 7, so that the user can stand stably on the board. The configuration is shown.

도 9는 기어 변속 구동 메케니즘을 사용자를 중심으로 앞쪽에 장착하여 회전력을 제2기어(17)에 연결된 제3기어(32)를 통해 체인(20)으로 제4기어(37)을 회전시켜 제4기어(37)에 연결된 바퀴(6)를 회전시키는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 제2기어(17)와 제3기어(32)없이 체인(20)이 제1기어(15)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1기어(15)와 제2기어(17)를 체인으로 연결하여도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기어(37) 및 제3기어(32)는 바퀴연결축(38)으로 보드옆쪽에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서있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제2기어(17)와 제3기어(32)없이 체인(20)이 제1기어(15)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에서는 구동부와 제1기어(15)가 바디 옆쪽에 위치하여 제4기어(37)와 체인(20)을 통해 연결되며 패달만 바디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굽혀서 구성한다. 구동부와 제1기어(15)는 바디를 중심으로 바퀴연결축(38)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한다.FIG. 9 shows a gear shift driving mechanism mounted on the front of the user to rotate the fourth gear 37 with the chain 20 through the third gear 32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17. The structure which rotates the wheel 6 connected to the four gear 37 is shown. Here, the chain 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gear 15 without the second gear 17 and the third gear 32. In addition, you may connect the 1st gear 15 and the 2nd gear 17 by chain. As shown in FIG. 10, the fourth gear 37 and the third gear 32 are configured to be located at the side of the board by the wheel connecting shaft 38 so as not to prevent the user from standing. Here,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hain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15 without the second gear 17 and the third gear 32, the driving unit and the first gear 15 are located at the side of the body and the fourth gear ( 37) is connected through the chain 20 and configured to bend so that only the pedal can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ody. The drive unit and the first gear 15 are configured to be fixed using the same as the wheel connecting shaft 38 around the body.

물론, 이 구성에서 무게중심은 보드상으로 오도록 설계해야한다.Of course, in this configuration the center of gravity must be designed to come on board.

도 11 내지 도 20은 도 1 내지 도 10에서 구동 메커니즘을 한방향베어링(50)을 사용한 구동 메커니즘으로 대체한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한방향베어링(50)에 관한 구성 외는 도 1 내지 도 10의 구성과 유사하여 당업자라면 상세한 설명이 없어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11 to 20 are relat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driving mechanism is replaced with the driving mechanism using the one-way bearing 50 in FIGS. 1 to 10. The configuration of the one-way bearing 50 is similar to that of FIGS. 1 to 10.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a detailed description,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한방향베어링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한방향베어링(50)은 내부링과 외부링으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는 이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구성은 현재의 자전거의 뒷바퀴의 구동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베어링과 동일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 구성은 현재 공지된 구성을 사용한다. 즉, 자전거의 뒷바퀴와 일명 짤짤이라 불리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볼트를 잠그고 푸는 공구에서 사용되는 구성을 이용하므로 상세한 구성에 관하여는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의 한방향베어링 구동 메커니즘은 패달(7), 지렛대(8), 한방향베어링(50), 및 스프링(51)으로 구성되는 베어링 구동부와 바퀴(6)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렛대(8)는 한방향베어링(50)의 외부링에 연결되고 한방향베어링(50)의 내부링은 바퀴(6)에 연결되며, 서로 반대로 연결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지렛대(8)는 스프링(51)을 통해 바디 골격을 형성하는 커버(5)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패달(7)을 밟으면 바퀴(6)를 회전시키고 사용자가 밟을 놓으면 패달(7)이 스프링(51)에 의해 다시 윗쪽 원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도 12에 도시되며, 도 12에는 스프링(51)은 도시하지 않는다.Figure 11 shows a one-way bearing drive mechanism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one-way bearing 50 is composed of an inner ring and an outer ring, and between them so that they can only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configuration is a bearing that is used for driving the rear wheel of the current bicyc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used. That is, since the configuration used in the rear wheel of the bicycle and a tool for locking and releasing bolts which rotate only in one direction called a so-called one is not described in detail. The unidirectional bearing drive mechanism of FIG. 11 consists of a bearing drive and wheel 6 consisting of a pedal 7, a lever 8, a unidirectional bearing 50, and a spring 51. Here, the lever 8 is connected to the outer ring of the one-way bearing 50 and the inner ring of the one-way bearing 50 is connected to the wheel 6, it may be connected to the opposite. In addition, the lever 8 is connected to the cover 5 forming a body skeleton through the spring 51, the user rotates the wheel 6 when the user presses on the pedal 7, and the pedal 7 springs when the user presses on the pedal. By 51, it returns to the upper original position again. This change is shown in FIG. 12, in which the spring 51 is not shown.

스프링(51)은 베어링 내에 설치될 수 도 있으며, 공지된 기술을 따른다.The spring 51 may be installed in a bearing and follows known techniques.

도 13은 도 11의 구동메커니즘을 킥보드 부에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1의 메커니즘에서 스프링(51)이 커버(5)에 연결되고 바퀴(6)의 축이 커버(5)에 연결되어 구성는 점을 제외하고 도 3의 설명과 유사하다. 스프링(51)의 위치는 지렛대(8)가 다시 원위치로 회복되기 적절하고 밟을 때 힘이 적게드는 위치에 설치된다.FIG. 1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rive mechanism of FIG. 11 is mounted on the kickboard section, in which the spring 51 is connected to the cover 5 and the shaft of the wheel 6 is connected to the cover 5 in the mechanism of FIG. 11. The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FIG. 3 except for the point. The position of the spring 51 is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the lever 8 is appropriate to recover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has a low force when stepped on.

도 14는 도 11의 베어링 구동부의 내부링이 바퀴(6)대신에 제1기어(15)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그외는 도 4의 설명과 동일하다.In FIG. 14,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driving unit of FIG. 11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first gear 15 instead of the wheel 6, and the same is the same as that of FIG. 4.

도 15는 도 14의 구동메커니즘이 킥보드부에 장착된 실시예이다. 스프링(51)과 제1기어(15)의 축과 바퀴(6)의 축이 커버(5)에 고정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기어(15)와 제2기어(17) 사이에 기어가 하나더 추가되어 바퀴(6)의 회전 방향을 제어 해야 한다. 또한 이 추가되는 기어로 속력도 조절할 수 있다. 그외는 도 5와 유사하다. 도 1과 같은 구동 메커니즘은 회전 방향이 사용자의 의도대로 자유로우므로 뒤로가거나 앞으로 가면서 본 발명의 발 동력 킥보드를 즐길수 있다.FIG. 15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riving mechanism of FIG. 14 is mounted to the kickboard unit. The shaft of the spring 51 and the first gear 15 and the shaft of the wheel 6 are fixed to the cover 5, and the gear between the first gear 15 and the second gear 17, although not shown, is fixed. One more should be adde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wheel (6). You can also adjust the speed with this additional gear. Others are similar to FIG. The driving mechanism as shown in FIG. 1 can enjoy the power kick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ving backward or forward because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free as the user intended.

도 16은 도 15에서 기어와 기어를 체인(20)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예시하며,그외는 도 15의 설명과 동일하다.FIG. 16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gear and a gear are connected to the chain 20 in FIG. 15, and others are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FIG. 15.

도 17은 베어링 구동부에서 지렛대(8)를 앞으로 길게 연장할 경우의 모형으로 도 7의 설명과 동일하며 도 18은 도 17의 상부도이다.FIG. 17 is a model when the lever 8 extends forward in the bearing drive unit, which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FIG. 7, and FIG. 18 is a top view of FIG. 17.

도 19 및 도 20은 도 9 및 도 10에서 베어링 구동부를 설치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다.19 and 20 are the same except that the bearing drive unit is installed in FIGS. 9 and 10.

도 21은 도 1의 메커니즘을 수직으로 밟는 힘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며, 연소기관의 실린더 대신 사용자의 발로 패달(7)을 밟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도 9와 유사하게 장착하여 사용자의 바로 아래에 구성할 수 있다.FIG. 21 is a configuration for converting the vertical stepping force of the mechanism of FIG. 1 into a rotary motion, except that the pedal 7 is stepped on with the user's foot instead of the cylinder of the combustion engine. Such a configuration can be mounted similarly to that of FIG. 9 to be configured directly under a user.

도 22는 지렛대를 측면으로 구성한 도면이며,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에 위치시킬수 있다.Fig. 22 is a view showing the lever as a side, and the user can be positioned at a convenient position.

도 23은 9가 회전체(60)의 뒷쪽에 위치하는 경우의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8과 10이 일직선(도1에서 8과 10이 이루는 각도가 0도)이며, 하나의 막대로 할 수 있다. 그외는 도 1의 원리와 동일하다. 61은 회전체축이다.FIG. 23 is a drive mechanism in the case where 9 is located behind the rotating body 60, and 8 and 10 are in a straight line (an angle formed by 8 and 10 in FIG. 1 is 0 degrees), and may be a single bar. The rest is the same as that of FIG. 61 is a rotating shaft.

도 24는 도 23의 작동을 나타낸다.24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FIG. 23.

도 25는 도 23의 8과 10의 각이 0도가 아닌 경우의 실시예이며 이각은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고 힘과 속력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FIG. 25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ngles of 8 and 10 of FIG. 23 are not 0 degrees, and the angle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orce and the speed of the rotating body.

도 26은 도 23의 회전체를 6의 뒷쪽에 설치하는 예이며, 도 23의 구성을 6의 앞에(도4 참고)설치해도 된다.FIG. 26 is an example in which the rotating body of FIG. 23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6, and the structure of FIG. 23 may be provided in front of 6 (see FIG. 4).

도 27은 50이 바퀴에 구성되고 8은 15에 고정되는 구성이다.27 is a configuration in which 50 is configured to the wheels and 8 is fixed to 15.

도 28은 본 발명의 지렛대를 이용하는 구동 메커니즘을 서서 탈수 있는 기구의 뒷바퀴에 설치함에 있어서, 9의 회전중심을 16에 연결하여 16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하중을 6에 대부분을 가하게 되어 보드가 받는 하중이 최소로 될 수 있도록 하여 보드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도시한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본원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 7을 밟을 경우 도1을 참고로 9부분과 4부분의 만나는 지점의 하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4가 휘어질 수 있어 4의 구조를 상당히 강하게 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도 28과 같이 구성하면 7을 밟을 때의 하중을 6이 모두 부담하므로 4에 미치는 하중은 없게 된다. 도 28의 동작에 있어서, 7을 밟으면 15를 회전시키고 15의 기어(도시하지 않음)가 17을 회전시키고 17에 고정되어있는 6이 회전하게된다. 도 28의 구성을 도 3과 같이 구성함에 있어서는 16과 14를 4에 고정하면 되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설명하지 않는다.Figure 28 is a drive mechanism using the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stallation of the rear wheel of the demountable mechanism, by connect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9 to 16 rotates around 16 and the load is applied to most of the load on the board 6 The configur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nding the board so that this can be minimized. In this configuration, when stepping on 7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5 of the present application, since the loads at the points where the 9 and 4 parts meet with reference to FIG. There is a problem to be strong, but when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 28, because the load on all 6 to bear the load on 7 there is no load on the four. In the operation of Fig. 28, stepping on 7 rotates 15, the gear of 15 (not shown) rotates 17, and 6, which is fixed to 17, rotates.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8 as shown in FIG. 3, 16 and 14 need only be fixed to 4,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description.

도 28은 뒷바퀴를 구동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이 구성을 도 3과 같이 장치의 뒷바퀴부분에 장착하여 이용한다.FIG. 28 shows a configuration for driving a rear wheel, which is mounted on the rear wheel portion of the apparatus as shown in FIG.

도 29는 도 28과 동일한 개념이며, 다만, 한방향베어링을 이용하는 구동메커니즘을 16에 일치시켜 구성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작동에 있어서, 7을 밟으면 16에 회전중심이 일치된 50의 내부링이 회전하고 한방향베어링의 작동으로 외부링이 회전하며 외부링에 달린 기어에의해(도 30참고) 돌출부가기어(81)이 회전하고 81에 고정된 부가기어(80)(도30참고)가 부가기어축(8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17을 회전시키고 17에 고정된 6(도30참고)이 회전하게 된다.FIG. 29 shows the same concept as that in FIG. 28 except that the driving mechanism using the one-way bearing coincides with 16. FIG. In operation, when stepping on 7, the inner ring of 50 with the rotation center coincides with 16, the outer ring rotates by the operation of one-way bearing, and the protruding gear 81 is rotated by the gear attached to the outer ring (see Fig. 30). The additional gear 80 (refer to FIG. 30) fixed to 81 rotates about the additional gear shaft 82 to rotate 17 and rotates 6 (see FIG. 30) fixed to 17.

한방향베어링과 8의 연결에있어서, 50의 외부링에 달린 기어는 81과 접촉하는 면이 일정하게된다. 따라서 81과 접촉하는 부분이외는 기어가 필요없으며, 따라서 8이 내부링에 부착될 수 있도록 외부링에 긴 홈을 내어 8이 상하로 소정의 각도까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한방향베어링이 부하를 받는 때는 당연히 7을 밟을 때가 되도록 한다. 8이 다시 위로 복귀하게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등을 연결하여 밟은후에 다시 위로 올라오게 한다. 내부링은 도 29에 도시되지 않으며, 8은 외부링을 지나 내부링에 연결되어 있다.In connection of one-way bearing and eight, the gear on the outer ring of 50 has a constant contact with 81.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gears other than the part in contact with 81, so that the outer ring can be made long in the outer ring so that the eight can be attached to the inner ring, so that the eight can move up and down to a predetermined angle. When one-way bearings are under load, make sure that it is time to step on 7. To get 8 back up again, connect the spring lamp and step up again. The inner ring is not shown in FIG. 29 and 8 is connected to the inner ring via the outer ring.

도 29은 뒷바퀴를 구동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이 구성을 도 3과 같이 장치의 뒷바퀴부분에 장착하여 이용한다.FIG. 29 shows a configuration for driving a rear wheel, which is mounted on the rear wheel of the apparatus as shown in FIG.

도 28과 도 29와 같이 하중을 뒷바퀴가 모두 부담하게 하여 보드의 안정성과 견고함을 실현할 수 있으며, 구성부분의 사이즈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회전력을 전달할 때 채인을 이용해도 된다.As shown in Figs. 28 and 29, the rear wheels bear the load so that the st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board can be realized, and the size of the component can be compressed. You can also use a chain to transfer the torque.

위의 베어링 구동에 관한 실시예의 도 14에서 한방향베어링이 지렛대에 연결되지 않고 지렛대는 15의 중심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15를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하고 한방향베어링은 17과 6간에 연결되어(종래의 자전거의 구성과 동일함) 구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15,16,17,19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된다.In Fig. 14 of the embodiment related to the above bearing drive, the one-way bearing is not connected to the lever, but the lever is attached and fixed at the center of 15, and the 15 is rotated up and down, and the one-way bearing is connected between 17 and 6 (a conventional bicycle).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may be configured. Similarly,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FIGS. 15, 16, 17, and 19.

도 1의 구동원리와 달리 도 10의 구동원리로 구동하는 경우 회전 방향이 문제가 되므로 기어를 적절히 조합하여 회전 방향을 맞추어야한다. 그러나 채인을 이용할 경우 예를 들어 도 16의 경우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큰 회전력을 전달하는데도 유리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6에서도 베어링이 뒷바퀴에 설치되어, 패달을 밟지 않는한 뒷바퀴외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Unlike the driving principle of FIG. 1, when driving with the driving principle of FIG. 10, the rotation direction becomes a problem, and thus the rotation direction should be adjust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gears.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cha, for example, in FIG. As described above, in Fig. 16, the bearing may be provided on the rear wheel, so that it is not rotated except for the rear wheel unless the pedal is stepped on.

또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구동부를 뒷바퀴의 뒷쪽에 설치하여 지렛대의 길이를 더 길게하여 힘을 적게 들이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wheel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lever to reduce the force.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9부분이 바퀴의 뒷쪽에 구성되고 4부분 대신 5를 이용하여 9부분을 고정하여 구성된다. 구동부의 각도와 길이는 바퀴가 구동할 수 있도록 조정해야하며 당업자라면 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설명하지 않는다.For example, in FIG. 3, 9 parts are configured at the rear of the wheel, and 9 parts are fixed by using 5 instead of 4 parts. The angle and length of the drive should be adjusted to allow the wheels to be driven and will not be described a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어, 도4에서 구동부와 15가 6의 오른쪽에 구성되고 지렛대는 현재위치까지 길게 뻗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구동부와 15가 6의 뒤(화살표 6의 끝)에 위치하고 9는 5에 고정된 막대로 연결하여 고정한다. 이경우 구동부의 구조가 변경되지만 구동원리는 동일하므로 당업자라면 본원의 사상을 벋어나지 않고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3,5,6,7,9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적용된다.For example, in FIG. 4, the drive unit and 15 may be configured on the right side of 6, and the lever may be extended to the current position. Therefore, in FIG. 5, the driving unit and 15 are located behind 6 (the end of arrow 6) and 9 is connected and fixed by a bar fixed to 5.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driving unit is changed, but the driving principle is the same, s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ame applies to FIGS. 3, 5, 6, 7, and 9.

본 발명에서 패달의 위치는 사용자가 패달을 밟을 때 킥보드의 무게중심과 일치하지 않아 킥보드가 불안정한 것을 막기 위해 패달의 위치를 정할 때 이러한 무게줌심을 고려하여 구성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pedal is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center whe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edal to prevent the kickboard is unstable because the user does not matc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kickboard.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는 브레이크를 설치한다. 헨들에 설치할 수 도 있다. 즉, 종래의 자전거에서 사용하는 브레이크인 바퀴축을 잡는 브레이크 라이닝으로 구성해도 되며, 바퀴를 잡는 고무로 구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은 현재 자전거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공지된 방법을 따른다. 이경우, 브레이크를 잡을 경우 사용자가 앞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드 앞에 돌출부를 자동차의 브레이크 모형으로 설치하여 이것이 발이 앞으로 밀리는 것을 방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보드 상에 브레이크 패달을 설치하여 발로 밟을 수 있도록 설치할 수 도 있다. 이 브레이크 패달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달처럼 보드 앞쪽에 설치된다. 이 패달을 밟는 경우 브레이크를 동작하는 라인을 당기도록 하여 고무 브레이크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동작시킨다. 이 구성은 사용자가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몸이 앞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All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equipped with a brake. It can also be installed on the handle. That is, you may comprise with the brake lining which catches the wheel shaft which is a brake used by the conventional bicycle, and may be comprised by the rubber which catches a wheel. This configuration follows the known method since it is currently used in bicycles.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pushed forward when the brake is applied, the protrusion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ard as a brake model of the car so that the foot can not be pushed forward.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brake pedal on the board so that you can step on it. This brake pedal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ard like a brake pedal in a car. When the pedal is pressed, the rubber brake or brake lining is operated by pulling the brake operating line. This configuration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ody from pushing forward when the user applies the brakes.

또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핸들(1)이나 핸들축(2)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롤러보드를 타듯이 본 발명을 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보드(4)상에 의자를 설치하여 앉을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in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1 or the handle shaft 2 may be removed and the user may be configured to ride the present invention as if riding a roller board.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chair on the board (4) to be able to sit.

또한, 기어들을 추가하여 변속을 하는 것도 종래의 자전거에서 사용하는 변속 방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기어변속과 같이 기어들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즉, 현재 자전거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hifting by adding gears may also use the shifting method used in a conventional bicycle as it is. It is also possible to use gears, such as gear shifting in automobiles. That is, all the techniques currently used in bicycle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뒷바퀴는 2개가 될 수 있으며, 이경우 두바퀴를 연결하는 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두바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충분히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서서 한발은 보드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발로 패달을 밟아 구동하는 모든 탈것에 관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권리를 주장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heel may be two, in this case it can be configured to rotate the two wheels by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axis connecting the two wheel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sufficiently carried ou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are not presented. .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claim the right of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ll vehicles that the user can stand on one board and step on the pedal with the other foot.

가능한 도면 자체 만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글로서는 간단히 하였다.The drawings are to be understood as possible only by themselve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simply written.

본발명의 모든 구동원리와 구동원리의 구성들은 본발명에서 킥보드에 장착한실시예들 모두 적용가능하며, 당업자라면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없다고 보여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또한, 본발명의 구동메커니즘을 장착함에 있어서, 최대한 뒷바퀴에 접근시켜 하중을 뒷바퀴가 부담하게 하여 보드의 견고성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한 특징이다.All the driving principl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the embodiments mounted on the kickboar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because it will be see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re is no difficulty in configuration. In addition, in mounting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an important feature to maintain the rigidity of the board by approaching the rear wheel as much as possible to bear the load on the rear wheel.

또한 본 발명은 큰 자전거가 서서탈수 있게되었다는 개념이며, 이를 축소하여 킥보드와 같이 작게 구성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that a large bike can stand standing, it can be configured to be smaller like a kickboard by reducing it.

또한 보드에서 지렛대축과 보드가 연결되는 부분이 가장 힘을 많이 받아 휘어질 염려가 있으므로, 이 바로 아래에 바퀴를 하나더 추가하여 보안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rt connecting the lever axis and the board on the board is most likely to be bent under the most forc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ethod of securing by adding one more wheel right under this.

본 발명은 작고 가벼워 이동이 편리하고 발의 힘으로 바퀴를 구동하여 자전거와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동력 퀵보드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퀵보드가 동력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극복하여, 사용자가 서서 발로 패달을 밟으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속도감있는 레크레이션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quick board that is small and light, which is convenient to move and can move like a bicycle by driving wheels with the power of a foot, overcoming the disadvantage that the conventional quick board cannot use power, and the user stands on the foot by foot. It was able to transmit power. Therefore, it can be used for speedy recreation.

Claims (2)

사용자가 올라 설수 있는 소정의 넓이의 보드에 앞바퀴와 뒷바퀴가 달려 있고 앞바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보드 상에 올라타서 직립한 상태로 앞바퀴를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가 달려 있는 이동 장치에 있어서,In a mobile device having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on a board of a predetermined width that the user can stand up, and the front wheel is equipped with a handl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drive the front wheel while standing upright on the board, 패달이 부착된 지렛대로서, 사용자가 한발은 상기 보드 상에서 몸을 지지하면서 다른 한 발로 패달을 상하로 밟을 수 있으며, 뒷바퀴의 회전 축에 설치된 지렛대축에 연결되어 하중을 뒷바퀴에만 전달하고 회전력은 지렛대축을 회전 시키는, 상기 지렛대와,As a lever with a pedal attached, the user can step on the pedal up and down with the other foot while supporting the body on the board, and it is connected to the lever axle installed on the rear axle shaft to transmit the load only to the rear wheel, and the rotational force is the lever axle. With the lever to rotate, 상기 지렛대의 상하 운동을 받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지렛대에 연결된 지렛대축, 지렛대팔, 지렛대팔축, 크랭크, 크랭크축이 이 순서로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며, 회전체의 축은 보드에 고정되고, 상기 지렛대축은 뒷바퀴의 회전축에 장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크랭크축은 회전체의 중심 이외의 면에 부착되는, 상기 구동 메커니즘과,A drive mechanism that rotates the rotating body by receiv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ever and converting it into a rotational movement, wherein the lever axle, lever arm, lever arm axle, crank, and crank shaf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order. The axis of the fixed to the board, the lever axle is mount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rear wheel is fixed to be rotatable, the crankshaft is attached to a surface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17로 전달하여 17에 고정된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발 동력 퀵보드.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to 17 to rotate the rear wheel fixed to 17. 사용자가 올라 설수 있는 소정의 넓이의 보드에 앞바퀴와 뒷바퀴가 달려 있고 앞바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보드 상에 올라타서 직립한 상태로 앞바퀴를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가 달려 있는 이동 장치에 있어서,In a mobile device having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on a board of a predetermined width that the user can stand up, and the front wheel is equipped with a handl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drive the front wheel while standing upright on the board, 패달이 부착된 지렛대로서, 사용자가 한발은 상기 보드 상에서 몸을 지지하면서 다른 한 발로 패달을 상하로 밟을 수 있으며, 뒷바퀴의 회전 축에 설치된 50의 내부링에 연결되어 하중을 뒷바퀴에만 전달하고 회전력은 50의 외부링에 전달하는, 상기 지렛대와,As a lever with a pedal attached, the user can step on the pedal up and down with the other foot while supporting the body on the board, and it is connected to 50 inner rings installed on the rotational axis of the rear wheel to transmit the load only to the rear wheel and the torque is With the said lever to send to 50 outer rings, 내부링이 16에 구성되어 회전가능하며 외부링을 한방향으로만 부하를 받도록 하는 공지된 한방향베어링의 외부링에는 기어가 구성되어 있으며, 지렛대의 회전력에 의한 외부링의 회전이 81에 전달되고 81에 고정된 80이 회전하고 80은 17에 전달하여 17에 고정된 뒷바퀴가 회전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발 동력 퀵보드.The outer ring of the known one-way bearing, in which the inner ring is configured to rotate in 16 and receives the load only in one direction, is composed of a gear, and the rotation of the outer ring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is transmitted to 81 and then to 81. A powered quickboard comprising a mechanism by which the fixed 80 rotates and the 80 is transmitted to 17 to rotate the rear wheel fixed to 17.
KR1020010034141A 2001-06-16 2001-06-16 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 KR200200960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41A KR20020096095A (en) 2001-06-16 2001-06-16 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41A KR20020096095A (en) 2001-06-16 2001-06-16 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095A true KR20020096095A (en) 2002-12-31

Family

ID=2770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141A KR20020096095A (en) 2001-06-16 2001-06-16 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09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6104B2 (en) Energy efficient tricycle
CN101801778B (en) Mini bike having pedal as a power generator
US20020163159A1 (en) Foot pump scooter
US6572128B2 (en) Ratchet propulsion system for scooters
JP2010538902A (en) Human powered vehicle with two reciprocating pedals
US10710675B2 (en) Electric bike
WO2005123493A1 (en) A front- wheel drive vehicle having no chain
CN102015428A (en) Bicycle propulsion assembly having telescoping elongate members engageable through circular motion
JP3101174U (en) bicycle
JP2016506890A (en) Propulsion system for vehicles that move manually
KR20050088180A (en) Vehicle in particular scooter
KR20060084827A (en) A bicycle worked by handle operating
US5653663A (en) Arm and leg powered cycl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3602824B2 (en) Electric bicycle
KR100374294B1 (en) Man powered vehicle with at least two wheels
JP2008195367A (en) Rear-wheel drive pedaling vehicle
US20050253355A1 (en) Leverage-activated bicycle, leverage activated tricycle, leverage activated vehicle moved by electricity generated by human power
KR20020096095A (en) 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
KR20080051782A (en) Unicycle
KR20010071646A (en) 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
KR20010099510A (en) 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
KR101095886B1 (en) Electric Motor Scooter-Tricycle
KR20020088851A (en) Foot powered quick-board and method
KR20030000148A (en) Pedal roller board
CN208069941U (en) Old trisha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