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061A -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061A
KR20020096061A KR1020010033687A KR20010033687A KR20020096061A KR 20020096061 A KR20020096061 A KR 20020096061A KR 1020010033687 A KR1020010033687 A KR 1020010033687A KR 20010033687 A KR20010033687 A KR 20010033687A KR 20020096061 A KR20020096061 A KR 20020096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ole
spring pole
ride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 영 김
Original Assignee
남 영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 영 김 filed Critical 남 영 김
Priority to KR102001003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061A/ko
Publication of KR2002009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5/00Stilts or the like
    • A63B25/08Hopping-sticks, e.g. pogo sticks ; Hopping apparatus with a single resilien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재질의 스프링장대에 관한 것이다.
유연하고 탄력 있는 탄성 재질의 장대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려 장대 자체가 하나의 스프링처럼 작용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별도의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고도 장대 자체가 스프링처럼 튕겨 오르는 구조로 형성하며, 장대의 한 부분에 사람이 올라 타듯 달라 붙어 중심을 잡은 채 온몸의 체중을 실어 상하로 장대를 흔들어 그 탄력으로 스프링장대와 함께 연속적으로 팅팅 튕기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제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러진 스프링장대를 타고 스프링장대와 함께 연속적으로 팅 ∼ 팅 ∼ 튕기면서 이동하도록 하므로 보다 스릴 있고 다이나믹한 스포츠 놀이 문화를 즐기게 될 것이다.
또한, 스프링장대는 전신을 골고루 다양하게 움직이며 균형을 잡아야 하기 때문에 전신운동으로서 몸 각 부분의 근육을 잘 발달시켜 주며 평형감각의 발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스프링장대 놀이기구{KNY Spring Game}
본 발명은 유연하고 탄력 있는 탄성 재질의 장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대의 모양은 직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장대를 타고 하늘을 나는 일은 즐겁고 흥미 있는 놀이이다. 하지만 그 탁월한 놀이특성에 비하면 아직 그 활용이 미흡하다.
비슷한 기술로는 뜀틀[스카이콩콩]이 있으나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고 놀이특성이 단조로운 실정이다.
본 발명인 스프링장대 놀이기구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연하고 탄력 있는 탄성 재질의 장대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려 장대 자체가 하나의 스프링처럼 작용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스프링장대를 타고 스프링장대와 함께 연속적으로 팅 ∼ 팅 ∼ 튕기면서 이동하도록 하여 보다 스릴 있고 다이나믹한 스포츠 놀이 문화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스프링장대는 전신을 골고루 다양하게 움직이며 균형을 잡아야 하기 때문에 전신운동으로서 몸 각 부분의 근육을 잘 발달시켜 주며 평형감각의 발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S'자형 스프링장대를 타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
도 2는 'S'자형 스프링장대에 굴곡부를 더 형성한 스프링장대를 타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
도 3은 둥근 스프링을 비틀어 'S'자형 스프링장대 모양으로 만드는 경우의 공정과정,
도 4 는 'S'자형 스프링장대에 보조장치를 더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그림,
도 5는 'S'자형 스프링장대를 타고 있는 모습,
도 6은 'S'자 모양에 굴곡부나 직선부가 더해져 형성된 스프링장대,
도 7은 스프링장대가 바닥에 닿는 방식을 설명한 그림,
도 8 및 도 9는 점으로 닿는 스프링장대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과 입면,
도 10은 스프링장대를 타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
도 11은 스프링의 종류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그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스프링장대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유연하고 탄력 있는 탄성 재질의 장대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려 장대자체가 하나의 스프링처럼 작용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별도의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고도 장대 자체가 스프링처럼 튕겨 오르는 구조로 형성하며, 장대의 한 부분에 사람이 올라 타듯 달라 붙어 중심을 잡은 채 온몸의 체중을 실어 상하로 장대를 흔들어 그 탄력으로 스프링장대와 함께 연속적으로 팅팅 튕기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그리고 스프링장대의 구부러진 형상이 'S'자 모양 또는 'S'자 모양에 굴곡부나 직선부가 더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도 1∼도 6참조],
스프링장대의 구부러진 형상이 접합부가 없이 하나의 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스프링장대에 손잡이와 미끄럼방지 커버 및 발디딤 장치 또는 발광 장치나 음향 장치 등이 부착되며, 투구[핼맷] 및 보호장구가 세트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스프링장대의 재질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장대의 재질로는 금속 스프링으로 강 스프링, 동합금 스프링, 니켈합금 스프링을 비롯하여 형상기억합금 및 초탄성 스프링 등에 이르기까지 각종 합금을 포함하며 비금속 스프링으로 고무 및 합성수지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스프링장대의 표면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장대의 표면을 도금, 착색, 분체 도장 및 코팅가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스프링장대를 세우는 방식에서 바닥과 닿는 부위를 점으로 닿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도 7∼도 10 참조],
스프링장대를 세우는 방식에서 바닥과 닿는 부위를 선으로 닿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도 1∼도 7 참조]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장대의 모양은 직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장대를 타고 하늘을 나는 일은 즐겁고 흥미 있는 놀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제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러진 스프링장대를 타고 스프링장대와 함께 연속적으로 팅 ∼ 팅 ∼ 튕기면서 이동하도록 하여 보다 스릴 있고 다이나믹한 스포츠 놀이 문화를 즐기게 될 것이다.
또한, 스프링장대는 전신을 골고루 다양하게 움직이며 균형을 잡아야 하기 때문에 전신운동으로서 몸 각 부분의 근육을 잘 발달시켜 주며 순발력과 판단력 및 평형감각의 발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8)

  1. 본 발명은 탄성 재질의 스프링장대에 관한 것이다.
    유연하고 탄력 있는 탄성 재질의 장대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려 장대 자체가 하나의 스프링처럼 작용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별도의 스프링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고도 장대 자체가 스프링처럼 튕겨 오르는 구조로 형성하며, 장대의 한 부분에 사람이 올라 타듯 달라 붙어 중심을 잡은 채 온몸의 체중을 실어 상하로 장대를 흔들어 그 탄력으로 스프링장대와 함께 연속적으로 팅팅 튕기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2. 청구항 1의 스프링장대의 구부러진 형상이 'S'자 모양 또는 'S'자 모양에 굴곡부나 직선부가 더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도 1∼도 6 참조].
  3. 청구항 1의 스프링장대의 구부러진 형상이 접합부가 없이 하나의 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4. 청구항 1의 스프링장대에 손잡이와 미끄럼방지 커버 및 발디딤 장치 또는 발광 장치나 음향 장치 등이 부착되며, 투구[핼맷] 및 보호장구가 세트로 구비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5. 청구항 1의 스프링장대의 재질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장대의 재질로는 금속 스프링으로 강 스프링, 동합금 스프링, 니켈합금 스프링을 비롯하여 형상기억합금 및 초탄성 스프링 등에 이르기까지 각종 합금을 포함하며 비금속 스프링으로 고무 및 합성수지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6. 청구항 1 및 청구항 5의 스프링장대의 표면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장대의 표면을 도금, 착색, 분체 도장 및 코팅가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7. 청구항 1의 스프링장대를 세우는 방식에서 바닥과 닿는 부위를 점으로 닿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도 7∼도 10 참조]
  8. 청구항 1의 스프링장대를 세우는 방식에서 바닥과 닿는 부위를 선으로 닿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장대 놀이기구.[도 1∼도 7 참조]
KR1020010033687A 2001-06-14 2001-06-14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KR20020096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687A KR20020096061A (ko) 2001-06-14 2001-06-14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687A KR20020096061A (ko) 2001-06-14 2001-06-14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061A true KR20020096061A (ko) 2002-12-31

Family

ID=2770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687A KR20020096061A (ko) 2001-06-14 2001-06-14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0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219A (ko) * 2009-05-05 2012-03-2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태의 캡처링 및 로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219A (ko) * 2009-05-05 2012-03-2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태의 캡처링 및 로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9585B2 (en) Body suspended novelty music system
US20010031687A1 (en) Bungee pole
US7874931B2 (en) Inflatable type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6887188B1 (en) Virtual jump rope
CN210009594U (zh) 一种羽毛球球头弹性筛选装置
CN101347674A (zh) 训练和健身设备
US4714246A (en) Exercise device
US20050087547A1 (en) Gyrating toy
KR20020096061A (ko) 스프링장대 놀이기구
WO2020254880A1 (es) Simulador de ciclismo o motociclismo para la recreación y ejercicio físico
US5066006A (en) Basket for basketball-type game
CN204395411U (zh) 一种电子计时手脑平衡竞技游戏装置
US9630118B2 (en) Connectable and extendable diving stick
FR3037815A1 (fr) Dispositif a peau souple avec systeme embarque de mesure, pour l'entrainememt a la frappe et aux reflexes, concernant les sports de combat et arts martiaux
CN204502310U (zh) 一种便携式弹跳鞋
CN2497818Y (zh) 儿童音乐哑铃
CN201147602Y (zh) 便携、移动式跳跳板
US9737778B2 (en) Sports training device
CN211302000U (zh) 一种羊毛毽子
CN218553046U (zh) 球拍及运动器材
CN213724821U (zh) 鼓偶组合玩具
CN2474198Y (zh) 翘翘杆健身器
KR20200000683U (ko) 중량 조절이 가능한 팔목 밴드
CN213609716U (zh) 踏板组件及模拟滑雪装置
CN207856176U (zh) 一种儿童闪光哑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