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765A - 음료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료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765A
KR20020095765A KR1020010033958A KR20010033958A KR20020095765A KR 20020095765 A KR20020095765 A KR 20020095765A KR 1020010033958 A KR1020010033958 A KR 1020010033958A KR 20010033958 A KR20010033958 A KR 20010033958A KR 20020095765 A KR20020095765 A KR 20020095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agnetron
filter
sea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운
강광석
장성덕
강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5765A/ko
Publication of KR20020095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7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상하 구획된 가열실 및 컵안착실과, 상기 가열실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마그네트론을 갖는 음료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음료추출장치는, 상기 가열실에 수용되며, 하부에 상기 컵안착실을 향하는 토출구를 갖는 필터수용부재와; 상기 필터수용부재 내에 안착되며, 상온에서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고 소정의 온도에서 물을 통과시키는 기능성필터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개폐수단과; 상기 컵안착실에 마련되어 컵 안착유무를 감지하는 컵감지센서와; 상기 컵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컵 안착유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과 상기 토출구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맛과 질이 좋은 차 음료를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두커피, 녹차, 홍차 등의 음료는 비교적 고온의 물에 의해 차 원료에서 추출된 추출액이 물에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원두커피의 추출방법을 예로 설명하면, 커피메이커내에 필터를 안착시키고 필터내에 원두커피의 원재료를 담은 후 고온의 물을 커피메이커의 필터에 부으면 원두커피 원재료로부터 커피액이 물에 혼합되어 추출된다.
녹차, 홍차 등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팩형태의 제품으로서, 물의 투과가 가능한 팩의 내부에 소정량의 차 원료가 담겨져 있는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팩제품은 사용자가 팩을 컵에 넣고 컵에 고온의 물을 부어 차 원료로부터 추출되는 추출액과 물의 혼합에 의해 차가 만들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커피메이커 또는 팩제품을 이용하여 차 음료를 만드는 방법은, 물의 온도와, 차 원료로부터 추출액이 추출되는 시간 등을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추출된 차의 맛과 질을 보장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두커피, 녹차, 홍차 등의 차원료에서 추출되는 추출액은 물의 온도가 서서히 변화하면서 추출되는 것이 이미 끓여진 물에서 추출되는 것보다 좋은 맛을 가지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종래의 방법은 사용자가 향상된 차의 맛을 음미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한 방법으로 맛과 질이 좋은 차 음료를 만들 수 있는 음료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기능성필터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열실 11 : 컵안착실
13 : 부품실 26 : 컵안착부
27 : 마그네트론 30 : 필터수용부재
31 : 수용부 33 : 토출관부
43 : 토출구 50 : 기능성필터
51 : 지지틀부 53 : 필터
60 : 토출구개폐수단 61 : 밸브
63 : 구동부 80 : 컵감지센서
85 : 제어부 91 : 컵안착표시부
93 : 물부족표시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상하 구획된 가열실 및 컵안착실과, 상기 가열실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마그네트론을 갖는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에 수용되며, 하부에 상기 컵안착실을 향하는 토출구를 갖는 필터수용부재와; 상기 필터수용부재 내에 안착되며, 상온에서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고 소정의 온도에서 물을 통과시키는 기능성필터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개폐수단과; 상기 컵안착실에 마련되어 컵 안착유무를 감지하는 컵감지센서와; 상기 컵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컵 안착유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과 상기 토출구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수용부재는, 상기 기능성필터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깔때기 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단부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필터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지지되며, 판면에 물의 출입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틀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소정의 온도에서 용해되는 열가용성재료가 도포된 필터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상기 필터는 표면에 다공이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다공은 상기 열가용성재로에 의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토출구개폐수단은, 상기 토출구의 개방위치와 차단위치 간을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밸브는 상기 토출관부내에 축선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의 개방 및 차단위치간을 승강하는 개폐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토출관부내에 수용되어 탄성적으로 상기 밸브를 상기 토출구의 차단위치로 하향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승강축에 접촉 및 이격되는 피스톤을 가지고 상기 승강축을 상승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감지센서에서 상기 컵의 안착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토출구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마그네트론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컵감지센서는 상기 컵의 중량변화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컵의 중량이 소정의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마그네트론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토출구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컵안착유무를 표시하는 컵안착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감지센서에서 상기 컵의 안착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토출구를차단하도록 상기 토출구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컵안착표시부로부터 경고표시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영역에 마련되는 물부족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컵의 중량이 변화하지 않으면, 상기 마그네트론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물부족표시부에 물부족 경고표시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상하 구획된 가열실 및 컵안착실과, 상기 가열실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가열실에 수용되며 상기 컵안착실을 향하는 토출구를 갖는 필터수용부재와, 상기 필터수용부재 내에 안착되며 상온에서는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고 소정의 온도에서 수분을 통과시키는 기능성필터를 갖는 음료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컵안착실에 상기 컵의 안착유무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컵 안착유무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컵 안착유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을 운전 또는 운전정지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컵의 중량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컵의 중량이 소정의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는 한편, 상기 마그네트론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컵의 안착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는 한편, 경고표시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컵의 중량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그네트론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물부족 경고표시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가지고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5) 내에 상하 구획된 가열실(10) 및 컵안착실(11)과, 가열실(10) 및 컵안착실(11)과 격리된 부품실(13)이 형성되어 있다.
가열실(10)은 상향 개방된 도어개구를 가지고 있다. 이 도어개구는 본체(5)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7)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가열실(10)의 저부 중앙영역에는 컵안착실(11)과 연통되는 연통구(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열실(10) 일측벽에는 부품실(13)과 연통된 도파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열실(10)의 내측 상부에는 후술할 필터수용부재(30)의 안착을 위한 지지턱(25)이 형성되어 있다.
컵안착실(11)은 컵(9)의 출입을 위해 본체(5)의 전방을 향하는 쪽이 개방되어 있다. 이 컵안착실(11)의 저부면 중앙영역에는 컵(9)의 안착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컵안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부품실(13)내에는 마이크로파를 가열실(10) 내부로 공급하는 마그네트론(27)과, 마그네트론(27)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압트랜스(28) 및 고압콘덴서(미도시) 등의 기기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마그네트론(27)은 부품실(13)의 일측벽에 가열실(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도파공(23) 영역에 설치된다.
한편, 가열실(10) 내부에는 기능성필터(50)가 안착되는 필터수용부재(30)가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 필터수용부재(30)는 기능성필터(5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깔때기형상의 수용부(31)와, 수용부(31)의 하부에 형성되는 토출관부(33)를 갖도록 내열플라스틱재로 제작된다.
수용부(31)의 상측에는 가열실(10)의 지지턱(25)에 지지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외향 연장된 지지플랜지(35)와, 기능성필터(50)를 지지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내향 연장된 필터지지리브(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관부(33)의 상측 내부 즉, 토출관부(33)와 수용부(31) 경계영역에는 복수의 통과공(47)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판부(41)의 중앙영역에는 축통과공(4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관부(33)의 하단부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토출구(43)와 연통구(21)에 접속되는 접속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기능성필터(50)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필터(50)는 필터수용부재(30)의 필터지지리브(37)에 지지되는 지지틀부(51)와, 지지틀부(51)의 하부에 결합되어 원두커피, 녹차, 홍차 등의 차 음료의 원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필터(53)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차 음료의 원재료를 원두커피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지지틀부(51)의 중앙영역에는 필터(53) 내에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출입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틀부(51)는 판상의 플라스틱 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종이재료 등으로 재작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틀부(51)의 출입개구(55)는 랩 등의 재질로 형성된 밀봉막(57)으로 차단되어 있다.
필터(53)는 소정 온도 이하의 물을 통과시키지 않고, 소정 온도 이상의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제작된다. 필터(53)의 일예를 들면, 재료를 펄프직유로 만든 종이, 면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직유로 만든 직물 또는 부직포 등으로 하고, 이 재료에 소정의 온도에서 용해하는 열가용성재료(59)를 도포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는, 판면에 다공을 갖도록 플라스틱재로 통형상의 필터(53)를 제작하고, 필터(53)를 소정의 온도에서 용해하는 열가용성재료(59)에 함침시켜서 다공을 차단하도록 하여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열가용성재료(59)는 식용에 적합하고 거의 맛이 없는 재료가 적합하다. 예를 들면, 우뭇가사리 등의 홍조류에 존재하는 점성물질을 열수추출하여 수분을 제거한 것으로서, 융해점은 80℃ 내지 100℃, 응고점은 35℃ 내지 45℃ 정도의 특성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또는, 녹말, 당질의 엿과 같은 끈끈한 재료 등도 가능하다. 여기서, 필터(53)는 전술한 재료 이외에도, 소정온도 이하의 물을 통과시키지 않고, 소정온도 이상의 물을 통과시키는 성질을 갖는 소재로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1)는, 필터수용부재(30)의 토출구(43)를 개폐하는 토출구개폐수단(60)과, 컵안착실(11)내의 컵(9)의 안착 유무를 감지하는 컵감지센서(80)와, 컵(9)의 안착유무 및 물부족을 표시하는 표시부(90)와, 컵감지센서(80)에서 감지된 컵(9)의 안착 유무에 따라 마그네트론(27)과 토출구개폐수단(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5)를 포함한다.
토출구개폐수단(60)은 도 3에 확대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수용부재(30)의 토출구(43)를 개방 및 차단하는 밸브(61)와, 밸브(6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63)로 이루어져 있다.
밸브(61)는 필터수용부재(30)의 토출관부(33) 내에 축선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축(65)과, 승강축(65)의 승강에 따라 토출구(43)의 개방위치와 차단위치간을 승강하는 개폐판(67)을 가지고 있다. 승강축(65)의 상단부는 토출관부(33)의 지지판부(41)에 형성되어 있는 축통과공(49)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승강축(65)의 하단부에는 하측 곡면을 갖는 접촉부(69)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판(67)은 승강축(65)에 결합되어 토출관부(33)내에 배치된다. 이 개폐판(67)의 둘레단부에는 고무재료의 패킹(71)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63)는 토출관부(33)의 지지판부(41)와 밸브(61)의 개폐판(67) 사이에 개재되어 개폐판(67)을 하향 가압하는 가압스프링(73)과, 밸브(61)의 승강축(65) 하단부에 형성된 접촉부(69)를 향해 접근 및 철회 동작되는 피스톤(77)을 구비한 솔레노이드(75)로 이루어져 있다. 솔레노이드(75)는 가열실(10)과 컵안착실(11)을 연통시키는 연통구(21)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동부(63)에 의한 토출구(43)의 개폐동작을 살펴보면, 솔레노이드(75)의 피스톤(77)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승강축(65)의 하단부에 형성된 접촉부(69)의 곡면에 접촉하면서 승강축(65)을 상승시킴으로써, 밸브(61)의 개폐판(67)이 토출구(43)를 개방하는 위치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솔레노이드(75)의 피스톤(77)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승강축(65)으로부터 철회되면, 가압스프링(73)이 탄성적으로 밸브(61)의 개폐판(67)을 토출구(43)의 차단위치로 가압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토출구개폐수단(60)은 토출구(43)를 승강 개폐하는 밸브(61)와, 밸브(61)를 승강시키는구동부(63)의 구성 이외에도, 토출구(43)를 회동 또는 슬라이딩 개폐하는 밸브와, 밸브를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 등의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컵감지센서(80)는 컵안착부(26)의 저부에 설치된다. 이 컵감지센서(80)는 컵(9)의 안착유무는 물론이며, 컵(9)의 중량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85)로 전달한다.
표시부(90)는 컵(9)의 안착유무를 표시하는 컵안착표시부(91)와, 장치의 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물의 부족함을 표시하는 물부족표시부(93)를 갖는다. 이 표시부(90)는 본체(5)의 외표면에 발광소자를 설치하거나 디스플레이부를 마련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85)는 도 4의 제어블럭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컵감지센서(80)에서 감지된 컵(9)의 안착상태가 확인되면, 컵안착표시부(91)에 컵안착상태를 표시하고, 토출구(43)를 개방하도록 토출구개폐수단(60)을 구동시키는 한편, 가열실(10) 내부로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도록 마그네트론(27)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85)는 컵감지센서(80)에서 감지되는 컵(9)의 중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중량에 도달하면, 토출구(43)를 차단하도록 토출구개폐수단(60)을 구동시키는 한편, 마그네트론(27)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부(85)는 음료추출장치(1)의 운전시 물이 부족하게 되면 마그네트론(27)의 운전을 정지하고 물부족표시부(93)에 물의 부족함을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85)는 컵감지센서(80)에서 컵(9)의 안착상태가 확인되지 않으면, 컵안착표시부(91)에 컵(9)이 안착되지 않은 것을 표시하고, 토출구(43)가 차단되도록 토출구개폐수단(60)을 구동시키는 한편, 가열실(10) 내부로 마이크로파가 공급되지 않도록 마그네트론(27)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1)의 사용방법 및 제어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두커피의 원재료가 담긴 기능성필터(50)를 필터수용부재(30)내에 안착시킨 후, 기능성필터(50)의 밀봉막(57)을 개봉시켜서 소정량을 물을 필터(53)내에 담는다. 그런 다음, 본체(5)의 도어(7)를 개방하여 필터수용부재(30)를 가열실(10)내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도어(7)를 닫는다. 그리고, 컵안착실(11)의 컵안착부(26)에 컵(9)을 안착시킨 후 도시않은 전원스위치를 온(ON)시키면, 음료추출장치(1)의 운전이 시작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1)의 제어흐름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추출장치(1)의 운전이 시작되면, 제어부(85)는 컵감지센서(80)에서 전달되는 컵안착유무 신호를 확인한다(S 01). 이때, 컵안착상태가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부(85)는 컵안착표시부(91)에 컵(9)이 안착되지 않았음을 표시하고(S 07), 필터수용부재(30)의 토출구(43)가 차단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S 08). 그런 다음, 제어부(85)는 마그네트론(27)을 정지상태로 유지시킨다(S 09). 그리고, 제어부(85)는 S01단계로 돌아가서 컵안착유무를 다시 확인한다,
S01단계에서 컵안착상태가 확인되면 제어부(85)는 컵안착표시부(91)에 컵(9)이 안착되었음을 표시하고(S02), 필터수용부재(30)의 토출구(43)가 개방되도록 토출구개폐수단(60)을 구동시킨다(S03). 그런 다음, 제어부(85)는 마그네트론(27)의운전을 개시시킨다(S04).
마그네트론(27)의 운전이 개시되면 가열실(10) 내부로 마이크로파가 공급되어 가열실(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필터(53)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상승한다. 물의 온도가 상승되면 원두커피 원재료에서 커피액이 추출되면서 물과 혼합되어 원두커피가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필터(53)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필터(53)의 열가용성재료(59)가 용해되면서 원두커피가 필터수용부재(30)의 토출관부(33)와 토출구(43)를 통해 컵안착실(11)의 컵(9)에 수용되도록 낙하한다.
그리고, 제어부(85)는 컵감지센서(80)로부터 전달되는 컵(9)의 중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중량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한다(S05). 이때, 컵(9)의 중량이 미리 설정된 중량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제어부(85)는 컵(9)의 중량이 변화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 10). 이 단계에서 컵(9)의 중량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85)는 제어흐름을 S05단계로 리턴시킨다. 반면에, 중량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85)는 마그네트론(27)의 구동을 정지하고(S 11), 물부족표시부(93)에 물이 없는 것을 표시하여(S 12)사용자가 필터(53)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물이 보충되면 제어부(85)는 컵(9)의 중량이 변화하는가를 다시 확인하고(S13) 중량변화가 확인되면 제어흐름을 S04단계로 리턴시키는 한편, 중량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흐름을 S 12단계로 리턴시킨다.
한편, S05단계에서 컵(9)의 중량이 설정된 중량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85)는 마그네트론(27)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한편, 토출구(43)가 차단되도록토출구개폐수단(60)을 구동시킴으로써(S 06), 원두커피의 제조과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음료추출장치는 차 음료의 원재료가 담긴 기능성필터가소정의 온도 이하에서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고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물을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 기능성필터에 물을 수용하고 마그네트론의 마이크로파로 서서히 가열하여 차 음료의 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이 추출되도록 함으로써, 추출된 차의 맛과 질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컵의 중량을 감지하여 기기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의 온도, 추출시간 등을 신경쓰지 않고 간편하게 차 음료를 만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한 방법으로 맛과 질이 좋은 차 음료를 만들 수 있는 음료추출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4)

  1.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상하 구획된 가열실 및 컵안착실과, 상기 가열실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마그네트론을 갖는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에 수용되며, 하부에 상기 컵안착실을 향하는 토출구를 갖는 필터수용부재와;
    상기 필터수용부재 내에 안착되며, 상온에서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고 소정의 온도에서 물을 통과시키는 기능성필터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개폐수단과;
    상기 컵안착실에 마련되어 컵 안착유무를 감지하는 컵감지센서와;
    상기 컵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컵 안착유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과 상기 토출구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용부재는,
    상기 기능성필터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깔때기 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단부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필터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지지되며, 판면에 물의 출입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틀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소정의 온도에서 용해되는 열가용성재료가 도포된 필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표면에 다공이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다공은 상기 열가용성재로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개폐수단은,
    상기 토출구의 개방위치와 차단위치 간을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토출관부내에 축선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의 개방 및 차단위치간을 승강하는 개폐판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토출관부내에 수용되어 탄성적으로 상기 밸브를 상기 토출구의 차단위치로 하향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승강축에 접촉 및 이격되는 피스톤을 가지고 상기 승강축을 상승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감지센서에서 상기 컵의 안착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토출구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마그네트론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8.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컵감지센서는 상기 컵의 중량변화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컵의 중량이 소정의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마그네트론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토출구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안착유무를 표시하는 컵안착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감지센서에서 상기 컵의 안착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토출구개폐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컵안착표시부로부터 경고표시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영역에 마련되는 물부족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컵의 중량이 변화하지 않으면, 상기 마그네트론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물부족표시부에 물부족 경고표시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11. 상하 구획된 가열실 및 컵안착실과, 상기 가열실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가열실에 수용되며 상기 컵안착실을 향하는 토출구를 갖는 필터수용부재와, 상기 필터수용부재 내에 안착되며 상온에서는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고 소정의 온도에서 수분을 통과시키는 기능성필터를 갖는 음료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컵안착실에 상기 컵의 안착유무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컵 안착유무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컵 안착유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을 운전 또는 운전정지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의 중량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컵의 중량이 소정의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는 한편, 상기 마그네트론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의 안착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는 한편, 경고표시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컵의 중량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그네트론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물부족 경고표시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10033958A 2001-06-15 2001-06-15 음료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95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958A KR20020095765A (ko) 2001-06-15 2001-06-15 음료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958A KR20020095765A (ko) 2001-06-15 2001-06-15 음료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765A true KR20020095765A (ko) 2002-12-28

Family

ID=2770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958A KR20020095765A (ko) 2001-06-15 2001-06-15 음료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57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440B1 (ko) * 2023-02-20 2024-06-10 주식회사 비.엘.아이 커피메이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440B1 (ko) * 2023-02-20 2024-06-10 주식회사 비.엘.아이 커피메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8092B (zh) 藉著自動供水至加熱器槽之飲料形成方法及裝置
KR102285611B1 (ko) 컵 및 병 음료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98182B1 (ko) 커피 추출 장치
KR101067540B1 (ko)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503715B2 (ja) 飲料生成機のドレン
US4083295A (en) Coffee maker with steam flushing cycle
US20140013958A1 (en) Hybrid coffee maker with multiple brewing modes
KR20020095765A (ko) 음료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4599937A (en) Machine for making espresso coffee, particularly for domestic use
JP7141415B2 (ja) 飲料製造装置、飲料製造用カプセル、および装置と少なくとも2つの異なる飲料製造用カプセルとの組み合わせ
KR101820018B1 (ko) 커피 추출 장치
JPH02274208A (ja) 給茶装置
JPH0830860A (ja) 飲料注出機能を備えた金銭管理装置
JPH02274210A (ja) 給茶装置
JPH02274209A (ja) 給茶装置
JP2005087357A (ja) 飲料抽出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