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482A -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482A
KR20020095482A KR1020010033356A KR20010033356A KR20020095482A KR 20020095482 A KR20020095482 A KR 20020095482A KR 1020010033356 A KR1020010033356 A KR 1020010033356A KR 20010033356 A KR20010033356 A KR 20010033356A KR 20020095482 A KR20020095482 A KR 20020095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ptical
digital
service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9930B1 (ko
Inventor
박덕홍
Original Assignee
이스텔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텔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스텔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9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04B10/25752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 H04B10/25758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between a central unit and a single remote unit by means of an optical fibre
    • H04B10/25759Details of the reception of RF signal or the optical conversion before the optical fib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기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에 연결하여 다수의 서비스 신호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는 다수의 기지국에 연결된 도너; 및 상기 도너에 하나의 광 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도너와 디지털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리모트를 구비하되, 상기 도너는 상기 서로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를 하나의 광선로에 이종 파장의 디지털 광신호로 합쳐서 상기 각각의 리모트에게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리모트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하나의 디지털 광신호로 만들어서 상기 도너에게 송신하며, 상기 도너는 상기 수신된 하나의 디지털 광신호를 각기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로 분리하여 각각의 서비스 신호를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리모트는 상기 수신된 하나의 디지털 광신호를 각기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로 분리하여 해당하는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에게로 송신하여, 하나의 광 분산 시스템으로 하나 또는 두가지 종류의 서비스 기지국들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A digital optical distributed system for in-building capable of different service signal proceeding}
본 발명은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으로 두가지 종류의 서비스 기지국들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빌딩내의 기지국(또는 피코(pico) 기지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실내 안테나(In-door Antenna), 실외 안테나(Out-door Antenna; 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옥내외의 가입자의 신호를 처리하고, 확장이나 통신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도너(Donor)와 리모트(Remote) 시스템을 연결하고 있다.
기지국과 도너는 1:1로 연결되며, 도너에는 리모트 #1에서 리모트 #8까지의 최대 8개의 리모트를 광 선로로 연결해 쓸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시스템은 2G, 2.5G, 3G중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에 연결되고, 그 기지국에 연결되는 도너는 하나의 서비스 신호만을 처리할 수 있고 리모트들도 마찬가지이다. 이 도너와 리모트의 연결은 두개의 광선로를 사용하고 있다.
기지국에서 빌딩안에 있는 가입자들에게 신호가 전달되기까지 종래 기술은 우선 특정 서비스의 기지국에서 특정 서비스만을 처리할 수 있는 도너에게로 RF 신호를 인가하면 그 도너는 이 RF 신호를 최대 8 개의 RF 신호들로 분배한다. 나누어진 신호들은 전광 과정을 통해 아날로그 광신호로 되어 광선로를 거쳐 각각의 특정 서비스 처리 리모트에 전송된다. 그 리모트에서는 이 신호를 다시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특정 서비스 가입자에게 전달한다. 그 특정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상술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거쳐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너의 구성도로서, 그 도너는 디바이더(10)와 콤바이너(14)로 이루어진 DIV/COM부(10), 순방향 신호 증폭/DIV부(22)와 역방향 신호 증폭/COM부(24)로 이루어진 DROU(Donor RF & Optic Unit)(20), 전광/광전 변환부(30)를 구비한다. 상기 1개의 도너에서 최대 8개의 리모트(remote)에게로 신호가 전달되므로 상기 DROU(20)는 4개의 DROU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너에서의 동작 중 특정 서비스를 처리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신호를 리모트에게로 신호를 전달하는 다운 스트림(Down stream)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지국에서 입력되는 RF 신호는 DIV/COM부(10)의 1:4 디바이더(Divider)(12)에서 4개의 신호로 분기한다. 이 신호들은 4개의 DROU(20)에게로 인가된다. 각각의 DROU(20)는 동일한 동작을 하는데, 1개의 DROU(20)에서 두 개의 리모트로 전송될 신호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최대 8개의 리모트를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DROU(20)에게 전달된 신호는 그 각 DROU(20)의 순방향 신호 증폭/DIV부(22)를 거치면서 신호증폭과 레벨조정이 이루어지고 1:2 디바이더를 통해 2개의 신호로 분기된다. 분기된 신호 각각은 전광/광전 변환부(30)의 전광 변환부(32, 36)에서 전광변환이 된다. 변환된 아날로그 광신호들은 리모트 #1, 리모트 #2에게로 전송된다. 한 리모트에 신호가 송수신되려면 두개의 광 선로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도너에서의 업 스트림(Up Stream) 과정 즉, 각 리모트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특정 서비스를 처리하는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두개의 리모트(예, 리모트 #1, 리모트 #2)에서 올라오는 아날로그 광신호들은 전광/광전 변환부(30)의 광전 변환부(34, 38)에서 광전 변환된다. 그 변환된 RF 신호들은 상기 DROU(20)의 역방향 신호 증폭/COM부(24)를 거치면서 합쳐지고 신호증폭과 레벨조정이 이루어진다. 각각의 DROU는 동일한 동작으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최대 4개의 신호들은 상기 DIV/COM부(10)의 4:1 콤바이너(Combiner)(14)를 통하여 하나의 RF 신호가 만들어져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도너에 연결되는 종래의 리모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광/광전 변환부(40), 순방향 신호 증폭/변환부(50), HPA(High Power Amplifier)(52), 듀플렉서(Duplexer)(54), LNA(Low Noise Amplifier)(56), 역방향 신호 증폭/변환부(58)로 구성되어 있다. 리모트에서는 도너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두개의 광 선로를 사용하여 처리하고 있다.
신호의 처리 과정을 보면, 우선 도너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의 아날로그 광신호는 전광/광전 변환부(40)의 광전 변환부(42)에서 광전 변환되고, 그 변환된 순방향의 아날로그 RF 신호는 순방향 신호 증폭/변환부(50)를 거치면서 증폭된다. 그리고, 순방향 필터인 대역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 BPF)를 통과하여 원하는 대역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신호는 안테나 방사에 충분한 신호가 되기 위해 HPA(52)에서 다시 증폭된다. 그리고, 순방향 신호와 역방향 신호의 상호영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듀플렉서(54)를 통과하여 안테나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에게로 RF 신호가 무선 송신된다.
반대로, 가입자 단말기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에는 여러 잡음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듀플렉서(54)에서 역방향 신호로 걸러지고 잡음 특성이 좋은 LNA(56)를 거치면서 증폭된다. 이 증폭된 신호는 역방향 신호 증폭/변환부(58)에서 원하는 대역으로 걸러져 다시 증폭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전광/광전 변환부(40)의 전광 변환부(44)에서 전광 변환되어 상기 도너에게로 송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 분산 시스템은 2G, 2.5G, 3G중 특정한 하나의 서비스 기지국에 연결되었다.
그런데, 앞으로의 추세는 옥내에서 2G(셀룰러, PCS), 2.5G(95C), 3G(IMT-2000) 등 두 개 이상의 서비스가 존재한다. 각 서비스에 대하여 통신 환경 개선을 위해서 기지국마다 다른 광 분산 시스템을 연결하면 설치비용이나 유지보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즉, 두 종류의 도너와 두 종류의 리모트들과 광 선로도 2배로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광 분산 시스템은 아날로그 광전송 방식을 사용하므로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 및 고속 데이터 처리에 요구되는 양호한 전송품질의 제공에 문제가 있다.
또, 기본적으로 아날로그 시스템이므로 증폭과 분배등의 처리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신호의 열화가 많다. 또한, 리모트에 대해 두개의 광 선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선이 복잡하여 설치나 유지보수의 개선을 통한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각기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에 연결하여 다수의 서비스 신호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광 중계 방식을 채용하여 옥내에서 충분한 다이나믹 레인지 확보 및 고속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전송품질의 개선을 도모하도록 한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옥내용 아날로그 광 분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너의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모트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의 구성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도너의 제 1 실시예,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도너의 제 2 실시예,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2.5G 및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의 구성도,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2.5G 및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의 구성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리모트의 구성도,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2.5G 및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의 구성도,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2.5G 및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의 구성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너의 구성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리모트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DIV/COM부
20 : DROU(Donor RF & Optic Unit)
30, 40 : 전광/광전 변환부
50 : 순방향 신호 증폭/변환부
60, 150 :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
70, 170 :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
80, 130, 140, 260 : 전광/광전 처리부
90, 230 : 2.5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
100 : 2.5G용 콤바이너
110, 250 :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
120 : 3G용 콤바이너160 : 2.5G용 HPA
180 : 3G용 HPA190 : 2.5G용 듀플렉서
200 : 3G용 듀플렉서210 : 듀얼 안테나
220 : 2.5G용 LN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은, 서로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는 다수의 기지국에 연결된 도너; 및 상기 도너에 하나의 광 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도너와 디지털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리모트를 구비하되, 상기 도너는 상기 서로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를 하나의 디지털 광신호로 합쳐서 상기 각각의 리모트에게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리모트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하나의 디지털 광신호로 만들어서 상기 도너에게 송신하며, 상기 도너는 상기 수신된 하나의 디지털 광신호를 각기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로 분리하여 각각의 서비스 신호를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리모트는 상기 수신된 하나의 디지털 광신호를 각기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로 분리하여 해당하는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에게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너(donor)는 두개의 서로 다른 서비스(2G와 3G의 서비스 또는 2.5G와 3G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들에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들을 전기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다시 디지털 광 신호로 만들어 8개의 두 가지 서비스 처리 리모트(remote)들로 전송한다. 상기 도너에는 최대 8개의 리모트가 직접 연결된다. 상기 도너와 그 8개의 리모트는 DWDM(dense WDM)을 이용하여 하나의 광 선로를 통해 상호 디지털 광신호를 상호 송수신한다.
상기 각각의 리모트는 두 종류의 서비스 신호를 받아 듀얼 밴드(Dual-band)의 공용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하고 서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부터 신호를 받아 DWDM을 이용하여 디지털 광 신호를 송신한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도너의 제 1 실시예이다. 도 5a에서, 기지국을 각각 2.5G용 기지국과 3G용 기지국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상기 도너는 2.5G용 기지국에서 입력되는 순방향의 전기적인 RF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고 다수개의 디지털 전기신호로 나누는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60); 3G용 기지국에서 입력되는 순방향의 전기적인 RF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고 다수개의 디지털 전기신호로 나누는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70); 상기 2.5G용 및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60, 70)로부터 입력되는 이종 서비스의 디지털 전기신호들을 각기 다른 파장으로 전광 변환한 후 하나의 신호로 합쳐서 하나의 광 선로를 통해 상기 리모트에게 전송하고, 하나의 신호로 합쳐져서 입력되는 상기 리모트로부터의 상호 다른 파장의 디지털 광신호들을 분리한 후 각기 광전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전광/광전 처리부(80); 상기 다수의 전광/광전 처리부(80)로부터 제공되는 역방향의 2.5G용 디지털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2.5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90); 상기 다수의 2.5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90)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신호를 하나로 합쳐서 상기 2.5G용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2.5G용 콤바이너(100); 상기 다수의 전광/광전 처리부(80)로부터 제공되는 역방향의 3G용 디지털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10); 및 상기 다수의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10)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신호를 하나로 합쳐서 상기 3G용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3G용콤바이너(120)를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전광/광전 처리부(80)는 상기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60)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전기신호를 전광 변환하는 제 1 전광 변환부(81); 상기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70)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전기신호를 전광 변환하는 제 2 전광 변환부(82); 상기 제 1 및 전광 변환부(81, 82)로부터의 디지털 광신호(λ1, λ2)를 하나의 광선로에 실어 리모트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3, λ4)를 수신하여 분리하는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83); 상기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83)를 통해 입력되는 역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3)를 광전변환하여 상기 제 2.5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90)에게로 전송하는 제 1 광전 변환부(84); 및 상기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83)를 통해 입력되는 역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4)를 광전변환하여 상기 제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10)에게로 전송하는 제 2 광전 변환부(85)를 구비한다.
도너에 연결가능한 리모트의 수가 8개 이므로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80)와 상기 2.5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90) 및 상기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10)의 수는 각각 최대 8개로 구성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5G용 역방향 신호처리 유니트(90)와 2.5G용 콤바이너(100)의 과정을 바꾸고, 상기 3G용 역방향 신호처리 유니트(110)와 3G용 콤바이너(120)의 과정을 바꾸어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5G용 콤바이너(100) 및 3G용 콤바이너(120)는 디지털 콤바이너가 된다.
상기 2.5G용 및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60, 70)의 내부 구성은 상호 동일하므로, 어느 한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예컨대, 7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70)는, 상기 3G용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의 전기적인 RF 신호의 크기를 조정해 주는 순방향 변환 유니트(71); 상기 순방향 변환 유니트(71)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2);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서 잡음성분을 제거하고 필요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통과시키는 디지털 필터부(73); 상기 디지털 필터부(73)에서 출력되는 병렬 디지털 신호를 직렬 디지털 신호로 만드는 순방향 프레이머부(74); 및 상기 순방향 프레이머부(74)에서 출력되는 직렬 디지털 신호를 동일한 다수개의 신호(디지털 신호 #1 ∼ 디지털 신호 #8)로 분배하여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80)에게로 인가하는 디지털 분배부(75)를 구비한다.
상기 2.5G용 및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90, 110)의 내부 구성은 상호 동일하므로, 어느 한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예컨대, 11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10)는,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80)의 제 2 광전 변환부(85)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의 디지털 전기신호를 직렬 데이터 형태에서 병렬 데이터 형태로 만드는 역방향 프레이머부(111); 상기 역방향 프레이머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서 잡음성분을 제거하고 필요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통과시키는 디지털 필터부(112); 상기 디지털 필터부(11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13);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13)로부터의 RF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3G용 콤바이너(120)에게 인가하는 역방향 변환 유니트(11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기지국에서 인가되는 서로 다른 서비스의 RF 신호를 각각 리모트에게로 전달하는 다운 스트림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3G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과 2.5G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은 동일하므로 3G 신호 처리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3G 기지국에서부터 인가된 전기적 RF신호는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70)에서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화한다. 즉,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3G용 기지국으로부터의 전기적 RF신호는 순방향 변환 유니트(71)에서 후단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2)에 맞는 신호 크기로 조절된 후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2)에서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이어, 디지털 필터부(73)에서 상기 변환된 디지털 전기신호에서 잡음성분을 제거하고 필요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순방향 프레이머부(74)에서는 그 필요대역의 신호 즉, 병렬 디지털신호를 원하는 직렬 디지털 신호로 만든다. 이 과정을 거친 디지털 전기신호는 최대 8개의 리모트에게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디지털 분배부(75)에서 동일한 8개 디지털 신호(디지털 신호 #1∼ 디지털 신호 #8)로 분배된다. 2.5G 신호도 역시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유니트(60)에서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8개의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분배된 8개의 3G용 디지털 전기신호는 각각 8개의 전광/광전 처리부(80)의 제 2 전광 변환부(82)에서 디지털 광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제 2 전광 변환부(82)에서 출력되는 3G용 디지털 광신호는 상기 제 1 전광 변환부(81)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2.5G용 디지털 광신호와 함께 상기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83)에서 하나로 합쳐진 후 리모트에게로 전송된다. 이때의 3G용 디지털 광신호는 λ2의 파장을 가지고, 2.5G용 디지털 광신호는 λ1의 파장을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도너에서의 업 스트림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각 리모트에서 인가되는 신호의 처리 과정은 동일하므로 리모트 #1에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그 리모트 #1에서 전송된 디지털 광신호는 λ3와 λ4의 두 개의 파장을 갖는 신호이다. 물론, 리모트 #2∼#8도 동일한 파장의 광성분의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λ3의 광 신호는 2.5G 서비스의 업 스트림 신호 성분이고, λ4의 광 신호는 3G 서비스의 업 스트림 신호 성분이다.
상기 리모트 #1에서 인가된 디지털 광신호는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80)의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83)에서 λ3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와 λ4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로 분리된다. 분리후의 과정은 2.5G 신호 처리와 3G 신호 처리 동작이 동일하다. 3G 신호 처리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상기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83)에서 분리된 λ4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는 제 2 광전 변환부(85)를 거치면서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2.5G 신호(즉, λ3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는 제 1 광전 변환부(84)를 거치면서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된 3G 신호는 상기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10)를 거치면서 RF신호로 변화한다. 즉, 도 6b를 참조하면, 입력된 디지털 전기신호는 역방향 프레이머부(111)에서 병렬 데이터 형태의 디지털 전기신호로 되고, 디지털 필터부(112)에서는 그 병렬 데이터 형태의 디지털 전기신호에서 필요 대역의 디지털 전기신호만을 통과시킨다. 그 통과된 디지털 전기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13)에서 RF 신호로 변환된 후 역방향 변환 유니트(114)를 거치면서 적당한 레벨의 신호로 조절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이 8개의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10)에서 출력된 최대 8개의 신호들은 3G용 콤바이너(120)에서 합쳐져서 3G 서비스용 기지국으로 인가된다. 물론, 8개의 2.5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90)를 거친 신호들도 2.5G용 콤바이너(100)에서 합쳐져서 2.5G 서비스용 기지국으로 인가된다.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80)에서 출력되는 8개의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콤바이너를 통하여 합친 후 3G용 역방향 신호처리 유니트(110)에서 RF변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3G용 역방향 신호처리 유니트는 1개만 사용된다.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너는 두 개의 서비스 신호를 수용하게 되는데, 때에 따라서는 하나의 서비스도 수용가능하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리모트의 구성도이다. 리모트는, 상기 도너에게서 제공되는 두 개의 순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1, λ2)를 분리한 후 각각 광전 변환하고, 입력되는 두 개의 역방향의 디지털 전기신호를 각각 전광 변환(이때, λ3, λ4의 광신호가 됨)한 후 하나로 합쳐서 상기 도너에게로 전송하는 전광/광전 처리부(140);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2.5G용 순방향의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50); 상기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50)에서 출력된 신호(즉, RF 신호)의 레벨을 소정치 증폭시키는 2.5G용 HPA(High Power Amplifier)(160);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3G용 순방향의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70); 상기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70)에서 출력된 신호(즉, RF 신호)의 레벨을 소정치 증폭시키는 3G용 HPA(High Power Amplifier)(180); 듀얼 밴드(dual band)를 사용하는 듀얼 안테나(210)에 연결되고, 2.5G의 순방향 신호와 역방향 신호의 상호 영향을 차단하는 2.5G용 듀플렉서(190); 상기 듀얼 안테나(210)에 연결되고, 3G의 순방향 신호와 역방향 신호의 상호 영향을 차단하는 3G용 듀플렉서(200); 상기 2.5G용 듀플렉서(190)를 통해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의 레벨을 증폭시키는 2.5G용 LNA(Low Noise Amplifier)(220); 및 상기 2.5G용 LNA(220)에서 출력되는 역방향의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광/광전 변환부(140)에게로 인가하는 2.5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230); 상기 3용 듀플렉서(200)를 통해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의 레벨을 증폭시키는 3G용 LNA(Low Noise Amplifier)(240); 및 상기 3G용 LNA(240)에서 출력되는 역방향의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140)에게로 인가하는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250)를 구비한다.
상기 듀얼 안테나(210)는 2.5G 및 3G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으며, 밴드패스 필터 등의 소자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140)는, 상기 도너로부터 입력되는 2.5G 및 3G의 순방향의 디지털 광신호를 수신하여 분리하고, 입력되는 2.5G 및 3G의 역방향의 디지털 광신호를 하나로 합쳐서 하나의 광선로에 실어 상기 도너에게로 전송하는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41); 상기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41)를 통해 입력되는 2.5G용 순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1)를 광전 변환하여 상기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50)에게로 인가하는 제 1 광전 변환부(142); 상기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41)를 통해 입력되는 3G용 순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2)를 광전 변환하여 상기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70)에게로 인가하는 제 2 광전 변환부(143); 상기 2.5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230)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의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를 전광 변환하여 상기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41)에게로 인가하는 제 1 전광 변환부(144); 및 상기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250)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의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를 전광 변환하여 상기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41)에게로 인가하는 제 2 전광 변환부(145)를 구비한다.
상기 2.5G용 및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50, 170)의 내부 구성은 상호 동일하므로, 어느 한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예컨대, 17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70)는, 상기 제 2 광전 변환부(143)로부터 입력되는 3G용 순방향의 디지털 신호에서 잡음성분을 제거하고 필요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추출하는 디지털 필터부(171); 상기 디지털 필터부(171)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72);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72)로부터의 RF 신호에서 송신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한 후 그 필터링된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3G용 HPA(180)에게로 인가하는 필터/레벨 조정부(173)를 구비한다.
상기 2.5G용 및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230, 250)의 내부 구성은 상호 동일하므로, 어느 한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예컨대, 25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250)는, 상기 3G용 LNA(240)로부터 입력되는 3G용 역방향의 아날로그 신호에서 필요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한 후 그 필터링된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필터/레벨 조정부(251); 상기 필터/레벨 조정부(251)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RF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52);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5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서 잡음성분을 제거하고 필요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 2 전광 변환부(145)에게로 인가하는 디지털 필터부(253)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리모트에서의 신호 처리 과정에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너로부터 인가되는 파장이 λ1인 2.5G 신호와 λ2인 3G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 λ1인 디지털 광신호와 λ2인 디지털 광신호는 전광/광전 처리부(140)의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41)에서 각각 분리된다. 분리된 2.5G와 3G 신호 처리 과정이 동일하므로 3G 신호 처리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3G용 디지털 광신호(파장이 λ2)는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140)의 제 2 광전 변환부(143)에서 광전 변환되어 디지털 전기신호가 된다. 2.5G용 디지털 광신호는 제 1 광전 변환부(142)를 통해 디지털 전기신호가 된다. 상기 3G용의 디지털 전기신호는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70)를 통과하면서 아날로그 신호가 된다. 이 변환 과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도 8a와 같다. 디지털 필터부(171)는 입력된 3G용 디지털 전기신호에 대해 필요신호 성분을 추출한다. 그 디지털 필터부(17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기신호는 병렬 데이터 형태의 디지털 전기신호이고, 그 병렬 데이터 형태의 디지털 전기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72)에게로 인가하고, 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72)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필터/레벨 조정부(173)에게로 인가하며, 그 필터/레벨 조정부(173)에서는 송신 대역의 신호를 얻어 적당한 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물론, 2.5G용 디지털 전기신호는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50)에서 동일하게 처리된다.
상기 필터/레벨 조정부(173)에서 출력되는 조정된 신호(즉, RF 신호)는 안테나 방사에 충분한 신호를 만들기 위하여 3G용 HPA(180)에서 다시 증폭되고, 그 증폭된 RF 신호는 3G용 듀플렉서(200)를 통과하여 듀얼 안테나(210)에 전달된다. 그 듀얼 안테나(210)에서는 가입자 단말기에게로 이를 방사한다.
이와 반대로, 가입자 단말기의 신호를 도너에게로 전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2.5G 및 3G 신호 처리는 동일하므로 3G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3G 가입자 단말기에서 듀얼 안테나(210)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는 여러 잡음성분을 갖고 있으므로 3G용 듀플렉서(200)에서 역방향 신호(RF 신호)로 걸러져 잡음 특성이 좋은 3G용 LNA(240)를 거치면서 증폭된다. 그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는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250)를 거치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데, 이 변환 과정을 자세히 보게 되면 도 8b와 같다. 상기 3G용 LNA(240)를 거치면서 필터/레벨 조정부(251)에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필요 대역의 신호만 필터링되고 레벨 조정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52)에게로 입력되고, 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52)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디지털 필터부(253)에게로 인가하며, 상기 디지털 필터부(253)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서 잡음 성분을 제거하고 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부(253)에서 출력되는 3G용 디지털 전기신호는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140)의 제 2 전광 변환부(145)에서 전광 변환되어 파장이 λ4인 디지털 광신호가 된다. 그 파장이 λ4인 디지털 광신호는 전광 변환된 파장이 λ3인 2.5G 신호와 함께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41)에서 합쳐진 후 한 개의 광 선로에 실려 상기 도너에게로 송신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너(donor)는 두개의 서로 다른 서비스(2G와 3G의 서비스 또는 2.5G와 3G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들에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들을 전기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다시 디지털 광 신호로 만들어 8개의 두 가지 서비스 처리 리모트(remote)들로 전송한다. 상기 도너에는 최대 8개의 리모트가 직접 연결된다. 상기 도너와 그 8개의 리모트는 CWDM(Coarse WDM)을 이용하여 하나의 광 선로를 통해 상호 디지털 광신호를 상호 송수신한다.
상기 각각의 리모트는 두 종류의 서비스 신호를 받아 각기 다른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하고 서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단말기에서부터 신호를 받아 CWDM을 이용하여 디지털 광 신호를 송신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너의 구성도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너의 구성(도 5 참조)과 거의 동일하고, 다만 차이나는 부분은 전광/광전 처리부의 구성이 차이난다.
즉, 도 10의 도너의 전광/광전 처리부(130)는, 상기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60)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전기신호를 전광 변환하는 제 1 전광 변환부(131); 상기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70)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전기신호를 전광 변환하는 제 2 전광 변환부(132); 상기 제 1 및 전광 변환부(131, 132)로부터의 디지털 광신호(λ1, λ2)를 하나로 합치는 CWDM 멀티플렉서(133); 상기CWDM 멀티플렉서(133)로부터의 디지털 광신호(즉, λ1, λ2의 두 개의 디지털 광신호가 하나로 합쳐진 디지털 광신호)를 한 개의 광 선로를 통해 리모트에게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3, λ4)를 수신하는 광 커플러(134); 상기 광 커플러(134)를 통해 입력되는 역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3, λ4)를 분리하는 CWDM 디멀티플렉서(135); 상기 CWDM 디멀티플렉서(135)를 통해 입력되는 역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3)를 광전변환하여 상기 제 2.5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90)에게로 전송하는 제 1 광전 변환부(136); 및 상기 CWDM 디멀티플렉서(135)를 통해 입력되는 역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4)를 광전변환하여 상기 제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10)에게로 전송하는 제 2 광전 변환부(137)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10의 도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기지국에서 인가되는 서로 다른 서비스의 RF 신호를 각각 리모트에게로 전달하는 다운 스트림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3G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과 2.5G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은 동일하므로 3G 신호 처리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3G 기지국에서부터 인가된 전기적 RF신호는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70)에서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화한다. 즉,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3G용 기지국으로부터의 전기적 RF신호는 순방향 변환 유니트(71)에서 후단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2)에 맞는 신호 크기로 조절된 후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2)에서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이어, 디지털 필터부(73)에서 상기 변환된 디지털 전기신호에서 잡음성분을 제거하고 필요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순방향 프레이머부(74)에서는 그 필요대역의 신호 즉, 병렬 디지털신호를 원하는 직렬 디지털 신호로 만든다. 이 과정을 거친 디지털 전기신호는 최대 8개의 리모트에게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디지털 분배부(75)에서 동일한 8개 디지털 신호(디지털 신호 #1∼ 디지털 신호 #8)로 분배된다. 2.5G 신호도 역시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60)에서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8개의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분배된 8개의 3G용 디지털 전기신호는 각각 8개의 전광/광전 처리부(130)의 제 2 전광 변환부(132)에서 디지털 광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제 2 전광 변환부(132)에서 출력되는 3G용 디지털 광신호는 상기 제 1 전광 변환부(131)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2.5G용 디지털 광신호와 함께 상기 CWDM 멀티플렉서(133)에서 하나로 합쳐진 후 광 커플러(134)를 통해 한 개의 광 선로로 전송로 전송된다. 이때의 3G용 디지털 광신호는 λ2의 파장을 가지고, 2.5G용 디지털 광신호는 λ1의 파장을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도 10의 도너에서의 업 스트림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각 리모트에서 인가되는 신호의 처리 과정은 동일하므로 리모트 #1에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그 리모트 #1에서 전송된 디지털 광신호는 λ3와 λ4의 두 개의 파장을 갖는 신호이다. 물론, 리모트 #2∼#8도 동일한 파장의 광성분의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λ3의 광 신호는 2.5G 서비스의 업 스트림 신호 성분이고, λ4의 광 신호는 3G 서비스의 업 스트림 신호 성분이다.
상기 리모트 #1에서 인가된 디지털 광신호는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130)의CWDM 디멀티플렉서(135)에서 λ3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와 λ4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로 분리된다. 분리후의 과정은 2.5G 신호 처리와 3G 신호 처리 동작이 동일하다. 3G 신호 처리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상기 CWDM 디멀티플렉서(135)에서 분리된 λ4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는 제 2 광전 변환부(137)를 거치면서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2.5G 신호(즉, λ3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는 제 1 광전 변환부(136)를 거치면서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된 3G 신호는 상기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10)를 거치면서 RF신호로 변화한다. 즉, 도 6b를 참조하면, 입력된 디지털 전기신호는 역방향 프레이머부(111)에서 병렬 데이터 형태의 디지털 전기신호로 되고, 디지털 필터부(112)에서는 그 병렬 데이터 형태의 디지털 전기신호에서 필요 대역의 디지털 전기신호만을 통과시킨다. 그 통과된 디지털 전기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13)에서 RF 신호로 변환된 후 역방향 변환 유니트(114)를 거치면서 적당한 레벨의 신호로 조절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이 8개의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10)에서 출력된 최대 8개의 신호들은 3G용 콤바이너(120)에서 합쳐져서 3G 서비스용 기지국으로 인가된다. 물론, 8개의 2.5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90)를 거친 신호들도 2.5G용 콤바이너(100)에서 합쳐져서 2.5G 서비스용 기지국으로 인가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리모트의 구성도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리모트의 구성(도 7 참조)과 거의 동일하고, 다만 차이나는 부분은 전광/광전 처리부의 구성이 차이나고, 듀얼 안테나가 아닌 2.5G용 안테나 및 3G용 안테나를 사용하였다는 점이 차이난다.
즉, 도 11의 리모트의 전광/광전 처리부(260)는, 상기 도너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의 디지털 광신호(즉, 2.5G 및 3G의 디지털 광신호가 하나로 합쳐진 신호)를 수신하고, 2.5G 및 3G의 역방향 디지털 광신호가 하나로 합쳐져서 입력됨에 따라 그 입력된 역방향의 디지털 광신호를 하나의 광 선로에 실어 상기 도너에게로 전송하는 광 커플러(261); 상기 광 커플러(261)를 통해 입력되는 2.5G 및 3G의 순방향의 디지털 광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CWDM 디멀티플렉서(262); 상기 CWDM 디멀티플렉서(262)를 통해 입력되는 2.5G용 순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1)를 광전 변환하여 상기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50)에게로 인가하는 제 1 광전 변환부(263); 상기 CWDM 디멀티플렉서(262)를 통해 입력되는 3G용 순방향의 디지털 광신호(λ2)를 광전 변환하여 상기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70)에게로 인가하는 제 2 광전 변환부(264); 상기 2.5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230)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의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를 전광 변환하는 제 1 전광 변환부(265); 상기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250)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의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를 전광 변환하는 제 2 전광 변환부(266);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광 변환부(265, 266)로부터의 역방향의 2.5G 및 3G용 디지털 광신호를 하나로 합쳐서 상기 광 커플러(261)에게로 전송하는 CWDM 멀티플렉서(267)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리모트에서의 신호 처리 과정에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너로부터 인가되는 파장이 λ1인 2.5G 신호와 λ2인 3G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 λ1인 디지털 광신호와 λ2인 디지털 광신호는 전광/광전 처리부(260)의 광 커플러(261)를 통하여 CWDM 디멀티플렉서(262)에서 각각 분리된다. 분리된 2.5G와 3G 신호 처리 과정이 동일하므로 3G 신호 처리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3G용 디지털 광신호(파장이 λ2)는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260)의 제 2 광전 변환부(264)에서 광전 변환되어 디지털 전기신호가 된다. 2.5G용 디지털 광신호는 제 1 광전 변환부(263)를 통해 디지털 전기신호가 된다. 상기 3G용의 디지털 전기신호는 3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70)를 통과하면서 아날로그 신호가 된다. 이 변환 과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도 8a와 같다. 디지털 필터부(171)는 입력된 3G용 디지털 전기신호에 대해 필요신호 성분을 추출한다. 그 디지털 필터부(17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기신호는 병렬 데이터 형태의 디지털 전기신호이고, 그 병렬 데이터 형태의 디지털 전기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72)에게로 인가하고, 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72)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필터/레벨 조정부(173)에게로 인가하며, 그 필터/레벨 조정부(173)에서는 송신 대역의 신호를 얻어 적당한 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물론, 2.5G용 디지털 전기신호는 2.5G용 순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150)에서 동일하게 처리된다.
상기 필터/레벨 조정부(173)에서 출력되는 조정된 신호(즉, RF 신호)는 안테나 방사에 충분한 신호를 만들기 위하여 3G용 HPA(180)에서 다시 증폭되고, 그 증폭된 RF 신호는 3G용 듀플렉서(200)를 통과하여 3G 안테나에 전달된다. 3G 안테나에서는 가입자 단말기로 이를 방사한다.
이와 반대로, 가입자 단말기의 신호를 도너에게로 전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2.5G 및 3G 신호 처리는 동일하므로 3G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3G 가입자 단말기에서 3G 안테나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는 여러 잡음성분을 갖고 있으므로 3G용 듀플렉서(200)에서 역방향 신호(RF 신호)로 걸러져 잡음 특성이 좋은 3G용 LNA(240)를 거치면서 증폭된다. 그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는 3G용 역방향 신호 처리 유니트(250)를 거치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데, 이 변환 과정을 자세히 보게 되면 도 8b와 같다. 상기 3G용 LNA(240)를 거치면서 필터/레벨 조정부(251)에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필요 대역의 신호만 필터링되고 레벨 조정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14)에게로 입력되고, 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14)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디지털 필터부(216)에게로 인가하며, 상기 디지털 필터부(253)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서 잡음 성분을 제거하고 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부(253)에서 출력되는 3G용 디지털 전기신호는 상기 전광/광전 처리부(260)의 제 2 전광 변환부(266)에서 전광 변환되어 파장이 λ4인 디지털 광신호가 된다. 그 파장이 λ4인 디지털 광신호는 전광 변환된 파장이 λ3인 2.5G 신호와 함께 CWDM 멀티플렉서(267)에서 합쳐진 후 광 커플러(261)를 통해 한 개의 광 선로에 실려 상기 도너에게로 송신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광 분산 시스템으로 하나 또는 두가지 종류의 서비스 기지국들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서비스를 처리하는 두 개의 광 분산 시스템을 동시에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을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다이나믹 레인지 및 고속 데이터 처리에 유리하고, DWDM 또는 CWDM을 이용하여 도너와 리모트간을 하나의 광 선로로 연결하므로 광 선로의 설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0)

  1. 서로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는 다수의 기지국에 연결된 도너; 및
    상기 도너에 하나의 광 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도너와 디지털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리모트를 구비하되,
    상기 도너는 상기 서로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를 하나의 디지털 광신호로 합쳐서 상기 각각의 리모트에게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리모트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하나의 디지털 광신호로 만들어서 상기 도너에게 송신하며,
    상기 도너는 상기 수신된 하나의 디지털 광신호를 각기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로 분리하여 각각의 서비스 신호를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리모트는 상기 수신된 하나의 디지털 광신호를 각기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신호로 분리하여 해당하는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에게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는, 각기 다른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는 기지국에서 입력되는 순방향의 RF 신호를 각각 디지털 변환한 후 다수개의 디지털 전기신호로 나누는 상호 다른 서비스의 다수의 순방향 신호 처리 수단; 상기 다수의 순방향 신호 처리 수단으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상호 다른 서비스용 디지털 전기신호를 각각 전광 변환한후 하나로 합쳐서 상기 각 리모트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각 리모트로부터의 디지털 광신호를 상기 각 기지국에게 제공될 디지털 광신호로 분리한 후 각각을 광전 변환하는 다수의 전광/광전 처리 수단; 상기 각각의 전광/광전 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역방향 디지털 전기신호중에서 해당하는 서비스의 역방향 디지털 전기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변환하는 상호 다른 서비스의 다수의 역방향 신호 처리 수단; 및 상기 다수의 역방향 신호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중 해당하는 서비스의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하나로 합쳐서 해당하는 서비스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호 다른 서비스의 다수의 콤바이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기 다른 서비스의 신호는 2G의 서비스 신호와 3G의 서비스 신호, 또는 2.5G의 서비스 신호와 3G의 서비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광/광전 처리 수단은, 상기 다수의 순방향 신호 처리 수단으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상호 다른 서비스용 디지털 전기신호를 각각 전광 변환하는 다수의 전광 변환부; 상기 다수의 전광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상호 다른 서비스용 디지털 광신호를 하나로 합쳐서 해당하는 리모트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로부터의 디지털 광신호를 상기 각각의 기지국에게 제공될 상호 다른 서비스용 디지털 광신호로 분리하는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및 상기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에서 분리된 상호 다른 서비스용 디지털 광신호중 처리가능한 디지털 광신호를 광전 변환하여 해당하는 상기 역방향 신호처리 수단으로 제공하는 다수의 광전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광/광전 처리 수단은, 상기 다수의 순방향 신호 처리 수단으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상호 다른 서비스용 디지털 전기신호를 각각 전광 변환하는 다수의 전광 변환부; 상기 다수의 전광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상호 다른 서비스용 디지털 광신호를 하나로 합치는 CWDM 멀티플렉서; 상기 CWDM 멀티플렉서로부터의 디지털 광신호를 해당하는 리모트에게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로부터의 역방향의 디지털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 커플러; 상기 광 커플러를 통해 입력되는 역방향의 디지털 광신호를 상기 각각의 기지국에게 제공될 상호 다른 서비스용 디지털 광신호로 분리하는 CWDM 디멀티플렉서; 및 상기 CWDM 디멀티플렉서에서 분리된 상호 다른 서비스용 디지털 광신호중 처리가능한 디지털 광신호를 광전 변환하여 해당하는 상기 역방향 신호처리 수단으로 제공하는 다수의 광전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는, 각기 다른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는 기지국에서 입력되는 순방향의 RF 신호를 각각 디지털 변환한 후 다수개의 디지털 전기신호로 나누는 상호 다른 서비스의 다수의 순방향 신호 처리 수단; 상기 다수의 순방향 신호 처리 수단으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상호 다른 서비스용 디지털 전기신호를 각각 전광 변환한 후 하나로 합쳐서 상기 각 리모트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각 리모트로부터의 디지털 광신호를 상기 각 기지국에게 제공될 디지털 광신호로 분리한 후 각각을 광전 변환하는 다수의 전광/광전 처리 수단; 및 상기 각각의 전광/광전 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역방향 디지털 전기신호를 하나로 합친 후에 아날로그 신호로 만들어 해당하는 서비스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리모트는, 상기 도너에게서 제공되는 순방향의 디지털 광신호를 각 서비스 신호별로 분리한 후 각각 광전 변환하고, 입력되는 다수의 역방향의 디지털 전기신호를 각각 전광 변환한 후 하나로 합쳐서 상기 도너에게로 전송하는 전광/광전 처리 수단; 및 상기 전광/광전 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순방향의 각 서비스별 디지털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각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각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각 서비스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전광/광전 처리 수단에게로인가하는 다수의 서비스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다수의 밴드 처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광전 처리 수단은, 상기 도너로부터 전송된 순방향 디지털 광신호를 상호 다른 서비스의 디지털 광신호로 분리하고, 입력되는 상호 다른 서비스의 역방향 디지털 광신호를 하나로 합쳐서 상기 도너에게로 전송하는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상기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각기 다른 서비스의 디지털 광신호를 광전 변환하여 해당하는 상기 서비스 신호 처리 수단에게 인가하는 다수의 광전 변환부; 및 상기 서비스 신호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상호 다른 서비스의 역방향 디지털 전기신호를 전광 변환하여 상기 DWD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에게로 인가하는 다수의 전광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광전 처리 수단은, 상기 도너로부터 전송된 순방향 디지털 광신호를 수신하고, 각기 다른 서비스의 디지털 광신호가 하나로 합쳐져서 입력됨에 따라 그 입력된 디지털 광신호를 상기 도너에게로 전송하는 광 커플러; 상기 광 커플러를 통해 입력되는 순방향 디지털 광신호를 각각의 서비스의 디지털 광신호로 분리하는 CWDM 디멀티플렉서; 상기 CWDM 디멀티플렉서를 통해 입력되는 각 서비스별 디지털 광신호를 광전 변환하여 해당하는 상기 서비스 신호 처리 수단에게 인가하는 다수의 광전 변환부; 상기 각 서비스 신호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역방향 디지털 전기신호를 전광 변환하는 다수의 전광 변환부; 및 상기 다수의 전광 변환부로부터의 상호 다른 서비스의 역방향 디지털 광신호를 하나로 합쳐서 상기 광 커플러에게로 인가하는 CWDM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
KR10-2001-0033356A 2001-06-14 2001-06-14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시스템 KR100419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356A KR100419930B1 (ko) 2001-06-14 2001-06-14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356A KR100419930B1 (ko) 2001-06-14 2001-06-14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482A true KR20020095482A (ko) 2002-12-27
KR100419930B1 KR100419930B1 (ko) 2004-02-25

Family

ID=2770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356A KR100419930B1 (ko) 2001-06-14 2001-06-14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9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083B1 (ko) * 2007-08-01 2009-05-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종 기지국을 통한 광 전송 시스템
KR100970624B1 (ko) * 2003-05-31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WO2018174433A1 (ko) * 2017-03-21 2018-09-27 (주)기산텔레콤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24B1 (ko) * 2003-05-31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99083B1 (ko) * 2007-08-01 2009-05-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종 기지국을 통한 광 전송 시스템
WO2018174433A1 (ko) * 2017-03-21 2018-09-27 (주)기산텔레콤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9930B1 (ko)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1111A (en) Optical network
US82387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multiple optical line termination devices to share a feeder fiber
US7502562B2 (en) Distributed terminal optical transmission system
EP1605614A1 (en) Bi-directional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master and slave stations used therefor
KR20020063644A (ko) 중간주파수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KR100651544B1 (ko) 다종 서비스를 수용하는 광-무선 링크 시스템
US20170272197A1 (en) Extender For Optic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00021164A1 (en) Wdm pon rf/video broadcast overlay
US6091869A (en) Low loss, optical add/drop WDM node
US20090148160A1 (en) Optical diplexer module using mixed-signal multiplexer
WO1999049601A1 (fr) Repeteur de transmission a multiplexage par repartition en longueur d'onde, systeme et procede de transmission a multiplexage par repartition en longueur d'onde
KR102013336B1 (ko) 5g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신호 및 관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위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그의 리모트 유닛 장치
KR100419930B1 (ko) 이종 서비스 신호 처리가 가능한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시스템
US10972188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JP3302311B2 (ja) 光増幅伝送システム及び光増幅装置
KR100419929B1 (ko) 옥내용 광 중계 시스템
US20050259988A1 (en) Bi-directional optical access network
KR20020095275A (ko) 옥내용 디지털 광분산 시스템
KR20020094536A (ko) 옥내용 디지털 광분산 시스템
KR100418751B1 (ko) 확장 도너를 갖는 옥내용 디지털 광 분산 시스템
JP2003234721A (ja) 光通信システム
KR100330407B1 (ko) 이동전화 광중계 시스템의 접속 기지국의 섹터 동적 할당 장치및 그 방법
KR20100107906A (ko) 2파장분할 다중 방식의 아날로그 광중계기 시스템
KR100899083B1 (ko) 이종 기지국을 통한 광 전송 시스템
JPH0865267A (ja) 光wdm情報分配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