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235A -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가진 전동 칫솔 - Google Patents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가진 전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235A
KR20020095235A KR1020027014364A KR20027014364A KR20020095235A KR 20020095235 A KR20020095235 A KR 20020095235A KR 1020027014364 A KR1020027014364 A KR 1020027014364A KR 20027014364 A KR20027014364 A KR 20027014364A KR 20020095235 A KR20020095235 A KR 20020095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surface
socket
head section
plug portion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크라머
Original Assignee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컨수머 헬쓰케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컨수머 헬쓰케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컨수머 헬쓰케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to KR102002701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5235A/ko
Publication of KR2002009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2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가능한 헤드를 핸들내의 모터에 연결하는 핸들의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플러그 부분이 있는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가진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헤드 섹션은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단부 표면을 가지며, 플러그 부분과 소켓 각각의 접촉 단부 표면에 맞물리는 오목부분과 볼록부분이 존재한다. 오목부분 및 볼록부분은 헤드와 핸들을 서로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맞물린다. 이러한 칫솔을 위한 별도의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가진 전동 칫솔{ELECTRIC TOOTHBRUSH WITH A REPLACEABLE HEAD SECTION}
이러한 일반적인 구조의 전동 칫솔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들[참조: US-A-6,021,538, GB-A-2 228 861, US-A-4,827,552, EP-A-0 500 537(=US-A-5,289,604)]을 참조하라. 강모가 사용을 위해 정확하게 배향되도록 하기 위해 핸들에 헤드 섹션이 유일한 예정된 정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핸들과 헤드 섹션 사이에 고정되지만 해제가능한 연결 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동 모터를 함유하는 핸들(상기 핸들은 한쪽 단부에 구동가능한 칫솔 헤드를 가진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과 맞물릴 수 있다) 및 솔과 연결될 수 있는 핸들내의 모터에 의한 트랜스미션 수단을 포함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이들 모두가 헤드-핸들의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 섹션은 솔의 반대쪽 단부에 메일(male) 플러그 맞물림 부분을 가지며, 핸들은 플러그 맞물림 부분이 맞물릴 수 있는 피메일(female) 맞물림 소켓을 갖추고 있다. 또한 이러한 플러그 맞물림 부분과 소켓은 일반적으로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트랜스미션 수단은 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러한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과 핸들 사이의 연결 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동 모터를 함유하고 헤드 섹션을 위한 맞물림 소켓을 가진 핸들;
구동가능한 칫솔 헤드를 가지며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플러그 부분을 가지는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포함하는 전동 칫솔이 제공되고;
플러그 부분이 소켓과 맞물리는 경우 플러그 부분은 일반적으로 핸들을 향하고 있는 단부 표면을 가지며, 소켓은 일반적으로 헤드를 향하고 있는 단부 표면을 가지며;
여기서,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은 단부 표면에 대해 종 방향으로 적용되는 압력의 영향하에서 핸들 - 헤드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 또는 소켓의 단부 표면중 하나는 헤드 - 핸들 방향을 따라 그 위에 돌출되어 있는 볼록부분을 가지고 있고, 다른 하나는 플러그 부분이 소켓과 맞물리는 경우 볼록부분을 수용하는 오목부분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구조는 플러그 부분과 소켓, 따라서 헤드 섹션과 핸들이 서로에 대해 유일하게 형성된 정렬로 존재하는 경우에만 볼록부분이 오목부분내에 적절하게 수용되는, 볼록부분과 오목부분 맞물림으로써 헤드 섹션과 핸들의 상호 맞물림을 수월하게 한다. 적절하게는 이러한 정렬은 칫솔을 사용하기 위한 정확한 정렬이다.
헤드 섹션은 대개 한쪽 단부에 구동가능한 칫솔 헤드를 가지며, 반대쪽 단부에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플러그 단부를 가진 기다란 구조이다. 기다란 구조는 모터를 구동가능한 헤드와 연결시키는 구동 샤프트를 함유할 수 있으며, 구동 샤프트는 구동 모터에 대한 연결이 수월하도록 하는 연결 부분의 헤드에 대한 반대쪽 단부에서 끝날 수 있다. 소켓은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샤프트와 관련된 스터브 액슬(stub axle)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은 적절하게는 체벽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의 관모양,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바디의 형태로 존재하며, 핸들을 향하고 있는, 바람직하게는 바디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단부 표면을 가지고 있다.
소켓은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외부 모양과 치수와 내부적으로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으며, 예컨대 헤드를 향하고 있는 소켓의 단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세로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제 1 구조에서 볼록부분은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상에 존재하고, 오목부분은 소켓의 단부 표면내에 존재한다.
제 2 구조에서 오목부분은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내에 위치되어 있고, 볼록부분은 소켓의 단부 표면내에 위치되어 있다.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은 여러 방법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부 표면에 인접한 체벽은 세로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요성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조는 탄력성의 예컨대고무 물질로 제조된 혼입 부분, 또는 가요성의 탄력성 벨로즈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말단 표면은 말단 표면과 인접해 있고 체벽을 완전히 통과하는 구멍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멍은 말단 표면에 인접한 구멍의 측면상에서 구멍을 부분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브릿징하는 탄력적으로 가요성인 브릿지 부분과 접하고 있고, 브릿지 부분의 표면은 예컨대, 관모양 바디의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이고, 브릿지 부분은 탄력적으로 구부릴 수 있으며, 제 1 구조의 볼록부분 또는 제 2 구조의 오목부분은 브릿지 부분의 단부 표면상에 존재한다.
이러한 구멍은 관모양 바디의 벽내에 슬롯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슬롯은 예컨대 관모양 바디의 플러그 부분의 주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으로 존재하고 전형적으로는 이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러한 직사각형 슬롯의 긴 면중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헤드 섹션의 단부 표면과 평행이며 브릿지 부분을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플러그 부분 및 소켓 각각의 단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에 놓여있으며, 볼록부분은 플러그 부분 또는 소켓의 단부 표면이 각각 놓여있는 평면으로부터의 양호하게 형성된 돌출부의 형태로 존재하고, 오목부분은 플러그 부분 또는 소켓의 단부 표면이 각각 놓여있는 평면에 양호하게 형성된 캐비티의 형태로 존재한다. 제 1 구조에서의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 또는 제 2 구조에서의 소켓 각각의 단부 표면상의 돌출부는 예컨대 경사진 사면 표면을 가진 작은 범프, 예컨대, 사실상 반구형 또는 원뿔형 범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의 단부 말단은 돌출부, 예컨대, "V"자 종단면 말단 표면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소켓 또는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 각각의 단부 표면내의 오목부분은 헤드 섹션 또는 소켓 각각의 단부 표면상의 볼록부분의 모양 및 측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상응하는 모양의 오목부분을 가지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작은 범프 형태의 볼록부분은 정밀한 정렬에서 플러그와 소켓의 맞물림이 가능케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의 제 1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헤드 섹션은 한쪽 단부에 구동가능한 칫솔 헤드를 가지며, 반대쪽 단부에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플러그 단부를 가지는 기다란 구조이며,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은 핸들을 향하고 있는 단부 표면을 가진 중공의 관모양 바디의 형태로 존재하고 체벽에 의해 형성되며, 돌출부는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상에 존재하고, 오목부분은 소켓의 말단 표면내에 존재하고, 구멍은 단부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고 체벽을 완전히 통과하며, 단부 표면과 인접한 구멍의 측면상에서 구멍을 브릿징하는 탄력적으로 가요성인 브릿지 부분과 접하고 있고, 브릿지 부분의 표면은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말단 표면이고, 돌출부는 브릿지 부분의 말단 표면상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의 제 2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헤드 섹션은 한쪽 단부에 구동가능한 칫솔 헤드를 가지고, 반대쪽 단부에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플러그 말단 부분을 가지는 기다란 구조이며,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은 핸들을 향하고 있는 단부 표면을 가진 중공의 관모양 바디의 형태로 존재하고 체벽에 의해 형성되고, 돌출부는 소켓의 단부 표면상에 존재하고, 오목부분은 소켁의 단부 표면내에 존재하고, 구멍은 단부 표면과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고 체벽을 완전히 통과되고, 단부 표면과 인접한 구멍의 측면상에서 구멍을 브릿징하는 탄력적으로 가요성인 브릿지 부분과 접하고 있고, 브릿지 부분의 표면은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말단 표면이고, 오목부분은 브릿지 부분의 단부 표면내에 존재한다.
소켓과 맞물리는 위치에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 표면은 가깝게 인접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접촉될 수 있다.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 및 소켓은, 플러그 부분, 즉 헤드 섹션과 소켓의 고정되지만 해제가능한 맞물림을 용이하게 해주는 외형을 갖추고 있고, 이러한 맞물림 외형은 스크류 나사산 연결부 또는 스냅 핏(snap fit) 연결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맞물림 외형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타입일 수 있다.
배요넷 연결부가 바람직하다. 배요넷 연결부는 공지된 타입의 연결부이며, 여기서 예를 들어 플러그 부분은 피메일 소켓내로 세로 방향으로 삽입되고, 플러그 부분 및 소켓의 인접 표면들은 플러그 부분과 소켓의 상대적인 회전시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을 갖추고 있다. 전형적으로 배요넷 연결부의 맞물림 부분은 각각의 접합부의 쌍을 포함하고 있는데 쌍중 하나의 부재는 회전시에 다른 하나의 뒤에 접해 있어서, 소켓으로부터 플러그의 세로 방향으로의 제거를 방지시킨다. 배요넷 연결부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언급한 세로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요성인 구조, 예컨대, 구멍은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과 플러그 부분의 맞물림 부분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2의 구조, 즉, 오목부분이 헤드 섹션의 단부의 단부 표면내에 위치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오목부분에 인접한, 예컨대, 오목부분에 주위로 인접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브릿지 부분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의 일부분은 소켓의 단부 표면에 대해 경사진, 즉 비-수직이며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표면을 가진 램프(ramp)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은 오목한 영역을 포함하며 램프 표면은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의 이러한 오목한 영역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플러그 부분과 소켓의 각각의 단부 표면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크기에 대해 소켓내로 플러그 부분의 삽입이 용이하지만, 오목한 영역과 접하고 있는, 소켓의 단부와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 사이의 갭에 끼워지는 소켓의 단부 표면상의 볼록부분, 예컨대, 경사진 표면이 소켓의 단부 표면으로부터 갈라지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예컨대, 배요넷 연결 부분들을 맞물리게 하는 플러그 부분과 소켓의 상대적인 회전은 램프 표면을 볼록부분위로 올라가게 하고, 램프 표면이 브릿지 부분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볼록부분위에 올려지듯이 결과적으로 브릿지 부분이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후 추가적인 회전은 오목부분이 볼록부분을 수용하도록 하며, 브릿지 부분이 볼록부분의 뒤에 이의 본래 모양으로 탄력적으로 스냅 백(snap back)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이 헤드 섹션과 핸들 사이의 장점적인 연결부를 제공한다. 플러그 부분이 소켓내로 삽입되는 경우 헤드 섹션은 사용을 위해 적절한 정렬로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헤드 섹션과 소켓이 상대적인 회전을 필요로 하는 맞물림 외형, 예컨대, 배요넷 연결부를 가지는 경우 특히 그렇다. 이것은 또한 볼록부분과 오목부분이 정렬을 벗어나 존재하도록 하고, 볼록부분이 오목부분과의 맞물림없이 소켓 또는 헤드 섹션 각각의 단부 표면에 접해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접합은 헤드 섹션의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단부 표면, 예컨대 브릿지 부분에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압력은 브릿지 부분이 이의 탄성에 대해 구부러지도록, 예컨대 아치형이 되도록 한다. 헤드 섹션이 예컨대, 배요넷 연결부와 같은 맞물림 수단이 맞물리도록 회전됨에 따라, 이러한 회전은 사용을 위해 헤드 단부를 적합한 정렬이 되게 하고 볼록부분과 오목부분을 정렬시켜 상기 탄성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고, 심지어 들을 수도 있는 방법으로 볼록부분을 오목부분내로 "스냅"시킨다. 이것은 헤드 섹션이 사용을 위해 적절하게 정렬되어 있고 맞물림 부분이 정확하게 정렬되었고 튼튼하게 맞물려 있다는 명확한 지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분내로 볼록부분의 맞춤 및 헤드 단부의 탄성에 의한 볼록부분의 유지는 상기 칫솔의 사용 동안, 예컨대 칫솔질시에 모터의 진동 또는 사용상 스트레스에 대하여 핸들상에 견고하게 헤드 섹션을 보유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의 다른 외형은 평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섹션은 강모 캐리어를 포함하고, 칫솔의 세로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거나 역으로 진동하는 회전가능한 구동가능한 칫솔 헤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가능한 칫솔 헤드 강모 캐리어의 일부 또는 전부는 그 자체로 교체가능할 수 있다. 핸들은 모터 및 트랜스미션 섹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 운동으로 구동 샤프트를 구동시킬 수 있다. 헤드 섹션은 강모 캐리어의 계속적인 회전 운동을 강모 캐리어의 진동하는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미션 시스템은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헤드 섹션 및 소켓의 표면은 전동 칫솔 분야에 보편적인 플라스틱 물질 및/또는 금속,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하는 용어 "탄성"은 주로 적용된 압력하에 변형되고 압력의 제거시에는 스프링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처음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되는 부분 또는 구조를 의미한다. 전동 칫솔의 제조에 사용되는 많은 보편적인 플라스틱 및 고무 물질은 탄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전동 칫솔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제공한다.
이러한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은 한쪽 단부에 구동가능한 칫솔 헤드를 가지고, 반대쪽 단부에 플러그 단부를 가진 기다란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은 단부 표면을 가지는 중공의 관모양 바디의 형태로 존재하고 체벽에 의해 형성되고, 단부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고 체벽을 완전히 통과하는구멍은 단부 표면과 인접한 구멍의 측면상에서 구멍을 브릿징하는 탄력적으로 가요성인 브릿지 부분과 접하고 있고, 브릿지 부분의 표면은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이고, 돌출부 또는 캐비티는 브릿지 부분의 단부 표면상에 존재한다. 이러한 플러그 단부는 본원에 기술한 바와 같이 칫솔 핸들의 상응하는 소켓과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의 바람직한 외형은 본원에 기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에서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헤드섹션의 플러그 부분은 핸들을 향하는 단부 표면을 가진 중공의 관모양 바디의 형태일 수 있고 체벽에 의해 형성되며, 구멍은 단부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체벽을 완전히 통과하고 단부 표면과 인접한 구멍의 측면상에서 구멍을 브릿징하는 탄력적으로 가요성인 브릿지 부분과 접해 있으며, 브릿지 부분의 표면은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일 수 있고, 오목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브릿지 부분의 단부 표면내에 존재하고 브릿지 부분의 일부분은 헤드 부분의 세로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정렬로 램프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 모터를 함유하고 본원에 기술한 바와 같이 헤드 섹션을 위해 적합한 맞물림 소켓을 가진 칫솔 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칫솔의 플라스틱 물질 부분은 칫솔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 예컨대 칫솔의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의 모양과 치수를 규정하는 주형 캐비티를 가진 주형내로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주입시키는 주입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본 발며의 추가 일면을 이룬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일면은 주입 성형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그 안에 캐비티를 가진 주입 주형을 제공한다.
단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는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가진 전동 칫솔의 개략적인 전체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전동 칫솔의 헤드 섹션과 소켓의 제 1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구조의 작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전동 칫솔의 헤드 섹션과 핸들의 제 2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구조의 작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의 구조의 작동부의 대안적인 모드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1에 대해서 전동 칫솔이 전체적인 측면도(10)로 도시되어 있다. 칫솔(10)은 잡을 수 있고, 구동 모터, 배터리, 제어기 등(도시 안됨)을 포함하고 있는 핸들(11)을 포함한다. 핸들(11)은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13)에 대한 연결부(12)에 교체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12)는 본 발명의 연결부이고 하기에 더욱 충분히 기술된다. 헤드 섹션은 핸들(11)과 중공 관모양 바디(15)로부터 먼 섹션(13)의 헤드 단부에 헤드(14)를 포함한다. 바디(15)는 연결부(12)에서 핸들(11)과 맞물릴 수 있다. 핸들(11) 교체가능한 섹션(13) 및 헤드(14)의 조립은 칫솔(10)의 헤드-핸들 길이 방향 A--A를 따라 배치된다. 헤드(14)에 구동가능한 브러쉬(16)가 장착되어 있고, 이로부터 강모(17)의 클러스터는 길이 A--A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일반적인 강모 방향 B--B로 연장한다. 브러쉬(16)는 중공의 관모양 바디(15) 내부를 따라 연장하는 구동 샤프트(18)(일반적으로 도시됨)를 통해 모터(도시 안됨)에 의해 구동된다. 브러쉬(16)는 강모 클러스터(17)의 중앙을 통과하하고 강모 방향 B--B과 평행인 축에 대해 진동하는 회전을 위해 헤드내의 액슬(도시 안함)상에 장착된다.
사용시에 브러쉬(16)는 강모 방향 B--B에 대해 평행인 회전축에 대해 진동하는, 즉, 가역하는, 회전 운동을 수행하며 강모(17)의 클러스터의 도면에서 중앙을 통과하고, 동시에 방향 B--B를 따라 상반된 상-하 운동을 수행한다. 구동 메카니즘은 이러한 운동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도 2
도 2에는 도 1의 연결부(12)가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2a는 잘라낸 일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축 A--A에 대해 약 60° 회전한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핸들(10)과 가장 가까운 도 1의 헤드 섹션(13)의 단부를 상세하게 보여준다. 핸들과 가장 가까운 헤드 섹션(13)의 단부는 헤드 단부와 더 가까운 헤드 섹션(13)의 인접한 부분에 대해 협소한 교차 섹션의 중공의 원통형 관모양 바디(21)를 포함하고 원통의 벽과 접하고 있는 플러그 파트(20)를 포함한다. 바디(21)내에는 회전가능한 구동 샤프트(22)가 존재하고 헤드 섹션(13)의 핸들 단부의 선단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헤드(14)로부터 가장 먼 헤드 섹션의 단부에서, 관모양 바디(21)는 길이 방향 A--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면으로 단부 표면(23)에서 끝난다. 이러한 단부에서 관모양 바디(21)는 얇은 측벽과 접하고 있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존재한다.
단부 표면(23)과 인접하여 바디(21)의 벽을 통해 완전히 연장하는 바디(21)의 벽내에 구멍(24)이 존재한다. 구멍(24)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슬롯의 모양이고, 길이 방향 A--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길이 방향을 가지며, 단부 표면(23)의 평면과 평행하고, 원통형 바디(21)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한다. 단부 표면(23)에 바로 인접한 이의 긴 측면상에서 얇은 브릿지 부분(25)은 구멍(24)과 접하고 있고 단부 표면(23)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관모양 바디(21)가 플라스틱 물질로 전체적으로 제조되므로, 브릿지 부분(25)은 세로 방향 A--A로 적용된 압력의 작용하에 탄력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브릿지 부분(25)의 단부 표면상에는 세로방향 A--A로 돌출된 작은 돌출부(26)가 존재한다. 돌출부(26)는 작은 실질적으로 반구형인 범프의 모양이다.
도 2c는 또한 일반적으로 도 1의 헤드 섹션(13)에 바로 인접한 핸들(11)의 일부분인 27을 일부 절단된 부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핸들(11)의 일부분으로 맞물림 소켓(28)이 제공되고, 이 소켓은 일반적으로 헤드 섹션(13)의 헤드 단부를 향하고 있고 관모양 바디(21)의 외부 모양 및 치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며, 관모양 바디는 소켓(28)과 맞물릴 수 있다. 구동 모터(도시 안됨)와 연결된 스터브 액슬(29)은 소켓(28)내로 연장한다. 소켓(28)은 측면 표면 및 길이 방향 A--A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사실상 단부 표면(210)과 접해 있다.
단부 표면(210)에는 작은 캐비티(211)가 존재하고, 이것은 돌출부(26)와 모양상 매우 상응한다. 캐비티(211)는 플러그 부분(20)이 소켓에 완전히 삽입되어 맞물리고 소켓(28)과 유일한 정렬로 존재하는 경우 돌출부(26)가 캐비티(211)에 끼워지도록 위치된다.
관모양 바디(21)의 외부 표면 및 소켓(28)의 측면 표면은 배요넷 연결 맞물림 부분(212, 213)을 추가로 갖추고 있다. 전형적으로 이들 3가지는 관모양 바디(21)와 소켓(28) 주위에 120°로 정렬되어 존재한다. 헤드 단부에 더 가까운 관모양 바디(21)에 바로 인접한 헤드 섹션(13)의 일부분은 헤드 섹션(13)과 핸들(11) 사이에 밀봉재를 형성시키기 위해 고무 물질의 탄성 칼라(214)로서 형성된다.
외형 21 및 28은 또한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관모양 바디(21)가 소켓(28)내로 도입된다. 스터브 액슬(29)은 구동 샤프트(22)의 단부와 맞물린다. 관모양 바디(21)는 소켓(28)내로 삽입될 수 있다. 소켓(28)의 전체 길이에 대한 관모양 바디(21)의 도입은 단지 배요넷 연결 부분(212, 213)이 바디(21)의 도입을 위해 정렬되는 경우, 즉, 부분(212)이 부분(213)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에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정렬은 정상적으로 초기에 사용하기 위한 정상 정렬에서가 아니라 브러쉬 헤드(14)와 함께 존재할 것이다. 바디(21)가 소켓(28)내로 완전히 삽입된 다음 관모양 바디(21)는 이의 길이 축 A--A에 대해 회전되어 맞물림 부분(212)을 뒤쪽 위치로, 즉, 부분(213) 보다 소켓(28)내에서 더 깊게 이동시킬 수 있다. 부분(213) 뒤쪽 위치로 부분(212)을 위치시키는 것은 소켓(28)으로부터 플러그(20)의 제거를 방지한다. 배요넷 연결 부분(212, 213)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수단으로 성형되어 단부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정렬이 달성되는 경우 추가적인 회전에 대한 단부 중지를 제공할 수 있거나, 바디(21) 및/또는 소켓(28)은 다르게는 단부 중지 수단을 갖출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타입의 배요넷 연결부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도 3
돌출부(26) 및 캐비티(211)의 작용을 도 3a 내지 도 3c에 더욱 명백하게 도시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모양 바디(21)가 우선 화살표 방향으로 소켓(28)내로 삽입된 후에 헤드 섹션(13)이 배요넷 연결 부분(212, 213)을 정렬내로 운반하기 위해 회전되는 경우, 돌출부(26) 및 캐비티(211)는 정렬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돌출부(26)는 소켓(28)의 단부 표면(210)에 대해 접해 있다. 또한 부분(212)은 거리 "d"만큼 부분(213)과 세로 방향으로 잘못 정렬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1)가 화살표 방향으로 캐비티(28)내로 더 깊이 추진되는 것과 같이 표면(210)에 대해 돌출부(26)의 접합부는 돌출부(26)에 압력을 가하고, 이는 브릿지 부분(25)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압력은 브릿지 부분(25)을 탄력적으로 구부러지게 하여, 즉 헤드 섹션(13)의 헤드 단부를 향하는 아치형이 되도록 한다. 브릿지 부분(25)의 변형은 바디(21)를 소켓(28)내로 추가로 거리 "d"를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섹션(13)이 배요넷 연결 부분(212, 213)을 부분(213) 뒤에 부분(212)가 있는 정렬내로 운반가기 위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러한 회전은 돌출부(26)와 캐비티(211)를 정렬내로 운반한다. 부분(212, 213)을 정렬 밖으로 운반할 수도 있는 바디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말단 중지 외형(도시 안됨)이 바디(21) 및/또는 소켓(28)상에 제공될 수 있다. 브릿지 부분(25)의 탄성은 돌출부(26)가 사용자가 느낄 수 있고 심지어 들을 수도 있는 수단으로 캐비티(211)내로 "스냅"되도록 한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배요넷 연결 맞물림 부분(212, 213)이 정확하게 정렬되고 견고하게 맞물렸다는 명확한 지시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캐비티(211)내로 돌출부(26)가 끼워지는 것은 칫솔의 사용 동안, 예컨대 모터의 진동 또는 사용 스트레스에 대해 헤드 섹션(13)을 핸들상에 견고하게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칼라(214)는 배요넷 연결 부분(212, 213)이 맞물림에 따라 헤드 단부(10)와 핸들(11) 사이에서 조여지며, 연결부(12)내로 장력을 제공하여 밀봉재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헤드 섹션(13)과 핸들가 서로 견고하게 보유되는데 도움을 준다.
핸들로부터 헤드 섹션을 해제하기 위해 헤드 섹션(13)은 부분(212, 213)이 해제되도록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돌출부(26) 및 캐비티(211)가 반구형의 모양이기 때문에 이들의 표면은 램프 작용으로 서로의 위로 원활히 슬라이딩되어, 돌출부(26)가 캐비티(211)를 떠나게 하고 돌출부(26)가 캐비티(211)를 떠남에 따라 브릿지 유닛(25)이 다시 탄력적으로 구부러지도록 하며, 돌출부(26)는 도 2의 반대로 소켓(28)의 표면(210)의 단부와 다시 접합된다. 관모양 바디(21)가 소켓(21)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브릿지 부분(25)은 스프링 복귀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래의 변형되지 않은 모양이 된다.
도 4
도 4에는 도 1의 연결부(12)를 제 2의 구조로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서로에 대한 축 A--A에 대해 약 180°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핸들(10)과 가장 가까운 도 1의 헤드 섹션(13)의 단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과 상응하는 외형에는 상응하는 참조 숫자로 번호를 매겼다(예컨대, 도 4의 외형(41)은 도 2의 외형(21)에 상응한다).
관모양 바디(41)의 단부 표면(43)과 인접하여, 관모양 바디(41)의 벽에 구멍(44)이 존재하며, 이는 헤드 섹션의 길이 방향 A--A에 대해 수직인 이의 길이 방향을 가진 기다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슬롯 모양이다. 단부 표면(43)과 인접한 긴 측면상에서 얇은 브릿지 부분(45)은 구멍(44)와 접해 있다. 브릿지 부분(45)에는 작은 캐비티(411)가 브릿지 부분(45)에 쐐기 모양의 새김눈의 형태로 존재한다. 단부 표면(43)의 일부분은 길이 방향 A--A와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존재하고 단부 표면(43)의 일부분(43A)은 이 평면과 경사진 정렬로 정렬되어 있다.
도 4c는 또한 일반적으로 도 1의 헤드 섹션(13)에 바로 인접한 제 2의 구조의 핸들(11)의 일부분인 47을 부분절단된 부분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핸들(11)의 일부분에는 일반적으로 헤드 섹션(13)의 헤드 단부를 향하고 있고 관모양 바디(41)의 외부 모양 및 치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맞물림 소켓(48)이 존재하며, 관모양 바디는 소켓(48)과 맞물릴 수 있다. 도 4c는 도 4a 및 도4b에 대해 더 작은 스케일로 편리하게 도시되었다. 구동 모터(도시 안됨)에 연결된 스터브 액슬(도시 안됨)은 소켓(28)내로 연장한다. 소켓(48)은 측면 표면 및 길이 방향 A--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단부 표면(410)과 접하고 있다.
단부 표면(410)상에는 작은 쐐기 모양의 돌출부(46)인 볼록부분이 존재하며, 이는 캐비티(411)와 모양상 매우 상응한다. 돌출부(46)는 플러그 부분(40)이 소켓(48)에 완전히 삽입되어 맞물리고 소켓(48)과 유일한 정렬로 존재하는 경우 돌출부(46)가 오목부분(411)에 끼워지도록 위치된다.
관모양 바디(41)의 외부 표면 및 소켓(48)의 측면 표면은 배요넷 연결 맞물림 부분(각각 412, 413)을 추가로 갖추고 있다. 전형적으로 이들 3가지는 관모양 바디(41) 및 소켓(28) 주위에 120°로 정렬되어 존재한다.
외형(41) 및 외형(48)은 또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조는 도 2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관모양 바디(41)는 소켓(48)내로 도입되고, 배요넷 연결 부분(412, 413)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도 5
돌출부(46) 및 오목부분(411)의 작용을 도 5a 내지 도 5c에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모양 바디(41)가 우선 화살표 방향으로 소켓(48)내로 삽입된 후에 헤드 섹션(13)(도 5에는 도시 안됨)이 정렬내로 배요넷 연결 부분(412, 413)을 운반하기 위해 회전되고, 돌출부(46) 및 오목부분(411)은 정렬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단부 표면(43)의 경사진 부분(43A) 및 소켓의 단부 표면(410)은 표면(43) 및 표면(410)의 접촉시에 돌출부(46)가 끼워지는 이들 사이의 공간을 형성한다(미세한 갭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41)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부분(43A)는 램프의 작용으로 돌출부(46)위로 올려지고, 브릿지 부분(45)을 조이고, 이는 탄력적으로, 즉, 헤드 섹션(13)의 헤드 말단을 향하는 아치형으로 구부려진다. 그러므로 부분(43A)는 오목부분(411) 주위에 인접하는 램프 표면을 포함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섹션(13)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요넷 연결 부분(412, 413)을 부분(413) 뒤에 부분(412)을 가지는 정렬내로 운반함에 따라, 이러한 회전은 돌출부(46) 및 캐비티(411)를 정렬내로 운반한다. 단부 중지 외형(도시 안됨)은 부분(412, 413)을 정렬 밖으로 운반할 지도 모르는 바디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바디(41) 및/또는 소켓(48)상에 제공될 수 있다. 브릿지 부분(45)의 탄성은 캐비티(411)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고 심지어 들을 수 있는 방식으로 돌출부(46) 주위에 "스냅"시킨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배요넷 연결 맞물림 부분(412, 413)이 정확하게 정렬되고 견고하게 맞물렸다는 명백한 지시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오목부분(411)내로 돌출부(46)을 끼우는 것은 칫솔의 사용 동안, 예컨대 모터의 진동 또는 사용 스트레스에 대해 핸들에 헤드 섹션(13)을 견고하게 보유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구조에서 핸들로부터 헤드 섹션의 해제는 도 3과 유사하고, 상기 기술한 작동과 반대이다.
도 6
도 6a 내지 도 6d에는 헤드 섹션(13)(도 6에는 도시 안됨)의 또 다른 구체예의 구조 및 작동을 예시하였다. 도 5에 상응하는 부분들을 상응하게 번호매겼다. 돌출부(46) 및 오목부분(411)의 작용을 도시하였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모양 바디(41)가 우선 소켓(48)내로 삽입되는 경우 돌출부(46) 및 캐비티(411)는 정렬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표면(43)의 부분(43A)는 오목한 영역이고, 도 5의 영역(43A)와 유사하고, 상기 오목한 영역(43A)및 소켓의 단부 표면(410)은 표면(43) 및 표면(410)의 접촉시에 돌출부(46)가 끼워지는 이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미세한 갭이 명확이 도시되어 있다). 오목부분(411)에 인접한 주위로 표면(43A)는 램프 표면(43B)를 형성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41)가 화살표 방향으로 소켓(48)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램프 표면(43B)는 램프 작용으로 돌출부(46)상에 올려지고, 브릿지 부분(45)을 조이고, 이는 탄력적으로, 즉 헤드 섹션(13)의 헤드 단부를 향해 아치형으로 구부러진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표 방향으로 헤드 섹션(13)의 계속적인 회전은 돌출부(46) 및 캐비티(411)를 정렬내로 운반하여, 브릿지 부분(45)이 본래 위치로 스냅 백 된다. 도 6에 도시된 구체예는 배요넷 연결 부분 및 도 5와 유사한 방식으로 단부 중지 수단을 갖출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상기 구조에서 핸들로부터 헤드 섹션의 해제는 도 5와 유사하고, 상기 기술한 작동의 반대이다.
도 7
도 4의 변형된 구조에서 돌출부(46) 및 캐비티(411)의 작용을 도 7a 내지 도 7c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하였다. 이것은 도 4의 변형을 예증한 것이고 단부 표면(43)의 경사진 부분(43A)은 없다. 즉, 단부 표면(43)은 길이 방향 A--A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 놓여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모양 바디(41)가 우선 화살표 방향으로 소켓(48)내로 삽입된 후에 헤드 섹션(13)이 배요넷 연결 부분(412, 413)을 정렬내로 운반하기 위해 회전되는 경우, 돌출부(46) 및캐비티(411)는 정렬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돌출부(46)는 단부 브릿지 부분(45)에 접하고 있다. 또한 부분(412)은 부분(413) 뒤에 끼워질 만큼 소켓(48)내에 충분히 깊지 않다. 즉, 부분(412)은 거리 "d" 만큼 부분(413)과 세로 방향으로 잘못 정렬되어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41)가 화살표 방향으로 캐비티(48)내로 더 깊이 추진됨에 따라 브릿지 부분(45)에 대한 돌출부(46)의 접합은 부분(45)에 압력을 적용시켜 탄력적으로, 즉 헤드 섹션(13)의 헤드 단부를 향해 아치형으로 구부린다. 브릿지 부분(45)의 변형은 바디(41)를 소켓(48)내로 더 멀리 거리 "d"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섹션(13)이 배요넷 연결 부분(412, 413)을 부분(413) 뒤로 부분(412)를 가지는 정렬내로 운반하기 위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러한 회전은 돌출부(46) 및 캐비티(411)를 정렬내로 운반한다. 단부 중지 외형(도시 안됨)은 부분(412, 413)을 정렬 밖으로 운반할 지도 모르는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바디(41) 및/또는 소케(48)상에 제공될 수 있다. 브릿지 부분(45)의 탄성은 브릿지 부분(45)이 본래의 모양으로 "스냅" 백 하도록 하여 캐비티(411)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고 심지어 들을 수도 있는 방식으로 돌출부(46) 주위에 끼운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배요넷 연결 맞물림 부분(412, 413)이 정확하게 정렬되고 견고하게 맞물렸다는 명확한 지시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캐비티(411)내로 돌출부(46)를 끼우는 것은 칫솔의 사용 동안, 예컨대 모터의 진동 또는 사용 스트레스에 대해 핸들에 헤드 섹션(13)을 견고하게 보유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구조에서 핸들로부터 헤드 섹션의 해제는 도 3및 도 5와 유사하고 상기 기술한 작동과 반대이다.

Claims (16)

  1. 전동 모터를 함유하고 헤드 섹션과 맞물리는 소켓을 가진 핸들;
    한쪽 단부에 구동가능한 칫솔 헤드를 가지며 반대쪽 단부에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플러그 부분을 가진 기다란 구조의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
    플러그 부분이 소켓과 맞물리는 경우 일반적으로 핸들쪽을 향하고 있는 단부 표면을 가진 플러그 부분; 및
    일반적으로 헤드쪽을 향하고 있는 단부 표면을 가진 소켓을 포함하는 칫솔로서,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은 단부 표면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적용된 압력의 영향하에 핸들 - 헤드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 또는 소켓의 단부 표면중 하나는 헤드 - 핸들 방향을 따라 그 위에 돌출되어 있는 볼록부분을 가지며, 다른 하나는 플러그 부분이 소켓과 맞물리는 경우 돌출부분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오목부분을 갖는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볼록부분이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상에 존재하고, 오목부분이 소켓의 단부 표면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오목부분이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내에 위치하고, 볼록부분이 소켓의 단부 표면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켓 또는 헤드의 플러그 부분의 각각의 단부 표면내의 오목부분이 헤드 섹션 또는 소켓의 각각의 단부 표면상의 볼록부분의 모양 및 측면과 사실상 일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칫솔을 위한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으로서, 헤드 섹션이 한쪽 단부에 구동가능한 칫솔 헤드를 가지며 반대쪽 단부에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플러그 부분을 가진 기다란 구조이고, 여기서 플러그 부분은 체벽에 의해 형성되며 헤드 섹션이 칫솔 핸들과 맞물리는 경우 핸들쪽을 향하는 단부 표면을 갖는 중공의 관모양 바디의 형태인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
  6. 제 5항에 있어서,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이 단부 표면에 인접해 있고 체벽을 완전히 통과하는 구멍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멍은 단부 표면에 인접한 구멍의 측면상에서 구멍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브리징하는 탄력적으로 가요성인 브릿지 부분과 접하고 있고, 브릿지 부분의 표면은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
  7. 제 6항에 있어서, 구멍이 플러그 부분의 주위 방향으로 이의 길이 방향을 가진 슬롯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볼록부분이 브릿지 부분의 단부 표면상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오목부분이 브릿지 부분의 단부 표면상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
  10. 제 9항에 있어서, 오목부분에 인접한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상에 램프(ramp) 표면이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
  11. 제 10항에 있어서, 램프 표면이 오목부분에 인접한 주위에 브릿지 부분의 일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램프 표면이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의 오목한 영역의 일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
  13.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칫솔용의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으로서,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이 핸들쪽을 향하고 있는 단부 표면을 가진 중공의 관모양 바디의 형태이고 체벽에 의해 형성되며, 구멍이 단부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고 체벽을 완전히 통과하며 단부 표면과 인접한구멍의 측면상에서 구멍을 브릿징하는 탄력적으로 가요성인 브릿지 부분과 접하고 있고, 브릿지 부분의 표면이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이고, 오목부분이 브릿지 부분의 단부 표면에 존재하고 브릿지 부분의 일부분이 헤드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정렬로 램프 표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
  14.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이, 플러그 부분과 소켓내의 상응하는 배요넷 연결 외형의 고정되지만 해제가능한 맞물림을 용이하게 해주는 배요넷 연결 맞물림 외형을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
  15. 전동 모터를 함유하고 제 9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헤드 섹션을 위해 적합한 맞물림 소켓을 가진 칫솔 핸들.
  16. 제 3항에 있어서, 소켓과 맞물릴 수 있는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이 핸들쪽을 향하고 있는 단부 표면을 가진 중공의 관모양 바디의 형태로 존재하고 체벽에 의해 형성되고, 구멍이 단부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고 체벽을 완전히 통과하고 단부 표면에 인접한 구멍의 측면상에서 구멍을 브릿징하는 탄력적으로 가요성인 브릿지 부분과 접하고 있고, 브릿지 부분의 표면이 헤드 섹션의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이고, 오목부분이 브릿지 부분의 단부 표면에 존재하고 브릿지 부분의 일부분이 헤드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정렬로 램프 표면을 포함하고, 램프 표면이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의 오목한 영역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플러그 부분이 소켓내로 삽입되는 경우 소켓의 단부 표면상의 볼록부분이 플러그 부분의 단부 표면과 오목한 영역과 접하고 있는 소켓의 단부 사이의 갭에 끼워지고, 플러그 부분과 소켓의 상대적인 회전이 램프 표면을 볼록부분 위로 올라가게 하고, 추가적인 상대적 회전이 오목부분이 볼록부분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027014364A 2000-04-27 2001-04-24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가진 전동 칫솔 KR20020095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4364A KR20020095235A (ko) 2000-04-27 2001-04-24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가진 전동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010115.4 2000-04-27
KR1020027014364A KR20020095235A (ko) 2000-04-27 2001-04-24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가진 전동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235A true KR20020095235A (ko) 2002-12-20

Family

ID=3900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364A KR20020095235A (ko) 2000-04-27 2001-04-24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가진 전동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5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569A1 (ko) * 2021-12-17 2023-06-22 전성규 공기 구동식 자동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569A1 (ko) * 2021-12-17 2023-06-22 전성규 공기 구동식 자동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2381B2 (en) Electric toothbrush with a replaceable head section
CA2724109C (en) Toothbrush having a welded bristle carrier
EP2335643B1 (en) Oral cleaning section of an oral cleaning device and oral cleaning device
KR100253963B1 (ko) 탄력적인 가요성 강모-함유 헤드를 갖는 칫솔
US6308359B2 (en) Brush section for an electric toothbrush
US7251849B2 (en) Toothbrush
US5991958A (en) Contouring toothbrush head
EP0704180B1 (en) Device for mouth hygiene
AU735657B2 (en) Motor-driven toothbrush, in particular an electric toothbrush
US5617602A (en) Motor-driven toothbrush
HU222061B1 (hu) Fogkefe
US20060117508A1 (en) Contouring toothbrush head
EP2618776B1 (en) Replaceable head part for an electric toothbrush
CA2281736A1 (en) Toothbrush having flexible link regions
KR20020095235A (ko) 교체가능한 헤드 섹션을 가진 전동 칫솔
CN216603162U (zh) 电动牙刷刷头及电动牙刷
US20230338126A1 (en) Structure for coupling toothbrush head to electric toothbrush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