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093A -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093A
KR20020094093A KR1020010031809A KR20010031809A KR20020094093A KR 20020094093 A KR20020094093 A KR 20020094093A KR 1020010031809 A KR1020010031809 A KR 1020010031809A KR 20010031809 A KR20010031809 A KR 20010031809A KR 20020094093 A KR20020094093 A KR 2002009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type
air conditioner
cabine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6704B1 (ko
Inventor
김영완
윤흥식
김우곤
Original Assignee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704B1/ko
Publication of KR2002009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키지 에어컨에 있어 실내기의 상단 패널 상에 하프 블랭킹을 통해 패널의 일부를 떼어내어 덕트연결공으로 형성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 덕트연결공과 전면그릴 중에서 필요에 따라 실내기의 송풍경로를 선택하여 직출형 혹은 덕트형으로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의 전면 하부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2)과, 캐비닛(1)의 전면 상부에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3)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 상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냉방할 장소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1)의 상판 톱 패널(4) 상에 패널의 일부분을 떼어낸 후 덕트(6)를 연결할 수 있도록 톱 패널(4)의 일부분에 임의의 힘을 가할 경우 분리될 수 있게 하프 블랭킹을 통해 절취라인(5)이 형성되고, 톱 패널(4)이 분리된 부분이 덕트연결공(7)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A combined direct exhaust type and duct type a package air conditioner inner part}
본 발명은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키지 에어컨에 있어 실내기의 상단 패널 상에 하프 블랭킹을 통해 패널의 일부를 떼어내어 덕트연결공으로 형성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 덕트연결공과 전면그릴 중에서 필요에 따라 실내기의 송풍경로를 선택하여 직출형 혹은 덕트형으로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인간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도구 중의 하나로서, 시원하거나 따뜻한 공기를 제공하는 단순한 기능에서 출발하여 요즈음엔 공기정화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 중에 냉각사이클(cooling cycle)을 이용하여 실내를 적정한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어 대부분의 가정 및 사무실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 에어컨이다.
이러한 에어컨의 냉각시스템 구성 및 그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압축기(compressor)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는 응축기(condenser)로 보내지고 이를 통과하면서 주변의 공기와 열 교환하여 고압의 액상(液狀)으로 변하게 된다.
이렇게 액화된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과하여 증발기로 유입되고, 상기 냉매는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와 열 교환하여 기화됨으로써 저온의 기체로 변하게 되며, 이렇게 차가워진 냉기를 송풍팬으로 불어서 실내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럼 다음,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저온증기는 다시 압축기로 보내져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며, 이와 같은 냉매의 순환으로 실내를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에어컨은 그 냉방 용량과 설치형태에 따라 실내의 바닥면에 거치되어 비교적 큰공간을 냉방하는 패키지 에어컨과, 실내의 벽면에 장착되어 비교적 작은 공간을 냉방하는 룸(room)에어컨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현재 시판되고 있는 패키지 에어컨은 직출형과 덕트형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기서,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이란 냉방은 요구되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그 내부에 에어컨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 해당 건물내의 적정위치에서 에어컨의 실내기를 설치한 뒤, 이 실내기의 토출구에 덕트를 연결하여 냉방할 장소로 연장 연결함으로써 해당 장소를 원격 냉방할 수 있도록 된 에어컨을 말하며, 특히, 한 대의 에어컨 실내기로 다수의 공간에서 공동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기의 토출구에 덕트를 연결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냉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에어컨을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이라 일컫는다.
그리고, 직출형 패키지 에어컨은 실내기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구비된 토출그릴을 통해 냉기가 실내로 직접 직출되도록 된 통상적인 에어컨을 말한다.
이와 같은 직출형과 덕트형으로 구분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은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20)이 구비되고, 그 상판에는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중간에는 실외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50)가 설치되고, 이 증발기(50)의 상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그 토출구(31)를 통해 냉방할 장소로 토출시키는 송풍팬(60)이 설치되며, 캐비닛(10)의 상판에 형성된 토출구(30)에는 송풍팬(60)에 의해 토출된 냉기를 냉방할 장소로 유도하는 덕트(40)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종래 직출형 패키지 에어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과 마찬가지로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20)이 구비되고,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 상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냉방할 장소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직출형과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의 차이점은 증발기에서 열 교환된 냉기를 토출하는 송풍 경로에 따른 덕트(40)를 통해 토출하느냐 아니면 토출그릴 (30)을 통해 직접 토출하느냐 하는 데 있다.
그런데, 종래 상기 패키지 에어컨이 최초 출하될 당시에 직출형과 덕트형으로 구분되어 출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와 같은 경우에 직출형 패키지 에어컨을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으로,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을 직출형 패키지 에어컨으로 사용자가 임으로 변경 사용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 보완하고자 종래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직출형 혹은 덕트형으로 패키지 에어컨을 변경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기도 하였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 흡입그릴(20)이 구비됨과 더불어 그 내부에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킬 수 있는 증발기(50) 및 송풍팬(도시되지 않음) 등을 내장 설치한 상태에서 캐비닛(10)의 송풍 경로 상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덕트연결부(32)를 구비하고, 이 덕트연결부(32)를 커버할 수 있으면서 전면에 토출그릴(30)이 구비된 별도의 챔버(70)를 구비하는 구조로 패키지 에어컨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패키지 에어컨은 최초 출하 시에는 상기 챔버(70)가 덕트연결부(32)를 커버한 상태에서 직출형으로 사용하도록 되고, 사용자가 덕트형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는 상기 챔버(70)를 떼어내어 덕트연결부(32)가 드러나도록 한 다음, 이 덕트연결부(32)에 도시되지 않은 덕트를 부착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패키지 에어컨을 직출형으로 사용하다 덕트형으로 사용하기 위해 챔버(70)를 떼어내고 덕트(미 도시됨)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또는 덕트형으로 사용하다 직출형 에어컨으로 사용하기 위해 직출용 챔버(70)를 다시 부착할 경우에는 그 작업공수가 증대되고 직출용 챔버(70)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가중 및 상기 챔버(70)를 떼어낸 경우에 챔버(70)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상단 패널 상에 하프 블랭킹을 통해 패널의 일부를 떼어내어 덕트연결공으로 형성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 덕트연결공과 전면그릴 중에서 필요에 따라 실내기의 송풍 경로를 선택하여 직출형 혹은 덕트형으로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직출형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출형/덕트형으로 겸용이 가능한 패키지 에어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을 덕트형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캐비닛 배면에 수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닛 2 : 흡입그릴
3 : 토출그릴 4 : 톱 패널
4a : 떼어낸 패널 5 : 절취라인
5a : 지지살 5b : 관통 홈
6 : 덕트 7 : 덕트연결공
8 : 나사공 9 : 수납부
9a : 지지턱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의 전면 하부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과,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이증발기 상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냉방할 장소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판 톱 패널 상에 패널의 일부분을 떼어낸 후 덕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톱 패널의 일부분에 임의의 힘을 가할 경우 분리될 수 있게 하프 블랭킹을 통해 절취라인이 형성되고, 톱 패널이 분리된 부분이 덕트연결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출형/덕트형으로 겸용이 가능한 패키지 에어컨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을 덕트형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예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캐비닛 배면에 수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시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은 최초 출하 당시에는 직출형 패키지 에어컨의 구조로 제공된다.
즉,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의 전면 하부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 (2)이 구비되고, 캐비닛(1)의 전면 상부에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 상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냉방할 장소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캐비닛(1)의 상단 톱 패널(4) 상에는 하프 블랭킹을 통해 톱 패널(4)의 일부분을 떼어낼 수 있도록 절취라인(5)이 형성되고, 이 절취라인(5)을 따라 톱 패널(4)을 떼어난 자리에는 덕트(6)를 연결할 수 있는 덕트연결공(7)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연결공(7)의 주위에는 덕트(6)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나사공(8)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하프 블랭킹이란 상기 톱 패널(4) 상에서 덕트연결공(7)을 형성하기 위해 톱 패널(4)의 일부분을 떼어낼 수 있도록 절취라인(5)을 가공할 때, 톱 패널(4)의 절취라인(5)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살(5a)이 형성되어 임의의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는 상기 지지살(5a)이 떼어낼 패널을 톱 패널(4)상에 지지 고정하고 있도록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상기 절취라인(5)이 형성되면서 톱 패널(4) 상에는 절취라인(5)을 따라 관통 홈(5b)이 형성되게 되고, 이에 따라 관통 홈(5b)을 통해 냉기가 빠져 나올 우려가 있으나, 이는 톱 패널(4) 내측에 위치한 단열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커버되어 이 절취라인(5)의 관통 홈(5b)을 통해 냉기가 빠져 나오지 않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패키지 에어컨을 덕트형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톱 패널(4)에서 절취라인(5)을 따라 패널의 일부분을 떼어 내어 덕트연결공(7)을 형성한 다음, 여기에 덕트(6)를 연결하게 되는 바, 이때, 덕트연결공(7)을 형성하기 위해 떼어낸 패널(4a)은 별도의 장소에 보관한 후에 나중에 다시 직출형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덕트연결공(7)을 막아줄 수 있도록 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덕트연결공(7)에서 떼어낸 패널(4a)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납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배면에 후크형 지지턱(9a)으로 이루어진 수납부(9)를 형성하고, 이 수납부(9)에 상기 떼어낸 패널(4a)을 보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9)의 형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수납부(9)를 두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덕트형으로 에어컨을 사용하다가 필요에 의해 직출형으로 다시 사용하게 될 때, 상기 덕트연결공(7)을 막기 위해 떼어낸 패널(4a)을 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처럼 떼어낸 패널(4a)을 재 사용할 경우에 캐비닛(1) 배면에 수납 보관하고 있으면,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는 것 보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보관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패키지 에어컨을 덕트형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캐비닛(1) 전면에 형성된 토출그릴(3)을 막아주어야 함으로, 이 토출그릴(3)을 막아주는 패널부재 (3a)를 제품 출하시 별도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이 직출형 및 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직출형 및 덕트형 변경에 따른 냉방 효율이 현저히 차이가 나지 않도록 냉각시스템 자체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전제로 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요지는 이와 같은 냉방효율의 차이를 보완하는 데 있는것이 아님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기술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은 최초 출하 당시에는 직출형으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가 직출형으로 사용하고자 하면, 최초 출하 당시 그대로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덕트형으로 사용하고자 하면, 본 발명에 따라 캐비닛(1)의 톱 패널(4) 상에 형성된 절취라인(5)을 따라 패널의 일부분을 떼어내어 덕트연결공(7)을 형성하고, 이 덕트연결공(7) 내측에 위치한 단열재를 제거한 다음, 여기에 덕트(6)를 연결 사용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톱 패널(4) 상에서 떼어낸 패널은 캐비닛(1) 배면에 구비된 수납부(9)에 수납 보관하고, 상기 덕트(6)의 연결은 덕트연결공(7) 주변에 형성된 나사공(8)을 통해 나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 전면에 형성된 토출그릴(3)은 제품 출하 시에 제공된 별도의 패널부재(3a)를 이용하여 막아주게 됨으로써,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이 완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으로 사용하다가 사용자가 다시 직출형 에어컨으로 사용하고 할 때는 상기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으로 조립할 때와 반대로 덕트연결공(7)에서 덕트(6)를 제거함과 동시에 토출그릴(3)을 막고 있는 패널부재(3a)를 분리하고, 상기 캐비닛(1) 배면에 수납되어 있던 떼어낸 패널(4a)을 꺼내어 알루미늄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덕트연결공(7)을 막아주면 된다.
물론 이때, 상기 덕트연결공(7)의 내측에는 단열재를 끼워 막아 주어야함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상단 톱 패널 상에 하프 블랭킹을 통해 패널의 일부를 떼어내어 덕트연결공으로 형성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직출형과 덕트형 겸용으로 패키지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종래 챔버를 이용한 직출/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 보다 원가 비용이 줄어들게 됨과 아울러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의 전면 하부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과,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 상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냉방할 장소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판 톱 패널 상에 패널의 일부분을 떼어낸 후 덕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톱 패널의 일부분에 임의의 힘을 가할 경우 분리될 수 있게 하프 블랭킹을 통해 절취라인이 형성되고, 톱 패널이 분리된 부분이 덕트연결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연결공의 주변으로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 패널의 일부분을 떼어내어 덕트연결공을 형성한 다음, 이 덕트연결공에 덕트를 연결하여 덕트형 패키지 에어컨으로 사용할 경우,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된 토출그릴은 별도로 제작된 패널부재로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 패널의 덕트연결공에서 떼어낸 패널을 수납 가능하도록 캐비닛의 배면에 후크형 지지턱으로 이루어진 수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0-2001-0031809A 2001-06-07 2001-06-07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00416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809A KR100416704B1 (ko) 2001-06-07 2001-06-07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809A KR100416704B1 (ko) 2001-06-07 2001-06-07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093A true KR20020094093A (ko) 2002-12-18
KR100416704B1 KR100416704B1 (ko) 2004-02-05

Family

ID=2770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809A KR100416704B1 (ko) 2001-06-07 2001-06-07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701B1 (ko) * 2001-06-22 2007-07-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덕트형 공기 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701B1 (ko) * 2001-06-22 2007-07-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덕트형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6704B1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55179B (zh) 空调
JP2005164222A (ja) ビルトイン冷蔵庫の放熱装置
US11578877B2 (en) Air conditioner having fan module with installation space and stabilizer modifier spaced apart from the fan module
US20080314068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416704B1 (ko)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04001587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US20070044495A1 (en) Monolithic air conditioner
KR100308383B1 (ko) 에어콘실내기
KR1002679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20150056034A (ko)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0291777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20190084529A (ko) 배관부 설치키트 결합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0334432Y1 (ko) 에어컨 실내기의 컨트롤 박스
KR100743701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
JPS5848504Y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ツト
KR200351853Y1 (ko) 룸에어컨의 슬라이드식 컨트롤부 서비스구조
KR101361098B1 (ko) 냉방기용 급기챔버 겸용 일체형 풍량 분배기
KR100500988B1 (ko) 공기조화기
KR1006671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944355B2 (ja) 冷却装置
KR200148473Y1 (ko) 공기조절기의 송풍구조
KR200223965Y1 (ko) 접착수단이 구비된 에어컨 리모콘
KR200396503Y1 (ko) 천정용 에어컨
KR200165377Y1 (ko) 공조기기
KR200379794Y1 (ko) 실내기용 컨트롤박스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