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280A -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검색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검색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280A
KR20020092280A KR1020020065926A KR20020065926A KR20020092280A KR 20020092280 A KR20020092280 A KR 20020092280A KR 1020020065926 A KR1020020065926 A KR 1020020065926A KR 20020065926 A KR20020065926 A KR 20020065926A KR 20020092280 A KR20020092280 A KR 20020092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short circuit
luminair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890B1 (ko
Inventor
최인석
채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명하이텍
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명하이텍, 채상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명하이텍
Priority to KR10-2002-006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8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8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1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connected in parall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로등의 등기구와 같은 다수개의 등기구가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설치되는 경우에 정확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는 구동신호수신기와, 제어기와, 다수개의 단말기와, 다수개의 등기구와, 원격제어 송수신기로 구성되는 가로등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상기 제어기에서 단말기로 연결되는 전력선의 주선로에 연결되는 2개의 단자대와, 상기 단자대 사이에 설치되어 주선로의 누전을 검출하는 Z-CT와, 상기 Z-CT에 연결되어 Z-CT의 누전감도를 설정하여 단말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누전감도 설정부와, 불량 등기구를 판별하기 위한 CT가 더 구성된다.

Description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와 그 방법 {Electric-leak location checking device and method by safety voltage}
본 발명은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로등의 등기구와 같은 다수개의 등기구가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설치되는 경우에 정확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로등은 가로등 전력선이 단선이 되거나 가로등 램프에 고장이 나서 일부 혹은 전부가 점등이 안되더라도 중앙통제소에서 이를 인지할 수 없으며, 특히 3선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홍수시 누전으로 인하여 과전류가 흐르더라도 우회 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누전차단기(ELB)가 제때 작동하지 않아 감전사 등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인은 안전전압을 이용한 가로등 단선검지 및 구동시스템에 관한 특허를 선출원한 바 있다(출원일자 : 2002. 07. 26, 출원번호 : 10-2002-0044298)
상기 선출원 특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신호 수신기(10)와 제어기(20)와, 단말기(30)와, 등기구(40)와, 검지신호 송출기(50)로 구성된다.
구동신호 수신기(10)는 중앙통제소와 같은 외부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출한 가로등 램프의 점소등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기(20)는 상기 구동신호 수신기(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로등 제어신호로 바꾸고, 가로등 선로를 점검하는 점검신호를 생성하여, 가로등의 선로 및 가로등 이상유무를 판단하며, 주제어부(21)와, 제어기 송수신부(22)와, 전원스위칭부(23)와, 전원검지부(24)와, 설정부(25)와, 표시부(26)로 구성된다.
상기 주제어부(21)는 상기 구동신호 수신기(10)의 신호를 토대로 동작되거나 후술하는 설정부(25)에 의하여 설정된 값을 토대로 내장된 타이머에 의하여 가로등 점소등을 위한 신호 또는 선로의 단선 유무, 단말기(30) 및 등기구(40)의 구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 송수신부(22)로 송출하거나, 전원검지부(24)의 신호를 토대로 합선 또는 누전시 전원출력을 차단하거나 해당 상황을 저장하는 등 미리 예약된 기능을 수행하거나, 제어기 송수신부(2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해석하여 필요시 검지신호 송출기(50)로 송출한다.
제어기 송수신부(22)는 주제어부(21)에서 입력된 신호를 전력선 통신방식이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단말기(30)로 송신하고, 단말기(30)로부터 발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주제어부(21)로 보낸다.
전원스위칭부(23)는 주제어부(21)의 신호를 토대로 가로등 점등시에는 가로등 구동전압(AC 110~220V의 전압)을, 가로등 소등시에는 단선검색를 위한 안전전압(예, 대지전압이 30V 이하인 전원이나 접촉전압이 50V 미만의 교류 또는 120V 미만인 직류전압)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전원검지부(24)는 각 전선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색하고 비교한 후 누전 및 합선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원스위칭부(23)에서 안전전압 송출중 합선이 발생할 경우, 전류제한(current limiter)회로를 이용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합선여부를 판단하여 주제어부(21)로 송출한다.
설정부(25)는 상기 제어기(20)의 구동, 타이머 설정, 격등 방식 등 제어기의 제어에 필요한 신호 및 데이터를 입력한다.
표시부(26)는 제어기(20)의 작동상황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단말기(30)는 제어기(2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석한 후 해당 기능을 수행하며, 각각 고유번호를 내장한다.
등기구(40)는 가로등 안정기와 가로등 램프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기(30)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점소등된다.
검지신호 송출기(50)는 단선 또는 고장 등 외부의 중앙통제소로 통보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중앙통제소로 송출한다.
그런데 선출원된 특허는 전원검지부(24)에서 누전 여부를 판단한다고 기재되어 있을 뿐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를 어떤 방법이나 장치로 찾을 수 있는 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아 선출원된 특허로는 정확한 누전 및 불량등기구의 위치를 검색할 수 없었다.
종래의 가로등은 가로등 전력선이 단선이 되거나 가로등 램프에 고장이 나서 일부 혹은 전부가 점등이 안되더라도 중앙통제소에서 이를 인지할 수 없으며, 특히 3선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홍수시 누전으로 인하여 과전류가 흐르더라도 우회 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누전차단기(ELB)가 제때 작동하지 않아 감전사 등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등 구동전원 상태에서 안정기, 램프와 같은 등기구의 고장여부, 누전발생여부, 단선발생여부 및 그 각각의 위치 검색 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낮은 전압(안전전압)을 이용해 단선 및 누전위치를 정확히 검색할 수 있고, 도로보수 공사등으로 인하여 선로에 장비나 인명이 접촉되더라도 감전의 위험이 없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신호수신기와, 제어기와, 전원처리부, 단말기 송수신부, 단말기 제어부, 가로등 구동부 및 구동검지부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단말기와, 다수개의 등기구와, 원격제어 송수신기로 구성되는 가로등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전력선의 주선로를 연결하는 2개의 단자대와, 2개의 단자대 사이에 설치되어 주선로의 누전을 검출하는 Z-CT와, 상기 Z-CT에 연결되며 누전감도를 설정하여 Z-CT로부터 검출된 누전량이 설정된 감도 이상인 경우 신호를 단말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누전감도 설정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의 장치에서 누전위치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선로에만 전원을 인가하고, 등기구를 off한 상태에서 누전검색신호를 송출하여 각 단말기에 내장된 Z-CT를 통해 검출된 누전 신호를 토대로 주선로의 누전위치를 검색하고, 주선로에서 누전이 검색되었을 경우 주선로의 누전요인을 제거한 다음, 선로에 전원을 인가하여 등기구를 on한 상태에서 검색신호를 송출하여 각 단말기에 내장된 Z-CT를 통해 검출된 누전 신호를 토대로 등기구선로의 누전위치를 검색하되,
상기 주선로의 누전위치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제어기에서부터 임의의 i번째까지 단말기의 Z-CT를 통해 누전이 검색되고 (i+1)번째부터 이후 단말기의 Z-CT를 통해 누전이 검색되지 않으면, i번째와 (i+1)번째 단말기 사이의 주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판별하고,
상기 등기구선로의 누전위치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제어기에서부터 임의의 i번째까지 단말기의 Z-CT를 통해 누전이 검색되고, 이후 단말기의 Z-CT에서 누전이 검색되지 않으면, i번째 가로등주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정기와 램프로 구성되는 가로등의 고장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등기구의 안정기로 연결되는 전력선에 설치된 CT를 이용하여 전류량을 측정한 후, 정상상태에서의 전류량과 안정기 불량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의 전류량과 램프의 고장으로 안정기의 2차 단락전류 발생시 흐르는 전류량의 차이를 토대로 정상상태와 안정기 불량, 램프 불량을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선출원된 안전전압을 이용한 가로등 단선검지 및 구동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검색장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단말기 및 가로등 기구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전원처리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구동신호 수신기200 : 제어기
210 : 주제어부220 : 제어기 송수신부
230 : 전원스위칭부240 : 전원검지부
250 : 설정부260 : 표시부
300 : 단말기310 : 전원처리부
320 : 단말기 송수신부330 : 단말기 제어부
340 : 가로등 구동부350 : 구동검지부
351 : CT(Current Transformer)
360a,360b : 누전감도 설정부
361a,362a,361b,362b : Z-CT(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
370 : 설정스위치 380 : 단말기 표시부
391,392 : 단자대(Terminal Bus)
400 : 등기구410 : 안정기
420 : 램프500 : 원격제어 송수신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력선의 선로는 주선로와 등기구선로로 이루어지며, 주선로는 제어기(200)로부터 마지막 n번째 단말기(300)를 이어주는 선로이고, 등기구선로는 주선로로부터 분기되어 안정기(410)와 램프(420)로 이어지는 선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누전위치 검색장치의 블록도이다.
구동신호 수신기(100)와 제어기(200)와, 단말기(300)와, 등기구(400)와, 원격제어 송수신기(50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신호 수신기(100)는 중앙통제소와 같은 외부에서 가로등 램프(420)의 점소등을 위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기(200)는 주제어부(210)와, 제어기 송수신부(220)와, 전원스위칭부(230)와, 전원검지부(240)와, 설정부(250)와, 표시부(260)로 구성된다.
상기 주제어부(210)는,
ⅰ) 상기 구동신호 수신기(100)의 신호 또는 상기 설정부(250)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와 상기 설정부(250)에 설정된 값을 토대로 가로등의 점소등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220)로 송출하고,
ⅱ) 상기 설정부(250)에 의하여 설정된 값과 내장된 프로그램을 토대로 단말기(300)의 정상 구동 여부, 주선로의 단선 유무, 주선로 및 등기구(400) 측 선로의 누전 유무, 상기 등기구(400)를 구성하는 안정기(410)와 램프(420)의 정상 구동 여부 등을 검색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 송수신부(220)로 송출하거나,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2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ⅲ) 주간, 야간 또는 조작 상황에 따라 AC 110~220V의 가로등 구동전원(이하 전원 ①) 또는 안전전압("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감전재해예방을 위한 기술상의 지침'(노동부고시 제93-23호) 제4조의 정상운전시 및 고장시 감전재해 방지의 규정에 의한 대지전압 30V 이하인 안전전압이나, 제8조 전원의 자동차단에서 규정한 접촉전압별 최대차단시간이 ∞인 50V 미만의 교류전압", 이하 전원 ②)을 연결토록 하는 신호를 전원스위칭부(230)로 송출하고,
ⅳ) 전원검지부(240)의 입력신호를 토대로 합선 또는 누전시 전원출력을 제어하고,
ⅴ) 원격제어와의 통신이 필요할 경우 원격제어 송수신기(500)로 신호를 송출하거나 원격제어 송수신기(5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ⅵ) 상기 작동 상황 중 필요한 사항을 기록장치에 저장하고, 미리 예약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220)는 주제어부(210)에서 입력된 신호를 전력선 통신방식이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단말기(300)로 송신하고, 단말기(300)로부터 발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주제어부(210)로 보낸다.
전원스위칭부(230)는 주제어부(210)의 신호를 토대로 전원 ①(야간 가로등 구동시 또는 가로등 구동전원 하에서의 선로점검시에 필요한 전원) 또는 전원 ②(가로등 소등상태에서 선로를 관리하기 위한 안전전압 전원)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전원검지부(240)는 CT(Current Transformer) 또는 포토커플러를 내장하며, 내장된 CT 또는 포토커플러를 이용하여 공급 중인 전원을 판별(전원 ① 또는 전원 ②)하고, Z-CT(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를 이용하여 선로의 누전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원스위칭부(230)에서 전원 ②의 송출 중 합선이 발생할 경우, 전류량 또는 전압의 변동량을 토대로 합선여부를 판단한 후 전원을 차단하거나 주제어부(210)로 해당 신호를 송출한다.
설정부(250)는 상기 주제어부(210)의 구동에 필요한 타이머 설정이나 설치된 가로등의 수량, 가로등의 점등 방식, 본 시스템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한다.
표시부(260)는 제어기(200)의 작동상황을 표시하는 화면 또는 LED와 순찰 중인 관리자가 분전함을 열지 않고도 작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가로등 분전함에 설치된 고광도 램프,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다.
단말기(300)는 고유번호를 내장하며, 제어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해석한 후 해당 기능을 수행하며, 전원 ① 또는 전원 ② 상태에서의 누전여부, 안정기(410) 또는 램프(420)의 정상 구동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센서와 그에 따른 부가회로 등을 내장한다.
등기구(400)는 안정기(410)와 램프(420)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기(300)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구동된다.
원격제어 송수신기(500)는 누전, 단선, 고장 등 그 내용을 원격지의 통제소로 통보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하며, 원격지의 통제소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주제어부(210)으로 송출한다.
상기 원격제어는 PDA나 컴퓨터 또는 무선단말기로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단말기와 등기구의 상세 블록도이다.
단말기(300)는 고유번호가 내장되고, 상기 제어기(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석한 후 해당 기능을 수행하며, 전원처리부(310), 단말기 송수신부(320), 단말기 제어부(330), 가로등 구동부(340), 구동검지부(350), 2개로 이루어진 누전감도 설정부(360a,360b), 설정스위치(370), 단말기 표시부(380), 상기 등기구(400)의 정상구동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CT(351), 주선로 및 등기구선로의 누전검색를 위한 Z-CT(361a,362a,361b,362b) 등으로 구성된다.
전원처리부(310)는 단말기(3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처리하는 곳으로 내장된 자체전원을 이용하거나, 가로등 점등시 공급되는 전원 ① 또는 소등시 공급되는 전원 ②를 판별하여 단말기(3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전환하여 공급하고, 해당 전원 상태(전원 ① 또는 전원 ②)를 판별하여 상기 단말기 제어부(330)로 송출한다.
단말기 송수신부(320)는 제어기(200)로부터 전력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 제어부(330)로 송출하거나 단말기 제어부(33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력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어기(200)로 송출한다.
단말기 제어부(330)는,
ⅰ) 전원처리부(310)의 전원으로 구동되며,
ⅱ) 수신모드, 점등모드, 소등모드로 구성된 설정스위치(370)의 상태를 판별하여 수신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기(2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토대로 구동하고, 점등모드인 경우 상기 전원 ②가 입력될 경우 수신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가로등 구동부(340)으로 점등신호를 송출하며, 소등모드인 경우 항상 소등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ⅲ) 구동검지부(350)와 누전감도 설정부(360a,360b)의 신호를 토대로 안정기(410), 램프(420)의 정상구동 여부 및 누전상태를 판단하여 저장하고,
ⅳ) 상기 판단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단말기 표시부(380)로 송출하고,
ⅴ) 단말기 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상기 제어기(200)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가로등 구동부(340)는 단말기 제어부(330)의 신호 또는 설정스위치(370)의 신호를 토대로 안정기(410)로 전원을 ON 또는 OFF시키는 릴레이(마그네틱 릴레이 또는 SSR)로 구성된다.
구동검지부(350)는 CT(35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량을 분석하여 안정기(410)또는 램프(420)의 고장, 정상구동 여부를 판별하여 해당신호를 단말기 제어부(330)로 송출한다.
즉, 상기 가로등 구동부(340)에서 등기구(400)의 안정기(410)로 연결되는 전력선에 CT(351)를 설치하여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한 후, 정상상태에서의 전류량과 안정기 불량 상태에서의 전류량, 램프 고장으로 안정기의 2차 단락전류 발생시 흐르는 전류량과의 차이를 토대로 정상상태와 안정기 불량, 램프불량을 판별한다.
특히, 정상상태에서의 전류량은 KS 규격에 정해진 바를 이용하여의 공식에 의하여 1차 전력을 구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전압변동 폭을 감안하여 이를 전류로 환산하면 정상구동 상태에서의 전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누전감도 설정부(360a,360b)는 주선로에 설치되는 제1누전감도 설정부(360a)와 등기구선로에 설치되는 제2누전감도 설정부(360b)로 구성되며, Z-CT(361a,362a,361b,362b)는 선로에 누전이 발생할 경우 누전량에 비례하여 전류를 발생하므로, 상기 Z-CT(361a,362a,361b,362b)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입력받아 누전의 정도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누전감도 설정부는 누전량이 얼마 이상인 경우에 누전발생 신호를 생성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한다.
이때, 누전이 발생하는 조건은 동일하더라도 선로상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누전량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상기 누전감도 설정부(360a,360b)에는 전원의 상태(전원 ① 또는 전원 ②)에 따라 누전감도를 달리 적용하는 회로가 내장된다.
예를 들어, 누전에 대한 법적 기준치가 가로등 구동전원 AC 220V(전원 ①) 상태에서 30mA로 규정되어 있으면 전원 ①의 누전감도 회로는 30mA를 기준으로 편차를 고려하여 설정되며, 선로점검을 위한 AC 30V(전원 ②)에서의 누전감도 회로는 약 4.09mA≒30mA×(30V÷220V)를 기준으로 편차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즉, 누전차단에 대한 법적 기준치가 AC 220V(전원 ①)에서 30mA이면 가로등 구동전원인 전원 ① 상태에서의 누전감도 회로는 법적 기준치(예, 30mA)을 기준으로 편차를 고려하여 설정하며, 전원 ② 상태에서의 누전감도 회로는 법적 기준에 준하도록 법적 기준치 × (전원 ②의 전압 ÷ 전원 ①의 전압)을 기준으로 편차를 고려하여 각각 누전감도를 설정한다.
이를 정리해 보면, 상기 누전감도 설정부(360a,360b)에 전원 상태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전원 ①용 누전감도 설정회로와 전원 ②용 누전감도 설정회로가 내장된다.
즉, 전원 ①용 누전감도 설정회로는 전원 ①에서 사용되는 상기 Z-CT(361a,361b)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입력받아 누전발생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단말기 제어부(330)로 신호를 송출하며, 전원 ②용 누전감도 설정회로는 전원 ②에서 사용되는 상기 Z-CT(362a,362b)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입력받아 누전발생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단말기 제어부(330)로 신호를 송출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누전감도 설정부(360a)는 주선로가 연결되는 단자대(Terminal Bus : 391,392) 사이에 설치된 Z-CT(361a,362a)로부터 발생하는 전류의 크기가 얼마 이상일 때 누전이 검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토록할 것인지 그 기준값을 각각 설정한다.
예를 들어 Z-CT(361a)가 전원 ① 상태의 누전을 검출하고, Z-CT(362a)는 전원 ② 상태에서 누전을 검출한다면, Z-CT(361a)는 제1누전감도 설정부(360a)에 내장된 전원 ①용 누전감도 설정회로에 연결되고, Z-CT(362a)는 전원 ②용 누전감도 설정회로에 연결된다.
제2누전감도 설정부(360b)는 가로등 구동부(340)와 안정기(410) 사이에 설치되며, 제2누전감도 설정부(360b)도 상기 제1누전감도 설정부(360a)에 준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Z-CT(361b)가 전원 ① 상태에서 누전을 검출하고, Z-CT(362b)가 전원 ② 상태에서 누전을 검출한다면, Z-CT(361b)는 제2누전감도 설정부(360b)에 내장된 전원 ①용 누전감도 설정회로에 연결되고, Z-CT(362b)는 전원 ②용 누전감도 설정회로에 연결된다.
이를 정리하면, 상기 Z-CT(361a)는 전원 ①의 상태에서 발생하는 주선로의 누전을, Z-CT(362a)는 AC 전원 ②의 상태에서 발생하는 주선로의 누전을, Z-CT(361b)는 전원 ①의 상태에서 발생하는 등기구선로의 누전을, Z-CT(362b)는 AC 전원 ②의 상태에서 발생하는 등기구선로의 누전을 검출할 때 사용된다.
상기 안정기(410)가 1, 2차측의 선로가 분리된 복권 트랜스로 구성된 경우에는 Z-CT(361b,362b)는 안정기(410)와 램프(420) 사이에 위치한다.
이상에서 전원 ①의 상태에서는 Z-CT(361a,361b)를 이용하여 누전여부를 검출하고, AC 전원 ②의 상태에서는 Z-CT(362a, 362b)을 이용하여 누전을 검출한다고가정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누전감도 설정부(360a,360b)에 A-D 컨버터를 설치하여 누전감도를 가로등 구동전원(전원 ①)용 검지수준(예, 30mA)과 안전전압(전원 ②)용 검지수준(예, 4.09mA)으로 구분한 뒤, 누전시 1개의 Z-CT로부터 검출된 누전량을 토대로 선로에 인가된 전원상태(전원 ① 또는 전원 ②)에 따라 누전감도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서 1개의 Z-CT 만으로도 두 가지 전원상태에서 모두 적용할 수도 있다.
설정스위치(370)는 단말기(300)의 구동모드를 결정하는 것으로, 수신모드와 점등모드, 소등모드로 구성된다.
설정스위치(370)의 수신모드는 상기 제어기(2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드이며, 점등모드는 통신불능 등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제어기(200)의 제어상황을 무시하고 전원처리부(310)로부터 입력된 전원상태에 따라 구동된다.
소등모드는 항상 소등상태를 유지한다.
즉, 설정스위치(370)가 점등모드이고, 가로등 구동전원이 인가되면 단말기 제어부(330)는 상기 제어기(2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무시하고 점등신호를 가로등 구동부(340)로 출력한다.
만약 설정스위치(370)가 소등모드이면 전원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소등상태를 유지한다.
단말기 표시부(380)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의 신호를 토대로 단말기(300)의 정상구동 여부, 안정기(410) 및 램프(420)의 고장여부, 누전여부 등을 LED, 스피커등으로 표시하여 문제발생시 관리자가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단자대(391,392)는 선로 연결 및 선로 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선로에 설치된다.
등기구(400)는 상기 가로등 구동부(340)의 구동전압(전원 ①)에 의하여 구동되는 안정기(410)와, 안정기(410)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되는 램프(420)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전원처리부(310)의 블록도로서 가로등 구동전압(전원 ①)과 AC 안전전압(AC 전원 ②)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회로도이다.
릴레이 구동부(311a)는 일정범위의 전압(즉, AC 전원 ②)에서 구동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제어기(200)로부터 입력된 전원의 전압이 일정범위에 포함될 경우(AC 전원 ②)에는 릴레이(312a)를 구동하여 접점을 기본접점(b접점)에서 a접점으로 전환하고, 입력된 전원의 전압이 설정된 일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전원 ①)에는 릴레이(312a)의 접점을 기본접점(b점점)으로 유지토록 한다.
통상적으로 릴레이(312a)는 구동에 필요한 일정 전압 미만에서는 기본접접(b접점)을 유지하다가 구동에 필요한 수준의 높은 전압이 인가되면 a접점으로 전환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릴레이 구동부(311a)가 없는 경우, 릴레이(312a)는 가로등 구동전압(전원 ①)이 입력될 때 a접점으로 전환하게 된다.
릴레이(312a)는 릴레이 구동부(311a)의 구동신호로 작동(a접점연결)되는 릴레이로 전원 ① 입력시 b접점을 유지하고, AC 전원 ② 입력시 a접점으로 전환되어연결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313a)는 b접점을 통하여 입력된 전원 ①을 단말기 제어부(330)의 구동에 필요한 일정 전압의 DC 전원으로 스위칭하여 변환한 뒤 출력한다.
AC-DC 정류회로(314a)는 a접점을 통하여 입력된 AC 전원 ②의 AC 안전전압을 단말기 제어부(330)의 구동에 필요한 일정 수준의 DC 전압으로 정류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가로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시간이 되어 외부의 중앙통제소에서 가로등 점소등 신호를 송신하면, 구동신호 수신기(100)에서 수신한다.
또는 설정부(250)에서 가로등 점등 및 소등을 위한 시간이 설정된다.
이때, 정해진 시간에 점소등 신호를 생성토록 설정하거나, 시간을 태양고도로 환산하여 일정한 태양고도에 도달할 경우 점소등 신호를 생성토록 설정한다.
상기 구동신호 수신기(100)에 의해 점등신호가 수신되거나, 설정부(250)에 의하여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점등시간이 되면, 주제어부(210)는 점등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 송수신부(220)로 송신하고, 제어기 송수신부(220)에서는 이를 전력선 통신방식을 이용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해 단말기(300)로 송출한다.
이때 주제어부(210)는 점등제어 신호를 단말기(300)로 송출하기 전에 전원스위칭부(230)를 구동하여 선택된 가로등 구동전압(전원 ①)을 2선 또는 2선화된 전력선을 통해 미리 공급하고, 단말기(300)의 전원처리부(310)는 내장된 자체전원을 이용하거나 상기 전원스위칭부(230)의 전원 ①을 공급받아 단말기(300)의 구동에필요한 전원으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단말기(300)의 단말기 송수신부(320)에서는 상기 제어기(200)의 제어기 송수신부(220)의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 제어부(330)로 송출하고, 단말기 제어부(330)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여 선택적으로 안정기(410)로 가로등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램프(420)를 점등시킨다.
이때 상기 설정스위치(370) 설치된 경우 수신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을 미리 확인한다.
만약, 상기 설정스위치(370)가 점등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전원처리부(310)의 전원 판별 신호가 전원 ①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기(200)의 제어신호에 관계없이 안정기(410)로 가로등 구동전압을 인가한다.
이후, 주제어부(210)는 안정기(410) 및 램프(420)의 안정화를 위해 일정시간을 기다린 후 단말기의 정상작동 여부, 선로의 단선여부, 안정기 또는 램프의 고장 여부, 누전발생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점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220)로 송신하고, 제어기 송수신부(220)에서는 이를 전력선 통신방식을 이용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해 단말기(300)로 송출하며, 상기 단말기(300)의 단말기 제어부(330)는 누전 및 안정기와 램프의 정상구동 여부를 검색하여 단말기 송수신부(320)을 통하여 회신하면, 제어기(200)의 주제어부(210)는 제어기 송수신부(220)를 통하여 이를 수신한다.
또한 전원검지부(240)에서는 내장된 CT 또는 포토커플러를 이용하여 선로상에 인가된 전원상태를 판별하며, 미도시된 별도의 Z-CT를 통하여 전원검지부(240)에서도 누전여부를 판단한 후, 주제어부(210)로 송출한다.
이후, 주제어부(210)는 상기 제어기 송수신부(220)를 통하여 회신된 신호와 전원검지부(240)의 신호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상작동 여부, 등기구(400)의 정상 구동 여부, 선로의 단선여부, 누전 등의 상황을 판단한 후, 해당 사항(발생시각, 해제시각, 단말기번호, 위치 등)을 저장한 후, 필요시 원격제어 송수신기(50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지의 통제소에 송출한다.
상기와 같이 전원 ①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누전위치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 ① 상태에서 주선로와 등기구선로의 누전을 검출하기 위한 Z-CT(361a,361b)가 모두 설치되고 등기구(400)로 연결되는 전원이 뒷 단자대(392)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5번 단말기에 설치된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면, 제어기(200)의 전원검지부(240)를 포함하여 1번에서 5번 단말기에 내장된 Z-CT(361a)에 누전이 검색됨과 아울러 5번 단말기내에 등기구선로의 누전을 검색하기 위해 설치된 Z-CT(361b)에서 누전이 검색되므로 5번 단말기에 설치된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하였음을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또는, 5번 단말기와 6번 단말기 사이의 주선로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제어기(200)의 전원검지부(240)를 포함하여 1번부터 5번 단말기에 내장된 Z-CT(361a)를 통하여 누전이 검색되며, 6번 이후 단말기의 Z-CT(361a)에서는 누전이 검색되지 않으므로 제어기(200)의 주제어부(210)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토대로 5번 단말기와 6번 단말기 사이의 주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전원 ① 상태에서 등기구선로의 누전을 검출하는 Z-CT(361b)는 설치되지 않고 주선로에만 Z-CT(361a)가 설치되고 등기구(400)로 연결되는 전원이 뒷 단자대(392)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먼저 등기구(400) 선로의 전원을 off한 상태에서 주선로에만 전원을 인가한 후, 제어기(200)에서 누전검색 신호를 송출한다.
이 경우, 전원이 등기구(400)에는 인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선로에서 발생한 누전만 검색되며, 예를 들어, 5번 단말기와 6번 단말기 사이의 주선로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제어기(200)의 전원검지부(240)를 포함하여 1번부터 5번 단말기에 설치된 Z-CT(361a)을 통하여 누전이 검색되고, 6번 이후 단말기에 설치된 Z-CT(361a)에서는 누전이 검색되지 않으므로 제어기(200)의 주제어부(210)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토대로 5번 단말기와 6번 단말기 사이의 주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주선로의 누전 요인을 제거하여 주선로 상에서 누전이 검색되지 않음을 확인한 다음, 가로등 구동부(340)을 통하여 등기구(400)에 전원을 연결하여 on 시킨 후 다시 누전 검색신호를 송출하면, 이때 발생되는 누전은 등기구선로에서만 발생되므로, 예를 들어 5번 단말기에 설치된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제어기(200)의 전원검지부(240)를 포함하여 1번에서 5번까지의 주선로에 설치된 Z-CT(361a)에 누전이 검색되므로 이때 발생되는 누전은 5번 등기구선로의 누전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만약 등기구(400)로 연결되는 전원이 뒷 단자대(392)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앞 단자대(391)에 연결되어 있다면, 5번 단말기에 설치된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하더라로 1번에서 4번까지의 단말기에 설치된 Z-CT(361a)에서만 누전이 검색되므로 5번 단말기에 연결된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판별할 수 있다.
즉, 등기구(4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앞 단자대(391)에 연결되면, 해당 번호의 등기구선로의 누전은 해당번호의 단말기(300)에서는 검색되지 않으며, 등기구(400)에 공급되는 전원이 뒷 단자대(392)에 연결되면, 해당 번호의 단말기(300)에서 누전이 검색된다.
이때 단말기(300)의 누전감도 설정부(360a,360b)에 누전량을 분류할 수 있는 A-D 컨버터가 내장된 경우에는 전원 ①용 누전값을 기준으로 누전발생 여부를 판별한다.
특히, 가로등 구동 상태에서 법적 기준을 초과하는 누전이 발생하면, 분전함 내에 기 설치된 누전차단기(ELB)가 작동하여 전원이 차단되므로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사실상 누전 검색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에는 ELB를 거치지 않도록 우회회로를 연결한 후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본 시스템을 구동하면, 누전이 발생한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신호 수신기(100)에 의해 소등신호가 수신되거나, 상기 설정부(250)에 의하여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소등시간이 되면, 주제어부(210)는 소등신호를 송출하거나 전원스위칭부(230)를 구동하여 공급 중인 가로등 구동전압(전원 ①)의 전원을 차단하므로서 점등 중인 가로등이 소등된다.
이후, 가로등이 소등상태가 되면, 주제어부(210)는 전원스위칭부(230)를 구동하여 선택된 AC 전원 ②를 2선 또는 2선화된 전력선에 공급한다.
이때 전원검지부(240)에서는 AC 전원 ②의 구동여부를 판단하고 전류 또는 전압의 변동 상황을 판단하여 합선여부를 판단하며, 미도시된 내장된 AC 전원 ②용 Z-CT를 통하여 AC 전원 ② 상태에서의 누전여부를 판단하여 주제어부(210)으로 송출한다.
또한 주제어부(210)는 가로등 선로의 단선여부와 단말기(300)의 정상 구동여부, 누전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점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 송수신부(220)로 송신하고, 제어기 송수신부(220)에서는 이를 전력선 통신방식을 이용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300)로 송출하며, 단말기(300)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단말기(300)의 정상작동 여부와 가로등 선로의 단선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말기(300)의 전원처리부(310)는 자체전원을 이용하거나 상기 전원스위칭부(230)에서 공급한 AC 전원 ②를 공급받아 단말기(300)의 구동전원으로 전환하여 단말기(3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한다.
이후, 주제어부(210)는 전원검지부(240)에서 합선 또는 누전이 검색되거나, 상기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여 단선, 단말기 고장, 누전 등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사항(발생시각, 해제시각, 단말기번호, 위치 등)을 저장한 후, 필요시 원격제어 송수신기(50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의 중앙통제소에 송출한다.
상기와 같이 AC 전원 ② 상태에서 누전위치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C 전원 ②에서는 Z-CT(362a,362b)를 사용하여 누전을 검출하며, 누전감도 설정부(360a,360b)에 설정된 AC 전원 ② 용 누전감도 즉, (법적 기준치 × (전원 전압 ÷ 가로등 구동전압)) 회로를 이용한다.
먼저 AC 전원 ② 상태에서 주선로와 등기구선로 모두에 Z-CT(362a,362b)가 설치되고 등기구(400)로 연결되는 전원이 뒷 단자대(392)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5번 단말기에 설치된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면, 제어기(200)의 전원검지부(240)를 포함하여 1번에서 5번 단말기에 설치된 Z-CT(362a)에 누전이 검색됨과 아울러 5번 단말기에 설치된 등기구선로의 누전을 검출하는 Z-CT(362b)에서 누전이 검색되므로 5번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하였음을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만약 5번 단말기와 6번 단말기 사이의 주선로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제어기(200)의 전원검지부(240)를 포함하여 1번부터 5번 단말기의 Z-CT(362a)를 통하여 누전이 검색되며, 6번 이후 단말기의 Z-CT(362a)에서는 누전이 검색되지 않으므로 제어기(200)의 주제어부(210)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토대로 5번 단말기와 6번 단말기 사이의 주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AC 전원 ② 상태에서 주선로에 Z-CT(362a)만 설치되고, 등기구(400)로 연결되는 전원이 뒷 단자대(392)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먼저 등기구(400)으로 연결되는 전원선을 off한 상태에서 주선로에만 전원을 인가한 후, 검색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전원이 등기구(400)에는 인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누전은 주선로에서만검색되며, 예를 들어, 5번 단말기와 6번 단말기 사이의 주선로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제어기(200)의 전원검지부(240)를 포함하여 1번부터 5번 단말기의 Z-CT(362a)를 통하여 누전이 검색되고, 6번 이후 단말기의 Z-CT(362a)에서는 누전이 검색되지 않으므로 제어기(200)의 주제어부(210)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토대로 5번 단말기와 6번 단말기 사이의 주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주선로의 누전 요인을 제거한 다음, 다시 가로등 구동부(340)을 통하여 등기구(400)로 전원을 연결한 다음 검색신호를 송출하면, 이때 발생되는 누전은 등기구선로에서만 누전이 검색되므로, 예를 들어 5번 단말기가 설치된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면, 제어기(200)의 전원검지부(240)를 포함하여 1번에서 5번까지의 단말기에 설치된 Z-CT(362a)에서 누전이 검색되므로 이때 발생되는 누전은 5번 단말기에 설치된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만약 등기구(400)로 연결되는 전원이 뒷 단자대(392)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앞 단자대(391)에 연결되어 있다면, 1번에서 4번 단말기에 내장된 Z-CT에서만 누전이 검색되므로 5번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판별할 수 있다.
즉, 등기구(4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앞 단자대(391)에 연결되면, 해당 번호의 등기구선로의 누전은 해당번호의 단말기(300)에서는 검색되지 않으며, 등기구(400)에 공급되는 전원이 뒷 단자대(392)에 연결되면, 해당 번호의 단말기(300)에서 누전이 검색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야간에는 가로등 구동전압(전원 ①)으로 램프(420)의 점등과 등기구(400)의 정상 구동여부, 선로의 단선 및 누전을 점검하고, 가로등이 소등되는 주간에는 AC 전원 ②로 가로등 선로의 단선, 합선 및 누전 유무, 단말기의 정상 작동여부를 검색함으로써 등기구(400)의 유지 보수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주간 점검과정에서 도로보수 공사 등으로 인하여 선로에 접촉이 되더라도 선로에는 안전전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이 없다.
또한 여름철 홍수시 우회 선로가 형성되지 않고 누전차단기가 제때 작동하여 감전 사고로 인한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낮은 전압(안전전압)을 이용해 정확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고, 도로보수 공사등으로 인하여 선로에 장비나 인명이 접촉되더라도 감전의 위험이 없다.

Claims (10)

  1. ⅰ)구동신호수신기와, ⅱ)제어기와, ⅲ)전원처리부, 단말기 송수신부, 단말기 제어부, 가로등 구동부 및 구동검지부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단말기와, ⅳ)안정기, 램프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등기구와, ⅴ)원격제어 송수신기로 구성되는 가로등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상기 제어기로부터 마지막 단말기 까지를 이어주는 주선로 상에 설치되어 누전을 검출하는 제1Z-CT와, 상기 제1Z-CT에 연결되며 누전감도를 설정하여 제1Z-CT로부터 검출된 누전량을 토대로 일정 수준 이상의 누전발생시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1누전감도 설정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
  2. ⅰ)구동신호수신기와, ⅱ)제어기와, ⅲ)전원처리부, 단말기 송수신부, 단말기 제어부, 가로등 구동부 및 구동검지부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단말기와, ⅳ)안정기, 램프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등기구와, ⅴ)원격제어 송수신기로 구성되는 가로등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상기 제어기로부터 마지막 단말기 까지를 이어주는 주선로 상에 설치되어 누전을 검출하는 제1Z-CT와, 상기 제1Z-CT에 연결되며 누전감도를 설정하여 제1Z-CT로부터 검출된 누전량을 토대로 일정 수준 이상의 누전발생시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1누전감도 설정부와, 상기 가로등 구동부와 등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등기구선로 상의 누전을 검출하는 제2Z-CT와, 상기 제2Z-CT에 연결되며 누전감도를 설정하여 제2Z-CT로부터 검출된 누전량을 토대로 일정 수준 이상의 누전발생시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2누전감도 설정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누전감도 설정부에 A-D 컨버터를 설치하여 누전감도를 가로등 구동전원(이하, 전원 ①)용 검지수준과 안전전압(이하, 전원 ②)용 검지수준으로 구분한 뒤, 누전발생시 제1 또는 제2Z-CT로부터 검출된 누전량을 토대로 선로에 인가된 전원상태(전원 ① 또는 전원 ②)에 따라 누전감도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Z-CT는 전원 ① 상태에서 누전을 검출하는 구동전압용 Z-CT와, 가로등 소등시에 전원 ② 상태에서 누전을 검출하는 안전전압용 Z-CT로 구성되고, 각각의 누전감도 설정부에는 구동전압용 감도설정회로와 안전전압용 감도설정회로가 내장되어
    상기 구동전압용 Z-CT에 연결되는 구동전압용 감도설정회로에는 법적 기준치를 기준으로 편차를 두고 누전감도를 설정하고, 상기 안전전압용 Z-CT에 연결되는 안전전압용 감도설정회로에는 법적 기준치 × (안전전압 ÷ 가로등 구동전압)을 기준으로 편차를 두고 누전감도를 설정함으로서 전원상태에 따라 누전감도를 달리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전원처리부는,
    전원 ①과 전원 ② 사이의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설정한 후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된 전원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 또는 미만임을 판별한 후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전원 ①)에는 릴레이 기본접점(b접점)을 유지토록 하고,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릴레이의 접점을 기본접점에서 다른 접점(a접점)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신호로 기본접점(b접점)을 유지하거나 기본접점에서 a접점으로 전환하는 릴레이와,
    상기 기본접점(b접점)을 통하여 입력된 전원을 단말기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일정 전압의 DC 전원으로 스위칭하여 변환한 뒤 출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와,
    상기 a접점을 통하여 입력된 전원을 단말기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일정전압의 DC 전원으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AC-DC 정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단말기의 구동모드를 결정하는 설정스위치가 더 구성되되,
    상기 단말기의 구동모드는,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신모드와, 통신불능 등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제어기의 제어상황을 무시하고 전원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상태에 따라 구동되는 점등모드와, 전원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소등상태를 유지하는 소등모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단말기 제어부의 신호를 토대로 단말기의 정상구동 여부, 등기구의 고장여부, 누전여부 등을 가시/가청 수단을 이용해 관리자에게 알리는 단말기 표시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장치.
  8. 청구항 1로 구성되는 장치에서 누전위치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선로에만 전원을 인가하고, 등기구를 off한 상태에서 누전검색신호를 송출하여 각 단말기에 내장된 제1Z-CT를 통해 검지된 누전 신호를 토대로 주선로의 누전위치를 검색하고, 주선로에서 누전이 검색되었을 경우 주선로의 누전요인을 제거한 다음, 선로에 전원을 인가하여 등기구를 on한 상태에서 검색신호를 송출하여 각 단말기에 내장된 제1Z-CT를 통해 검지된 누전 신호를 토대로 누전된 등기구선로의 위치를 검색하되,
    상기 주선로의 누전위치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제어기에서부터 임의의 i번째까지 단말기를 통해 누전이 검색되고 (i+1)번째부터 이후 단말기를 통해 누전이 검색되지 않으면, i번째와 (i+1)번째 단말기 사이의 주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판별하고,
    상기 등기구선로의 누전위치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제어기에서부터 임의의 i번째까지 단말기를 통해 누전이 검색되고, 이후 단말기에서 누전이 검색되지 않으면, i번째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방법.
  9. 청구항 2로 구성되는 장치에서 누전위치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선로와 등기구선로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검색신호를 송출하여 각 단말기에 내장된 제1Z-CT를 통해 주선로 상에서 누전을 검색하고, 각 단말기에 내장된 제2Z-CT를 통해 등기구선로의 누전을 검색하되,
    상기 등기구선로의 누전위치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제어기에서부터 임의의 i번째까지 단말기에 내장된 제1Z-CT를 통하여 누전이 검색되고, i번째의 단말기의 제2Z-CT를 통해서도 누전이 검색되면, i번째 등기구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판별하고,
    등기구선로에 발생한 누전요인을 제거한 다음 등기구선로의 전원은 차단하고 주선로에만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주선로의 누전위치를 다시 검색하는 과정에서, 제어기에서부터 임의의 i번째까지 단말기의 제1Z-CT를 통해 누전이 검색되고 (i+1)번째 이상 단말기에 내장된 제1Z-CT를 통해 누전이 검색되지 않으면, i번째와 (i+1)번째 단말기 사이의 주선로에서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방법.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로 구성되는 장치에, 단말기에서 안정기와 램프로 이루어지는 등기구로 연결되는 선로에 설치되는 CT를 더 구비하여, 상기 CT를 이용하여 선로에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한 후, 정상상태에서의 전류량과 안정기 불량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의 전류량 및 램프의 고장으로 안정기의 2차 단락전류 발생시 흐르는 전류량의 차이를 토대로, 정상상태와 안정기 불량 및 램프불량을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 검색방법.
KR10-2002-0065926A 2002-10-28 2002-10-28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검색장치와 그 방법 KR10049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926A KR100491890B1 (ko) 2002-10-28 2002-10-28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검색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926A KR100491890B1 (ko) 2002-10-28 2002-10-28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검색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280A true KR20020092280A (ko) 2002-12-11
KR100491890B1 KR100491890B1 (ko) 2005-05-27

Family

ID=2772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926A KR100491890B1 (ko) 2002-10-28 2002-10-28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검색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8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35B1 (ko) * 2007-02-13 2007-04-06 (주)도울정보기술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가로등주 제어장치
KR100712410B1 (ko) * 2007-02-13 2007-04-27 (주)도울정보기술 가로등 관제 시스템
KR100713835B1 (ko) * 2007-02-13 2007-05-02 (주)도울정보기술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분전함 장치
KR100779314B1 (ko) * 2007-07-27 2007-12-17 (주)세오전자 7층 블럭구조의 통신포맷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 장치
KR101522680B1 (ko) * 2009-07-08 2015-05-26 이정숙 Led 전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47Y1 (ko) * 2010-03-19 2012-09-20 서울특별시 강남구 고장상태를 알리는 보안등 점멸기
KR100978041B1 (ko) 2010-05-26 2010-08-25 (주)서광기전 누설전류 발생시 우회 전력선 구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222B1 (ko) * 1998-03-16 2001-02-01 엄재성 유무선송수신형가로등콘트롤러
KR200237718Y1 (ko) * 1999-05-18 2001-10-27 송용철 타이머를 구비한 가로등 원격 제어기
KR20010093015A (ko) * 2000-03-28 2001-10-27 강승구 전기누전 경보기
KR100355656B1 (ko) * 2000-08-03 2002-10-11 김종분 구조분석이 가능한 누전 경보기 및 그 표시장치
KR200224410Y1 (ko) * 2000-12-22 2001-05-15 주식회사티. 에이. 티 전력선을 이용한 조명등 회로 고장정보 검출장치
KR20030029316A (ko) * 2001-10-06 2003-04-14 이영일 누전 차단기능을 갖는 가로등 점멸기
KR200283297Y1 (ko) * 2002-04-16 2002-07-26 최규휘 가로등의 고장 감지 및 표시장치
KR100491889B1 (ko) * 2002-07-26 2005-05-27 주식회사 거명하이텍 안전전압을 이용한 가로등 단선검지 및 구동시스템
KR200310456Y1 (ko) * 2002-10-02 2003-04-18 채현철 센서 감지형 누전차단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35B1 (ko) * 2007-02-13 2007-04-06 (주)도울정보기술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가로등주 제어장치
KR100712410B1 (ko) * 2007-02-13 2007-04-27 (주)도울정보기술 가로등 관제 시스템
KR100713835B1 (ko) * 2007-02-13 2007-05-02 (주)도울정보기술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분전함 장치
KR100779314B1 (ko) * 2007-07-27 2007-12-17 (주)세오전자 7층 블럭구조의 통신포맷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 장치
KR101522680B1 (ko) * 2009-07-08 2015-05-26 이정숙 Led 전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1890B1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1565B1 (en) Intelligent outdoor lighting control system
KR100831383B1 (ko) 비상유도 기능을 갖는 led 램프 제어시스템
KR100875134B1 (ko)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고효율 안정기 및 이를 이용한보안등/가로등 제어 시스템
US6791284B1 (en) Intelligent outdoor lighting control system
KR100491890B1 (ko)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검색장치와 그 방법
KR200405775Y1 (ko) 상용전원과 안전전압에서 이용 가능한 가로등 제어장치
KR100491889B1 (ko) 안전전압을 이용한 가로등 단선검지 및 구동시스템
KR101625154B1 (ko) 조명등의 디밍을 활용한 최대 전력 관리 기능과 절연 저항 측정을 통한 원격 복귀 기능을 가지는 분전반
CN106163057A (zh) 单灯控制设备
CN1226634C (zh) 用于检测线路的装置和方法
CN108470414A (zh) 电缆防盗装置及系统
KR100888272B1 (ko) 전력선 감시기능을 갖는 가로등용 분전반
KR100647743B1 (ko) 터널 조명등 원격 제어시스템
CN104582164A (zh) 具有辅助照明的公共照明系统
KR100833683B1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등주 주간 감시 시스템
KR20070023506A (ko) 상용전원과 안전전압에서 이용 가능한 가로등 제어장치
KR102208981B1 (ko) 고장 진단이 가능한 실외 조명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575490B1 (ko) 누전위치 검색장치와 검색방법
KR200397375Y1 (ko) 무전원 가로등 전력선 감시 장치
KR20100124041A (ko) 자가진단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제어 분전함 장치
CN110913527B (zh) 监督驱动电路
CN216852469U (zh) 具备断电告警功能的智慧路灯控制器
CN219499594U (zh) 一种道路照明灯灯杆漏电监测保护系统
CN204518126U (zh) 具有辅助照明的公共照明系统
KR100201302B1 (ko) 가로등 및 안정기의 이상 유무 자동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