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319A - 꽃가루 낙하제 - Google Patents

꽃가루 낙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319A
KR20020091319A KR1020010030076A KR20010030076A KR20020091319A KR 20020091319 A KR20020091319 A KR 20020091319A KR 1020010030076 A KR1020010030076 A KR 1020010030076A KR 20010030076 A KR20010030076 A KR 20010030076A KR 20020091319 A KR20020091319 A KR 2002009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populus
composition
plant growth
growth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1003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1319A/ko
Publication of KR2002009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 A01N57/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containing acyclic or cycloaliphatic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공해물질인 꽃가루를 비산하는 수목에 해가 없고 인체에 해가 없이 꽃가루 낙화를 촉진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2-클로로에탄포스포닉염 1.5 내지 3%, 사이토카이닌 0.04 내지 0.2 mg, 나프탈렌아세트산 0.2 내지 2 mg,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 2.5 내지 3 mg, 황산동 8 내지 10 g, 및 증류수 200 내지 1000 cc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로 수간 주입을 실시하면 수목의 목질부 기공을 통하여 각 부위 꽃자루에 도달하여 꽃가루가 낙화되는 것이며, 수간 주입 실시후 5 내지 6일 경부터 낙화를 시작하여 꽃가루 방사를 사전에 막을 수 있고 1회 실시로 2년간 방제효과를 지속한다.

Description

꽃가루 낙하제{Composition for forcing cotton-wrapped seeds to fall}
본 발명은 꽃가루 낙하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해물질인 꽃가루를 수목에 해가 없고 인체에 해가 없이 낙하하게 하는 꽃가루 낙하제에 관한 것이다.
꽃가루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공해물질로 인식되어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가로수, 공원수, 풍치수, 녹음수 등으로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은백양 (Populus alba), 은사시나무 (P. tomentiglandulous), 이태리포풀라 (P. euramericana), 미류나무 (P. deltoides) 등의 버드나무과에 속하는 조경용 수종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이들의 꽃가루 비산으로 인한 피해는 대단히 크다.
이러한 수목은 5월 중에 종자를 비산시켜 많은 사람들에게 혐오 대상이 되고 있다. 이들 수목의 꽃가루는 여러가지 옥외활동을 하는 데 장애를 제공하며, 운전자에게 안전사고를 일으킬 위험을 제공하고, 봄의 건조한 시기에 불씨를 퍼뜨리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들 꽃가루는 또한 여러가지의 건강 위험요소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수양버들, 포풀라, 현사시, 미류나무, 은사시나무, 이태리포풀라, 양버들, 왕버들 등에서 날리는 꽃가루는 인체에 영향을 미쳐 호흡기 장애, 알레르기성 기관지염, 피부염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일보 1990년 5월 7일자 12면, 국민일보 1990년 4월 30일자, 및 동아일보 1990년 4월 30일자 참조).
이들 꽃가루에 의한 공해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네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로, 가지치기를 들 수 있으나, 비용과 결과적인 측면에서 불만족스러운 방법이다. 둘째로, 오직 수컷 나무를 심는 것이 한 방법이 될 수 있으나, 수목의 암수를 구분하는 일이 쉬운 일이 아니다. 셋째로, 암컷 나무을 다른 종으로 대체하는 것을 들 수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고 대체되는 수목의 기능을 완전히 회복하는 데 적어도 10년의 기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불만족스런 방법들에 대한 대안으로, 식물 성장 조절제를 사용하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1983년 이후로 계속되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공고 90-284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해물질인 꽃가루를 수목에 해가 없고 인체에 해가 없이 낙하하게 하는 식물 성장 조절제, 즉 꽃가루 낙하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해물질인 꽃가루를 비산하는 수목에 해가 없고 인체에 해가 없이 꽃가루 낙화를 촉진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2-클로로에탄포스포닉염 1.5 내지 3%, 사이토카이닌 (cytokinin) 0.04 내지 0.2 mg, 나프탈렌아세트산 (NAA,Naphthaleneacetic acid)0.2 내지 2 mg,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 (EDTA) 2.5 내지 3 mg, 황산동 8 내지 10 g, 및 증류수 200 내지 1000 cc를 포함한다.
2-클로로에탄포스포닉염은 물에 용해되었을 때 pH 3이상의 조건하에서 에틸렌 기체를 발생시킨다.
사이토카이닌은 세포분열 및 개화를 촉진하는 물질로 상기 2-클로로에탄포스포닉염과 혼합되면 꽃가루 낙화현상을 유발시킨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간 주입을 사용하여 수목에 주입된다. 상기 조성물을 수목에 살포하는 방법보다 수간 주입이 더 선택적이고 효과적인 주입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직경 0.45 cm인 콘크리트 못을 지상 1.0 내지 1.2 m의 높이에 수간의 중심 방향으로 목질부에 약 1.0 cm 깊이로 박아 구멍을 파고, 지상 1.2 내지 1.5 m 높이에 상기 조성물을 담은 수혈액을 매단 후 주입관에 바늘을 빼고 플라스틱 연결부를 망치로 쳐서 홈에 박는다. 현재까지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수간 주입은 북쪽방향에서는 4 내지 7일, 남쪽방향에서는 2 내지 4주가 걸리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수간 주입시 사용하는 링겔 병은 소형인 것을 사용하여, 행인의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수간 주입을 실시하면 수목에 침투되어 세포분열 촉진과 기공에서 에틸렌 기체가 생겨 꽃가루 열매 부위에 리층이 형성되어 낙화를 촉진하는 역활을 하며 수목에는 조금도 피해가 생기지 않고, 제 3의 물질이 잎에서 합성되어 녹색이 짙어지고 병충해에 강한 효과가 있는 식물 호르몬 계통이며, 사용시 피부에 묻어도 독성이 업고 누구나 간단히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 두곳에서 상기 조성물의 약효를 실험하였다. (1) 서울시, 천호대교와 올림픽 대교 사이의 수양버들 63주을 대상으로 서울시 도로 관리 감독하에 진행하였다. (2) 데구 북구청 주변 수양버들 100여주를 대상으로 약효를 시험하였다.
사용된 약품, 즉 2-클로로에탄포스포닉염과 사이토카이닌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유기용매를 사용하였으며, 약품의 변질을 막기 위하여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을 미량 사용하였다.
수간 주입 5-6일 후 심한 꽃가루 자방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상시 두 지역에 꽃가루가 날리지 않았고 후년 같은 기간에도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상기 조성물이 2년간 그 효과을 지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약품들이 수목에 수간 주입되면 에틸렌 기체를 발생시키고, 생성된 에틸렌 기체는 기공을 통하여 사이토카이닌의 세포분열 촉진과 리층 형성으로 꽃가루가 낙화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조성물로 수간 주입을 실시하면 수목의 목질부 기공을 통하여 각 부위 꽃자루에 도달하여 꽃가루가 낙화되는 것이며, 수간 주입 실시후 5 내지 6일 경부터 낙화를 시작하여 꽃가루 방사를 사전에 막을 수 있고 1회 실시로 2년간 방제효과를 지속한다.
또한 많은 예산을 들여 수종 갱신을 하는 것을 방지하여 예산을 절감할 수 있고, 상기한 꽃가루 공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교통 정체를방지할 수도 있다.

Claims (1)

  1. 2-클로로에탄 포스포닉염 1.5 내지 3%, 사이토카이닌 0.04 내지 0.2 mg, 나프탈렌아세트산 0.2 내지 2 mg, 에틸렌 디아민테트라초산 2.5 내지 3 mg, 황산동 8 내지 10 g, 및 증류수 200 내지 1000 cc를 포함하는 꽃가루 낙화제 조성물.
KR1020010030076A 2001-05-30 2001-05-30 꽃가루 낙하제 KR20020091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076A KR20020091319A (ko) 2001-05-30 2001-05-30 꽃가루 낙하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076A KR20020091319A (ko) 2001-05-30 2001-05-30 꽃가루 낙하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319A true KR20020091319A (ko) 2002-12-06

Family

ID=2770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076A KR20020091319A (ko) 2001-05-30 2001-05-30 꽃가루 낙하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13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2833A (zh) * 2013-08-24 2015-03-18 山水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全红杨种芽储藏嫁接高速扩繁新技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007A (ko) * 1987-06-04 1989-03-11 손의성 조경용 수종의 종모비산 방제용 조성물
KR900002844A (ko) * 1988-08-26 1990-03-23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장동 운동하는 기다란 용기용 하우징
US5696055A (en) * 1988-09-13 1997-12-09 Hybrinova S.A. Pollen suppressant comprising a 5-oxy- or amino substituted cinnol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007A (ko) * 1987-06-04 1989-03-11 손의성 조경용 수종의 종모비산 방제용 조성물
KR900002844A (ko) * 1988-08-26 1990-03-23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장동 운동하는 기다란 용기용 하우징
US5696055A (en) * 1988-09-13 1997-12-09 Hybrinova S.A. Pollen suppressant comprising a 5-oxy- or amino substituted cinnol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2833A (zh) * 2013-08-24 2015-03-18 山水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全红杨种芽储藏嫁接高速扩繁新技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de et al. Fire in south Florida ecosystems
Bernatzky Tree ecology and preservation
Blaustein Kudzu’s invasion into Southern United States life and culture
CN100593969C (zh) 一种植物飞絮抑制剂及其用途
CN103548542B (zh) 一种老油茶套种金线莲的方法
CN108464215B (zh) 一种滨海盐碱地大规格木本植物移植方法
CN104255364B (zh) 一种多枝香樟的移植栽培方法
ES2311541T3 (es) Procedimientos y mezclas para el tratamiento de arboles dañados.
CN105123345A (zh) 一种三七圆斑病防治方法
CN102669125A (zh) 一种用于古树树洞修复的防腐杀虫剂及树洞修复方法和用途
CN1823568A (zh) 一种防止和/或遏制紫茎泽兰入侵生态系统的方法
CN101292661A (zh) 红火蚁诱杀剂
El-Juhany Forestland degradation and potential rehabilitation in southwest Saudi Arabia
KR20020091319A (ko) 꽃가루 낙하제
Williamson et al. Effects of fire on rain forest regeneration in the Amazon Basin
Cheng et al. The urban forest of Tokyo
Koriesh et al. Facing Climate Change: Urban Gardening and Sustainable Agriculture
CN114342769A (zh) 一种北美红针栎大苗移栽方法
KR101457354B1 (ko) 한국 자생식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시공방법
CN108934650B (zh) 一种乡土有害藤本植物综合防治方法
CN101617622A (zh) 一种沙漠地区无污染治理的方法
CN110679371A (zh) 一种移栽后长势差的银杏复壮方法
CN109748396A (zh) 一种下游河道水体整治方法
Foroughbakhch et al. Native Plants of Northeastern Mexico: Their potential in the restoration of damaged ecosystems
Yau Street trees of Melbour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