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495A -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을 위한 스팟팅 핀 - Google Patents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을 위한 스팟팅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495A
KR20020085495A KR1020010025016A KR20010025016A KR20020085495A KR 20020085495 A KR20020085495 A KR 20020085495A KR 1020010025016 A KR1020010025016 A KR 1020010025016A KR 20010025016 A KR20010025016 A KR 20010025016A KR 20020085495 A KR20020085495 A KR 20020085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illary
pin
spotting
inner diameter
sampl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362B1 (ko
Inventor
박한오
김항래
안정욱
송구영
오귀환
조윤석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니아 filed Critical (주)바이오니아
Priority to KR102001002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362B1/ko
Priority to CN02119288A priority patent/CN1385518A/zh
Priority to EP02008926A priority patent/EP1254702A3/en
Priority to JP2002119216A priority patent/JP2003021640A/ja
Priority to US10/127,937 priority patent/US6953552B2/en
Publication of KR2002008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46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e.g. for the synthesis of polypeptides or polynucleotide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molecula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351Means for dispensing and evacuation of re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351Means for dispensing and evacuation of reagents
    • B01J2219/00364Pipettes
    • B01J2219/00367Pipettes capill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351Means for dispensing and evacuation of reagents
    • B01J2219/00373Hollow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457Dispensing or evacuation of the solid phase support
    • B01J2219/0047P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또는 핵산과 같은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을 위한 스팟팅 장치에 사용되는 모세관 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세관 핀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액체 시료의 단면이 모세관 핀 외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생물학적 시료가 기판에 점적되도록 하는 모세관 스팟팅 핀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을 위한 스팟팅 핀{Spotting Pin for microarraying of biological preparation}
본 발명은 단백질 또는 핵산과 같은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을 위한 스팟팅 장치에 사용되는 모세관 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세관 핀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시료 용액의 단면이 모세관 핀 외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생물학적 시료가 기판에 점적되도록 하는 모세관 스팟팅 핀에 대한 것이다.
단백질이나 핵산과 같은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microarray)은 연구자에게 있어서 유전체의 분석과 유전 정보의 해석을 통하여 생명 현상을 연구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주요 수단으로 등장하여 왔다. 생물학적 시료, 특히,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deoxyribonucleotide, DNA)의 미세 배열, 소위 DNA 칩은 현재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제작되고 있으며, 제작되는 미세 배열의 품질은 미세 배열 제작 장치와 그들의 부품의 성능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미세 배열을 제작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지만, 기판 상에서 직접 DNA를 합성하는 방법과 이미 준비된 DNA를 기판 위에 점적하여 고정화시키는 방법으로 대별된다. 후자인 올리고머DNA 점적 방식은 다시 접촉 방식과 비접촉 방식으로 나뉘어지며, 이들 방식에는 기판상에 DNA를 미세 배열시키는 스팟팅 핀이 사용된다.
스팟팅 핀은 점적 방식의 미세 배열 장치의 핵심 부품으로서, 그 성능과 내구성은 제작되는 미세 배열 제품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현재까지 알려진,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을 위한 스팟팅 핀들 중에서 기판과 접촉하는 방식에 사용되는 핀에는 브라운(Brown의 미합중국 특허 제 6,110,426호와 제 5807522호)과 마틴스키(Martinsky의 미합중국 특허 제 6,101,946호)에 의해 발명된 것들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슬라이드 글래스와 같은 유리로 된 기판의 표면에 모세관 핀을 접촉시켜 생화학적 시료를 기판상에 미세 배열하는 핀들이다. 이들 모세관 핀을 시료 용액에 침지시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시료 용액이 모세관 내부로 흡입된 후, 핀을 기판 표면에 접촉시켜, 핀 내부에 흡입된 시료가 기판 표면에 점적되도록 한다.
모세관을 통해서 핀 내부로 흡입되는 시료 용액은 핀 내부에서 모세관 내벽과의 접촉 및 이에 따른 표면에너지의 차이로 인하여 핀 내부 방향 또는 외부 방향으로 메니스커스를 형성하게 된다.
브라운 또는 마틴스키가 발명한 금속제 모세관 핀은 고강도의 스텐레스 스틸 (Stainless Steel)로 제작되어 시료 용액과의 반응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판과 반복적인 접촉에도 충격을 견딜 수 있다. 이들 핀에는 시료 용액을 흡입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확보 되어 있으며, 그 저장 공간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스팟팅 핀들중에서, 핀 스팟팅 방식에 의한 DNA 칩 제작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용되고 있는 핀은 스틸스(stealth)핀의 형태이다. 이러한 스틸스 핀은 통상 금속제로 제작되며, 그 형상은 평편(flat)한 끝 부분(tip)과 시료 용액 일정량(predetermined volume)을 보유하도록 되어있는 개방(openside)된 채널 (exterior channel)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스틸스핀 형상의 핀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전기 방전 가공(EDM,electric dischange process)공정 등이 사용되며, 그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금속 막대(shaft)의 한쪽 끝을 전기 방전 가공(EDM)으로 핀의 중심축을 따라 일정 길이 만큼 절개(cutting)하여 개방된 열린 채널을 만들어 포인트에 갭(gap)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통상, 이러한 스틸스 핀의 절개된 채널의 상단부는 채널을 따라 모세관력에 의해 흡입된 시료 용액이 저장되는 장소로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채널의 상단부는 막혀있는 그 상단부의 공간의 크기를 크게한다 하더라도 그 공간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게 되므로, 결국 상기 핀이 보유할수 있는 시료 용액의 양은 일정량으로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흡입된 시료 용액과 핀 내부 표면의 접촉을 극대화 시키고, 이로 인하여 높은 표면장력이 발생하며, 그 결과 메니스커스는 채널 안쪽으로 깊숙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스팟팅 핀을 사용하여 시료 용액을 기판위에 점적하기 위하여는 핀의 말단부를 기판에 접촉시켜야 한다. 모세관력에 의해 핀 내부에 흡입된 시료 용액이 기판상으로 적정량 만큼 이동하기 위해서는 핀의 말단부가 기판에 일정한 속도 또는 가속된 채 접촉하고, 접촉 순간 핀의 운동은 정지되면서 시료 용액이 기판상에 분출된다. 즉, 종래의 스팟팅 핀을 사용하여 시료 용액을 기판에 점적하기 위해서는 핀의 말단부가 기판에 접촉하게 되고, 시료가 핀에서 기판으로 이동하여 점적되기 위해서는 핀이 기판에 접촉하는 순간 핀의 운동 방향이 반대로 바뀌거나 운동이 정지되어 시료가 운동 관성에 따라 기판으로 분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방식의 스팟팅 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판과 핀 말단의 충돌로 인하여 핀 말단이 마모되어 스팟의 직경이 점점 커지거나, 기판이 파손되거나 핀이 파손될 위험이 많아 성능과 내구성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핀 말단의 마모나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팟팅 핀의 기계적 작동을 정밀하게 조종해야 한다. 또한, 핀에 흡입되는 시료 용액 양은 일정량으로 한정되며 또한 소량이므로 스팟팅 핀이 1회 흡입으로 반복 점적할 수 있는 횟 수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판상에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이나 핵산 시료를 다수, 반복적으로 점적해야하는 미세 배열 장치에 있어서 공정상의 커다란제약으로 작용하므로써, 핀의 내구성이나 점적된 스팟의 불균일성, 용량의 제한성문제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1회의 흡입으로 반복적으로 점적할 수 있는 시료의 양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킴과 동시에, 스팟팅 핀의 말단과 기판의 접촉 및 접촉시 기판과 핀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극소화할 수 있으며, 점적되는 스팟의 양과 형태가 균일하고, 종래의 스팟팅 핀에 비해 내구성과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형상의 스팟팅 핀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의 모세관력에 의한 시료 용액의 유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의 단부에 형성된 시료 용액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위에 점적한 경우에 핀 단부의 마모의 정도를 점적 횟수에 따라 비교한 미세 배열 결과이다.
도 5는 모세관 개질에 따른 모세관 단면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자는, 핀의 말단에서 시료 용액이 형성하는 단면이 기판쪽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기판과 시료 용액이 형성하는 단면의 접촉에 의하여 점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팟팅 핀의 말단과 기판의 충돌이나 접촉의 필요성을 극소화하여, 핀의 말단부나 기판의 기계적 손상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팟팅 핀을 발명하였다.
중심부를 관통하는 절개부에 시료가 흡입되는 종래의 스틸스 핀과는 달리,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관으로 제작되어 내부 저장 공간의 제한성을 극복하여 흡입 저장되는 시료 용액의 양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켰다.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의 관으로서, 뽀족한 말단부를 형성하는 모세관부(Capillry part)와 시료 용액이 저장되는 저장조부 (Reservoir part)로 구성된다. 모세관 부의 말단의 직경은 형성시키고자 하는 스팟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되며, 모세관부의 직경 및 길이와 저장조부의 직경및 길이는 돌출시키고자 하는 용액의 단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은 모세관부에서 발생하는 시료 용액의 흡입력과 저장조부에서 발생하는 시료 용액의 중력이 서로 대향되고, 저장조부에서 발생되는 시료 용액의 중력이 모세관부에서 발생되는 모세관력보다 약간 강하여, 모세관부 말단에 형성되는 시료 용액의 단면이 핀의 하향, 즉 기판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은 서로 다른 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원통관은 시료 용액을 저장함과 동시에 핀 하부 말단에서의 시료 용액의 단면이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중력을 가하는 기능을 하는 저장조부이고, 하부 원통관은 작고 세밀한 스팟팅이 가능하게 하는 작은 직경을 갖는 모세관으로 제작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시료 용액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세관부이다.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단면의 형상은 저장조부에 채워진 시료 용액의 중력과 모세관부에서 발생되는 모세관력(Capillary force)에 의해 적절히 조정되며, 상기 모세관력은 모세관부의 직경과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모세관력은 시료 용액의 표면에너지와 모세관 내벽의 표면에너지의 차이에 기인하며 각 표면에너지는 시료 용액과 모세관 내벽의 재질에 고유한 값이다. 그러므로 모세관 내부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모세관부 말단의 용액단면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세관부 및 저장조부는 서로 동일한 재질이거나 상이한 재질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금속제 또는 유리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모세관부와 저장조부의 내부 표면을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갖도록 서로 상이하게 개질할 수있다.
다음의 각 식들은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의 모세관력과 시료의 중력을 계산하는 식이며, 이 식들은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의 구체적 실시태양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의 실시예는 저장조부의 직경과 길이, 모세관부의 직경과 길이, 그리고 시료 용액 및 저장조부와 모세관부를 형성하는 재료를 특정함으로써 구체화된다.
시료 용액에 모세관을 담그었을 때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시료 용액이 흡입되는 경우 모세관력(σ)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σ = 2πrΥcosθ
2r은 모세관부의 내경이고, Υ는 시료 용액의 계면장력, 그리고 θ는 핀의 상단부 표면에서 형성되는 메니스커스의 접촉 각도이다. 모세관력은 cosθ, Υ, 그리고 r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그런데, θ와 Υ는 시료 용액과 모세관의 재질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값이고 유리와 금속에서 값이 비슷하기 때문에 모세관력은 주로 r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r이 증가함에 따라 모세관력이 증가하게 된다.
저장조부의 용액의 중력은 다음과 같다.
ω = πr2ρgh
ρ는 비중이고, h는 핀의 모세관이 담그어진 용액 표면에서 모세관 액면까지의 높이이다.
σ = ω 로 이 두 힘이 같다고 하면, 모세관의 액면은 수평으로 형성된다.
2πrΥcosθ = πr2ρgh
따라서, 모세관이 용액에 담겨 평형을 이루고 있을때 위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모세관력은 r이 증가함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는 반면에, 시료 용액의 중력은 r2에 비례한다. 결과적으로 r이 매우 작은 경우, 시료 용액은 높은 모세관력에 의해 핀 내부에 더 높이 흡입된다. r이 증가하면 시료 용액의 중력이 모세관력보다 커지게 됨으로서, 시료 용액은 덜 흡입된다.
그러나, 모세관을 용액으로부터 들어올리면 모세관의 말단 단면에 또 하나의 계면이 형성되어 하기와 같은 식이 유도된다.
2πrΥcosθ = 2πrΥcosθ′+ πr2ρgh
여기서, θ′는 모세관 말단 단면에 형성되는 용액면, 즉 메니스커스의 접촉각도이다. 모세관을 용액으로부터 들어올렸을 때, 모세관력과 중력은 일치하게 되고, 이때, cosθ′=0, 즉 θ′= 90°이다. 따라서 모세관 말단의 액면은 수평하게 된다. 모세관내의 용액을 계속해서 사용하면 h는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중력값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모세관력(σ)은 항상 일정하므로 상기 식이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cosθ′값은 커지게 되고, 즉 θ′는 작아지게 되므로서 모세관 말단의 메니스커스는 더욱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게 된다.
모세관 표면이 소수성 또는 친수성인 경우, 각각의 Υ(계면장력)값은 친수성인 경우가 소수성인 경우보다 매우 높다. 따라서, 모세관 표면이 친수성인 경우 중력값은 계면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결국 h가 변화함에 따라 cosθ′의 값은 크게 변하지 않고, 결국 θ′의 변화량도 작게 된다.
그러나 모세관이 소수성이라면, 계면장력은 작아지게 되고, 결국 상대적으로 중력값이 미치는 영향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에서 h가 변함에 따라 cosθ′의 값은 크게 변하게 되고, 결국 θ′의 변화량도 크게 되기 때문에 메니스커스는 더욱 안쪽으로 오목하게 된다. 따라서 모세관 표면을 친수성으로 처리하면 θ′의 변화가 미미하게 되어 항상 평행한 액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액면의 오목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팟팅 핀 내부로 흡입되는 시료 용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시료 용액이 채워지기를 원하는 위치까지 핀 내부를 친수성으로 처리하고 나머지 부분을 소수성으로 처리하면, 시료 용액은 친수성 표면을 갖는 부분까지만 상승하며, 이를 초과하는 양의 시료 용액이 핀 내부에 채워지지 아니하게된다. 이를 이용하여 모세관 핀 내부로 흡입되는 시료 용액의 양을 조할 수 있게 됨으로써, 모세관 핀 내부로 과량의 시료 용액이 흡입되지 아니하고 적정량의 용액이 흡입된다. 또한 핀의 외면을 소수화시키면 시료 용액이 핀의 외면에는 묻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핀의 외면에 묻는 시료 용액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외면에 묻은 시료를 제거하기 위해 실시해야만 했던 초기의 시험용 스팟팅 과정을 최소화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모세관 스팟팅 핀의 하나의 실시 태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 태양은 본 발명의 모세관 스팟팅 핀의 예시일뿐 하기의 명시된 각 횟수로 본 발명의 모세관 스팟팅 핀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조부를 형성하는 관의 내경은 모세관부를 형성하는 관의 내경보다 크다. 이는 시료 용액의 중력이 모세관력에 근접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시료 용액의 중력이 모세관력을 약간 초과하여 용액의 단면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모세관부와 저장조부의 내경의 비율과 모세관부의 길이를 정확하게 계산하였다. 본 발명의 모세관 스팟팅 핀을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0.8 내지 1.75 mm의 내경을 갖는 유리관을 사용하였으며, 그 모세관부가 50 내지 300 ㎛ 정도의 내경을 가질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저장조부와 모세관부 내경의 비율은 5 : 1 에서 30 : 1 정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었다.
<실시예 1>모세관 스팟팅 핀 제작예
본 발명의 모세관 스팟팅 핀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한 모세관은 월드 프리시젼 인스트루먼트(World Precision Instruments)사에서 제작한 퀵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모세관(Kwik-FilTMBorosilicate Glass Capillaries)으로서 외경이 1.5 mm이고 내경은 1.12 mm이며, 길이는 76 mm 인 것을 사용하였다.
제작은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유리 기구를 제작하는 일반적인 유리 가공법에 따라서 제작하였다. 즉, 유리 모세관의 중앙 부위에 열을 가한 다음 모세관이 녹기 시작할 때 양끝 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중앙 부분이 가늘게 되도록 한 다음, 적절한 위치에 반도체 기판 가공용 세라믹으로 상처를 입힌 뒤 잘라 냈다. 이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하여 단부가 모세관 중앙에 위치 한 것을 고르고, 단부의 외경이적절한 것을 고른다. 이 실시예의 경우 단부의 외경은 약 0.2 mm 이었고 모세관부의 길이는 약 2 mm이었다.
<실시예 2>핀 내부 표면의 개질
스팟팅 핀의 내면의 개질에 따른 모세관 단부에서의 용액 단면 모양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직경 약 1mm의 모세관을 친수성 코팅제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모세관을 코팅액에 접촉시키고 125℃ 이상에서 약 30분간 경화시켰다. 그 후 모세관을 시료 수용액에 담근 후 형성되는 모세관 말단의 용액 단면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화학적으로 처리된 모세관은 액면이 모세관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고 처리되지 않은 모세관은 액면이 모세관 안쪽으로 올라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모세관 내면을 친수성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핀 내부에서의 모세관 장력과 용액의 중력이 거의 동등하거나 용액이 중력이 우세함을 보였다. 따라서, 표면 처리된 모세관을 사용하면 시료액의 점적시 핀에 힘이 가해지지 않고도 스팟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에서 제작된 스팟팅 핀을 자동 미세 배열 장치에 장착하고 일반적으로 미세 배열 슬라이드 제작에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슬라이드 위에 점적 하여 핀의 사용횟수에 따른 핀의 마모정도를 관찰하였다 (도면 4). 스팟팅 핀의 점적 속도는 초당 2 회였고 사용된 슬라이드는 ArrayIt사에서 구입한 슈퍼 알데하이드(SuperAldehyde) 슬라이드, Sigma사에서 구입한 폴리 L-라이신이 코팅된 슬라이드, 발명자에 의해서 제작된 젤 페드(Gel pad) 슬라이드였으며 각 회에 20개씩 점적 하였다.
형광물질로 표지된 합성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수용액을 시료로서 사용하였고, 대조군(0회)으로서 최초 점적 된 시료를 일만 회 스팟팅 후의 비교군 시료와 비교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2만, 4만, 6만, 10만, 20만 30만, 50만, 70만, 100만회 스팟팅 후 시료를 점적 하였고 핀의 시료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적 직전에 3차 멸균 증류수로 3회 세척을 거친 뒤 동일한 시료를 다시 점적 하였다. 점적 된 시료의 모양과 크기는 Axon Instruments사의 스캐너(Genepix 4000A Microarray scanner)를 이용하여 시료내의 형광물질을 탐지함으로서 관찰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 대조군의 시료와 비교하여 세 슬라이드 모두 점적 된 시료의 모양과 크기에 변화가 없었다. 본 발명의 스팟팅 핀은 100만회의 스팟팅 이후에도 마모의 정도를 감지할 수 없을 정도의 강도와 탄성력을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모세관 스팟팅 핀을 사용하여 생물학적 시료를 기판 위에 점적하는 경우에 시료 용액이 말단부에서 돌출된 용액 단면(convex)를 형성하기 때문에 모세관 말단부와 기판의 접촉 충격을 극소화하면서도, 시료 용액이 기판에 점적된다. 즉, 모세관 말단부와 기판의 접촉 충격을 최소화하여 기판이나 핀의 말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저장조부에 흡입되는 생물학적 시료 용액의 양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므로써 스팟팅 공정의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Claims (12)

  1. 모세관부와 상기 모세관부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관으로 이루어진 저장조부가 연결되어있는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 스팟팅 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부의 내경이 저장조부의 내경의 0.033내지 0.2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팟팅 핀.
  3. 제 1항에 있어서, 모세관부의 내경이 0.01내지 0.5mm이고 길이는 0.5내지 3m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팟팅 핀.
  4. 제 3항에 있어서, 모세관부의 내경이 저장조부의 내경이 0.003내지 0.2배인 스팟팅 핀.
  5. 제 3항에 있어서, 모세관부의 내경이 저장조부의 내경이 0.003 내지 0.1배인 스팟팅 핀.
  6. 제 3항에 있어서, 모세관부의 내경이 저장조부의 내경이 0.003 내지 0.02배인 스팟팅 핀.
  7. 제 1항에 있어서, 모세관부의 말단부의 내경이 10㎛ 내지 50㎛인 스팟팅 핀.
  8. 제 3항에 있어서, 모세관부의 말단부의 내경이 10㎛ 내지 500㎛인 스팟팅 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재질이 유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팟팅 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재질이 소다 라임(Soda Lime), 유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팟팅 핀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재질이 보로실리케이트 유리인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스팟팅 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부가 하단부의 내경이 상단부의 내경보다 작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팟팅 핀.
KR1020010025016A 2001-04-23 2001-05-08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을 위한 스팟팅 핀 KR10077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016A KR100777362B1 (ko) 2001-05-08 2001-05-08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을 위한 스팟팅 핀
CN02119288A CN1385518A (zh) 2001-04-23 2002-04-10 生物学试料的微细排列用点样装置及该装置中使用的点样针
EP02008926A EP1254702A3 (en) 2001-04-23 2002-04-22 Spotting device for fabricating microarrays of biological samples and spotting pin inserted therein
JP2002119216A JP2003021640A (ja) 2001-04-23 2002-04-22 生物学的試料の微細配列用スポッティング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スポッティングピン
US10/127,937 US6953552B2 (en) 2001-04-23 2002-04-23 Spotting device for fabricating microarrays of biological samples and spotting pin insert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016A KR100777362B1 (ko) 2001-05-08 2001-05-08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을 위한 스팟팅 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495A true KR20020085495A (ko) 2002-11-16
KR100777362B1 KR100777362B1 (ko) 2007-11-19

Family

ID=2770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016A KR100777362B1 (ko) 2001-04-23 2001-05-08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을 위한 스팟팅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641B1 (ko) * 2001-09-25 2004-08-09 김흥기 디엔에이 함침 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849A (en) * 1991-03-21 1992-09-01 Eastman Kodak Company Tip to surface spacing for optimum dispensing controlled by a detected pressure change in the tip
US5807522A (en) * 1994-06-17 1998-09-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for fabricating microarrays of biological samples
US5811306A (en) * 1995-09-04 1998-09-22 Fuji Photo Film Co., Ltd. Liquid spotting method
US6101946A (en) * 1997-11-21 2000-08-15 Telechem International Inc. Microarray printing device including printing pins with flat tips and exterior chan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641B1 (ko) * 2001-09-25 2004-08-09 김흥기 디엔에이 함침 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362B1 (ko) 2007-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5946B2 (ja) 基板上にサブマイクロリットルの体積を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AU753950B2 (en) Depositing fluid specimens on substrates, resulting ordered arrays, techniques for analysis of deposited arrays
US6722395B2 (en) Depositing fluid specimens on substrates, resulting ordered arrays, techniques for analysis of deposited arrays
US6303387B1 (en) Method of transferring a liquid drop from a multiwell plate and/or chemical assay
JPH07239334A (ja) 液体の混合方法
WO1997046319A1 (en) High-speed liquid deposition device for biological molecule array formation
CA24429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s
US20060027524A1 (en) Microfabricated two-pin liquid sample dispensing system
KR100777362B1 (ko)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 배열을 위한 스팟팅 핀
US20020176805A1 (en) Spotting device for fabricating microarrays of biological samples and spotting pin inserted therein
IL152050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biopolymer arrays
US6726883B2 (en) Spotting pin
US11524286B2 (en) Method and metering device for the contact metering of liquids
JP4608500B2 (ja) 流体状サンプルを受取る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070116608A1 (en) Vented ceramic tip arrangement for use with a microarray
JP2007256190A (ja) スポットピン、スポット装置、液体の点着方法、および生化学解析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6308309A (ja) 液状体滴下用ノズル
US20040233250A1 (en) Microcontact printhead device
JP2005351773A (ja) マイクロアレイ作製用ヘッドおよびマイクロアレイ作製用装置
AU20023383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