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860A -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860A
KR20020083860A KR1020010023589A KR20010023589A KR20020083860A KR 20020083860 A KR20020083860 A KR 20020083860A KR 1020010023589 A KR1020010023589 A KR 1020010023589A KR 20010023589 A KR20010023589 A KR 20010023589A KR 20020083860 A KR20020083860 A KR 20020083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pipe
molten metal
spring
ba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복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2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3860A/ko
Publication of KR2002008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86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27Taphole forming equipment, e.g. boring machines, pierc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은 일발바가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타측은 분사관삽입구가 형성되어 실린더부와 체결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 내부에 삽입된 접착링의 일측면에 의해 지지되며 중앙에 강판이 고착되어 탄설되는 스프링과; 상기 분사관삽입구에 삽입되며 팽창스프링이 끼워져 상기 실린더부에 내설되는 분사관과; 상기 접착링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분사관 선단부와 접촉되는 사각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출선구의 용융물 유입을 차단하는 일발바 이중체결장치에 의해 혼합유체의 역류를 막고 고착시켜 분리수거할 수 있게 하여 개공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APPARATUS FOR ISOLATING A MOLTEN METAL IN A ROCK DRILL}
본 발명은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로의 출선구를 관통하는 일발바 체결장치의 유동구를 통하여 배관에 유입되는 용융물을 일발바 체결장치의 전면에서 차단하여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개공기에 용융물 유입을 차단하는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출선구의 개공 작업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장치의 측면부 분해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고로(1)의 용융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1)의 하부에 개공기(3)로 굴착을 해야한다.
상기와 같은 굴착을 위해, 먼저 중앙내부에 부서진 암석가루를 압축유체에 의해 출선구(2) 밖으로 뽑아내기 위한 유동구(11)가 형성되고 끝단에 착암비트(11-1)가 부설된 실린더 형상의 강관인 일발바(4)를 개공기(3) 후측하부에 부설된 구동모터(6)에 연결시킨다.
상기 일발바(4)를 구동모터(6)에 연결시키기 위해, 선단에 나선형 돌출부가형성된 스크류로드(15) 후단을 구동모터(6)에 취부시키고 선단부에 원주형 소켓(5)을 삽입체결후 여기에 상기 일발바(4)의 후단부를 체결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체결의 견고함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일발바(4) 후단부에 형성된 홈(12)과 상기 소켓(5) 내부에 형성된 코터체결구(10)를 일직선으로 맞춘후 납작한 모양의 쐐기인 코터(13)를 삽입하여 코터이음 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조립형성된 개공기(3)의 착암비트(11-1)부를 고로의 출선구(2) 중앙에 압착시킨 후 구동모터(6)를 구동시키면 상기 착암비트(11-1)가 형성된 일발바(4)가 고로(1) 내부까지 관통되어 용융물이 배출된다.
이때 고로에 접촉된 일발바(4)의 냉각 및 굴착재를 구멍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개공기(3)의 후미에 형성된 유동배관(7)에 질소배관(8)과 냉각수배관(9)을 연결하여 물과 질소를 혼합후 구동모터(6), 스크류로드(15)의 제1 중앙분사구(16), 소켓(5)의 제2 중앙분사구(14)를 경유하여 내측면을 냉각 시킨 후 일발바(4)의 유동구(11)를 통하여 선단부로 분사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공기(3)에 의해 출선구(2)의 관통후 혼합된 물과 질소를 분사하여 작업하는 경우 용융물이 배출되면 상기 혼합된 물과 질소에 접촉하여 폭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비의 손상 및 비산된 용융물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혼합된 물과 질소의 공급유량을 낮추는 수동적인 방법을 시행 했는데, 이때는 분출유압이 낮아져 용융물이 일발바(4)의 유동구(11)를 따라 소켓(5), 스크류로드(15), 구동모터(6), 유동배관(7)의 내부를유동하게 되어 상기 개공기(3)를 구성하는 부품이 손상 되었다.
따라서, 상기 개공기(3)의 구동모터(6)를 해체하고 상기의 부품들을 교환해야 하는 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개공기에 의해 출선구가 관통된 후 유출되는 용융물이 일발바의 선단부의 유동구에서 개공기 후단부의 유동배관에 유입되는 것을 체결장치의 전면에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개공기에 용융물 유입을 차단하는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일측은 일발바가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타측은 분사관삽입구가 형성되어 실린더부와 체결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 내부에 삽입된 접착링의 일측면에 의해 지지되며 중앙에 강판이 고착되어 탄설되는 스프링과; 상기 분사관삽입구에 삽입되며 팽창스프링이 끼워져 상기 실린더부에 내설되는 분사관과; 상기 접착링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분사관 선단부와 접촉되는 사각노즐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출선구의 개공 작업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장치의 측면부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의 작동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고로2: 출선구
3: 개공기4: 일발바
5: 소켓6: 구동모터
7: 유동배관8: 질소
9: 물10: 코터체결구
11: 유동구12: 홈
13: 코터14: 제2 중앙분사구
15: 스크류로드16: 제1 중앙분사구
17: 코터체결구18: 일발바삽입구
19: 분사관삽입구22: 실린더부
23: 분사구25: 작동부
26: 특수강판27: 수축스프링
28: 접착링29: 사각노즐
30: 분사관33: 팽창스프링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공기에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의 작동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따르면, 원주형상의 소켓부의 일측은 일발바(4)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게 삽입부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 내주면 일측에 코터체결구(17)가 형성되고 타측은 중간부에 원주형 요부(凹部)가 형성되어 내측저면에는 사각노즐(29)이 부설된 분사관삽입구(19)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 저면에는 접착링(28)이 접착제에 의해 고착되며 이 접착링(28)의 상측으로는 중앙을 향해 나선식으로 꼬인 스프링(27)이 탄설되고 끝단에는 강판(26)이 고착된다.
상기 소켓부의 타측 외주면은 수나사가 형성되어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실린더부(22)의 일측과 체결되며 이 실린더부(22)에는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피스톤 형상의 분사관(30)에 팽창스프링(33)이 개재되어 내설된다.
상기 실린더부(22) 타측 내부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구동모터(6)와 체결되고 상기 분사관(30)과는 분사구(23)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고로(1) 출선구(2)의 관통작업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개공기(3)를 구동모터(6)에 결합시킨다.
이후 일발바(4)를 삽입구(18)에 고정시킨 다음 개공기(3)를 운전하여 상기 출선구(2)의 중앙을 굴착하여 관통시킨다.
상기와 같은 작업시 질소와 물이 유동배관(7)에서 혼합되어 실린더부(22)의 분사구(23)에 통입되며 이 혼합유체의 압력에 의해 분사관(30)은 전진하여 팽창스프링(33)을 압축시키며 이와 동시에 혼합유체는 사각노즐(29)을 통하여 일발바(4)의 유동구(11)로 분사된다.
이때 유동구(11)의 압력은 유동배관(7)의 압력보다 낮아 수축스프링(27)을 계속해서 출선구(2) 측으로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출선구(2)의 관통이 완료되면 혼합유체를 차단하여 팽창스프링(33)에 의해 분사관(30)이 후퇴되며 이와 연동하여 스프링(27)은 중립위치로 돌아와 강판(26)이 사각노즐(29)을 폐쇄시켜 상기 분사관(30)과 유동구(11)를 차단시킨다.
이때, 출선구(2)의 관통부에서 소량의 용융물이 일발바(4)의 유동구(11)를 통하여 유입되어 분사관(30)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프링(27) 및 강판(26)의 선단에서 고착되며 일발바(4)를 분리하여 제거된다.
상기의 접착링(28), 스프링(27), 강판(26)은 일회용으로 일발바(4)의 분리시마다 신품으로 교환하면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선구의 용융물 유입을 차단하는 일발바 이중체결장치에 의해 혼합유체의 역류를 막고 고착시켜 분리수거할 수 있게 하여 개공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일측은 일발바(4)가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타측은 분사관삽입구(19)가 형성되어 실린더부(22)와 체결되는 소켓부(5)와;
    상기 소켓부(5) 내부에 삽입된 접착링(28)의 일측면에 의해 지지되며 중앙에 강판(26)이 고착되어 탄설되는 스프링(27)과;
    상기 분사관삽입구(19)에 삽입되며 팽창스프링(33)이 끼워져 상기 실린더부(22)에 내설되는 분사관(30)과;
    상기 접착링(28)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분사관(30) 선단부와 접촉되는 사각노즐(2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
KR1020010023589A 2001-04-30 2001-04-30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 KR20020083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589A KR20020083860A (ko) 2001-04-30 2001-04-30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589A KR20020083860A (ko) 2001-04-30 2001-04-30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860A true KR20020083860A (ko) 2002-11-04

Family

ID=2770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589A KR20020083860A (ko) 2001-04-30 2001-04-30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38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243B1 (ko) * 2011-11-30 2013-06-26 주식회사 포스코 개공기 역류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7008A (ja) * 1985-10-31 1987-05-18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出銑口開孔機
KR19990016053A (ko) * 1997-08-12 1999-03-05 정선종 다중 반송파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통신 시스템의코드 동기 장치
KR19990019309U (ko) * 1997-11-18 1999-06-15 이구택 개공기의 용선역류방지구조
KR200193059Y1 (ko) * 1996-03-25 2000-09-01 이구택 용광로의 출선용구 고정소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7008A (ja) * 1985-10-31 1987-05-18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出銑口開孔機
KR200193059Y1 (ko) * 1996-03-25 2000-09-01 이구택 용광로의 출선용구 고정소켓
KR19990016053A (ko) * 1997-08-12 1999-03-05 정선종 다중 반송파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통신 시스템의코드 동기 장치
KR19990019309U (ko) * 1997-11-18 1999-06-15 이구택 개공기의 용선역류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243B1 (ko) * 2011-11-30 2013-06-26 주식회사 포스코 개공기 역류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91219B (zh) 钻进-冲孔一体化水力冲孔钻头
EP3203015B1 (en) Spray nozzle for underground roof support
EP1438479B1 (en) Liquid seal for wet roof bit
KR100534005B1 (ko) 토양강화장치, 토양강화장치용 공구 및 토양강화방법
US51079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vel packing of wells
US5327970A (en) Method for gravel packing of wells
CN212105742U (zh) 一种松软突出煤层钻机钻具系统
CN212803060U (zh) 钻孔内径向切槽装置
US6966393B2 (en) Drill drive steel
CN203559780U (zh) 矿用钻割一体钻头
KR20020083860A (ko) 개공기 내부 용융물 차단장치
US6161635A (en) Drilling system drive steel
CN218493540U (zh) 一种顶锤钻机钻凿水域岩石钻具
CN112096342B (zh) 一种用于井底降压堵漏的钻井提速工具及方法
KR20040025527A (ko)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방법
US4175757A (en) Sealant system for roof drilling apparatus
CN220353814U (zh) 一种盲孔钻进的钻具钻头
CN113062687B (zh) 一种具有自封孔功能的组合钻具
KR100549648B1 (ko) 암반 균열장치
CN220353827U (zh) 一种盲孔钻进的钻具组合
CN214463922U (zh) 用于矿用钻头的状态切换结构
CN216841454U (zh) 一种石油钻井钻头喷嘴
CN214463921U (zh) 具有弹簧的矿用钻割一体化钻头
JPH06272248A (ja) 軟質地盤におけるモルタル等の噴射穿孔工法
CN214576779U (zh) 一种高压旋喷钻头底部的低压出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